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생’의 욕망과 그 정치성

        강계숙(Kang, Gye-S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본고는 해방기 신진시인인 유진오의 시 세계를 시집 『창』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진오의 시를 해방기의 역사적 특징이 문학적으로 자기반영된 예로, 시민적 주체의 정립 양상이 징후적으로 구현된 텍스트로 보았다. 이러한 텍스트적 특질을 입증하기 위해 해방의 의의를 근대혁명에 상응하는 개인의 ‘시민적 해방’에 두고, 시민의 탄생이라는 정치적 격변이 활성화한 문학적 상상력이 유진오 시의 경우 새로운 자기서사의 구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새로운 주체로서 자신의 시민-됨을 자각하고 이를 시작(詩作)의 출발로 삼은 것이 ‘재생’을 둘러싼 역설적 상상과 식별 불가능한 존재로서의 자기인식을 유발하고, 이것이 세대적으로 아버지-권위가 부재하는 세계에서 ‘기원 없는 아들’인 자신을 신화적 주권자로 정립하려는 정치적 욕망에 따른 것임을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욕망이 주체의 근본적 결핍을 해소하지는 못하며, 이로 인해 상징적 동일시의 대상이 새로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눈’의 모티브가 반복․변주되고 있음을 주목하였고, 이것이 어떻게 혁명의 주체를 예견하는 상징이 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어머니로 표상되는 모성적 과거의 세계가 도덕 감정의 심화를 야기하고 시의 감상성을 심화시키지만, 시인 스스로 이를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감상적 소년”의 세계에서 탈피할 것을 깨닫는 것은 이러한 자기서사의 최종 종착지라 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세대적 욕망과 주체화의 요구가 유진오의 경우 역사인식의 심화로 이어진다는 사실이다. 과거의 슬픔과 현재의 비참에서 기쁨의 미래를 예감하는 그의 인식은 유추적 사유에 따른 시적 비전에 가깝다는 점에서 혁명적 계급사관과 구별된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You Jin-O" poems contained in 『the window』(1948), which was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For this purpose, I looked at his poems as text that re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a civil subject. To prove these text characteristics, I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liberation as civil liberties and analyzed that the poetic imagination that implicitly embodies the birth of a citizen is creating a new self-narrative in You" poems. Through this analysis, I explained that recognizing himself as a new subject has resulted in a paradoxical imagination of regeneration, and this self-awareness is based on the political desire to establish himself as a mythical ruler in a world where the father"s authority is absent. However, this desire does not satisfy the fundamental lack of his own. This makes him equal with the burning eyes. This eyes to contrast with the mother"s eyes symbolize the subject of revolution in his poems. Maternal past, meanwhile, symbolized his mother deepens his inner conflict. However, he realizes that he must overcome it and disengage himself from the sentimental boy"s mind. To realize this is the end of his self-narrative.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is process of self-activization leads to deepening You"s history awareness.

