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고재천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의 성격과 특성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초등교육의 성격을 고찰하고 초등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육은 통합교육, 전인교육, 기초기본교육, 보통일반교육, 무상의무교육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초등교육의 특성들이 타 교육분야의 특성들과 완전히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라고 하기보다는 강조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초등교직은 당위적인 측면에서는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전문직이라고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는 초등교육학에 대한 통합적인 안목을 갖고 전인형성을 위한 모델로서 전 교과를 아동 발달 수준에 맞게 가르칠 수 있는 사명감과 봉사정신이 투철한 교육 전문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의 인정 여부는 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육의 특성에 맞게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literature analysi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by the five aspects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then, this study explor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f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examined were integrative education, whole-child education, basic and fundamental education, common and general education, and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s characterized as a profession in the normative aspects, but it is difficult to say so in the practical aspects.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normative aspects was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has the integrative view on elementary education.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behaves as a model to form a whole-child. Thi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teaches all subject matters in an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instructs children with a proper way in an elementary level. Lastl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possesses, as a practicer, the consciousness of mission and servicemanship in his/her occupation. After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problem on ap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depends on how teacher's professionalism can be actualized in the classroom setting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우수 교사 특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 특성들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46개의 최종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평정한 뒤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을 개인-조직 차원과 교사-학생 차원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5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생활지도를 잘하는 교사, 교수⋅학습지도를 잘하는 교사, 업무처리를 잘하는 교사, 자기관리를 잘하는 교사, 대인관계를 잘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생활지도와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가르친다, 학급관리에 능숙하다,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잘 한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잘 유발시킨다, 학생중심으로 수업을 충실히 한다,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뚜렷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5가지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바로 교수⋅학습지도, 생활지도, 사무처리, 자기관리, 대인관계와 같은 초등학교 교사의 일반적인 자질 및 역할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 요인들 중에서 생활지도 및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 요인들을 더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우수한 초등학교 교사의 특성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methods to explore factor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o inhibi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primary school. 28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ideas were reduced to 53 statements from July 2017 to April 2018.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a two-dimensional 6-cluster concept map was cre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limi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6 clusters at both teacher-school level and class-environment leve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limiting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However, the order of the six clusters was 'rigid school management policy and culture', 'lack of autonomous teaching ability and will of teachers', 'infringement of autonomous class activities and non-cooper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inadequate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autonomous teaching support', 'the burden of teachers' autonomou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formal and customary class execution climat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are simultaneously considering constraints on autonomous teaching activities as the viewpoints of subjects and objects pursuing autonomy and the activities and scenes influenced by the autonomy of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restrict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re the rigid school management policy and culture factor and lack of autonomous teaching ability and will of teachers. Third,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heoretical formulation of the autonomy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by reveal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constraints of autonomous teaching activities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광주와 전남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8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말까지 약 12개월에 걸쳐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53개의 최종진술문을 개발 및 평정을 한 후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은 교사-학교 차원과 수업-환경 차원의 두 개 차원에서 모두 6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들에 대한 중요성은 군집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경직된 학교 경영 방침 및 문화’, ‘교사의 자율적인 수업 능력 및 의지 부족’, ‘자율적인 수업활동의 침해 및 학생과 학부모의 비협조’, ‘자율적인 수업지원 환경 및 여건의 미흡’, ‘교사의 자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및 평가에 대한 부담감’, ‘형식적이고 관행적인 수업 실행 풍토’의 순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하여 교사가 자율성을 추구하는 주체 및 객체의 관점과 그리고 교사의 자율성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는 활동 및 장면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적하는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은 바로 경직된 학교 경영 방침 및 문화 요인과 교사의 자율적인 수업 능력 및 의지 부족 요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활동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인들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교수활동의 자율성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가 무엇인지를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심도 있게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가 무엇인지를 면접을 통해 진술문 목록을 개발하고 이를 평정한 뒤에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는 내적-외적 동기의 소재 차원과 개인-조직 목적의 대상 차원이라는 2개 차원과 그리고 학생 지도와 내적 욕구, 동료와 협력, 학교 목적과 행정 지원, 금전과 승진 혜택, 교사 평가라는 5개의 군집으로 나타났고, 개념도에서 군집의 위치에 따라 의미를 달리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 각각에 대하여 달리 공감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학생지도 및 내적욕구와 금전과 승진 혜택의 동기에 크게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동기의 개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의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고재천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初等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decision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and alternative approach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decision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raditional approach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clude activities such as in-servic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eval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at engage in these traditional approach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seemed to be passive. The other hand, alternative approach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clud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al consulting, instruction criticism, action study, and reflective teaching practice were founded to have cooperative, voluntary,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which promote teacher's participation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y integrating the views of leading researchers: intrinsic motivation, student needs, organizational goals, collegiality, career stage, rewards structures, teacher evalu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factors to interfere with teache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found: lack of time, lack of money, opportunities not meeting teachers' needs, and lack of motivation. This study does not address application of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rather focuses on influencing factors leading to teachers' decision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maximiz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need to be built on key influencing facto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 각각에 대해 교육 차원과 학교 차원의 두 가지 차원 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 진요인과 제약요인은 각각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촉진요인은 학생 및 수업에 대한 관심, 교사 존중 풍토 및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 수업 관련 정책 및 제도의 지원, 수업 연구 및 협 의 활동의 참여의 순이었다. 반면에 제약요인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원의 미흡, 수업 연 구 및 협의 활동의 소홀, 수업 개선 의지의 부족, 수업 환경 및 여건의 열악 순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에 대한 관 심과 수업 개선 요구이었고, 제약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 원의 미흡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 요인과 제약요인은 바로 교육차원과 학교차원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발의 제약 조건을 해소하고 이를 촉진하 기 위해서는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함과 동시에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 발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46 fostering factors and 47 inhibiting factors. 23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 final statement lis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in the previous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concept maps were formed that consisted of each 2 dimensions and 4 clusters of both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by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both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4 clusters. The fostering factors were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culture of respect for teachers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support for policies and systems of instruc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inhibiting factors were ‘lack of class-related support policies’, ‘neglect of teaching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lack of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and ‘poor classroom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last, the cluster of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in the fostering factors were highly evaluated; Instead of, the cluster of ‘lack of instruction-related support policies’ in the inhibiting factor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related with various factors by th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tructions it needs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s fostering factors as well as there is a need to strongly support the class-related polices as impeding factor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about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