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활성도 평가

        임영균,백승호,Lim, Youngkyun,Baek, Seung 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5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2017년 2월 대조기 만조와 간조, 3월 소조기 간조 동안 염분 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생리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2월 대조기 조사에서 나타난 특이적인 pH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재현실험을 병행하였다. 현장조사 결과에 의하면, 만조와 간조에 수층 혼합에 의한 수직적인 염분의 차이는 미미하였지만, 담수역으로 향할수록 염분이 낮아져 수평적인 염분구배가 뚜렷하였다. 염분과 영양염(질산염+아질산염: R=0.997, p<0.001; 규산염: R=0.979, p<0.001)과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담수 기원의 질소와 규소의 높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해수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희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인산염농도는 염분이 15 psu를 기점으로 고염분의 유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가 관찰되었고, 이는 수심이 얕은 광양만의 퇴적물이 조석에 의한 수층혼합으로 재부유되어 인산염 재용출로 인해 수층에 일정량 기여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동계 2월과 3월 우점한 식물플랑크톤은 Eucampia zodiacus로 나타났고, 그들은 전체 군집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히, 3월 생물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염분과 chlorophyll a(R=0.82)뿐만 아니라 active chlorophyll a(R=0.80)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특히 담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상류 정점에서는 해수종 규조류가 염분충격으로 생리활성을 잃어 최대 75 % 사멸율을 기록하였다. 2월 대조기 조사에서는 상대적으로 형광값이 높은 정점에서 pH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높은 밀도로 우점한 규조류의 광합성 작용으로 $CO_2$가 다량 흡수되어 pH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월 현장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농축하여 저염분 환경에서 생물농도구배에 따른 pH 변화를 파악한 결과, 염분충격에 의해 사멸한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으로 광합성 활성도의 감소를 가져왔고, 우점 규조류의 사멸로 인해 박테리아가 현저하게 증식하였다. 그 결과 박테리아가 규조류를 생분해하는 과정에서 $CO_2$가 발생하여 pH 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섬진강하구역에서는 염분 구배에 따른 생물의 광합성 활성도의 차이와 생물사멸이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이는 pH의 증감을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We evaluated the viability of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flood and ebb tides of spring tide of February and the ebb tide of neap tide of March 2017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dditional laborator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ason of the pH change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using the field natural sample in February. In field, saltwater was well mixed at downstream vertically and the salinity gradient was horizontally appeared toward upstream of freshwater zone.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alinity and nutrient (nitrate + nitrite R=0.99, p<0.001, and silicate R=0.98, p<0.001), implying that those two nutrients of freshwater origin were gradually diluted with mixing the saltwater. On the other hands, relatively high phosphate concentration was kept in the stations of saltwater over 15 psu, indicating that it was caused by resuspended sediments of Gwangyang Bay and downstream by tidal water mixing.Among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winter, Eucampia zodiacus have occupied to be c.a. 70 % in the most stations. Based on the field survey results for survivability of phytoplankton by phytoPAM instrumen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linity and chlorophyll a (R=0.82, p<0.001) and, salinity and active chlorophyll a (R=0.80, p<0.001), implying that the dominant marine diatom species may have significantly damaged in low salinity conditions of upstream. Also, maximum mortality rate of phytoplankton caused by low salinity shock was appered to be 75% in the upstream station. In particular, the pH in spring tides of February had tended to increase with high phytoplankton accmulated stations, suggesting that it was related with absorption of $CO_2$ by the photosynthesis of dominant diatom. In laboratory experiments, phytoplankton mass-mortality caused by low salinity shock was also occurred, which is confirmed with reducing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Following the phytoplankton mass-mortality, bacteria abund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4 hours. As a result, the mass-proliferating bacteria can produce the $CO_2$ in the process of biodegradation of diatoms, which can lead to pH decrease. Therefore, marine phytoplankton species was greatly damaged in freshwater mixing area, depending 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that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role in elevating and reducing of pH in Seomjin River Estuary.

      • KCI등재
      • KCI등재

        한산도-거제도 동부 굴 양식장주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특성

        임영균,백승호 한국환경생물학회 201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a dense oyster farming area (Hansan-Geoje Island) from June to December 2016.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14°C to 28.8°C and its salinity ranged from 29.4 to 34.2 psu. Nitrate+nitrite was kept at c.a. 3.0 μM on the surface layer from June to July, below the concentration limit in August and early September,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from late September. Ammonia was high on July 20 and August 10, and its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not clear. Phosphate ranged from 0.01 to 0.7 μM on the surface layer, and its seasonal changes were similar to those of nitrate+nitrite. Mean silicate concentrations were 10.7 μM on the surface and 15.7 μM in the bottom layer, and it was not act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mong the phytoplankton community, Bacillariophyceae, Dinophyceae and Cryptophyceae was 61.2%, 22.5%, and 13.6%, respectively. In late June, dinoflagellate Prorocentrum donghaiense was dominant in the outer waters (St. T1), later on, Cryptomonas spp. and Chaetoceros spp. were dominant, respectively. From late September to October, diatoms Pseudo-nitzschia spp. and Chaetoceros spp. were stimulated under non-stratified condition after the typhoon. In December, A. sanguinea was found to be 1.7×105 cells L-1. Seasonally, relative high phytoplankton biomass may be favorable to maintain high production of filter feeder oyster in the dense oyster farming areas of Hansan and Geoje Island. 본 연구에서는 2016년 6월부터 12월까지 통영 한산도 및 거제 동부 굴 양식장 밀집해역의 환경요인의 변동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변화의 계절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14~28.8°C로, 염분은 29.4~34.2 psu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질산염+아질산염의 농도는 6~7월 동안 표층에서 3.0 μM 전후로, 8월과 9월초까지 제한농도 이하로, 그 후 9월말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암모니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계절적 특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인산염은 표층에서 0.01~0.7 μM의 범위로 보였고, 질산염+아질산염과 유사한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규산염 평균농도는 표층에서 10.7 μM과 저층에서 15.7 μM로, 전 계절에 있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인자로 작용하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규조류, 와편모조류, 은편모조류의 비율은 각각 61.2%, 22.5%, 13.6%로 관찰되었다. 6월 말, 외측해역 (T1정점)을 중심으로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donghaiense가 우점하였고, 이후 7월 Cryptomonas spp.와 규조류 Chaetoceros spp.가 상대적으로 높게 점유하였다. 태풍 이후 성층이 붕괴된 9월말에서 10월까지 규조류 Pseudonitzschia spp.와 Chaetoceros spp.가 전 정점에서 우점하였으며, 12월에는 와편모조류 A. sanguinea가 최대 1.7×105 cells L-1로 적조주의보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거제도 한산도주변해역에서는 계절적 성층의 형성과 소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차이가 나타났고, 환경요인의 변화는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biomass) 변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양식굴산업의 생산에도 직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