      • KCI등재

        김종삼의 후기 시 다시읽기 ―"죄의식"의 정동과 심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강계숙 ( Gye Sook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김종삼의 후기 시에 두드러지는 죄의식의 정동은 주체의 자기정립 과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본고는 텍스트에 내재된 가족 로망스적 상상과 세대적 무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정체성 표상의 시대적 의미를 살핀다. 무능한 아버지의 상징인 ``장님 아비``는 주체가 스스로를 아버지로서 (무)의식할 때의 자기표상에 속한다. 그러나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이를 용인하고 수락하지 않는 자기모순 속에 있다. 이러한 모순의 심화는 ``아버지의-이름``의 폐제를 시 전체에 걸쳐 구조화한다. ``성년-남성``이 부재하는 세계, 모성적 예수와의 동일시, ``예술가-공동체``라는 환상의 구축은 부권적 은유의 결여에서 비롯된 것으로 폐제된 것의 자리를 채우는 상징적 보충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前)-외디푸스적 관계로의 퇴행은 죄의식의 심화를 해결하지 못하며, 후기로 갈수록 자기파괴적인 징벌 욕구와 강렬한 죽음충동이 시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심리 구조가 ``장님 아비``가 아닌, 그것의 역상(逆像)인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이 싹튼 데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김종삼 시의 죄의식은 아버지-되기의 욕망이 작동하는 것에 대한 무의식적 신호라 할 수 있다. 이 신호에 의해 주체는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포기하지만, 욕망의 포기는 죄의식을 오히려 강화한다. 김종삼에게서 아버지-되기의 욕망은 철저히 억압된다. 새로운 아버지-되기란 현존하는 아버지도, 부도덕한 상징적 아버지도 아닌, 그들 모두를 몰아내는 원초적 아버지가 되는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욕망을 품고 있다는 것에 대해 초자아의 판결은 훨씬 가혹해진다. 자아는 혹독한 처벌을 받아야하며, 자기의 죽음을 징벌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죄의식은 죽음충동으로 점차 심화된다. 후기로 갈수록 김종삼은 자신을 죽음을 원하는 자로 정체화한다. 이러한 주체에게 삶은 스스로를 벌하는 충동과 바닥모를 죄의식의 심연이 한묶음으로 주어지는 것과 같다. 삶이란 쾌락을 택하면 죽음을 원하는 자기파괴가 뒤따르고, 그러한 고통을 덜고자 죽음의 쾌락을 택하면 삶의 상실이라는 괴로움이 잇따르는 것은 주이상스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후기에 이르러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주이상스의 주체로 현현한다. 한국시에 이러한 주체의 형상이 드물다는 것은 김종삼의 시를 고유한 것으로 만든다. 죽음을 수용하는 한에서만 주체는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욕망의 주체-되기가 포기되는 상황은 한 개인의 욕망과 심성, 무의식의 체계와 마음의 구조, 삶의 태도에 대한 문화적 억압의 정도를 시사한다. 욕망의 추구가 자유의 문제와 직결되는 한, 욕망을 포기한 죄의식의 주체는 그가 속한 세계의 ``자유의 부재``를 상기시킨다. 그런 점에서 김종삼의 후기 시는 욕망의 추구를 구속하고 그것의 포기를 강제하는 현실이, 그 같은 사회적 억압과 불합리성이 전후 한국적 모더니티가 구축해온 역사의 ``이면``이었다는 사실을 환기한다. The sense of guilty in Kim Jong-Sam`s later poetry is closely connected with reestablishing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historical meanings of self-representation in Kim`s poetry by analyzing generational unconscious and family romance within its. For example, Kim`s poetic subject identifies himself ``a blind father`` as a symbol of incompetent father. ``A blind father`` is the only self-image as a existent father in Kim`s poetry. But ironically, he wants none of it. He cannot help contradicting himself. Owing to this self-contradiction, the foreclosure of the Name-of-the-Father is caused and structured throughout Kim`s poetry. For this lack of the Name-of-the-Father, the suppletions that is a substitute or a stand-in for what is missing at the level of symbolic is attempted. A world without adult men,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maternal Jesus, and a fantasy of artist-community are some various forms of symbolic suppletion. But as time passes, the sense of guilty is much more stronger, and need for self-punishment and death drive are dominant over all the others in his poetr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complex psychology of him originates from the unconscious desires of becoming-father. His feeling of guilt is a unconscious sign that he desires to become ``a new father``. But the desire of becoming-father is thoroughly suppressed in Kim`s. To become ``a new father`` may be to a primal father, neither a existent incompetent father nor a symbolic father, called the Name-of-the-Father. But a primal father is also a obscene father, according to Freud. For this reason, Kim`s poetic subject relinquishs his desire, but rather it deepens his sense of guilty. But, by reason of nursing this desire, the superego sentences the ego to a severe punishment, and the ego must die to expiate his own crime. This is why Kim`s feeling of guilt turns is gradually converted into death drive. In later poetry, Kim`s subject is identified with a man who wants his own death. To him, living a life is jouissance, a kind of deal in which pleasure and pain are presented as single packet. It means that the pleasure cannot be obtained without paying the price of suffering. In later poetry, Kim fails to become the subject of desire and his subjectivization is concluded in the subject of jouissance.

