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행위 중 사회상규의 기능과 성립범위

        박기석(Park, Gi-Suk)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2

        The Article 20 of Korean criminal act provides that an act whi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or in pursuance of accepted business practices, or other action which does not violate the social rules shall not be punishable. We call this provision the justifiable act. The provision of the justifiable act could function many things as belows; according criminal law to common sense, making reasonable criminal law, applicating criminal law as right time etc. So we should interpret the provision of the justifiable act actively and widely. If we can regulate the illegal act with civil law, administrative law besides criminal law, we have to apply more mitigative law. Moreover if we regulate delinquent behavior with ethics, regulation of home, rule of school as self-regulated system, we have to rule these behaviors with self-regulated system not criminal law. In this point, the Korean leading cases of the provision of justifiable act have much problems. Korean Supreme Court interprets the provision of the justifiable act very with small circle. They do not consider other law or self-regulated system besides criminal law. In this cause Korean Supreme Court do not decide small illegal acts not guilty still. They consider guilty or not guilty only with mechanical interpretation on basis of present criminal law. This broad application of criminal law results in much problems that make citizen not adult and blank of criminal law-enforcement. And this way of Korean Supreme Court make people of Korea feeling unstable situation. Because they can feel fear whenever they commit small illegal acts. If they often feel fear with small illegal acts, they could not be adult conforming law voluntarily. And they try to avoid exposure of their small illegal acts rather than do not avoid to commit illegal acts. The provision of justifiable act could be applicated to much fields like strife of labor, election, cyber space acts etc. This means that the provision of justifiable act operate widely and actively. If we operate the provision of justifiable act well, we can make Korean society mildly and voluntarily. In opposite if we interpret the provision of justifiable act narrowly, Korean society would be leaded het-eronomous.

      • KCI등재

        의료인의 자가 투약 관련 약사법 쟁점

        박성민 대한의료법학회 2023 의료법학 Vol.24 No.3

        This paper reviewed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ssues in case of self-administration of medicines by medical personnel without going through the general process (prescription, dispensing, distribution, administration). If a medical personnel self-medicates, the medicine supplier or medical personnel may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The core reprehensibility of the punishment lies in undermining the order in distribution of medicines stipulated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First, the sale of medicines by a medicine supplier to medical personnel may be the violation of Article 47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However, if it was distributed for the case where medical personnels can dispense it directly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t can be justified unde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justifiable act, the exclusion of illegality). If medicine suppliers distribute medicines knowing that the medical personnel acquires medicines for self- administration, they can be punished as the violation of Article 47 of Pharmaceutical Act. Second, when a medical personnel acquires a medicine for the purpose of self-administration, the medicine supplier distributes the medicine under the false pretense that the medical personnel acquires the medicine for the case in which the medical personnel can directly dispens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t this time, even if the medicine supplier has received all the payment for the medicines, the distribution of the medicines by deceit can constitute the fraud under the Criminal Act. Third, self-administration by medical personnel is a the violation of Article 23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t is not a justifiable act unde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This is because it is the abuse of the special status granted to medical personnel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which undermines the order in distribution of medicines.

      • KCI등재

        규범 간 충돌에 대한 형법적 고찰 -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9도12765 판결 -

        이종수 ( Lee Jongsoo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고려법학 Vol.0 No.100

