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U-BAND 저 위상잡음 주파수 합성기 설계에 관한 연구

        김태영,Kim, Tae-You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7 No.5

        In the proposed paper, we designed low phase noise frequency synthesizer for Ku-band. The proposed up-mixing frequency synthesizer consists of narrow local oscillation part and variable frequency oscillation part. To improve the phase noise of frequency synthesizer, we analyze how the configuration of frequency synthesizer affect the phase noise. The implemented frequency synthesizer reduce the phase noise. The phase noise is -95.18dBc/Hz at 7kHz frequency offset in 16GHz and -94.27dBc/Hz at 7kHz frequency offset in 16.125GHz.

      • KCI등재

        한국인에 대한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김태영,동진근,조혜원,Kim Tae-Young,Dong Jin-Keun,Cho Hye-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4 No.4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on the Koreans : the trays used in the previous study by Kim et al. as part of the dental adjustable tray development project were improved and modified. Material and method: The patterns of tray were made through CAD-CAM process, and a simple silicone-base molds were made from them. The trial products were reproduced by pouring polyurethane into these molds. 30 male students(Wonkwang University, Dental College) and 30 female students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ere selected and 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itness of the tray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width and length of impression materials of each measurement sites. Results and conclusion : 1. In adapting the trays inside the mouth, a uniform width of impression material(3 $\sim$ 6mm) was obtained in most sites due to the tooth stops and the inclined planes accommodating the width of the tray 2. The thickness of impression material in the central part of the palate was a mean 9.8mm, which turned out to be somewhat thick. 3. In the mandible.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lingual side inferior to the contact point of the 1st and 2nd molars was 2.7mm, and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the lingual side of the rearmost margin was 2.5 mm.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se areas was relatively thin.

      • KCI등재

        조절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한 PAN 함량이 많은 PEO-b-PAN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김태영,곽영제,Kim, Tae-Young,Kwark, Young-Je 한국섬유공학회 201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2 No.1

        Poly(ethylene oxide-b-acrylonitrile) (PEO-b-PAN) block copolymers were prepared as precursors to mesoporous carbons. Redox-initiated radical polymerization and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techniques, such as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and activators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atom-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RGET ATRP),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prepare PEO-b-PAN block copolymers with high PAN content. Radical 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AN) using ceric ion as redox initiator gave block copolymers with PEO:PAN ratio of up to 1:38.4, but their high molecular weight and polydispersity index (PDI) indicated that the structure was not controlled.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better control on the structure of the PAN block,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techniques were used. Poly(ethylene oxide) with trithiocarbonate (PEO-CTA) and bromide (PEO-Br) end groups were synthesized as polymeric chain transfer agent for the RAFT process and as initiator for the ATRP process, respectively. The RAFT process of AN using PEO-CTA gave block copolymers with PAN block length 0.53-3.58 times that of the PEO block. Moreover, ARGET ATRP allowed to prepare block copolymers with a very high molecular weight of 72,000, while maintaining a PDI value as low as 1.20.

      • KCI등재

        고주파용 소형 저 위상잡음 주파수 합성기 설계에 관한 연구

        김태영,Kim, Tae-You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5 No.4

        In this paper, we designed low phase noise frequency synthesizer with compact size for High frequency band (Ku-band). The paper addresses merits and demerits of single loop and dual loop frequency synthesizer. The phas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phase-locked loop frequency synthesizer were predicted based on the analysis for phase noise contribution of noise sources. The proposed model in this paper more accurately predicts the low phase noise frequency synthesizer with compact size for high frequency band.

      • KCI등재

        이득 분산이 다중 영역 복소 결합 DFB 레이저의 Self-Pulsation 특성에 미치는 효과

        김태영,김부균,Kim, Tae-Young,Kim, Boo-Gyoun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1

