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NMT유전자 조각의 shot-gun cloning에 관한 연구

        조홍,최영길 한국미생물학회 1990 微生物과 産業 Vol.16 No.1

        동물체의 신경전달물질은 acetylcholine을 비롯한 9종 이상의 물질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물질의 생체내에서의 기작과 생합성 과정에 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고 또한 이 방면의 연구도 활발하다. 그중에도 Joh와 Baetge등에 의하여 DBH와 PNMT 효소의 생산에 관여하는 mRNA가 면역침전법에 의하여 순수 분리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DBH와 PNMT 효소 생산에 근본이 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유전자의 구조를 규명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그 전체가 규명된 바는 없다 (Baetge등, 1981;1983;Joh등, 1983;1984). 그리하여 본인들은 상기의 연구자들로부터 PNMT 유전자인 cDNA를 M13mp18과 19의 vector phage에 재조합시키고 이 cDNA를 JM107rhk 109의 host bacteria에 도입하여 형질발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極相林土壤과 土壞微生物의 分布

        趙洪範,이기성,崔榮吉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5 環境科學論文集 Vol.6 No.-

        경기도 광릉의 주엽산 일대의 삼림토양을 대상으로 5개의 정점을 설정하여 토양의 환경요인과 토양미생물의 군집규모를 조사하여 토양미생물의 토양생태계內의 기능을 토양의 환경요인과 상호 관련지어 해석하는 한편, 미생물의 개체군증식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규명하는 미생물 생태학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S/O value와 섬유소 분해 미생물 군집 크기 사이의 상관지수를 구하여, 토양생태계 內의 구조 및 기능 해석을 위한 새로운 biological index로서 S/O value가 적용 가능한 지를 조사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의 군집 규모는 상층이 하층토양에 비하여 컸다. 또 토양미생물 군집의 규모를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때, 일반세균>방선균류>일반균류의 순으로 군집의 크기가 확인되었으며 토양 內의 유기물 분해에 기여하는 작용도에 있어서도 그 순위가 동일하였다. 섬유소 분해능을 지닌 미생물 군집의 비율은 일반세균의 경우 75.8%, 방선균류는 81.2%, 일반균류는 54.5% 정도가 되어 매우 높았다. 한편 세균류와 균류의 개체군 규모는 3:1의 비를 나타내었다. 2. 실험대상지역의 토양 pH는 5.2∼5.7범위였으며, 토양 온도 및 무기이온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상층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함수량은 하층이 높은 값을 보였다. 환경요인중 개체군 증식에 기여하는 영향이 가장 큰 parameter는 pH로 추정되었는데, 함수량, ??이온의 함량도 어느정도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환경요인의 분석에서 수용성 당류, 아미노산의 함량은 상층이 하층에 비해 높았으나 총 유기물함량은 수직적으로나 정점별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S/O value는 개체군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S/O value와 섬유소 분해 미생물 군집의 크기 사이의 상관지수는, S/O value와 총 섬유소 분해 미생물 사이에서 0.769, 일반 섬유소 분해 세균과의 경우 0.700, 방선균류 0.788, 일반균류는 0.576으로 나타나, 상당히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토양의 textile을 예견할 수 있는 균사체 발달 정도는 천이과정 중의 정점에서, 극상단계에 거의 도달한 정점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6. 실험대상지역의 토양생태계는 생물군집 중 미생물 군집의 규모 수준에서 고찰해 볼 때 극상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정점도 실질적으로 아직 천이과정 중인 생태계로 판명되었다. The authors surveyed around Mt. Choo Yub in Kwang Reung on April 14th in 1983 and examined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 size including the cellulolytic microbes in soil.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unction of soil microbes in the soil, and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o the microbial population siz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O value and population size of cellulolytic microbes, S/O value was examined to be applied as new biological index for analysis of structure and function in soil ecosyste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pulation size of soil microorgasms in surface layer was larger than that of lower layer. Subdivided the microbial community in the soil into three groups such as general bacteria, actinomycetes and general fungi, the population sizes and the activity in degradation of organic substances were large in order of general bacteria, actinomycetes and general fungi, respectively. Composition of cellulolytic microbes in subdivided microbial group was high as much as 75% in bacteria, 81.2% in actinomycetes and as 54.5% in fungi. The ratio of bacteria to fungi was 3:1. (2) PH value of the experimental soil was generally the range of 5.2∼5.7, the temperature of surface layer was higher about 5℃than that of lower layer. The amounts of inorganic components such as ??, ??, ??, ??, ?? were more accumulated in surface soil than those of lower layer. It is postulated that the parameter affecting strongly to the population size is pH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amount of ?? were also related with the population size of soil microbes, to some extent. (3) In the analysis of organic substances such as free amino acid, soluble sugar and total organic matter,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 and soluble sugar in surface layer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er later, but the amount of total organic matter has no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amounts between surface layer and lower layer. (4) The S/O value(amount of soluble sugar/amount of total organic matter) in soil was high in accordance with increase of the population siz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O ratio and population size of cellulolytic microbes were shown such as 0.769, 0.700, 0.788, 0.576 respectively, in total cellulolytic population size, general bacteria, actinomycetes and general fungi. That is to say, i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S/O ratio and population size of cellulolytic microbes. It was considered that S/O value can be adapted as a useful biological index for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in soil ecosystem. (5) Mycelial extension to predict the textile of soil is more active in successional ecosystem than in the almost matured climax ecosystem. (6) The ecosystem of experimental area referring to the level of microbial population size experimental area is actually postulated successional ecosystem.