        공직선거법은 제135조 제3항에서 선거사무관계자에 대하여는 공직선거법에 규정된 수당이나 실비 이외의 일체의 비용 지급 내지 보상을 금지하고 있다. 그리고 공직선거법은 그러한 수당이나 실비의 구체적인 내용을 공직선거관리규칙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공직선거관리규칙은 회계책임자에게는 5만 원, 선거사무원에게는 3만 원 이내의 수당만을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공직선거관리규칙은 1994년 제정 이래 한차례도 개정이 되지 않았는데, 이에 반하여 2013년 4,860원이던 최저임금은 2019년 8,350원, 2020년 8,590원으로 상승하여 공직선거법과 최저임금법 간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은 선거사무관계자들에게 공직선거법에서 정한 수당 이외에 50만 원씩 추가로 지급하였는데, 위와 같은 금원 지급이 공직선거법에 위반한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최저임금법에 따른 수당 지급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은 공직선거법과 최저임금법은 그 입법 목적과 규율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이 사건에서 최저임금법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헌법 제32조 제1항에 따라 제정된 최저임금법은 근로자에 대하여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대법원은 선거사무원의 근로자성도 인정하고 있는 이상 규범 간 모순 내지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 자체는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법률 간 충돌을 해결하기 위하여 (i) 헌법재판소에서 위헌결정을 하거나, (ii) 대법원에서 기소의 근거가 된 공직선거관리규칙의 위헌ㆍ위법성을 인정하였다면 구성요건해당성이 인정되지 않아 형사소송법 제325조 전단에 따른 무죄판결이 선고되어야 한다. 다만, 문제는 위와 같은 위헌결정 등이 없어 법률 간 충돌 내지 모순 상황이 유지되는 경우라고 할 것인데, 이러한 상황이라면 범죄체계론상 구성요건해당성이 아닌 위법성 또는 책임 단계에서의 해결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먼저, 위법성조각사유와 관련하여, 법령에 의한 행위로서 형법 제20조에 따른 정당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법령에 의한 행위에 해당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법령에 근거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동기나 목적의 정당성, 방법의 상당성, 균형성, 그리고 보충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주관적 정당화 요소도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의무의 충돌에 해당하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으나, 대상판결과 같이 법령에 규정된 의무 사이에 모순이 발생하는 것은 법률 해석의 문제일 뿐 위법성조각사유로서 의무의 충돌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대상판결은 형법 제16조 법률의 착오로 접근을 하였는데, 다만 형법 제16조가 적용되기 위한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상판결과 같이 법령 간 충돌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하나의 법령을 준수하는 것이 다른 법령을 위반하는 결과가 된다면 이는 책임조각사유로서 ‘기대가능성’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기대가능성이 없어 책임조각이 인정되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충돌하는 일부 법령에 따른 수사가 개시되었는지 여부, 관련자 내지 기관에 의한 고소 내지 고발이 이루어졌거나 그러한 움직임이 있었는지 여부, 피고인 스스로 규범 간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유관기관에 해석을 의뢰하였는지 여부, 피고인이 자체적으로 규범 간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충분한 노력을 하였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blic Official Election Act(‘Act’) prohibits the payment of all expenses other than allowances prescribed by the Act to election campaign workers. And the Act stipulates that only allowances between 30,000 and 50,000 won can be paid. However, the administrative rule has never been revised so far, resulting in contradictions with the Minimum Wages Act. In this case, the defendant paid election campaign workers an additional 500,000 won, in addition to the allowance by the Act, claiming that even if it violateㄴ the Act, it does not violate the Minimum Wages Act.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Minimum Wage Act does not apply in this case because the Act and the Minimum Wage Act have different purposes. But, the Minimum Wage Act enacted under Article 32 (1) of the Constitution forces employers to pay the minimum wage to workers, and the Supreme Court have ruled that campaigners are workers, so it cannot be denied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s between laws itself. Therefore, if the law is sentenced unconstitutional or amended by the Assembly, it should be found not guilty. First of all, in order to be a Justifiable Act(Criminal Act Article 20), not only must there be grounds for the statute, but also must meet the requirements for proportionality and complementarity, and subjective requirements are also required. Moreover, conflict of duty needs to be discussed, but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f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the laws, it can be solved through legal interpretation. So,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approached the issue of the misunderstanding of law(Criminal Act Article 16), but judged that ‘justifiable reasons’ for the application of Criminal Act Article 16 were not recognized. So, in my opinion,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laws, such as this case, it shall be regarded as ‘lacking expectation’. Therefore, the judgment shall be made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whether the investigation has begun, whether the accusation has been made, whether the defendant has made his/her own efforts, whether he/she has inquired of a public institution, etc.

