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이젝터를 적용한 CO<sub>2</sub> 냉동기의 성능비교

        강변,조홍현,Kang, Byun,Cho, Hong-Hyun 대한설비공학회 2011 설비공학 논문집 Vol.23 No.7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transcritical $CO_2$ refrigeration cycle in order to identify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system energy efficiency. The reduction of the expansion process losses is one of the key issu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anscritical $CO_2$ refrigeration cycle.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O_2$ cycle with an ejector carried out with a variation of outdoor temperature, gascooler inlet air velocity, evaporator inlet air velocity, and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As a result, the system performance could be improved over 85% by using an ejector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 because of the reduction of compressor work. Moreover, the cooling capacity increased about 18% for variable outdoor condition. Therefore, the high performance of an ejector system could be maintained for wide operating conditions and system reliability could be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a basic system.

      • 제1분과 : 국립공원 ; 지리산국립공원 남부 사찰 내에 식재된 목,초본류의 실태 현화 -천은사, 화엄사 및 연곡사를 대상으로-

        강변선 ( Byung Seon Kahng ),이수형 ( Su Hyung Lee ),이재윤 ( Jae Yoon Lee ),오현경 ( Hyun Kyung Oh ),최영현 ( Young Hyun Choi ),최윤호 ( Yun Ho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사찰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일본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1980년 이후 본격적인 사찰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때까지만 해도 대부분이 사찰의 배치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찰 경내에 심어지고 있는 수종이 무엇인지, 이러한 수종이 토착종인지, 아니면 외래종인지 하는 기초적인 조사연구가 전혀 진행된바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조사하여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에 있는 천은사, 화엄사 및 연곡사 경내에 있는 식재수종의 현황을 조사하여 외래종과 토착종을 구분하고 식재배치도를 작성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지리산국립공원 남부권역 천은사 경내의 식재수종을 전수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외래종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부 우리나라 토착종인 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무, 푸조나무, 팥꽃나무, 팽나무, 반송, 잣나무,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초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천은사 경내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꽃치자로 수홍루와 사천왕문 사이에 경계부식재로 열식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동백나무, 보리자나무, 차나무 등이 10주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천은사 경내에는 우리나라 온대남부 및 난대수종인 푸조나무의 거목이 사천왕문 주변에서 6주가 확인되었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 전남, 경남의 마을 입구의 풍치수나 성황목으로 심어 졌으며, 많은 나무들이 보호수나 천연기념물(전남 강진군 대구면 35호, 장흥군 용산면 268호,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311호 등)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또한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로 가치가 있는 왕벚나무, 팥꽃나무, 이팝나무, 주목 등이 확인되었다. 천은사 경내에서의 큰 거목은 느티나무, 왕벚나무, 푸조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개서어나무, 곰의말채, 산수유, 소나무, 이팝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수종이다.또한 천은사 경내에서 확인된 초화류는 꽃범의꼬리, 양하, 국화, 만수국, 머위, 홑왕원추리, 꽃매발톱류, 범부채, 주걱비비추, 몬트부레치아(애기범부채), 지면패랭이(꽃잔디), 마삭줄, 천수국, 만년청, 무늬둥굴레, 큰까치수영, 벌개미취, 참나리, 섬초롱꽃, 등나무, 능소화, 부용, 노랑꽃창포, 끈끈이대나물, 금낭화, 더덕, 수선화, 붓꽃, 석산(꽃무릇), 돌나물류(원예종-흰색), 작약, 무늬비비추, 유카, 큰금계국, 미국제비꽃(종지나물), 담쟁이덩굴, 낮달맞이꽃, 파초, 꽃양귀비, 석잠풀, 야생팬지, 바위취, 자주달개비, 자란 등 44종이 확인되었다. 이중 자생종인 토착종은 머위, 범부채, 주걱비비추, 마삭줄, 큰까치수영, 벌개미취, 참나리, 섬초롱꽃(울릉도), 등나무, 금낭화, 더덕, 붓꽃, 담쟁이덩굴, 석잠풀, 자란 등 15종이다. 외래종이면서 귀화식물로 취급되고 있는 종은 몬트부레치아, 끈끈이대나물, 큰금계국, 미국제비꽃, 야생팬지, 자주달개비 등 6종으로 이 식물들은 반드시 제거가 요망된다. 원예종이거나 개량종은 꽃범의꼬리, 국화, 만수국, 홑왕원추리, 꽃매발톱류, 지면패랭이, 천수국, 무늬둥굴레, 수선화, 석산, 돌나물류, 무늬비비추, 낮달맞이꽃, 꽃양귀비, 바위취 등 15종으로 이 식물들은 단계적이면서 지속적인 제거가 필요하며, 향후 위의 식물들은 식재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화엄사 경내의 식재수종을 전수조사한 결과,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착종인 동백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자귀나무 등이 외래종보다 상당히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각황전 좌측에 동백나무수림이 있는데 이는 화재로부터 화엄사의 목조건물을 보호하고자 오래전에 방화수림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들어 금강문 입구에 열식으로 동백나무의 거목이 식재되었다. 