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 웰다잉을 위한 법제 개선 방안 (2) — 장기・인체조직 기증을 중심으로 —

        이은상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4 행정법연구 Vol.- No.73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웰빙(Well-Being)과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삶의 마지막을 어떻게 잘 마무리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죽음의 질을 추구하는 웰다잉(Well-Dying)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고령자 연구의 하나로서 법학적 관점에서 웰다잉에 관한 주요 쟁점 분야 중 장기・인체조직 기증 제도에 관한 법제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장기기증은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율된다. 장기기증은 무상성과 자발적 의사에 의한 이웃사랑과 희생정신에 기반한 이타적인 행위로서 장기부전환자에게는 최후의 치료법이라는 점에서 장기기증 활성화가 필요하고, 그 기증자에게는 정당한 예우가 제공되어야 한다. 장기기증의 유형은 뇌사자의 기증, 사망자의 기증, 살아있는 사람의 기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뇌사자나 사망자의 기증은 비록 본인의 장기기증 동의가 있었더라도 가족 또는 유족의 명시적인 거부가 있으면 장기기증이 이루어질 수 없어 본인의 자기결정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인체조직 기증은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율되는데, 장기기증에 관한 법체계・규율 내용과 유사하면서도 구체적으로는 기증 대상과 시기, 이식 시기와 요건 및 제한 등에서 차이가 있다. 고령자는 상대적으로 죽음을 더 가까이에 두고 있고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장기등 기증에 관하여 진지하게 논의를 할 수 있으며, 기증희망이 실제 장기기증 및 이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특색이 있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장기기증자 평균 연령이 상승하는 추세인 점도 고령자 장기기증 제도의 운영과 개선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고령자 본인의 장기・인체조직 기증 의사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격권에 기반한 생전의 자기결정권 행사로서 최대한 존중되어야 하고, 장기 적출 거부에 관한 가족・유족의 자기결정권은 기증자 본인의 진정한 의사와 뜻을 존중하여 사망과 관련된 결정을 할 권한과 의무가 가족・유족에게 있다는 내재적・본질적 한계가 인정된다. 따라서 고령자 본인의 의사를 넘어서 가족이나 유족이 명시적으로 거부하여 장기・인체조직의 적출과 기증이 중단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현행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22조 제3항 제1호 단서 규정과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 제1호 단서 규정은 법・제도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고령자 장기・인체조직 기증에 관한 법・제도적 개선 사항으로서 고령의 장기기증자에 대한 충분한 예우와 유족 지원의 강화, 장기・인체조직 기증에 관한 고령자・가족 대상의 죽음 교육 내용의 보완 등을 검토하였다. As a part of research on the elderly’s well-dying from a legal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seek improvements regarding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system. The Organs Transplant Act regulates the donation of human organs and certain tissue. This Act prescribes matters concerning the donation of organs, etc. and matters necessary for the removal and transplantation of organs, etc. of a persons. The Donation of human tissue that is not subject to the Organs Transplant Act is governed by the Safety and Management of Human Tissue Act. Although the two laws are similar in terms of the legal system and regulations regarding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object and timing of donation, and timing, requirements and restrictions of transplantation. Because the elderly are relatively close to death, they seriously consider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or transplantatio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death, and their wills or wishes are more likely to lead to actual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he average age of organ donor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due to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s paper reviews ways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regarding the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First, the concept of well-dying and the scope of research were established to discuss the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system from a legal perspective. Next,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laws and operational status regarding the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Based on thes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of the do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s well-dying. Specifically, the following four points are suggested: a)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improve family consent requirements to ensure maximum respect for the donor's will; b) sufficient courtesy or respect for donors and strengthening of support for bereaved families; c) supplementation of death-related education content for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regarding human organs and tissue donation; d) and expansion of the scope of donors.

      • KCI등재

        인체조직 기증·이식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김지혜(Kim, jihye)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1 생명윤리정책연구 Vol.5 No.1

        In our country, though imported tissue substances for transplantation have a great deal of shortcomings in terms of cost and safety, rate of dependence on imports is much higher due to lack of donation. And, such problems have been raised continually on ethical aspect in the process of tissue procurement, commercialization of transplantation substances and safety of transplantation. However, there aren’t enough public institutions and systems to support, direct and supervise donation•transplantation of the tissue in order to activate present tissue donation, ensure morals and transparency of the transplantation process, improve safety and quality of transplantation substances. First, this study intended to inspect the present issues on the legal system of tissue donation •transplantation. Second, it examined WHO Guiding Principles on Human Cell, Tissue and Organ Transplantation with tissue management systems of American network type and British centralized control type. Finally,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it derived improvements on the legal system of tissue donation•transplantation manage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Donation Improvement Program in Korea