      • KCI등재

        청탁금지법의 적용과 사회상규

        이지은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4

        On 28 September 2016,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came into force. It was socially extremely influential, even before its enforcement. The Act explicitly prohibits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It provides what improper solicitations are in detail(Article 5(1)), and subsequently exceptions of them(Article 5(2)), the last one of which is “any other act deemed in accordance with social norms(Article 5(2)7).” Likewise, allowing receipt of money, good, etc(Article 8(3)) followed by what ban on receipt are exactly written(Article 8(1),(2)) and the last exception is upon money, goods, etc. permitted by other Acts, subordinate statutes, standards, or social norms(Article8(3)8). My quenchless curiosity is about what social norms are and how it is construed, this is the reason of the writing. The term of social rules(social norms) is found in the Article 20 (Justifiable Act) of Korean Criminal Act clearly. It(Justifiable Act) means an act which shall not be punishable because illegality is denied even if the act are prohibit by criminal law. An act permitted by social rules(social norms) is one of justifiable acts. Then, are both social rules(social norms) identical? I have researched several cas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are mainly used as criteria in the stage of deciding illegality in tort cases. In the cases, it can construe social common notions, average person’s idea, sound & common sense of the community. Whereas,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function as elements deny illegality of an act which is already consist of the prohibition in criminal cases, and Supreme Court has been extremely prudent. On the one hand, it seems not to consist of forbidden act from the beginning, if an act is determined to be permitted by social norms when in terms of the analysis upon the way of ban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literally. Then, as a result, the concept of social norms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one of Criminal Law are different each other although being of the sam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ncludes unnecessary provisions because it is a kind of criminal law and Article 20 of Korean Criminal Law apply every criminal case to determine guilty or not even though it is does not write down about social rule. This kind of issue will be addressed someday by the Supreme Court. I do provide some tips to help construe the Act prior to the decision of the Court because vaguely waiting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upreme Court can make the Act meaningless itself. 2016년 9월 28일 시행된 청탁금지법은 이미 입법단계에서부터 사회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명확하게 ‘부정한 청탁’과 ‘금품등의 수수’를 금지하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부정한 청탁’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금지되는 행위를 상세히 나열(제5조제1항 각호)하고,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태양을 역시 나열하고 있으며(제5조제2항 각호),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 중 마지막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이다(제5조제2항제7호). 마찬가지로 ‘금품등의 수수’에 대하여도 그 원칙을 설시하고(제8조제1항,2항),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에 관하여 자세히 나열하면서(제8조제3항제8호),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 중 하나로서 ‘사회상규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 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제8조제3항제8호). 청탁금지법이 금지하고 있는 행위에 대한 예외로서 등장하는 이러한 ‘사회상규’의 개념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바로 본고의 작성이유이다.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에서 위법성조각사유의 하나인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서 등장한다. 그러나 판례에서는 사회상규의 개념이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민사판례에서는 주로 불법행위 손해배상사건에서 그 위법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회상규의 개념이 활용되었다. 이 경우 사회상규의 개념은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사회공동체의 건전한 법상식과 같은 법일반원칙으로서 기능하였다. 형사판례에서는 형법 제20조가 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위법성조각사유로서 기능하며, 법원은 특정행위가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성을 조각하는데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청탁금지법 문언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면,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라고 인정될 경우 구성요건해당성 자체가 부인되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이 경우의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와 달리 보아야 할 것인가가 문제되고, 그렇다면 민사판례에서와 같이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혹은 법일반원칙 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도 아니라면 새로운 의미의 사회상규가 등장하는 셈이다. 반면에, 청탁금지법 상 사회상규의 개념을 형법 제20조의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 해석한다면, 단지 주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이라거나 극단적으로는 불필요한 법률조항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청탁금지법상 허용되는 행위로서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가 실제로 문제되는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재판과정에서 사법부의 판단에 의하여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추상적 규범통제가 되지 않고 있는 우리법체계하에서 막연히 사법부의 판단만을 기다리는 것은, 청탁금지법과 같은 새로운 정책이나 법률의 입법자체를 무색하게 하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사법부의 판단에 앞서 청탁금지법의 해석에 필요한 몇 가지 단초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제한 위반죄와 지방의회의원의 업무추진비 집행행위의 위법성 ― 대법원 2017. 4. 28. 선고 2015도6008 판결 ―