      • KCI등재

        김현 비평의 사르트르 수용 양상 - ‘실존적 정신분석’의 영향을 중심으로

        강계숙(Kang Gye-Sook)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1

        본고는 김현의 비평과 사르트르의 문학론 간의 영향관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현은 사르트르 이론의 비판적 전유를 통해 자신의 비평 방법을 구축한다. 특히 실존적 정신분석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과 함께 초기부터 적극 수용된 이론이다. 프로이드의 이론이 인간의 행위와 의식에 미치는 무의식의 작용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결정론적 시각을 드러낸 반면, 사르트르의 이론은 무의식적인 것조차 의식의 연장(延長)으로 간주함으로써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을 우선시한다. 프로이드와 구분되는 사르트르의 이러한 특징은 김현이 실존적 정신분석의 원리와 방법에 더 주목하게 된 이유라 할 수 있다. 김현은 실존적 정신분석으로부터 실제비평에 적용될 두 가지 방법론을 도출한다. 하나는 작품으로 구현된 인간의 행위와 그것의 표현은 해석을 필요로 하는 상징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중 유년기의 ‘원초적 경험’은 가장 중요하게 분석되어야 할 대상이라는 점이다. 프로이드도 사르트르도 유년시절의 체험을 독해가 요구되는 하나의 계시로 파악한다. 전자는 그것을 과거의 외상에 고착된 원형적 상징으로 보는 반면, 후자는 그것을 개인의 의식이 선택적으로 투사된 심리적 현상으로 본다. 후자의 이러한 관점에 따라 ‘원초적 경험’의 이미지는 변주와 편성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된다. 김현은 후자의 입장을 자신의 비평 방법으로 수용하는데, 이로부터 또 다른 방법론이 마련된다. ‘원초적 경험’의 표현은 이미지의 변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의 의식적 표현양식은 반드시 주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김현은 사르트르의 개념 또한 거리를 두고 판단한다. 그는 원초적 체험의 상기(想起)와 관련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작용을 구분한다. 의식이 재투사를 유도한다면, 무의식은 그러한 의식의 작용을 유도한다. 따라서 ‘원초적 경험’은 ‘맨 처음’의 체험이 지닌 외상적 성격과 그에 따른 의식의 선택적 변용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주제이다. 김현은 이러한 전제와 방법에 따라 작품 분석을 수행한다. 실존적 정신분석의 이러한 비판적 수용은 김현으로 하여금 개인적 경험의 표현과 시적 · 서사적 모티브의 통일된 변형을 주목하게 한다. 그리고 작가와 작품의 (무)의식을 분석하는 그의 비평은 작가의 개별적 심리나 작품의 외재적 현상을 해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학인으로서의 책무를 인식하고 그것을 자신의 삶으로 선택함으로써 그에 따른 갈등과 모순을 직시하는 작가적 태도를 문학의 윤리로 제시하는 데로 나아간다. 이점이야말로 비평가로서 김현의 고유한 특장(特長)이라 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그가 작가의 성실성을 강조하면서도 그것을 사르트르가 주창한 ‘앙가주망’과 연결시키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사르트르가 『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시와 산문을 구별한 것에 대해 그가 분명한 문제의식을 지녔던 것과 관련이 깊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Hyun"s criticism and Sartre"s literary theory. Kim Hyun establishes his method of criticism by critically accepting Sartre"s theory. In particular, existential psychoanalysis is a theory that has been actively considered since the beginning along with Freud"s psychoanalysis. While Freud"s psychoanalysis reveals a deterministic understanding of humans by emphasizing the effects of unconsciousness on human consciousness, Sartre"s psychoanalysis values individuals" free choice by considering even unconscious as an extension of consciousness. This characteristic of Sart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Freud, is why Kim made him pay more attention to existential psychoanalysis. Kim derives two methodologies to be applied to analysis of literary works from existential psychoanalysis. First of all, human behavior and its ex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a symbol that requires interpretation, among which the original experience of childhood are the first things to be analyzed. Freud"s psychoanalysis and Sartre"s psychoanalysis also identify childhood experiences as a revelation that requires interpretation. The former sees it as a primal symbol stuck in past trauma, while the latter sees it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 consciousness is selectively projected. Sartre describes the image of the original experience as transformable according to the latter. Based on Sartre"s this view, Kim established another methodology of criticism. It is that the image of the original experience is transformable, so its conscious expression style must be noted. But Kim also distanced himself from the concept of Sartre. He distinguishes the action of consciousness from the action of unconsciousness in original experience. He thinks that consciousness is the cause of reprojecton, and unconsciousness is the cause of such consciousness. Thus, the original experience is a subject on which the traumatic nature of the first experience and the resulting selectiv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Kim tries to analyze the work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In addition, Kim Hyun"s criticism not only explains the writer"s individual psychology or external phenomenon of the work, but also presents the writer"s ethical attitude of facing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caused by acknowledging his responsibilities as a writer and choosing his life as a writer. This can be said to b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im Hyun as a literary critic. It is noteworthy that he emphasizes the authenticity of the writer, but does not link it to Sart"s engagement. This is deeply related to his critical consciousness of Sartre"s distinction between poetry and prose in "What is Literature?"

      • KCI등재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강계숙(Kang, Gye Sook)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본고는 김수영의 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대두된 연구 방법의 특징을 살피고, 그와 관련한 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탈식민주의적 시각과 번역론의 관점이 간과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앞으로 김수영 문학에서 주목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기틀이 되는 방법론들이 상호 통합되었을 때 도출될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 본고의 핵심 내용이다. 우선, 그간 ‘전후세대’로 통칭되었던 세대적 명명에 숨은 이데올로기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김수영의 세대적 특징을 ‘한국어-일본어’의 이중언어 체계에서 파악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전제할 때, 비로소 김수영의 ‘일본어 글쓰기’에 내포된 중층적 의미가 해명될 수 있음을 그의 「시작노트 6」을 통해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이상(李箱)의 일문시 번역과 일본어 시작 노트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김수영의 시작(詩作)과 번역체험의 관계, 실제 번역과정에서 도출된 시의 리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관념과 방법론으로서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을 짚어 보았다. 아울러 최근의 연구 성과 중 이러한 김수영 문학의 탈식민성과 번역체험, 그에 대한 메타 의식과 후기 시의 스타일의 변모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 예를 소개하였다. 김수영에게 ‘번역’은 ‘시’의 또 다른 번역어였음을 상기할 때, 그의 이중 언어자로서의 언어적 정체성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탈식민성―번역―스타일의 변모’는 통합적 관점에서 동시적으로 궁구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김수영의 후기 시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교주의 논쟁의 시론(詩論)적 의의

