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기술의 조절효과

        강문실,김윤숙,김영희,Kang, Moon Sil,Kim, Yoon Sook,Kim, Young Hee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6 서비스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인관계기술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기술은 낮고, 자신의 장래와 가족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기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게임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기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게임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업, 경제, 장래, 가치관, 가족관계, 가족외의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게임에 빠지는 성향이 강했는데, 이중 학업문제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대인 관계기술은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장래문제와 가족관계 문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금까지의 연구가 미흡했던 영역으로 대학생이 게임중독으로 빠지는 것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도 그들 자신이 스트레스에 잘 대처해야 하고, 그의 일환으로 대인관계 기술함양이 이에 일조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in their daily lives on game addiction,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human relation skill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ir daily life stress. For this study, surveys of 222 university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displayed lower human relation skills as the level of stress from the studies increased.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displayed higher human relation skills as the level of stress from future plans and family relation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game addiction increased, human relation skills were found to be lower. Third, the university students' stress from daily lives had a static effect on game addiction. The participants displayed tendency of game addiction as they had high levels of stress from their studies, financial issues, future plans, values, family relations, and human relations with people apart from their family. Among the listed factors of stress, the stress from the studies most strongly influenced the participants to be addicted to games.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in the university students, issues in future plans and family relations significantly control the game addiction. Studies on this area has been insufficient. From the study, it is found that in order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to be addicted to games, they must cope well with their stress. Furthermore, this study carries its significance in finding the results that human relation skills contribute as a part of dealing with stress.

      • 정서 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고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강문실(Moon-Sil Kang),송병식(Byeong-Sik S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08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1

        본 연구는 정서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고 조절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정서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준다. 특히 정서표현 주의정도가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역할특성(역할갈등, 역할모호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준다.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특히 역할모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수행(과업수행, 적응수행, 맥락수행)에 부(-)의 영향을 준다.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직무수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는 정서노동, 역할모호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지만 역할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지원 중 상사의 지원이 역할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변수(정서노동, 역할모호성)에서 상사의 지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의 지원은 조절효과가 없는 변수로 나타났다. 일곱째, 상사의 지원이 직무스트레스와 과업수행, 맥락수행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동료의 지원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하위변수간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t finding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determining factors (emotional labor, nature of duties), job stress and performance of duties. The results of demonst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emotional labor was shown as having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the level of caution in expressing emotion was shown as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job stress and the emotional labor was confirmed as a variable increasing job stress. Secon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roles (role conflict, unclear roles) was shown as having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selected. the role conflict and unclear roles have been confirmed as variables increasing job stres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unclear roles on job stress was great. Third, because job stress was shown as giving nega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ask performance, adaptive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selected. It was shown that job performance becomes lower as one gets more job stress. Fourth, because it was shown that empowerment partial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determining factors and job stress selected. Although empowerment does not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unclear roles and job stress, it was shown a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Fifth, because empowerment was shown a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selected. This means that empowerment is acting as a variable which decreases the negative effect influencing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Sixth, the support of bosses among social support in th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determining factors and job stress was shown a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But the control effect of support from bosses was shown as having no control effect at the remaining variables (emotional labor, unclear roles), while the support of colleagues was shown as a variable having not control effect. Seventh, the support of bosses has been conformed as a variable controlling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but the support of colleagues was shown as not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 variables of job performance.

      • 리더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맥락수행간 구조적 관계

        강문실(Moon-Sil Kang),송병식(Byeong-Sik S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3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 통해 리더 행동 변수를 과업지향적 리더행동, 관계지향적 리더행동, 변화지향적 리더행동 등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 다음, 세 가지 리더 행동변수들과 직무스트레스, 맥락수행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요약하면 첫째, 과업지향적 리더유형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관계 및 변화지향적 리더유형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과업지향적 리더유형과 관계 및 변화지향적 리더유형은 맥락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사회적 지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으로 리더의 행동범주를 3차원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실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무 스트레스를 느끼는 부하의 심리상태를 인식하고 직무스트레스의 강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상사의 리더십이 발휘된다면 직무스트레스의 저감뿐만 아니라 맥락수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hreefold. The first one is to classify leader behavior variables into three categories: task-oriented leader behavior, relationship-oriented leader behavior, and change-oriented leader behavior. The second one is to make clea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ose three leader behavi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variables of job stress to contextual performance. The third one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ask-oriented leader type does not cause a positive (+) effect on job stress, whereas the relationship-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produce a negative (-) effect on job stress. Second, the task-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makes a positive (+) influence on contextual performance. Finally, social support does not carry any moderating effect. These results provide us useful information in practical business by simplifying the leader’s behavioral categories into a three dimension. Further, they suggest that a strategic approach to strengthening leader types is necessary to increase positive influences of the task-oriented, relationship-oriented, and change-oriented leader types on contextual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 제주지역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문실 ( Moon Sil Kang ),양성국 ( Sung Kuk Yang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에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적기업 근로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인과효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사회가치지향성 요인이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사회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사회가치지향성 요인이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경제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진취성,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조직성과 하위요인인 사회적성과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진취성,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조직성과의 하위요인인 경제적성과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가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들에게 독려하며 근로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간의 작용하는 조절 매커니즘을 밝혀 향후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affect on social performance. Second, innovativeness, risk-taking,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proactiveness affected economic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of CEOs can increas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was clear with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but not with risk-taking. Fourth, proactivenes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but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did not.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Jeju area, and thu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None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upgrad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관광산업 종사자의 심리자본과 맥락수행 간 신뢰 조절효과