        김서영 ( Kim Seoyou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1

        대상판결은 각 구의회의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장인 피고인들이 법령의 근거 없이 업무추진비를 사용하여 선거구민인 공무원 또는 공공기관의 직원 등에게 식사를 제공한 행위에 대해, 구청 소속 공무원들에게 식사를 제공한 행위는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만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에 해당하여 위법성이 없고, 그 외의 사람들에게 식사를 제공한 행위는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 위반죄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집행기관의 광범위한 재량이 허용되는 업무추진비의 경우 그 집행기준에 관해 사전적 규범적 통제의 필요가 있고, 이 점은 지방자치단체장 외에 지방의회의장 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2015년 개정된 ‘지방자치단체 업무추진비 집행에 관한 규칙’ 은 지방의회의장 등에게 지급되는 업무추진비의 집행기준에 관한 규정을 두었다. 동 규칙에 따른 행위는 공직선거법 제112조 제2항 제4호 가목의 법령에 의한 금품제공행위에 해당하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 같은 법 제257조 제1항의 기부행위금지규정 위반죄의 구성요건해당성이 없다. 대상판결에서 피고인들의 행위는 위 규칙 개정 전의 행위로서 법령에 의한 금품제공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해당 구의회 사무과는 지방자치단체장에 관한 위 규칙을 유추적용하여 피고인들의 업무추진비에 관한 회계처리를 하였고 피고인들 또한 자신들의 행위가 위 규칙에 의해 허용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는바, 이와 같은 사정 및 구청 공무원에 대해 식사를 제공한 행위는 지방의회의원인 피고인들이 조례 제정이라는 본래의 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의 행위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에 해당하여 위법성이 없다고 하였다. 피고인들의 본래의 업무인 조례제정을 위해 구청장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구청 소속 공무원과의 간담회 개최가 반드시 필요한 점, 피고인들이 제공한 식사비용, 식사제공의 시기 및 횟수 등에 비추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의 일반적 성립요건인 행위의 동기와 목적의 정당성, 행위의 수단이나 방법의 상당성, 보호이익과 침해이익의 법익균형성, 긴급성, 보충성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대상판례는 지방의회의장 등이 지방자치단체 업무추진비 집행에 관한 규칙에 따라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대상의 범위에 관한 판단기준을 명확히 하고, 기부행위의 예외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행위의 경우에도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제한규정 위반죄의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는 요건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target sentence above was made on the act in which the defendants such as the chairman, and vice chairman of local gu-council and chairman of its standing committee in a gu-level council spent the business operating promotion expenses by providing the public officials who were the constituency or the public organization's employees with meals without reasonable legal grounds. In the decision, the court considered that the act of providing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gu-office constitutes the requirements of contribution acts according to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Act) but does not belong to any acts which are in violation of social practices. Therefore, it concluded that the act does not violate any laws except for the act of giving the meals to other people other than specified above, which constitutes a violation of the contribution acts which shall be complied with according to the said Act. As business operating promotion expenses are the expenses which are allowed in the wide discretion of the executing organization and there is much room in handling or spending, it is necessary to proactively or normatively control the spending standard. That also applies to the case of any chairman of the district council in addition to any head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re is a regulation in the Rules on the Execution of Business Operating Promotion Expenses for Local Governments (the Rules) which was revised in 2015 specifying the rules of execution standard for business operation promotion expenses to be spent by any chairman of council of the local government. If an Act complies with the Rules, it falls under the money giving acts according to Article 112 (2) (4) (a) of the Act and in such case, it should does not violate any prohibited contributions specified in Article 256 of the Act. However,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gu-district council applied the Rules on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s to account for the accounting of the business operating promotion expenses spent by the defendants, and the defendants also thought that their act was is allowed by the Rules. So,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violation of any social practices, therefore having no illegality because the act of providing meals is within the scope extent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uties of establishing ordinances, and the act does not violate social practices. The decision seems to consider the following facts; that the holding of meeting held with the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the gu-office level public official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rdinance, which are the main job of the defendants, and confirm the opinion of the head of gu-office, and that the expenses, time and frequency of proving meals to the gu-office level public officials do not violate social practices such as meeting the general requirements for non-violation in terms of motive or goal of the act, the social properness of the means and method of the act, the legal balance between protective benefits and the infringement benefits, as well as urgency and complementation. As such, the target decision by the court has implications in that it has clearly specified the standard on how much the head of local council can provide the public officials with the means according to the Rules. This has led to a suggestion of the requirements of avoiding the illegality in terms of violation of prohibited contributions specified in the Ac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act even when the act does not fall on the exception of the contributions.

