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공황인가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위기인가?

        수행,성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4

        This essay is a collection of controversies raised in the discussion on their articles published in Marxism 21, No. 23 between Soo-Haeng Kim and Seong-Gu Kim which was held at the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on September 1, 2011. Two Kim’s agreed to divide the controversies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of S. G. Kim’s stages theory of capitalism such as monopoly capitalism and state-monopoly capitalism. The second part is concerned with the special feature of the present economic crisis,i.e. whether it is a normal periodical crisis or a world economic crisis in need of structural adjustments. The third part clarifies the theoretical position of Marx’s tendency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 and the distinction between periodical and structural crisis. The final part debates S. H. Kim’s argument that Marx’s phase of Krise should be divided into crisis and crash. The whole controversies cover the usefulness of Capital in the age of dominance of monopoly capital, the theoretical relations among the unfinished six books of Marx, the role of economic crisis in the transition to a new society and others. 이글은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이 주최한 학술대회(2011.9.1.)에서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23호에 실린 김수행의 글과 김성구의 글에 대해 공저자가 상호논쟁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현대자본주의와 위기 분석에 관련된 이론적 문제에서 두 공저자의 입장과 관점은 날카롭게 대립되며, 지난 2007~2009년 위기와 공황의 분석에서도 평가와 전망이 엇갈린다. 김수행은 『자본론』에 입각하여 ‘세계대공황’으로서 이 위기와 공황을 파악하며, 김성구는 ‘신자유주의적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위기와 주기적 공황의 결합’으로서 이 위기를 규정한다. 이러한 차이와 대립은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의 방법과 『자본론』의 추상수준에 대한 상이한 이해방식에 뿌리를 둔, 근본적인 것이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의 방법을어떻게 이해하는가, 정치경제학 비판의 6부 체계와 『자본론』은 어떤 관련에서 파악해야 하는가, 『자본론』의 방법과 추상수준의 문제, 자본주의 역사 변화와 현대자본주의 분석에서의『자본론』의 의의, 자본주의 발전과 위기, 그리고 사회주의로의 이행 등 기본적이지만 어려운 문제들이 다시 토론되어야 한다.

      • KCI등재
      • 1970年代 以後 長期不況과 資本의 對應

        金秀行,張時福,鄭爀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2 經濟論集 Vol.41 No.3

        황금기를 누리던 세계경제는 1970년대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장기불황에 빠졌다. 1970년대 경제위기와 그 이후의 장기불황은 계급관계의 위기를 반영하는 생산성의 위기와 자본구성의 고도화, 그리고 과잉설비에 따른 이윤율의 지속적인 하락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장기불황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본은 황금기의 노동과의 합의를 파기하고 노동계급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공세를 강화했다. 또한 이윤율 하락은 자본의 이동을 촉진하고 원료, 노동력, 시장을 둘러싼 자본들 사이의 국내외적 경쟁을 격화시켰다. 경쟁에 직면한 자본은 축적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적인 자본의 집중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의 전략은 세계경제의 불균등을 심화하고 금융질서를 불안정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 KCI등재
      • 金大中 政府의 構造調整 批判

        金秀行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0 經濟論集 Vol.39 No.3

        이 글은 1997년 12월 3일 김영삼 정부가 IMF로부터 특별구제금융을 받은 이후 전개된 여러 가지의 구조조정 조치를 민중의 시각에서 비판하려고 한다. 구조조정은 재벌, 기업, 금융, 노동, 공기업, 대외부문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추구했지만, 여기에서는 매우 구체적인 사항을 조목 조목 비판하기보다는 전체적인 경제철학을 비판하면서 김대중 정부의 특성을 부각시키려고 한다.

      • 마르크스의 利潤率 低下 傾向의 法則

        金秀行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5 經濟論集 Vol.44 No.1

        자본주의적 생산은 利潤을 얻기 위한 생산이기 때문에 이윤율은 생산의 動力이다. 마르크스의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에 관해 오랫동안 논쟁이 그치지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자본론』 제3권 제3편의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해석하면 사실상 매우 단순하다. 자본축적에 따라 자본의 技術的 構成이 상승하는데, 이것은 한편으로는 잉여가치를 낳는 노동자를 잉여가치를 낳지 않는 기계로 대체함으로써 이윤율을 저하시키는 傾向을 만들어내며, 다른 한편으로는 잉여가치율의 상승과 불변자본 요소들의 저렴화를 통해 이윤율을 상승시키는 경향을 만들어 낸다는 점, 그런데 이 두 개의 대립하는 경향들은 이론적으로 그 크기를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자본축적에 따라 이윤율이 분명히 저하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점, 끝으로 두 경향들의 衝突이 공황이나 자본의 집중과 집적 등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그런데 『자본론』의 草槁라고 생각할 수 있는 『정치경제학비판 요강』, 1861-63년의 초고 『제3장. 자본과 이윤』 그리고 『잉여가치학설사』 등에서 마르크스는 이윤율의 분명한 저하를 이론적으로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본론』에서는 이 결론을 받아들여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을 위와 같이 정립했다고 말할 수 있다.

      • 獨占理論에 대한 힐퍼딩의 貢獻

        金秀行 서울大學校 經濟硏究所 1995 經濟論集 Vol.34 No.1

        힐퍼딩은 독점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적 이론의 선구자라고 볼 수 있다. 그는 『금융자본』에서 은행이 창업자이득을 얻기 위해 기업들의 독점적 결합을 촉진하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독점자본의 최고형태로서 금융자본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조했다. 그러나 그의 금융자본은 개념상으로 은행자본과 구별되기 어렵고, 금융자본의 가치중식방법도 은행자본의 가치증식방법과 구별되기 어렵다. 그런데 레닌은 힐퍼딩의 이론을 더욱 심화시키면서 독점과 금융자본을 전혀 새로운 개념으로 구성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힐퍼딩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레닌의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독점과 금융자본의 개념을 분명히 하려고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