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교 의례의 좌법(坐法) 고찰 - 호궤(胡跪)와 거좌(踞坐), Ukkuṭika를 중심으로 -

        정기선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7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jwabeop (seating method),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ractice of Buddhist rituals. This jwabeop, which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solemn manner of the practitioner in the ritual, is clearly contrasted in the Mahayana Buddhism region and the Theravada Buddhism region in terms of its mode. Among them, the most commonly handed down jwabeops (seating method) are Hogwe (互跪) in the Mahayana Buddhism and Ukkuṭika in the Theravada Buddhism, and the origin and usage of these Jwabeops (seating method) appear in various Buddhist texts of Mahayana and Theravada. In particular, these Jwabeops (seating method) are practi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Vinaya Pitaka in rituals such as the Gujokgye (Upasampadā, Higher Ordination), Posal (uposatha), and Jaja (Pavāraṇā, Rainy season retreat), which are the most basic rituals of Buddhist Sangha, and has been handed down in practice and ceremonial level. In fact, both Buddhist traditions had no choice but to undergo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troduced and accepted, not only in doctrine but also in ritual practice.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also went through the same process, and even in Buddhist literature containing the same Buddhist ritual, the aspect of this seating method is different in the Mahayana Buddhism and Theravada Buddhism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he region. The practice of Hogwe and Ukkuṭika Jwabeop that appears in the Buddhist traditions of each country today is a product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due to geographical factor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eojwa (踞坐), a crouching seating method, it is translated into a posture similar to Hogwe in the Mahayana Buddhism region and is practiced in rituals, but in fact, this seems to be a variation of the Ukkuṭika seating method. Originally, the Jwabeop (seating method) has been used as a primary means for effective meditation practice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 fact that Hogwe (互跪) and Ukkuṭika, which are somewhat painful and uncomfortable compared to cross-legged or semi-cross-legged seats, are being practiced in the most important Buddhist rituals such as Gujokgye and Posal, the practical meaning of this Jwabeop (seating method) can be used as a small indicator of wisdom and effort for the Buddhist Monk. 본 논문은 불교의례의 설행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는 좌법에관한 연구이다. 의례에서의 위의작법을 나타내는 용어인 이 좌법은 그 양태에 있어대승불교권과 상좌부불교권에서 확연히 대비되어 나타난다. 그중 가장 일반적으로전승되고 있는 좌법은 대승불교권의 호궤(互跪)와 상좌부불교권의 웈꾸띠까(Ukkuṭika) 로서 이들 좌법의 유래와 용례가 남전과 북전의 여러 불교문헌에서 나타난다. 특히 이 좌법들은 승가의 가장 기본적인 의례인 구족계(具足戒)나 포살, 자자 등의 의식에서 율장의 조문에 의거하여 행해지고 있으며 수행과 의례적 차원에서 전승되어 왔다. 사실 양 불교전통은 그 전래와 수용의 도정에서 교설은 물론 의례의 설행에도 해당 지역의 문화와 지역적 특성에 의해 변용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 불전의 번역과정 또한 마찬가지로서 남북 양 전승의 동일한 불교의례를 담고 있는불교문헌에서도 이 좌법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각국의 불교 전통에서 나타나는 호궤와 Ukkuṭika 좌법의 설행양상은 지리적 요소와 문화적 차이로인한 수용과 변용의 산물인 것이다. 특히 웅크리고 앉는 좌법인 거좌(踞坐)의 경우 대승불교권에서는 호궤와 유사한 자세로 번역되어 의례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이는사실 Ukkuṭika 좌법의 변용으로 보인다. 원래 좌법은 고대로부터 효과적인 명상 수행을 위한 일차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가부좌나 반가부좌에 비해 다소 고통스럽고 불편한 자세인 호궤나Ukkuṭika 좌법이 가장 중요한 불교의례인 구족계나 포살 등에서 설행되고 있다는것은 이 좌법이 지닌 실천적 의미가 출가수행자에게 있어 지계와 정진의 작은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Imatinib 치료 중인 위장관 기질종양 환자에서 발생한 호지킨림프종 1예

        정기선,임아영,곽혜빈,이지현,김원석,이지연,김도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2015 中央醫大誌 Vol.40 No.1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re mesenchymal tumors that occur primari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peritoneum and the use of Imatinib confers significant survival benefit in GISTs. Hodgkin's lymphoma arises from germinal center B lymphocyt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Reed-Sternberg cells. GISTs and Hodgkin's lymphoma are rare in Korea and the coexistence of each disease hasn't been previously reported. During Imatinib treatment for metastatic duodenal GIST, an abrupt onset of mediastinal mass occurred in a 31-year-old male patient. Despite of dramatic response to Imatinib which rendered partial remission of nearly cystic degeneration of metastatic GIST, a 7 cm sized tumor was newly detected in the anterior mediastinum. Given the rarity of mediastinal metastasis of GIST, a mediastinoscopic lymph node biopsy was perfomed and the final pathologic diagnosis was Hodgkin's lymphoma. Here i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concurrent Hodgkin's lymphoma with Imatinibcontrolled metastatic GIST which suggests that any suspicious mass especially in a rare site should be biopsied for confirmatory diagnosis.