        Su Jin Heo,Yong Ho Ju,Eun Jeong Noh,Kyoung Min Kim,Yu Kyoung Son,Sun Woo Jung,강현진,Jung Rim Lee,조원현,하종원 대한이식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Vol.35 No.2

        Background: The Donation Improvement Program (DIP) is intended to increase organ donation at hospitals. The program includes educ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of participating hospitals about each step of donation as well as evaluation. The DIP consists of medical record review (MRR) and a Hospital Attitude Survey (H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P results for the last 7 years. Methods: For MRR, we analyzed 58,385 cases of mortality from 77 hospitals between 2012 and 2018. The HAS data for the degree of education experience, competence, and knowledge related to brain death (BD) and donation were analyzed from 23 DIP-participating hospitals in 2012 and 51 DIP-participating hospitals in 2015 and 2018 each. Results: The recognition rate of potential BD was 24.9%, 61.3%, and 73.2%, and donation rate was 7.5%, 11.7%, and 15.8% at 6 months before, 1–2 years after, and 4–5 years after the agreement, respectively. Hospital staff with the necessary competence or knowledge to explain BD constituted 44.0% in 2012, while this increased to 62.8% in 2018. Conclusions: The DIP could increase the recognition of BD and the organ donation rate, and positively affect the attitud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ward organ donation. Spreading the DIP to all hospitals is urgent to increase organ donation.

      • KCI등재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박민애,윤영섭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체조직기증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설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U시에 위치한 간호학전공 대학생 75명 으로 실험군 38명, 대조군 37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연 령 22.39±0.75세, 여성이 84.2%였으며 두 군간 일반적 특성과 사전자료 모두 차이가 없었다. 결과변수인 지식 (F=-8.921, p<.001), 태도(F=-5.414, p<.001), 죽음에 대한 인식(F=-3.075,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간호대학생 교육 중재가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의료인뿐 아니라 타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 적용할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만 인체조직기증 문화의 정착과 안정 이 확고해 질 것이다. 또한 보건의료 캠페인 및 공공 교육기관에서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on human tissue donation for nursing studen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human tissue don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5 nursing students located in U city, 3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The average age was 22.39±0.75 years old, women 84.2%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 data between the two groups. Knowledge (F=-8.921, p<).001, Attitude (F=-5.414, p<).001, perception of death (F=-3.075, p=).004)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nursing students developed to promote human tissue don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human tissue donation. When programs to be appli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not only medical personnel but also experts in other fields must be developed,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ty of the human tissue donation culture will be solidified. It is also suggested that health care campaigns and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개정에 대한 일고찰

        이현아(Hyun A Lee),김명희(Myung-Hee K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7 생명, 윤리와 정책 Vol.1 No.2

        이 글은 장기이식레지스트리 구축을 골자로 하는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의 개정내용을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장기이식레지스트리와 관련해서 독일은 2016년 법 개정 이전까지 탈중앙화된 관리체계를 가졌다는 점에서 이미 중앙화된 레지스트리를 운영하고 있었던 우리나라보다 약간 늦은 발걸음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법의 개정을 통해 구축되는 독일 장기기증레지스트리의 몇 가지 사항은 제4차 산업혁명으로까지 일컬어지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속에서 의료영역에서의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의 취급과 관리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우리나라 장기이식레지스트리관리체계 개선에 시사점을 주는 부분이 있다. 이 글은 장기이식레지스트리 전담관리기관의 설치, 이식 관련 개인정보와 의료정보를 암호화하는 전담기관의 설치, 이식의료데이터의 사용처 및 사용목적의 적시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러한 독일의 법개정 내용을 상세히 정리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revision of German 「Act on the Donation,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of Organs and tissues」in 2016, which concerned with the construction of a centralized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y. Regarding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ies, Germany had a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before the amendment of the law in 2016, and it showed a slower pace than Korea, which had already run a centralized registry. However, there are some points related to the German transplantation registry, which ha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gistry management system in Korea, because the handling and protection of personal and medical data in the transplantation medical field is becoming a hot issue in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ICT or in facing so 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article details the revision of the German Ac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pecialized Agency for the management of transplantation related data (Transplationsstelle),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authority for encrypting personal and medical data (Vertrauenstelle), and Specifying the organizations and the purpose by and for which it is allowed to use the accumulated data in the regist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손미숙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19 No.3

