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通言語的な視点から見た日本語の受動構文

        ;楽亨(Seraku, Tohru) 일본어문학회 2018 일본어문학 Vol.82 No.-

        受動構文は現代言語学において最も研究がすすんでいる構文の一つであり、記述的․類型論的․機能的․認知的․理論的․歴史的な視点から議論 がなされてきた。日本語の受動構文(および関連構文)の先行研究も多いが、通言語的タイプ分けという観点から集中的に日本語の受動構文を扱った研究はあまりない。本稿では、まず、直接受動と間接受動(および持ち 主の受け身)という伝統的な区分を取り上げ、類型論的な視点も踏まえて検討を加える。次に、他言語のヴォイス構文を取り上げ、日本語受動構文の研究には(方言も視野に入れた)類型論的視座が必要であると論じる。具体的には、絶対受動․逆行構文․逆使役などを取り上げる。以上の議論を通して、通言語的な視点から日本語の受動構文をヴォイス体系に位置づけ るための土台を提供する。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ssives from diverse points of view (e.g. descriptive, typological, functional, cognitive, theoretical, historical). There is a wealth of previous works on Japanese passives, but serious attention has been rarely paid to the issue of how Japanese passives may be characterized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In this article, we first survey the commonly assumed classifications of Japanese passives as well as a number of properties of each type of passive construction against the research outcome of typological studies on passives. Furthermore, we consider voice constructions which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on Japanese passives (such as absolute passives, inverse constructions, and anti-passives), with the purposes of clarifying whether these constructions are observed in Japanese and emphasizing that an adequate analysis of Japanese passives should incorporate insights from typological work (including grammatical studies of Japanese dialects). Through the present survey, we provide a basis for situating Japanese passives in the context of voice constructions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 釋譜詳節の刊行とその背景

        ,幸夫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09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

        이 글은 필자가 지금 출간의 기회를 찾고 있는 일본어역 석보상절의 머리말로서 쓴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에게는 내용적으로 별달리 새로운 사실은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글은 필자가 동국대학교에 유학한 5년 동안에 한국인 연구자가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에 관해서 기술한 내용을 읽고 정리한 것을 일본인에게 소개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석보상절을 국문학적 관심에서 부분적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외국인인 필자에게는 문학적이나 어학적 관심보다 불교학적 관심이 더 많다. 불교학 입장에서 보면 석보상절이야말로 15세기의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의 불교 이해의 전체상을 보여 주는 둘도 없는 좋은 자료라고 보인다. 그것은 한역 대장경의 전체를 정확히 이해한 결과 나온 것이라 보이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는 모든 권수가 남아 있지 않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일본에 석보상절과 같은 뛰어난 책의 번역이 없었다는 첫번째 이유라고 보인다. 그러나 1990년대에 새로 많은 권수의 월인석보가 발견된 후 상황이 많이 달라지고 있다. 지금이라면 필자가 입수 한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그리고 월인천강지곡 모두를 번역해 보면 어 느 정도 석보상절의 전체상에 접근할 수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법화경 부분의 결권에 관해서는 법화경언해도 참조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렇게 하면 내용적으로는 석보상절 전체의 80% 정도는 복원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이런 방법에서는 석보상절의 올바른 전체상을 알 수 없겠다고 해도 남아 있는 것만이라도 충분히 석보상절의 재미있는 내용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월인석보 중의 협주는 불교 교리의 보고다. 월 인석보 편찬자들의 불교 교리 이해가 놀랍게도 20세기 일본의 불교학 연구자들의 이해와 많이 달라지고 있지 않는 점이 필자에게는 아주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런 견해에 입각해서 필자는 석보상절의 간행에 관해서 그 배경을 포함하고 이 개설문을 써 봤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Hirose Teizo(広,,貞三)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5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recent trends of Korean studies in Japanese universities. It centers upon the academic associations and institutes for Korean studies; also, the major books which have given influence on Korean studies are touched upon.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general books on Korea, cultural-anthropologists started Korean studies from the middle 1980's. Their studies were relatively small; however, the role of political scholars, economists and sociologists wer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n North Korea were lower in quality and quantity than those on South Korea. Second, the number of scholars associated with Korean studies was about 800 in 2007. Most of the scholars focused on studies of modern Korea. The universities that have a great amount of scholars related to Korean studies are Tokyo Univ., Kyushyu Univ. and Keio Univ. The interdisciplinary associations are found at Chyosengakkai, which was founded in 1950, and Gendaikannkokuchyosengakkai, which was founded in 2000.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Japan which have courses on Korea are 15. Third, as an historical association, Chyosensigenkyuukai was founded in 1959 and Nihonshyokuminchigenkyuukai in 1986. In the field of cultural-anthropology, Kannkokuchyosengenkyuukai was founded in 1999. In linguistics, Chyosengogenkyuukai was founded in 1983 and Chyosengokyouikugenkyuukai was founded in 1988. In literature, there are no academic associations. In the field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cience, Gendaikannkokukakkai is the center of Korean studies. The studies on South Korea go into greater depth than those o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