화엄사 경내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동백나무와 단풍나무, 느티나무, 푸조나무, 배롱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순이었으며, 이중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화엄사의 경내가 확장되면서 일부 자연식생이 포함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개서어나무나 졸참나무는 인위적인 식재종보다 자연식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엄사에는 많은 국보와 보물 등이 있으며, 천연기념물(제38호)인 올벚나무가 지장암 뒤편에 있다. 또한 구층암에는 암자 기둥으로 모과나무를 사용하였으며, 특이한수종으로는 본 경내 뒤편에 있는 윤노리나무로 이 식물은 낙엽활엽관목내지 아교목이지만 본 개체는 수고 10m 가량, 가슴둘레는 1m 가량의 큰 거목이지만 뿌리부분이 탐방로 비탈면에 노출되어 향후 도복될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빠른 시일에 대책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화엄사 경내에서의 큰 거목은 동백나무수림, 느티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올벚나무, 팽나무, 졸참나무, 은행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 또한 화엄사 경내에서 확인된 초화류는 옥잠화, 선인장, 국화, 유카, 무늬둥굴레, 컴프리, 딸기, 고수, 퉁둥굴레, 양하, 백합류, 봉선화, 꽃양귀비, 송엽국, 끈끈이대나물, 백묘국, 낮달맞이꽃, 마가렛국화, 지면패랭이(꽃잔디), 덩이괭이밥, 작약, 미국제비꽃(종지나물), 백리향, 송악(아이비), 상록패랭이, 자란, 일일초, 능소화, 붓꽃, 섬초롱꽃, 칼랑코에, 머위, 소엽(차조기), 무늬비비추, 자주달개비, 마삭줄, 맥문동, 참나리, 꽃매발톱, 풍접초, 삼잎국화, 마리골드(천수국) 등 42종이 확인되었다. 이중 자생종인 토착종은 선인장, 퉁둥굴레, 백리향, 송악, 자란, 붓꽃, 섬초롱꽃(울릉도), 머위, 마삭줄, 맥문동, 참나리 등 11종이다. 외래종이면서 귀화식물로 취급되고 있는 종은 컴프리, 끈끈이대나물, 덩이괭이밥, 미국제비꽃(종지나물), 자주달개비, 삼잎국화 등 6종으로 이 식물들은 반드시 제거가 요망된다. 원예종이거나 개량종은 옥잠화, 국화, 무늬둥굴레, 봉선화, 꽃양귀비, 송엽국, 백묘국, 낮달맞이꽃, 마가렛국화, 작약, 상록패랭이, 일일초, 칼랑코에, 무늬비비추, 꽃매발톱, 풍접초, 마리골드 등 17종으로 천은사에서 언급했듯이 단계적이면서 지속적인 제거가 필요하며, 향후 위의 식물들은 식재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백합류는 화엄사 대웅전과 각황전돌계단 하부에 대규모로 식재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원예품종들은 정확한 종 파악이나 원산지가 어디인지도 확실치않기 때문에 대규모 식재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사찰경내는 종교나 문화 및 역사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외래종이나 원예종 및 귀화종을 배제하고 우리나라 토착종을 심는 것이 위의 사찰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곡사 경내의 식재수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천은사와 달리 외래종보다 우리나라 토착종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대표적으로 소나무, 느티나무, 당단풍, 단풍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동백나무 순이었다. 연곡사 경내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매실나무로 연곡사 경내 전지역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일주문에서 사천왕문 사이에 경계부식재로 열식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차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당단풍, 은행나무 등이 10주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연곡사 경내에는 스님들이 식용이나 약용 목적으로 매실나무나차나무 및 산수유 등을 많이 심었으며, 다른 조사대상지인 천은사나 화엄사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토착종인 당단풍, 동백나무, 졸참나무, 딱총나무, 때죽나무 등이 경내에 심어져 있어 이는 천은사나 화엄사에 비해 다른 식재수종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연곡사 경내에서의 큰 거목은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수종이다. 연곡사 경내에는 큰개비자나무 2주가 식재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남부지방 산 숲속에서 자라는 개비자나무와는 다른 수종이다. 개비자나무는 보통 수고가 2-3m 이지만 큰개비자나무는 일본과 중국원산으로 수고가 8-10m 로 훨씬크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연곡사 경내에서 확인된 초화류는 연지(택사, 물꼬챙이골, 부들, 수련, 자라풀 등 식재), 국화, 능소화, 담쟁이 덩굴, 홑왕원추리, 백합류, 석죽, 옥잠화, 붓꽃, 양하, 머위, 금낭화, 더덕 등 17종이 확인되었다. 1차적으로 작년에 목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금번 현지조사 과정에서 많은 나무들이 벌채되었거나 굴취되어 다른 곳으로 이식되었으며, 굴취된 자리에는 구례군이 공급한 홍단풍, 청단풍 (이상일본원산)으로 대체되었다. 이중 일주문과 사천왕문 사이에 있는 연지에는 자생종인 택사, 물꼬챙이골, 부들, 수련(북부지방 자생), 자라풀 등의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일부 확인되었으나, 연지 또한 훼손되어 작년에 비해 개체수나 식물종수가 현저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일부 굴취된 지역과 훼손된 경내에 초화류를 식재할 계획을 가지고 있어 추후에는 더 많은 초화류가 조사될 것으로 보인다. 자생종인 토착종은 연지에 있는 식물과 담쟁이덩굴, 붓꽃, 머위, 금낭화, 더덕 등이, 원예종이거나 개량종은 국화, 홑왕원추리, 백합류, 석죽, 옥잠화 등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과거사 기록을 활용한 내러티브 콘텐츠 개발 연구: 진실화해위원회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강변,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4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7 No.1