      • KCI등재

        긴급피난 규정으로서 「형법」 제22조 제1항과 「민법」 제761조 제2항의 관계

        도규엽 ( Do Gyuyoup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0 No.48

        「형법」은 긴급피난 규정으로서 제22조 제1항을 두고 있고, 「민법」은 제761조 제2항을 두고 있으며, 양자 모두 정당화사유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긴급피난을 형법상 정당화사유로 보아 범죄의 성립을 부정하는 것은 충분히 납득이 가지만, 민법상 위난에 있어서 귀책사유가 전혀 없는 피해자에게 긴급피난행위자가 입힌 손해를 감수하도록 강요하는 것에 대하여는 의문이 생긴다. 민법상 긴급피난행위는 부당한 침해를 가하는 상대방에 대하여 이루어진 정당방위행위와 같이 취급할 수는 없을 것이다. 긴급피난에 대한 우리 「형법」과 「민법」의 태도를 정리하자면, 긴급피난을 ‘위법성조각사유’로 취급하여 형법상 정당화사유가 되는 것은 물론 민법상으로도 불법행위책임을 조각하는 정당화사유로 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위법성과 불법 개념 구별을 기초로 하여 각 개별법상 인정되는 정당화사유는 해당 개별법의 영역 내에서만 효과를 가지는 개별법상 ‘불법조각사유’로 보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형사절차와 민사절차가 엄격히 분리되어 있고, 형법적 원리와 민법적 원리는 매우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피난행위자의 행위로 인하여 선의의 피해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사례에 있어서 긴급피난 행위자에게 불법행위책임을 묻지 않고 그 손해를 피해자에게 부담시키는 결론은 타당성이 결여되었다고 생각한다. 원칙적으로 피난행위자에게 부담지우는 것이 손해의 공평한 분담에 부합하는 태도일 것이다. 즉 긴급피난은 ‘형법상 불법조각사유’에 불과할 뿐, 민법상 불법조각사유는 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고, 현행법상 「형법」 제22조 제1항과 「민법」 제761조 제2항의 관계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재정립하는 것이 형법의 보충성 내지 최후수단성에 부합하는 태도라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긴급피난을 민법상의 정당화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761조 제2항의 규정은 삭제하거나 혹은 원칙적으로 긴급피난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손해배상책임의 감면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개정함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e article 22 (1) of the Criminal Act states that “An act which is performed in order to avoid impending danger against the one’s own or another person’s legal interest shall not be punishable when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under the title of ‘Necessity.’ Being related to ‘Necessity,’ in addition, the Civil Act regulates ‘Self-Defense and Act of Necessity’ as article 761. The article 761 (1) states that “A person who, in order to protect his own interest or that of a third person against an unlawful act of another, unavoidably causes damages to another person shall not be liable for such damages: Provided, That the injured party may claim for damages in respect of the unlawful act” and the article 761 (2) states that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where a person unavoidably caused damages to another person in order to avert an imminent danger.” The rule for ‘Necessity’ is the article 761 (2), of course. Though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an act of necessity as a fact barring illegality which inhibits constitution of a crime, questions arise about forcing victims who have no cause attributable to the danger to bear the damages caused by an actor of necessity under civil law. There is a need to re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 Act article 22 (1) and the Civil Act article 761 (2)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points. First, a justifiable cause recognized in each individual law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ly within the scope of the individual law. Secondly, not only the criminal trial procedures and the civil trial procedures are strictly separated, but also the principles of criminal law and civil law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Last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pplementary nature of criminal law. In other words, criminal law should be applied as a last resort compared to other laws, including civil law. To conclude, the article 761 (2) of the Civil Act, which stipulates acts of necessity as a justifiable cause under the Civil Act, should be deleted or revised to make actors of necessity liable for damages in principle.