        이득 분산이 두 개의 복소 결합 DFB 영역과 위상조정 영역으로 구성되는 다중 영역 복소 결합 DFB 레이저에서 발진하는 두 모드의 비팅에 의한 self-pulsation (SP) 주파수와 출력 파워의 변조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능동 영역의 이득이 최대가 되는 파장을 두 DFB 영역의 발진 모드의 파장 중심 또는 브래그 파장 중심에 위치시킨 경우가 특정 DFB 영역의 발진 모드의 파장 또는 브래그 파장에 위치시킨 경우에 비하여 두 DFB 영역의 브래그 파장 차이, ${\Dalta}{\lambda}_{B}$, 증가에 따른 두 발진 모드가 받는 이득 차이가 적게 발생하여 최대 SP 주파수가 크고, 변조지수 특성도 좋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능동 영역의 이득이 최대가 되는 파장을 두 DFB 영역의 브래그 파장 중심에 위치시키는 경우가 발진 모드의 파장 중심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큰 최대 SP 주파수를 얻을 수 있었고 변조지수 특성도 더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The effect of gain dispersion on the self-pulsation (SP) characteristics due to the mode beating of two modes emitted in a multisection DFB laser composed of two complex-coupled DFB sections and a phase control section is investigated. When the peak wavelength, ${\lambda}_{p}$, of the gain spectrum of the DFB section i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lasing wavelengths or the Bragg wavelengths of the two DFB sections, the maximum SP frequencies are higher and the modulation index has bette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cases for ${\lambda}_{p}$ fixed at the lasing wavelength or Bragg wavelength of one DFB sec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agg wavelengths of the two DFB sections, ${\Dalta}{\lambda}_{B}$, is varied. When ${\lambda}_{p}$ is positioned in the renter of the Bragg wavelengths of the two DFB sections, the maximum SP frequency is higher and of the modulation index has bette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of the case for ${\lambda}_{p}$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lasing wavelengths of the two DFB sections.

      • KCI등재

        양 단면 반사율과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다중 영역 Index-Coupled DFB 레이저의 수율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유종인,김부균,Kim, Tae-Young,Ryu, Jong-In,Kim, Boo-Gyoun 한국광학회 2006 한국광학회지 Vol.17 No.6

        양 단면 반사율과 단면 회절격자 위상,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두 개의 DFB 영역과, 가운데 위상 조정 영역을 가진 다중 영역 Index-Coupled DFB 레이저의 Self-Pulsation동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율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합세기가 작을수록 양 단면 반사율이 증가할 때 양 단면과 다른 DFB 영역에서 반사되는 필드가 모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양 단면 회절격자 위상 변화에 따른 발진 모드의 호핑이 많이 발생하고 수율이 감소한다. 결합세기가 클수록 양 단면 반사율이 증가하여도 양 단면과 다른 DFB 영역에서 반사되는 필드가 모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 양 단면 회절격자 위상 변화에 따른 모드의 호핑은 적게 발생하나 Spatial Hole Burning 효과가 증가하여 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합세기에 상관없이 단면 반사율이 증가할수록 최대 수율과 수율이 40% 이상 되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범위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결합세기가 클수록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변화에 따른 수율의 변화가 커지고 단면 반사율의 변화에 따른 최대 수율을 주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값의 변화가 작음을 볼 수 있었다. 결합세기가 2와 3일 경우가 1.2와 4인 경우에 비하여 수율 특성이 좋음을 볼 수 있었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and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on the self-pulsation (SP) characteristics of multisection index-coupled (IC) DFB lasers composed of two index-coupled DFB sections and a phase tuning section between them in terms of yield. In the case of weak coupling strength, as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increases, the effect of reflected fields from both facets and the other DFB section on the mode characteristics of one DFB section increases. Thus the number of mode hoping increases and yield decreases for the variation of phases of both facets. In the case of strong coupling strength, as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increases, the spatial hole burning effect increases, so that the yield decreases. The maximum yield and the range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with yield more than 40% decrease as the facet reflectivity increases irrespective of coupling strength. As the coupling strength increases, the variation of yield for the variation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increases and the variation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with the maximum yield for the variation of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decreases. The yield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with the coupling strengths of 2 and 3 are better than those with the coupling strengths of 1.2 and 4.