        진실화해위원회는 과거사 사건을 조사한 결과를 담아 「조사보고서」를 생산했다. 「조사보고서」는 공공기록물로서 해당 사건과 관련한 다양한 기록들과 전문가의 종합적 분석이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일반 이용자들을 위한 서비스가 거의 이루어지지않고 있어 이들이 접근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내러티브 콘텐츠로 개발되어 제공될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실화해위원회가 보유한 「조사보고서」를 활용하여 내러티브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국 국립아카이브즈(TNA)의 사례를 분석하고진실화해위원회 관계자를 면담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 시안을 제시했다. TRCRK produced an "Investigation Report" containing the results of its investigation into past events. The "Investigation Report" contains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incidents and comprehensive analyses by experts, making it of high archival valu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service provided for general users, making it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easily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narrative content for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narrative content using the "Investigation Report" held by the TRCRK. To do this, the case of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United Kingdom (TNA) was analyzed, an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n official from TRCRK, based on which development proposals were presented.

      • KCI등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평가선별을 위한 평가지표 개선방안 연구

        전한역,강변,송채은,양동민 한국기록관리학회 202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3 No.2

        국내 공공기관에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전자기록물로 인식된다. 이와 관련해 최근 국가기록원과 학계를 중심으로 기록관리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실무 현장에서 데이터세트 . 평가선별 시 고려할 사항과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 및 데이터세트의 평가선별 . 현황을 분석하여 데이터세트 평가선별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도출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공공기관 데이터세트 관리체계 . 정비와 관리 프로세스 보완에 관한 논의 활성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I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are recognized as electronic records that require systematic management. In this regard, concrete measures for the execution of records management have been discussed recently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academic field. This study seeks to derive a plan to improve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effectively grasp the valu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and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and selecting datasets in the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dataset evaluation and selection, derives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this proces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for evaluation indicator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discussions on maintaining the public institutions’ dataset management system and supplementing the management process in the future.