      • KCI등재후보

        청탁금지법 시행 5년의 의미와 평가

        김남욱(Kim, Nam-Wook) 한국부패방지법학회 2021 부패방지법연구 Vol.4 No.2

        2016년 9월 28일 시행된 청탁금지법은 이미 입법단계에서부터 사회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명확하게 ‘부정한 청탁’과 ‘금품등의 수수’를 금지하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부정한 청탁’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금지되는 행위를 상세히 나열(제5조제1항 각호)하고,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태양을 역시 나열하고 있으며(제5조제2항 각호),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 중 마지막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이다(제5조제2항제7호). 마찬가지로 ‘금품등의 수수’에 대하여도 그 원칙을 설시하고(제8조제1항,2항),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에 관하여 자세히 나열하면서(제8조제3항제8호),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 중 하나로서 ‘사회상규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 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제8조제3항제8호). 청탁금지법이 금지하고 있는 행위에 대한 예외로서 등장하는 이러한 ‘사회상규’의 개념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바로 본고의 작성이유이다.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에서 위법성조각사유의 하나인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서 등장한다. 그러나 판례에서는 사회상규의 개념이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민사판례에서는 주로 불법행위 손해배상사건에서 그 위법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회상규의 개념이 활용되었다. 이 경우 사회상규의 개념은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사회공동체의 건전한 법상식과 같은 법일반원칙으로서 기능하였다. 형사판례에서는 형법 제20조가 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위법성조각사유로서 기능하며, 법원은 특정행위가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성을 조각하는데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청탁금지법 문언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면,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라고 인정될 경우 구성요건해당성 자체가 부인되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이 경우의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와 달리 보아야 할 것인가가 문제되고, 그렇다면 민사판례에서와 같이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혹은 법일반원칙 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도 아니라면 새로운 의미의 사회상규가 등장하는 셈이다. 반면에, 청탁금지법 상 사회상규의 개념을 형법 제20조의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 해석한다면, 단지 주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이라거나 극단적으로는 불필요한 법률조항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청탁금지법상 허용되는 행위로서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가 실제로 문제되는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재판과정에서 사법부의 판단에 의하여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추상적 규범통제가 되지 않고 있는 우리법체계하에서 막연히 사법부의 판단만을 기다리는 것은, 청탁금지법과 같은 새로운 정책이나 법률의 입법자체를 무색하게 하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사법부의 판단에 앞서 청탁금지법의 해석에 필요한 몇 가지 단초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On 28 September 2016,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came into force. It was socially extremely influential, even before its enforcement. The Act explicitly prohibits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It provides what improper solicitations are in detail(Article 5(1)), and subsequently exceptions of them(Article 5(2)), the last one of which is “any other act deemed in accordance with social norms(Article 5(2)7).” Likewise, allowing receipt of money, good, etc(Article 8(3)) followed by what ban on receipt are exactly written(Article 8(1),(2)) and the last exception is upon money, goods, etc. permitted by other Acts, subordinate statutes, standards, or social norms(Article8(3)8). My quenchless curiosity is about what social norms are and how it is construed, this is the reason of the writing. The term of social rules(social norms) is found in the Article 20 (Justifiable Act) of Korean Criminal Act clearly. It(Justifiable Act) means an act which shall not be punishable because illegality is denied even if the act are prohibit by criminal law. An act permitted by social rules(social norms) is one of justifiable acts. Then, are both social rules(social norms) identical? I have researched several cas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are mainly used as criteria in the stage of deciding illegality in tort cases. In the cases, it can construe social common notions, average person’s idea, sound & common sense of the community. Whereas,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function as elements deny illegality of an act which is already consist of the prohibition in criminal cases, and Supreme Court has been extremely prudent. On the one hand, it seems not to consist of forbidden act from the beginning, if an act is determined to be permitted by social norms when in terms of the analysis upon the way of ban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literally. Then, as a result, the concept of social norms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one of Criminal Law are different each other although being of the sam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ncludes unnecessary provisions because it is a kind of criminal law and Article 20 of Korean Criminal Law apply every criminal case to determine guilty or not even though it is does not write down about social rule. This kind of issue will be addressed someday by the Supreme Court. I do provide some tips to help construe the Act prior to the decision of the Court because vaguely waiting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upreme Court can make the Act meaningless itself.