        강문실(Kang, Moon Sil),김윤숙(Kim, Yoon-Sook)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자본에 대해 알아보고, 심리자본과 맥락수행과의 관계, 심리자본과 맥락수행 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표본은 제주지역 내의 관광산업 종사자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자본과 맥락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심리자본 하위요인 자신감, 탄력성 요인이 맥락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자본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자본 하위요인 희망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employees working in tourism industry in Jeju.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confidence and elasticity affected contextual performance. Second,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xtual performance and sub-factor of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hope.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lasticity and contextual performance. Last, we present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제주지역 사회적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강문실 ( Moon Sil Kang ),양성국 ( Sung Kuk Yang ),문성주 ( Seong Ju Moon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4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된 이후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예비적 사회기업까지 포함하면 2008년에 6개, 2010년 4개, 2011년 1개, 2012년 5개, 2013년 8개 업체 등 2014년 6월 현재 27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다. 사회적기업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적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한 후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의 사회적기업 육성사례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갖는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평가시스템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내실 있는 사후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인건비 위주의 획일적인 지원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원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자리창출 사회적기업 뿐만 아니라 사회서비스 등 균형있는 발전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넷째, 자율공시 참여기업의 부족한 실정이므로 자율공시에 참여하는 기업이 많아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조금의 적절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회적기업을 전담하는 부서의 지정과 전담인력을 확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의 자료를 이용한 비교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자발적 공시의 자료가 많아지면 이를 이용한 연구도 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enactment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up till September 2014, 27 organizations were certified as a social enterprise in Jeju.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s steadily increasing even at this point, and thu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social enterprises and seek a reasonable revitalization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social enterprises, and research social enterprises currently working in Jeju``s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Jeju, identified its problem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e system of social enterprises is unsatisfact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ubstantial post-evaluation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support systems rather than relying on the monolithic system focused on labor cost.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hat can induce balanced development such as job creation and social service. Fourth, since the number of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voluntary public announcement is low,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enterprises that can participate in the announcement.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in order to appropriately use the subsidy. Sixth, policies of designating the department should be responsible for social enterprises and expanding dedicated staffs.

      • KCI등재

        생태관광의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간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

        강문실(Kang, Moon-Sil),김윤숙(Kim, Yoon-Sook)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생태관광에 대해 알아보고 생태관광의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과의 구조적관계, 생태 관광의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생태관광을 경험한 관광객 257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생태관광의 지각된 가치 하위요인인 감정적 가치, 인식적 가치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관광의 지각된 가치 하위요인인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인식적 가치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익관여도가 조절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관광에서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공익관여도가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함으로써 생태관광 경영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rn about ecological tourism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 of ecological tourism, and to examine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ecological tourism. For this, data collected from 257 tourists who experienced ecological tours were analyzed using SPS 18.0 and AMOS 18.0 program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values, cognitive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for values perceived in ecological tourism.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values, cognitive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for values perceived in ecological tourism, it was evident that there was an adjusting effect of public involvement. Such results suggests how to utilize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blic involvement in ecological tourism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ecological tourism management.

      • KCI등재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 간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

        강문실(Kang, Moon-Sil),김윤숙(Kim Yoon Sook)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과의 구조적관계에서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소비자 266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공익관여도가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학문적 공헌은 친환경제품에서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공익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을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이 사회적으로 적합하며 올바른 행동이라는 점을 홍보하고, 공익을 위한 소비가 성숙한 시민의 의무라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and to examine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benefit involvemen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consumers from whom data was acquired for analysis and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had a positive (+)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n adjustment effect of public benefit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academic contribution is that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interest interv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for eco-friendly products was examined. Furthermore, in order to encourage consumers to have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the fact that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is socially acceptable and the proper mode of behavior, and that they should be educated that consumption for the public interest is the duty of mature citizens.

      • KCI등재

        관광산업 종사자의 심리자본과 맥락수행 간 신뢰 조절효과

        강문실(Kang, Moon Sil),김윤숙(Kim, Yoon-Sook)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자본에 대해 알아보고, 심리자본과 맥락수행과의 관계, 심리자본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표본은 제주지역 내의 관광산업 종사자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자본과 맥락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심리자본 하위요인 자신감, 탄력성 요인이 맥락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자본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자본 하위요인 희망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employees working in tourism industry in Jeju.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confidence and elasticity affected contextual performance. Second,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extu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xtual performance and sub-factor of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hope. There were partial moderated effects of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lasticity and contextual performance. Last, we present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