      • KCI등재

        양 단면 반사율과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다중 영역 Complex-Coupled DFB 레이저의 수율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김부균,Kim, Tae-Young,Kim, Boo-Gyoun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5

        양 단면 반사율과 단면 회절격자의 위상,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두 개의 DFB 영역과, 가운데 위상 조정 영역을 가진 다중 영역 CC(complex-coupled) DFB 레이저의 SP(self-pulsation) 동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율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합세기와 CR(coupling ratio)이 작을수록 양 단면과 다른 DFB 영역에서 반사되는 필드가 모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여 수율이 감소한다. 결합세기와 CR에 상관없이 양 단면 반사율이 증가할수록 최대 수율과 수율이 60% 이상 되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범위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같은 결합세기에서는 CR이 0.2인 경우가 CR이 0.1인 경우보다 복소 결합 효과가 커 최대 수율과 수율이 60%이상 되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범위가 큼을 볼 수 있었다. 결합세기가 3이고 CR이 0.2인 경우가 DFB 영역의 발진 모드가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고 SHB(spatial hole burning) 효과도 크지 않아 양 단면 반사율의 변화와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변화에 따른 수율 특성이 가장 좋음을 볼 수 있었다. The effect of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and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on the self-pulsation (SP) characteristics of multisection complex-coupled (CC) DFB lasers is investigated in terms of yield. The lasers are composed of two CC DFB sections and a phase tuning section between them. As the coupling strength and the coupling ratio (CR) decrease, the effect of the reflected fields from both facets and the other DFB section on the mode characteristics of one DFB section increases, so that the yield decreases. As the facet reflectivity increases, the maximum yield and the range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with yield more than 60% decrease independent of the coupling strength and CR. The yield characteristics of CR=0.2 are better than those of CR=0.1 with the same coupling strength due to the larger complex coupling effect. The case with ${\mid}{\kappa}L{\mid}=3$ and CR=0.2 shows best yield characteristics among the cases considered in this work.

      • KCI등재

        양 단면 반사율과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Self-Pulsation 주파수가 THz 대역인 다중 영역 Complex-Coupled DFB 레이저의 수율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박재우,김부균,Kim, Tae-Young,Park, Jae-Woo,Kim, Boo-Gyoun 한국광학회 2008 한국광학회지 Vol.19 No.3

        양 단면 반사율과 단면 회절격자의 위상,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이 모드 비팅에 의한 SP(self-pulsation) 주파수가 THz 대역인 다중 영역 CC(complex-coupled) DFB 레이저의 SP 동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율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양 단면 회절격자의 위상을 0으로 고정시킨 다중 영역 CC DFB 레이저에서 같은 결합세기와 CR(coupling-ratio)을 가지는 경우 양 단면 반사율이 커질수록, 같은 결합 세기와 단면 반사율을 가지는 경우 CR이 작을수록, SP 주파수 변화폭이 큼을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CR과 단면 반사율을 가지는 경우는 결합세기가 큰 경우가 SP 주파수 변화폭이 작음을 볼 수 있다. 결합세기가 3인 경우 같은 단면 반사율에서 CR이 커질수록 (같은CR에서 단면 반사율이 커질수록) 수율이 80% 이상 되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범위가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결합세기가 4인 경우 같은 단면 반사율에서 CR이 커질수록(같은 CR에서 단면 반사율이 커질수록) 수율이 80% 이상 되는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범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in terms of yield of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and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on the self-pulsation (SP) characteristics of multisection complex-coupled (CC) DFB lasers with self-pulsation frequency of the THz region. When the grating phases on both facets of a multisection CC DFB laser are fixed as 0, the variation of SP frequency increases as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increases, while that of SP frequency decreases as the coupling ratio (CR) and the coupling strength increase. For the coupling strength of 3, the range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with yields greater than 80% decreases as the CR and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increases. For the coupling strength of 4, the range of the phase of a phase tuning section with yields greater than 80% increases as the CR and the reflectivity of both facets increases.

      • KCI등재

        LOD기반의 재난안전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김태영,강주연,김혜영,김용,Kim, Tae-Young,Gang, Ju-Yeon,Kim, Hye-Young,Kim, Yo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해 LOD기반의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 및 오프라인 인터뷰를 수행하여 재난안전정보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재난안전정보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재난안전정보 영역과 함께 도출된 재난안전정보 LOD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 LOD의 구축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LOD 구축 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적용하였다. 특히, 재난안전정보 6가지 영역을 토대로 표준용어집 및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온톨로지 개념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model based on LOD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current state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online search and face-to-face interviews, and then the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6 typ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pecific process of building disaster safety information LOD service with considerations reflecting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e process for building LOD was based on Guidelines for Building Linked Data written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Especially, ontology concept model was defined by using standard lexical resources and modeling tools based on 6 types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nd classes and properti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more useful for commo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