      • KCI등재

        신자료 소개: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북천가』 소재 규방가사 3편의 작가 고증을 중심으로

        정기선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6

        본고는 새로운 규방가사 작품 3편과 그 작가를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북천가』에는 (1) <북쳔가>, (2) 「제문」, (3) <가군의 슈연가>, (4) <ᄇᆡᆨ남의 슈연가라>, (5) <가친의 슈연가라>, (6) 「제문」의 순서로, 4편의 가사와 2편의 한글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중 <가군의 슈연가>, <ᄇᆡᆨ남의 슈연가라>, <가친의 슈연가라> 3편의 가사는 지금까지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가사이다. 작가의 정체를 추적한 결과 <가군의 슈연가>와 <ᄇᆡᆨ남의 슈연가라>는 이수형(李壽瀅, 1837~1908)의 차녀가, <가친의 슈연가라>는 그녀와 정재관(鄭在寬) 사이에서 낳은 딸이 창작한 것임을 확인했다. 대부분의 규방가사가 작가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작가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는 이 작품의 자료적 가치는 대단히 특별하다. 더욱이 학계에 익히 알려진 경상북도 지역이 아닌 경상남도 함안을 중심으로 창작 및 향유되었다는 점에서 규방가사 장르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introduce three new works of Gyobang-Gasa and their writers. The Bukchon-ga(北遷歌), the headquarters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brary, contains four Gasa and two Hangul memorial address in the order of (1) Bukchon-ga(北遷歌), (2) Hangul memorial address(제문), (3) Gagunui Suyun-ga(가군의 슈연가), (4) Baknamyi Suyun-gara(ᄇᆡᆨ남의 슈연가라), (5) Gachinui Suyun-gara(가친의 슈연가라), and (6) Hangul memorial address(제문). Of these, (3), (4), and (5) are the words that have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until now. As a result of tracking the writer's identity, it was confirmed that (3) and (4) were written by the daughter of Lee Soo-hyung(李壽瀅, 1837~1907), and (5) was written by the daughter of her and Jeong Jae-kwan(鄭在寬). This work, which can grasp the identity of the writer in terms of the fact that most of the Gyobang family do not know the writer, has a special resource value.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genre of Gyobang-Gasa in that the mother and daughter created the lyrics and created and enjoyed the Gyeongsangnam-do Haman, not Gyeongsangbuk-do, well-known in the academic world.

      • KCI등재

        김종수의 <계민가> 창작 배경과 주제구현 방식

        정기선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5 No.-

        이 연구는 현재 규장각에 소장된 윤창후의 저작『야연만록』소재 김종수의 교훈가사 <계민가>를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작가 김종수가 창작한 한시를 비롯한 여러 한문 기록과 그의 생애를 통해 <계민가>의 창작 배경을 검토하고, 그것을 토대로 <계민가>의 주제구현 방식을 분석했다. 정조의 총신이었던 김종수는 1784년 양주목사로 부임했는데, 그때 양주는 연이은 기근으로 많은 백성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었다. 이에 김종수는 양주의 긴급한 사정을 정조에게 직접 보고했고, 정조도 김종수의 요청대로 신속한 진휼을 명령했다. 이와 더불어 김종수는 교훈가사인 <계민가>를 지어 양주 백성들을 효유했다. 이 모습을 목격한 윤창후는 애민을 실천한 김종수에 대한 존경과 감동의 표시로 <계민가>를 자신의 문집에 수록했다. <계민가>는 청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 상대를 존중하는 의미의 호칭을 사용했으며 청자의 공감을 유도하고 자신의 주장을 경청할 수 있는 어조를 구사했다. 더욱이 백성을 존중과 친밀의 존재로, 나아가 인이라는 사람됨의 가치를 함께 하는 벗과 같은 존재로 형상화했다. 윤창후는 『야연만록』 에서 양주 백성들이 <계민가>를 읽고 감읍하고 대성통곡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김종수의 <계민가>가 주제구현에 큰 효과를 거두었음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이 김종수가 <계민가>에서 백성들을 인격적 존재로 형상화할 수 있었던 데에는 남쪽 유배지에서 생활한 경험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ally report Gyeminga, the didactic gasa of Kim Jongsu, which is the works of Yun Chang-hu's collection Yayeonmanlok, to the academic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ally report Gyeminga, the didactic gasa of Kim Jongsu. To this end,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Gyeminga was reviewed through various documents including Sino-Korean poetry created by author Kim Jongsu and his life. Based on this, the method of realizing the theme of Gyeminga was analyzed. Kim Jongsu, who was a favorite of King Jeongjo, took office in 1784 as the pastor of Yangju. At that time, many people in Yangju were starving to death due to a series of famines. Accordingly, Kim Jongsu directly reported the urgent situation of Yangju to Jeongjo, and Jeongjo also ordered a quick relief as requested by Kim Jongsu. In addition to this, Kim Jongsu composed the didactic gasa Gyeminga and benefited the people of Yangju. Yun Changhu, who witnessed this, included Gyeminga in his collection of works as a token of respect and emotion for Kim Jongsu, who practiced love for the people. In Gyeminga, titles of respect were used to narrow the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he listeners, and the tone was used to induce sympathy from the listeners and listen to their own opinions. Furthermore, he embodied the people as beings of respect and intimacy, and furthermore, the value of human beings as friends. In 『Yayeonmanrok』 , Yun Changhu recorded that the people of Yangju read Gyeminga and wailed loudly. In this way, Kim Jongsu was able to embody the people as personal beings in Gyeminga because of his experience living in the southern ex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