      • 청탁금지법의 적용과 사회상규

        이지은(Yi, Ji-Eun) 한국부패방지법학회 2018 부패방지법연구 Vol.1 No.1

        On 28 September 2016,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came into force. It was socially extremely influential, even before its enforcement. The Act explicitly prohibits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It provides what improper solicitations are in detail(Article 5(1)), and subsequently exceptions of them(Article 5(2)), the last one of which is “any other act deemed in accordance with social norms(Article 5(2)7).” Likewise, allowing receipt of money, good, etc(Article 8(3)) followed by what ban on receipt are exactly written(Article 8(1),(2)) and the last exception is upon money, goods, etc. permitted by other Acts, subordinate statutes, standards, or social norms(Article8(3)8). My quenchless curiosity is about what social norms are and how it is construed, this is the reason of the writing. The term of social rules(social norms) is found in the Article 20 (Justifiable Act) of Korean Criminal Act clearly. It(Justifiable Act) means an act which shall not be punishable because illegality is denied even if the act are prohibit by criminal law. An act permitted by social rules(social norms) is one of justifiable acts. Then, are both social rules(social norms) identical? I have researched several cas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are mainly used as criteria in the stage of deciding illegality in tort cases. In the cases, it can construe social common notions, average person’s idea, sound & common sense of the community. Whereas, the concept of social rules(social norms) function as elements deny illegality of an act which is already consist of the prohibition in criminal cases, and Supreme Court has been extremely prudent. On the one hand, it seems not to consist of forbidden act from the beginning, if an act is determined to be permitted by social norms when in terms of the analysis upon the way of ban improper solicitation and receipt of money, goods, etc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literally. Then, as a result, the concept of social norms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one of Criminal Law are different each other although being of the sam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ncludes unnecessary provisions because it is a kind of criminal law and Article 20 of Korean Criminal Law apply every criminal case to determine guilty or not even though it is does not write down about social rule. This kind of issue will be addressed someday by the Supreme Court. I do provide some tips to help construe the Act prior to the decision of the Court because vaguely waiting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upreme Court can make the Act meaningless itself. 2016년 9월 28일 시행된 청탁금지법은 이미 입법단계에서부터 사회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명확하게 ‘부정한 청탁’과 ‘금품등의 수수’를 금지하고 있다. 청탁금지법은 ‘부정한 청탁’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금지되는 행위를 상세히 나열(제5조제1항 각호)하고,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태양을 역시 나열하고 있으며(제5조제2항 각호),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행위 중 마지막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이다(제5조제2항제7호). 마찬가지로 ‘금품등의 수수’에 대하여도 그 원칙을 설시하고(제8조제1항,2항),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에 관하여 자세히 나열하면서(제8조제3항제8호), 허용되는 금품 등의 수수 중 하나로서 ‘사회상규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 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제8조제3항제8호). 청탁금지법이 금지하고 있는행위에 대한 예외로서 등장하는 이러한 ‘사회상규’의 개념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바로 본고의 작성이유이다.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에서 위법성조각사유의 하나인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서 등장한다. 그러나 판례에서는 사회상규의 개념이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민사판례에서는 주로 불법행위 손해배상사건에서 그 위법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회상규의 개념이 활용되었다. 이 경우 사회상규의 개념은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사회공동체의 건전한 법상식과 같은 법일반원칙으로서 기능하였다. 형사판례에서는 형법 제20조가 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위법성조각사유로서 기능하며, 법원은 특정행위가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성을 조각하는데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청탁금지법 문언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면,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라고 인정될 경우 구성 요건해당성 자체가 부인되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이 경우의 사회상규는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와 달리 보아야 할 것인가가 문제되고, 그렇다면 민사판례에서와 같이 사회통념, 일반인의 법감정 혹은 법일반원칙 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도 아니라면 새로운 의미의 사회상규가 등장하는 셈이다. 반면에, 청탁금지법 상 사회상규의 개념을 형법 제20조의 정당행위의 한 양태로 해석한다면, 단지 주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이라거나 극단적으로는 불필요한 법률조항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는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청탁금지법상 허용되는 행위로서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 행위가 실제로 문제되는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재판과정에서 사법부의 판단에 의하여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추상적규범통제가 되지 않고 있는 우리법체계하에서 막연히 사법부의 판단만을 기다리는 것은, 청탁금지법과 같은 새로운 정책이나 법률의 입법자체를 무색하게 하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사법부의 판단에 앞서 청탁금지법의 해석에 필요한 몇 가지 단초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역지불합의 관련 판결평석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2두24498)

        박종흔 ( Jong Heun Park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5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9 No.2