      • KCI등재후보

        Comparison between L and E gene amplification analytical methods for human papillomavirus typing

        조홍,김경태,김영재 대한부인종양학회 200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9 No.4

        Objective: L and E6/E7 gene amplification analyses were compared to identify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and verify the HPV type, with the intent to minimize HPV typing errors. Methods: L1 gene verified HPV typing was accomplished vi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membrane assays. Verification of HPV typing via E6/E7 genes was accomplished through nested multiplexed PCR. The results from 104 samples were compared. Results: The rates of accordance and difference were 35% and 65%, respectively. For 29% of the analyses, nested multiplexed PCR was more diversified than the membrane assay. Conclusion: HPV can be classified into low-risk HPV and high-risk HPV groups. In parallel amplifications of the L and E genes is more efficient for accurate diagnosis in light of the different symptoms and attendant precautions of the risk groups. Objective: L and E6/E7 gene amplification analyses were compared to identify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and verify the HPV type, with the intent to minimize HPV typing errors. Methods: L1 gene verified HPV typing was accomplished vi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membrane assays. Verification of HPV typing via E6/E7 genes was accomplished through nested multiplexed PCR. The results from 104 samples were compared. Results: The rates of accordance and difference were 35% and 65%, respectively. For 29% of the analyses, nested multiplexed PCR was more diversified than the membrane assay. Conclusion: HPV can be classified into low-risk HPV and high-risk HPV groups. In parallel amplifications of the L and E genes is more efficient for accurate diagnosis in light of the different symptoms and attendant precautions of the risk groups.

      • KCI등재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모델링

        조홍 ( Hong Beom Cho ),조우석 ( Woo Sug Cho ),박준구 ( Jun Ku Park ),송낙현 ( Nak Hyun S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4 No.2

        건물의 3차원 모델링은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3차원 건물 모델링은 대부분 항공사진측량기술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항공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한 건물모델링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대부분의 3차원 건물모델링 연구는 보간과정을 통하여 격자구조로 변환하거나 수치지도 또는 항공영상 등의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점 데이터의 격자구조로의 변환 및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 등의 방법을 배제하고 항공라이다 데이터만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로 분류된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옥트리 분할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패치(patch)를 구성하고, 동일한 속성을 갖는 패치들을 병합하여 건물의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건물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모델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한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The 3D building modeling is one of crucial components in construct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The existing methods for 3D building modeling depend mainly on manual photogrammetric processes, which indeed take great amount of time and effort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on 3D building modeling using aerial LiDAR data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to aim 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3D building modeling methods. Either techniques with interpolated grid data or data fusion with digital map and images have been investigated in most of existing researches on 3D building modeling with aerial LiDAR data. The paper proposed a method of 3D building modeling with LiDAR data only. Firstly, octree-based segmentation is applied recursively to LiDAR data classified as buildings in 3D space until there are no more LiDAR points to be segmented. Once octree-based segmentation is completed, each segmented patch is thereafter merged together based on its geometric spatial characteristics. Secondly, building model components are created with merged patches. Finally, a 3D building model is generated and composed with building model compon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l LiDAR data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capable of modeling various types of 3D buildings.

      • Multiplex PCR을 이용한 DNA size marker 제조 기법

        조홍 서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7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8 No.-

        DNA size marker is a very routinely used reagent in DNA analysis work, but it`s high price has prevented its usage. Then,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in-house manufacturing method of DNA size marker using multiplex PCR techniques. 100 base pair ladder were produce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ly selling DNA size markers.

      • KCI등재

        Multiplex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6종의 주요 잇몸질환 유발 미생물을 동시에 검출하는 기법

        조홍,Cho, Hong-Bum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This study utilized an analysis method for detecting six microorganisms, such a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Campylobacter rectu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us, Treponema denticola, and Prevotella intermedia, triggering periodontal disease, using multiplex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analysis including internal control was made by dividing the six species into two groups using four fluorescence dye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interference or cross-reaction between the target species and different kinds of oral microbial speci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each microorganism in various samples, such as saliva and the plaque, using the multiplex real-time PCR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periodontitis patients and healthy people, revealing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m. 본 연구는 multiplex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Campylobacter rectu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us, Treponema denticola, Prevotella intermedia 등과 같은 6종의 주요 치주 질환 원인 미생물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4개의 형광 염료를 사용하여 internal control과 함께 3개의 균종씩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 대상 균종 간 그리고 다른 종류의 구강 미생물 균종과의 간섭과 교차 반응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multiplex real-time PCR은 타액과 플라그 등의 다양한 샘플에 포함되어 있는 각 미생물들을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치주염 환자와 건강한 사람들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분명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