        강계숙 ( Gye Sook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4

        1930년대 김기림, 임화, 박용철을 중심으로 펼쳐진 기교주의 논쟁이 한국 시문학 상에서 차지하는 의의는 크다. 현대 시론의 유의미한 자기 구축 및 그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논쟁의 쟁점을 뒷받침하는 각 입론의 관점을 세부적으로 초점화하여 그것의 시론(詩論)적 내용 및 의의를 맥락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교주의 논쟁의 양 축인 김기림-임화 간의 비평적 논의와 임화-박용철 간의 이론적 설전에 내포된 문제제기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기교주의’를 주제로 한 김기림과 임화의 상호응대는 논쟁보다는 논의에 가깝다. 현대시의 역사적 전개를 파악하는 김기림의 시각에 임화가 적극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현대시의 모더니티가 부르주아 계급의 자기파괴와 몰락, 퇴폐와 허무, 즉 데카당의 심화를 본질로 한다고 본다. 현대시의 역사를 부르주아 문명의 자기분열을 반영하는 예술적 쇠퇴로 파악하는 한, 당대 조선 시의 새로운 경향은 ‘기교주의’라는 형태로 수용된 또 다른 데카당으로 간주된다. 자본주의의 난숙화가 퇴폐적 문화를 낳고, 이 퇴폐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시 내부의 혁신적 운동과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통해 나타난다고 보는 점이나, 이러한 몰락의 징후가 조선의 현실과 공명하였던 탓에 감상적 낭만주의의 수용이 근대시 형성의 초석이 되었고, 이는 문학의 자기전개상 역사적 필연이었다고 보는 것은 김기림과 임화 모두 공통적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싼 임화와 박용철의 설전은 시적 형상화와 관련한 쟁점이 숨은 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 박용철은 시적 언어의 장르적 본질 및 예술적 특징에 대한 임화의 이해가 모자람을 비판하면서 ‘설명적 변설’에 불과한 시와 진정한 예술로서의 시의 차이를 분석한다. 이 때 박용철이 강조하는 것은 미적 형상성을 둘러싼 감각과 감정 간의 특정한 관계에 대한 것이다. 그는 감각의 형태화라는 시적 구성과 질서에 의해 촉지되는 감정의 표현이 시이며, 시적 언어란 일상용어와 외관은 같으나 이러한 감각적 질서화를 통해 승화된 산물임을 분명히 한다. 시적 형상화를 이렇게 특수한 과정으로 파악함으로써 박용철은 논쟁의 쟁점을 ‘기교’에서 ‘기술’로 새롭게 전환한다. 그에게 ‘기술’은 감정에 형식을 부여하는 시작(詩作)상의 방법이자 매재를 구사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시 창작에서 ‘기술’이 지닌 가치와 의의를 해명하는 것이 논쟁 중 도출된 핵심 화두임을 인식한 임화는 이후 연이어 시론과 언어론을 발표한다. 그는 ‘정확한 언어의 자기표현’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언어의 투명성을 최대한 정련하는 언어에서 진정한 문학어의 위상을 발견코자 한다. ‘전체로서의 시’를 최대 화두로 제기했던 김기림은 시와 현실,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변증법적으로 통일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집중하면서 자신이 명명했던 ‘기교주의’를 ‘모더니즘’으로 수정하면서 시와 과학의 결합, 시(학)의 과학화라는 주제로 관심을 옮기게 된다. In the middle of 1930`s, Kim-kirim, Im-hwa, and Park-yongchul, three poet-critics debated about the problem of mannerism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is study examines the poetic value of their critical argument. The important point at issue of debates between Kim-kirim and Im-hwa was its own history and modernity of Korean poetry. They shared common opinions in modern poetry and regarded it as an aesthetic reflection of fall and decline of the bourgeoisie. In their eyes, the widening of bourgeois decadence was an essence of modernity of contemporary poetry. They thought alike that a new trend of 1930`s Korean poetry was another artistic form of widespread decadence in the bourgeois civilization. The hidden issue of argument between Im-hwa and Park-yongchul was to do with poetic embodiment and concept difference of ``mannerism`` and ``technic``. Park criticized that Im did not fully underst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etic language. Park emphasized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ense and feeling in poetic embodiment. According to him, a expression of feeling turns into a poem by virtue of poetic structuralization, namely the formalization of sense. By Park, the focus of their debates was changed from ``technic`` to ``technology``, and the latter in poetry creation was defined as an ability of dealing with a medium. After Mannerism Argument, Im-hwa published a few of criticism about language theory because he realized that it was an important problem to explai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echnology`` in poetry creation. Concentrating on the dialectical synthesis of content and form in poetry, Kim-kirim renamed ``modernism`` to ``mannerism`` and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science, or the scientification of poetics.