      • KCI등재

        The Impa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Osteoporosis Knowledge among Korean Osteoporosis Patients

        조원석,조은희,강변,권기두,하용찬,장선미,김하영 대한골대사학회 2018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5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sharing about absolute fracture risk on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and modifiable risk factors among Korean patients with osteoporosis. Methods: Adults aged >50 year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for osteoporosis were recruited. Subjects with trauma-related fractures or pathological fractures were excluded. The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risk factors for fracture were collected at baseline.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measured their knowledge regarding osteoporosis at baseline and then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risk of fracture and individual education. Fracture risk was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degree. The post-survey was conducted 3 months later. The pre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osttest results. Results: In this study, 179 subjects (15 men and 164 women) were enrolle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mean osteoporosis knowledge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0.6±5.7 at pre-education (baseline) to 11.7±6.3 at post-education (P<0.001). When comparing the pre- and post-education Korean fracture risk scores, a negligibl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very low risk” and “low risk” groups. However, the scores in the “very high risk” and “high risk” groups decreased from 77.6% to 76.0%. We found a difference over time only in physical activity. Conclusions: Simple educational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ncreasing osteoporosis knowledge among Korean patients with osteoporosis. It may confer some benefit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steoporotic fracture risks to improve knowledge and awareness regarding osteoporosis.

      • KCI등재후보

        열원의 온도변화에 따른 겨울철 태양열-지열 하이브리드 R22 열펌프의 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강변(Byun Kang),조홍현(Honghyun Cho)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 2012 한국지열에너지학회논문집 Vol.8 No.4

        The solar and geothermal energy have many advantage like low cost, non-toxic, and unlimited. But those have very low energy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study of performance in a solar-geothermal hybrid heat pump with operating conditions has carried out. As a result, as the solar radiation increases from 1 MJ/㎡ to 20 MJ/㎡, the heat pump operating time decreases by 19.5% from 18 times to 14.5 times and the heat pump heat decreases by 23%. Besides, the heating COP increases by 21.4% when the evaporator inlet temperature increases from 11℃ to 19℃. By adapting the geothermal system into a solar hybrid R22 heat pump, the system performance and reliability increases significantly for variable operating conditions during winter season.

      • KCI등재

        R744와 R22를 적용한 태양열 하이브리드 열펌프의 성능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

        강변(Kang, Byun),조홍현(Cho, Honghyu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3 No.2

        Simulation study of a solar hybrid heat pump using R744 and R22 for residential application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heat pump operating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s a result, when the heat pump operating temperature increases from 40℃ to 48℃, the COP of a R744 and R22 heat pump system decrease from 2.15 to 1.7 and from 3.09 to 2.69, respectively. Besides, as the outdoor temperature rises from 3℃ to 11℃, the COP of R744 and R22 heat pump system increase from 1.73 to 2.12 and from 2.73 to 3.02. When the solar radiation increases from 10 to 20 MJ/m², the collector operating time and collector efficiency of R744 heat pump increase 10.3 times and 50.7%,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R744 solar hybird heat pump is more sensitive to operation condition compared to that of R22. Besides, the solar heating system is more effective to the R744 heat pump system.

      • 성능향상을 위해 이젝터를 적용한 CO₂ 냉동기의 성능비교

        강변(Byun Kang),명치욱(Chiwook Myung),조홍현(Honghyun Cho) 대한설비공학회 201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11

        Refrigerating system using an ejector is proposed in order to increase performance and system reliability in a CO₂ cycle.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O₂cycle with an ejector carried out with a variation of outdoor temperature, gascooler inlet air velocity, evaporator inlet air velocity, and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As a result, the system performance improved by using an ejector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 because of the decrease compressor work. Besides, the high performance of an ejector system could be maintained for wide operating conditions compared to that of a basic system.

      • 봄철 태양열 하이브리드 이산화탄소 열펌프 성능에 대한 고찰

        강변(Byun Kang),김진현(Jinyuun Kim),조홍현(Honghyun Cho) 대한설비공학회 2013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solar hybrid CO2 heat pump for rain day and fair day was analyzed by using experimental method during spring season. The system was consisted of concentric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 heat medium tank, heat storage tank, heat pump, and so on. As a result, the compressor operating time for fair day and rain day was 12 and 17 hours, respectively. The collector operating time, ambient temperature and room temperature for rain day were smaller than for fair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