        특허권자인 신약 개발자가 자신과 특허 분쟁 중인 복제약 개발자에게 일정 대가를 지불하여 특허 분쟁을 종결하고, 당해 복제약 개발자의 시장진입을 일정 기간 지연하기로 하는 합의를 ‘역지불합의’라 하는데, 이 역지불합의에 대해 미국에서는 경쟁법 적용 면제 범위의 확정과 행위의 위법성(경쟁제한성) 판단이 일 단계의 분석(one step analysis)으로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적용 면제의 범위를 확정하기 위하여 합리의 원칙을 적용한 결과, 정당화되지 않는 경쟁제한적 효과가 존재한다면 그 범위에서 적용이 면제되지 않으며, 동시에 그 행위는 경쟁제한적(위법한) 합의로서 경쟁법 위반이 된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역지불합의에 대하여 사실상 경쟁법 적용 면제를 인정하지 않고 바로 경쟁법을 적용하되, 합리의 원칙에 의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독점규제법 제59조는“이 법의 규정은 저작권법, 특허법, 실용신안법, 디자인보호법 또는 상표법에 의한 권리의 정당한 행사라고 인정되는 행위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라는 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독점규제법에서는 적용 면제에 대해서는 제59조, 위법성(부당한 경쟁제한성) 판단에 대해서는 제19조 제1항이 적용되어 이 단계의 분석 (two step analysis)을 거치야 한다. 독점규제법과 특허법이 궁극적인 목적은 같고, 보완적인 성격 지닌다고 하더라도 특허법은 독점력을 부여하여 그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는 반면, 독점규제법은 독점을 규제하여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그목적에 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 법이 충돌할 경우 어느 법을 우선시킬 것인지는 입법정책에 달려 있다. 우리 법은 독점규제법 제59조가 있으므로 자유로운 경쟁보다 특허권을 더 보호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재산권의 정당한 행사 범위내에 있는 경쟁제한행위는 독점규제법의 적용면제 대상이다. A new drug developer who owns pharmaceutical patent rights for such drug and a generic drug developer may settle disputes between them by the new drug developer``s payment of a certain amount of compensation to the generic drug developer and the generic drug developer``s commitment not to enter to the mark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greed and such settlement is called as "Reverse payment settlement". In the U.S. in terms of Reverse payment settlement, ascertainment of exemption limits for application of Antitrust laws and judgment on illegitimacy of behavior (anti competitiveness) are synthetically made in one step analysis. In other words, to define the scope of exemption limits for application of the laws, the rule of reason will be applied and in a case that such application finds existence of any anti-competitiveness effects, application of the laws will not be exempted in such scope and the behavior in concern, as a anti-competitive (illegitimate) settlement, will be the violation of antitrust laws. In fact, the U.S. Federal Supreme Court has not acknowledged the exemption of application of Antitrust laws into Reverse payment settlement and requires the market to apply Antitrust laws directly but according to the rule of reason. However, Article 59 of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Monopoly Regulation Act") defines "This Act shall not apply to any act which is deemed the justifiable exercise of the right under the Copyright Act, the Patent Act, the Utility Model Act, the Design Protection Act or the Trademark Act." Therefore,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ct, two step analysis of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of Article 59 for consideration on exemption of application and an application of Article 19(1) for judgment on illegitimacy (unjustifiable anti- competitiveness) shall be applied. Although the Monopoly Regulation Act and the Korean Patent Act (the "Patent Act") share the ultimate goal and have complementary characters, the difference is that the Patent Act intends to realize its goal by authorizing a privilege to monopolize a market but the Monopoly Regulation Act regulates such monopolization and encourages free competition for achieving its goal. If there is any inconsistency between applications of the both Acts, prioritization between them will be made based on legislative policies. Korean regulation system protects patent rights more than free competition with Article 59 of the Monopoly Regulation Act. Therefore, any anti-competitiveness behavior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justifiable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ll be the subject to exemp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Act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The DNA Identification Act in South Korea: Issues of Justifiability and Efficacy

        ( Min Young Choi )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Law Vol.15 No.1

        The DNA Identification Act was enacted in South Korea in 2010 after a long series of discussions spanning 15 years. The DNA Identification Act deals with how to collect and use DNA samples from criminal suspects and how to retain the der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First, Part II of this paper describes the legislativ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DNA Identification Act, illustrating the conflict between different interest groups concerned respectively about public safety and individual freedoms. Part III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is Act to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policy in South Korea and discusses whether the DNA Identification Act is necessary by examining risk management policy as well as asking whether the expanded DNA database has an effect on crime prevention. Part IV analyzes whether the current Act is justifiable by focusing on its three legislative purposes: criminal investigation, crime deterrence, and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and reviews major issues of this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