      • KCI등재

        해방기 ‘전위’의 초상-『전위시인집』의 특징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본고는 『전위시인집』의 특징을 바탕으로 해방기 ‘전위’의 형상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이념 편향적 평가에서 벗어나 전위시인들의 세대적 특성을 살피고, 이들의 시편이 시대가 요구하는 정치적 참여를 감정 수행의 방식으로 실천하였음에 주목하였다. 전위시인들은 ‘학병’ 세대라는 특수한 위상을 지니는바 ‘학병’은 해방 후 민족/반민족의 경계를 구획하는 상징적 기준점이었고, 대일협력의 이력이 있는 선배 세대로 하여금 과거의 원죄를 일깨워 그들의 정치적 정당성을 반성케 하는 기율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학병’의 상징성은 ‘청년’의 이미지와 결합하면서 ‘전위’의 의미를 정립하게 된다. 도덕적으로 우월한 남성 주체인 ‘학병’이 역사의 주인이라는 ‘청년’의 능동성을 덧입음으로써 새롭게 건설되어야 할 신생국가의 애국적 첨병, 즉 ‘전위’의 정체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이들의 훼손되지 않은 귀환은 학병의 죽음을 목도하면서 해방이 되었으나 진정한 해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인식에 이르게 된다. 이로부터 두 가지 중요한 감정실천이 유도되는데, 하나는 애도이고 다른 하나는 분노이다. 『전위시인집』에서 애도와 분노는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학병-청년-전위’의 죽음을 둘러싼 애도작업은 훼손되지 않은 남성-주체로서의 자기 정립을 수행하고, 그러한 남성상을 전경화함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이 파괴될지 모른다는 불안을 다스리는 심리적 정화기능을 한다. 그리고 애도의 발화는 개인의 감정을 기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슬픔을 강화함으로써 그러한 슬픔을 ‘슬퍼해야할 것’으로 구축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를 통해 슬픔에 공감하는 이들을 하나로 통합한다. 한편 분노는 ‘정치의 도래’와 관련이 깊은 바, 시와 정치의 결합을 감정수행의 방식으로 실천한다. 분노가 정치적 감정으로 고무될 가능성이 많은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분노가 종속적 위계관계가 아닌, 정치적으로 동등한 개인 간에 표현되는 감정이므로 새로운 공화국 체제로의 이행은 분노의 표출을 가능케 하는 객관적 조건을 형성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분노가 그 성격상 정의의 실현을 도모하고 도덕의지를 표현하는 정치적·윤리적 정념이기 때문이다. 전위시인들의 낭송시는 이러한 분노의 수행적 발화로서, 시를 낭송하는 순간 발화자와 청중은 가난의 경험을 상기하며 분노에 공감하는 통일된 공동체로서 낭송의 현장에 출현한다. ‘가난한 자’들의 공동체인 ‘우리’는 자신들의 헐벗은 몸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저항의 주체성을 생산한다. 이러한 공동체를 전위시인들은 ‘인민’으로 호명한다. 이들의 ‘인민’은 비참한 희생자의 얼굴을 하고 있지만 체제 내의 포섭을 거부함으로써 이전에 없던 주체성을 구현한다. ‘아직-아닌not-yet’ 이 공동체는 오직 미래를 향해 가지만, 불행히도 전위시인들의 생애가 말해주듯 그들의 기대와는 다른 결과에 이르게 된다. This paper explores poetic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Anthology(1946)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We can find out various figures of Avant-garde poets in the Liberation period by this anthology. Most of them were the students soldiers in the 1940’s. After independence, the student soldier was reborn as pure man and warrior for the people and became a symbolic framwork of nation/anti-nation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meaning of avant-garde was based on this student soldier’s image and fresh image of the promising young man. The young avant-garde was identified with a aggressive leader for building a new nation. Avant-garde poets, however, came to awaken into the imperialistic desire of the US through the political events such as Students soldiers’ Alliance, namely killed students soldiers by Korean police. Avant-garde poets felt strong sorrow and anger over the miserable deaths of their coworkers. Their sorrow and anger were performative emotions. Their writing poetry as mourning work of students soldiers had been in process of balanced self-renewal. This performativity, namely expressing deep sorrow helped to unify the people feeling the same way. Their anger about Korean reality in the Liberation period was very political feeling. In general, Anger has been recognized to be a gesture to express a desire to realize justice and a moral will of humans. The expression of Avant-garde poets’ anger was the very active behavoir that showed political and moral existentiallity of the same generation according to their moral or practical reasons. So, it was performative to reciting their own poems revealing this emotional feature. By this performativity, a new community was formed in the recitation site. This community was the community of poor people who fought against a repressive authoritarian regime. ‘We, people’ was a imaginary community that Avant-garde poems had been dreami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김현 시 비평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적 읽기의 특징-1960~70년대 비평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김현의 초기 비평부터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텍스트 간의 연관짓기 및 그 속에서 산출되는 의미작용의 해석은 그의 비평이 풍부한 내적 논리를 갖도록 만드는 또 다른 방법에 해당한다. 작품 간의 명시적인 대화성보다 독자의 입장에서 상호텍스트성을 재구성하는 능동적 읽기는 그의 고유한 독해 방식인바 텍스트 분석 시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고려하는 이러한 독법은 비평 초기의 주제의식인 ‘만남’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본고는 1960~70년대 시 비평을 중심으로 김현 비평에 나타나는 이러한 방법적 특징을 살피고, 주제의식의 심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읽기의 양상을 면밀히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형식주의적 관점이 지배적이던 김현의 초기의 비평은 형식의 동일성에 주목하여 서구시와 한국시의 형태적 유사성을 분석하는 비교문학적 작업에 집중되었다면, 1968년을 기점으로 문학과 사회, 문학과 역사의 관계로 그의 비평적 관심이 이동함에 따라 텍스트 간의 대화적 관계도 서구문학의 역사에 비겨 한국문학의 전통과 특수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재구축되어간다. 전자의 예로는 한국시의 주된 모티브 중 하나인 ‘꽃’의 이미지를 프랑스 상징주의 시의 ‘바다’ 이미지와 대립시켜 분석한 주제비평이 있다. 후자의 예로는 임춘과 비용의 예를 통해 문화접변기의 문학인에게서 나타나는 ‘찢긴 자아’의 형상을 분석한 「광태 연구」(1970)가 있다. ‘문화사적 광태’로 지칭되는 이들 시에 대한 비교 고찰은 ‘문학의 고고학’을 수행하기 위한 비평적 실천의 하나로 등장하는데, 이들의 ‘저주 받은 자’로서의 자아 형상은 근대적 개인의식을 선취한 문학적 전사(前史)에 해당하며 이들이 토로하는 감정적 자질은 낭만주의 시에 편재하는 ‘여성주의’의 역사적 선구로 평가된다. ‘여성주의’를 개념적으로 확장한 ‘문화사적 광태’의 예를 중세문학에서 찾는 이러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텍스트 간의 단순 비교를 넘어 한국문학의 역사적 계보를 확인함으로써 근대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의 기원을 경험적으로 재발견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 또한 한국문학과 서구문학의 관계가 수직적인 이식의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문화접변의 관계에 있음을 입증하려는 목적을 띤다. 이후 ‘문화사적 광태’의 상호텍스트성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전개 속에서 최치원, 오세재, 김시습, 김립 등에 의해 일련의 계보를 형성하는 정신사의 한 흐름으로 재해석된다. 이렇듯 ‘만남’의 주제로부터 견인되어 텍스트 분석의 유효한 방법으로 비평 초기부터 지속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문학사가로서의 김현의 특징적 면모를 예비하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is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from Kim Hyun's early criticism. Connecting different texts and interpreting their significance is another way to make his criticism sound logic. He prefers active reading that constitutes intertextuality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rather than examining the dialogicality between works that are revealed on the outside. His reading, which actively considers intertextuality when analyzing text, is inextricably related to the theme of 'meeting' that has continued since his early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s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Kim Hyun's criticism, focusing on poetry criticism in the 1960s and 1970s, and to examine the patterns of his reading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deepening of criticism. Kim Hyun's early criticism, which dominated the formalist perspective, focused o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alysis of Western and Korean poems, paying attention to the similarity of form. However, as of 1968, attention began to be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literature and history, his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also moved toward exploring the tradition and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An example of the former reading is the theme criticism that analyzed the image of “flower,” one of the main motifs of Korean poetry, by comparing it with the image of “sea” of Western poetry. An example of the latter is < a study of madness >(1970), which analyzed the shape of the 'torn self' that appears in literary people during a acculturation perio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oems by Lim Chun and Francois Villon, which can be cited as an example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s a critical practice to carry out “archaeology of literature.” Kim Hyun evaluates the poems of those who expressed their self-image as “cursed poets” as pioneering works, and evaluates the their emotions expressed in their poems as a historical precedent for “féminisme” in romantic poems. This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which finds an example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n medieval literature, intends to empirically rediscover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as modern literature by confirming the historical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and aims to prove that the accultu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Western literature is not vertical but horizontal. Since then, the intertextuality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s interpreted as forming the spiritual genealogy of “nomad” by Choi Chi-won, Oh Se-jae, Kim Si-seup, and Kim Lip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재고찰 : 이중언어 세대의 ‘세계시민주의’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김종삼의 시를 당대의 역사적 지평에서 새롭게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김종삼 문학의 세대적 특수성이 이중언어 세대의 세계시민적 자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중언어 세대의 자기규정은 1950년대 ‘세계주의’의 담론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상호 교접ㆍ이합되는 지점 또한 품고 있다. 김종삼의 시는 동세대의 ‘세계시민’으로서의 자기인식을 공유하면서 이로부터 이질적으로 분화되는 가운데 고유한 특질을 얻는다. 세대적 분화의 첫 번째 양태로는 서구와의 동일시에 급급했던 ‘세계주의’가 타자성의 윤리를 간과한 반면, 김종삼 시의 세계시민주의는 말의 이념적 뜻에 부합하는 윤리의식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아우슈비츠’와 ‘6ㆍ25’ 간의 내용적 친연성은 이를 근거로 병치된다. 김종삼의 시에서 세계는 ‘아우슈비츠’의 시간적 지속과 공간적 확대로 표상되며, 세계를 확장된 ‘수용소’로, ‘수용소’에 갇힌 자를 인간 존재의 보편적 현실태로 인식하는 것은 김종삼 특유의 세계관에 해당한다. 분화의 두 번째 양태로는 이러한 시각에 따라 ‘수용소 생존자’의 정서인 수치심과 부끄러움, 살아남은 자로서의 죄의식이 부각되고 있음을 살폈다. 타자의 죽음을 빚졌다는 죄의식은 죽은 자들에 대한 애도를 종결짓지 못하는 근본요인으로, 김종삼의 시를 지배하는 슬픔은 애도를 끝내지 못한 데서 기인한 멜랑콜리로 심화된다. 자기비하와 징벌의 욕구, 강한 죽음충동은 멜랑콜리의 징후로 볼 수 있고, 죽음의 희구는 이러한 자기처벌의 가장 극단적 형식에 속한다. 한편 살아남은 자의 죄의식은 공동체 전체의 윤리적 책임을 환기하는 데로 나아간다. 김종삼 시의 상기(想起, anamnesis)는 공동체가 망각한 타자의 희생을 기억함으로써 애도를 지속하려는 작업이다. 특히 ‘인간-임(human being)’ 자체를 죄로 여기는 그의 죄의식은 변신론이 종말을 고한 세계에서 고통의 무의미에 직면하여 싹튼 형이상적 윤리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김종삼의 시는 세계시민주의가 요구하는 ‘타자의 윤리학’을 내재한 한국시의 또 다른 진화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Kim, Jong-Sam's poetry in the historical dimension of the age. For it, I attempt to explain that Kim's literature is based on the cosmopolitan self-consciousness of bilingual generation called ‘Post Generation’ in Korea literature. Their 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cussions on cosmopolitanism in the 1950'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as well. Kim's poetry embodies the self-image as ‘a cosmopolitan’, commonly shared by same generation, and some marked characteristics of its own is shaped by another differentiation against his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the times. First, Kim's cosmopolitanism includes sense of ethics for others, while 1950's cosmopolitanism concentrating its attention on identifying postwar Korea with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as overlooked it. For example, His several poems juxtapose ‘Auschwitz’ and ‘6ㆍ25’, and there are many likeness between the two in their themes and forms. Kim expresses this world as perennial and widen Auschwitz. From his point of view, this world is a expanded concentration camp and mankind living in this world are shut up within concentration camp. Second, due to his view of the world, the emotion of the camp survivor is dominant over all the others in his poetry. To put it concretely, it is the shame of the survivor, that is to say survivor's guilt. The camp survivor believes that he is living in the place of someone who died. Kim shares this sense of guilt. Because of this shame and guilt, he cannot end his mourning work about wrongful victims and pitiable deaths. On account of endless mourning, Kim's sorrow gradually grows into melancholy. Self-accusation, self-punishment, and the drive of death are another symptoms of melancholy. The survivor's guilt of him exhorts u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unjust deads. Third, Kim's shame of being a human being is the metaphysical guilt which begins to emerge, where theodicy is over after Auschwitz. In this respect, Kim's poetry involving ‘ethics of the Other’ required by cosmopolitanism as ideology represents another evolution of the history of Korea poetry.

      • KCI등재

        시인`의 위상을 둘러싼 해방기 담론의 정치적 함의

        강계숙 ( Kang Gye-soo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본고는 `시인`의 새로운 위상 정립을 둘러싼 해방기 담론의 정치적 함의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 전환기에 시인으로서의 자기인식과 정체성의 재탐색은 문학적 사유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짓는 중심토대이다. 특히 해방은 조선인 전체가 `시민`으로 탄생되는 혁명적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개인이 정치의 주체이자 국가의 주권자로 존재형식이 탈바꿈되는 전환은 문학적 자의식의 구성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무엇보다 이 시기 문학적 자기정체성의 구상은 시와 정치의 조우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창작주체 자신의 답변으로 제출된 것인 만큼, 여기에 내포된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유진오의 평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들의 논의 속에서 확인되는 문화적·정치적 전위의식을 검토하였다. 이태준의 언어적 민족주의는 문학가의 위상을 국어재건에 복무함으로써 건국수도에 참여하는 문화건설의 기초공작자로 위치 짓는다. 언어에의 투신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는 이러한 매개적 방식은 당대 시인들에게 큰 지지를 받았고 `국어의 수호`에 이바지하는 문학인의 역할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담론화된다. 김기림은 새로운 공화국 건설을 통해 신민에서 시민으로 거듭하는 조선인의 정체성 변화에 주목한다. 이러한 변화에 연동하여 그는 “가장 열렬한 시민”을 새로운 시인의 상(像)으로 제시한다. 시민이 국가를 기획하고 창출하는 주체라면, 전진하는 자유의 정신을 시의 정신으로 보유한 시인은 이러한 시민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적임자로 규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민-시인`의 위상은 곧 민족에로 흡수·통합된다. 김기림이 진정한 시인-되기를 `민족-되기`로 등치시켰다면, 유진오는 “투철한 민주주의자”로서의 `인민-되기`를 자기동일시의 대상으로 제시한다. 그의 `인민-되기`는 `우리`의 외부와 내부에 갈등이 상존함을 드러냄으로써 인민의 형성에는 구성적 간극이 존재함을 적시한다. 이들의 이러한 위치 조정은 결속된 공동체 구성을 필수적으로 요하는 민주주의의 원리와 관련 있는 바 정치공동체의 경계선을 구획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시인이 역사의 최전방에 선 주체라는 인식은 정지용도 공유하는 바다. 그에게 시는 역사발전을 추동하는 문화의 전위로 간주된다. 그도 시민의식의 내면화를 시의 `정치성의 구현`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상정하지만, 정지용이 강조한 조선시의 궁극적 지향은 조선시 자체의 미학적 혁신이다. 그는 시와 시인이 전위가 되는 길을 단선적이지 않고 중층적인 것으로 제시한다. 만약 시인이 자신의 미적 역할을 충실히 이행 중이라면 정치의식의 심화는 그의 본연적 생리인 예술적 이념과 감각을 첨예화하기 마련이고, 이렇게 첨예화된 시인의 민감과 생리는 시인의 시민적 비판의식을 벼리는 정신적 심급으로 작용한다. 정지용에 의해 예술적 이념과 감각, 정치적 이념과 감각은 서로를 결정짓는 변증법적 관계로 대응된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시의 새로운 진화를 예비하는 이론적 선취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new status of the poet and the formation of identity schemes in the liberation period, focusing on themes of combining poetry and politics. This question is valid because the so-called liberation period is a revolutionary turning point that Koreans have been reborn as citizens. These changes have greatly influenced the poet`s perception of self. As the configuration of a poet`s new identity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literary recogni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litical nature of these new change of poet`s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subject to critique sentences of Lee Tae-Joon, Kim Ki-Rim, Jung Ji-Yong, and Yoo Jin-O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examines the avant-garde consciousness shown in their writings. Lee Tae-Joon defined the status of the author as the fundamental producer of culture that participates in establishing nation-state by taking charge of Korean language. His linguistic nationalism to participate in politics by joining into language was strongly supported by contemporary poets. Kim Ki-Rim focused on changing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who changed their identity from the public to citizens by building a new republic. He emphasized that the poet was the most enthusiastic citizen. If a citizen is a subject of politics, the poet who holds the spirit of freedom is defined as the person who will actively practice the role of these citizens. Yoo Jin-O considered being a true poet as a genuine democrat and as a poet of the people. Becoming the people that he wanted implied the intention of dividing the boundaries of the political community. Jung Ji-Yong also acknowledged that a poet was a cultural avant-garde and a voluntary entity leading up to history. He thought that having a critical civic consciousness was a necessary requirement of combining poetry and politics. But what he ultimately aimed towards is the aesthetic revolution of Korean poetry. He believed that if the poet was faithful to his role, deepening of the political consciousness would sharpen his artistic sense and sensibility. He understood the artistic sense and political sense as dialectic relationships.

      • KCI등재

        195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과학기술의 표상

        강계숙(Kang, Gye-Sook)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science was a very important thesis in 1950’s Korean modern poetry. Modernist poets in 1950’s believed that it was a main task of Korean modern poetry to have science characteristic. So, they more radically pursued their aesthetic ideals of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science than Kim-kirim in 1930’s. This poetic tendency resulted from their strong opposition to traditional poetry of the same age. They thought that traditional poetry to express oriental nature was old-fashioned, and that it was an effective way of innovation of modern poetry to write developed mechanisms and represent contemporary scientific civilization. Meanwhile, they named themselves a ‘citizen’, which meant a cosmopolitan follow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urse. It was regarded a fundamental condition to have science characteristic for establishing cosmopolitan identity. They considered the urgent retention of internationality as a historical precedence, and believed that establishing cosmopolitan identity and securing internationality depended on ‘becoming science’ in themselves. To them, the essence of modernity was the achievement of science. This ideas of 1950’s modernists were created by their senses of cosmopolitan identity and viewpoints of regarding with the best science. This thoughts about the modernization of Korean poetics were reflected in the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technology in 1950’s modern poetry. For example, the ‘earth’ represented a wide residence of cosmopolitans, and a ‘international train’ symbolized their self-image in many poems. Comparing with an sad local train expressing their hidden femininity, a loudly international train embodied the ideal masculinity to desire to possess. But the fact that many advanced produ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not theirs could not help causing double alienation from their ideals because modernists in 1950’s did not even have partial symbols, namely ‘jet plane’, ‘aircraft’, ‘helicopter’ and so on. Due to this, the poetic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technology were often likened to various ‘tearful natures’. This sorrow was necessarily caused by double alienation from high technology and by a failure of establishing strong masculine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