        이 글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장기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법체계의 정비에 필요한 비교법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장기 이식과 대조해 보면 인체조직 이식에 관한 독일 법제도를 소개하고 분석한 연구는 아직 우리나라에는 전무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입법은 그 체계의 완결성과 정교함 때문에 이미 우리 법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비교법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체조직 기증자의 의사를 가장 잘 반영하고, 수혜자에게도 공정성과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정당한 법제도의 모색을 위해 독일법을 검토하는 것은 두 나라가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배경이나 의료보험체계 등의 상이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장기 및 인체조직 법체계의 새로운 입법작업을 위해서도 좋은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글은 독일의 인체조직이식에 관한 법규정의 전체적인 그림을 조망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인체조직 기증에서 이식까지의 일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법적이고 의료실무적인 모든 내용을 문화인류학적이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은 이 논문의 범위에서는 불가능하고, 이것은 오히려 광범위한 연구서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문에서는 먼저 독일의 인체조직이식을 장기이식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다음 인체조직이식의 법적 토대가 되는 중요한 두 법률인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약칭하여 이식법)과 <의약품 유통에 관한 법률>(약칭하여 의약품법)을 분석하고 있다. 전자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인체조직의 기증에 관한 동의, 조직기관과 의료공급기관의 인체조직 채취, 검사, 기록, 추적 및 조직의 거래금지 등 법적인 문제에 관한 것인데 비해, 후자에서는 조직채취기관, 검진실검사, 조직이나 조직조제의 처리나 가공에 대한 허가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and introduces the legal regulation of human tissue transplantation in Germany, to get a legal comparative basis. Human tissue is today very important element of medical care and can rescue the life of seriously ill people or substantially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So tissue donation and tissue transplantation wins more and more meaning in the legal regulation as well as in the reality. In Korea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legal regulation of human tissues transplant in Germany. The German judicial system has big influence in Korea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mparative legal research. Because the German legal system is known as a systematical and well thought-out system.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two import laws in the area of German tissue transplantation, so German Transplantation Act (TPG), German Pharmaceuticals Act (Arzneimittelgesetz). In the course of the directive 2004/23/EC oft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31 March 2004 on setting standards of quality and safety for the donation, procurement, testing, processing, preserv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human tissues and cells, a new act on human tissue donation was implemented in the German legislation in May 2007. The act came into force on August 1st 2007. The Act regulates safety and quality standards for the donation, retrieval, storing and distribution of human tissues and cells. As a result of this Act many contents about tissue transplant were regulated in different Acts. In this text only two important Acts (German Transplantation Act, German Pharmaceuticals Act) are treated substantially.

      • KCI등재

        건강데이터 기증 및 공유의 윤리적 접근: 인체유래물 기증 절차를 참조하여

        차현재,김준혁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2 생명, 윤리와 정책 Vol.6 No.2

        Although there is a strong demand to utilize health data in the context of the data economy, there is also a strong push to protect health data for privacy reasons, which has a long history. In order to both utilize and protect health data, it is important to place it within a specific management framework. However, the current discussion about health data usage has primarily centered on the legal basis of its availability. Based on the sim- ilarity between human tissue and health data,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human tissue donation procedure can be used in the health data donation and sharing procedure. First, we outline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current procedures for human tissue donation and review the recent discussion on posthumous health data donation to exam- ine whether it can be used to share health data when the data subject is still alive. Here, it is necessary to revise or modify the human tissue donation procedure in order to make it appropriate for health data donation and sharing. To this end, the paper reviews the cell-line case to examine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health data donation and shari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paper calls for the implementation of governance for health data donation and sharing based on social recognition and the right to control health data by parties involved in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활용에 관한 법적 규율

        이정념(Lee, Jungnyum)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5 No.-

        독일 조직법은 인체 조직과 세포 등을 다루는데 있어 이식법, 의약품법, 수혈법 등을 개정함으로써 이들의 기증, 채취, 가공, 보존, 검사, 보관, 유통 등을 위한 다양한 법적 절차를 마련해 두고 있다. 이는 독일에서 그만큼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인체 조직과 세포 등의 기증에 관한 법적 절차를 명확히 하여 최대한도로 이들의 질을 확보하고 안전장치를 갖추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인체 조직을 기증받고 이를 채취, 이식, 보관, 분배하는 등의 행위는 무엇보다도 기증자의 숭고한 기증정신을 중심에 두고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관리에 관한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담고 있는 독일 조직법의 입법 배경 및 논의 과정, 주요 내용 그리고 관련 기관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The Act on quality and safety of human tissues and cells〉 in Germany has many provisions which deal with the donation and practical use of human tissues and cells. It shows that German legislators make an effort to control strictly the donation, procurement, preserv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etc. of human tissues and cells under clear legal grounds, so that they ensure the quality and safety of human tissues and cells. According to the donation spirit of donors, human tissues and cells should be clearly donated, procured and distributed, it is not for the users of the donated human tissues and cell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egislative background, discussion and main contents of 〈The Act on quality and safety for human tissues and cells〉 and related institutions in Germany. This article is meaningful as a preceding research for the further discussion to enhance the legal system of donation, procurement, preserv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etc. of human tissues and cells in South Korea.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최화영,김미예 경북대학교 간호혁신연구소 2012 경북간호과학지 Vol.16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e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Method: In this descriptive study, a total of 670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6 nursing colleges. They had taken nursing ethics course(3 credit hours) and clinical course in D city and the K-DO region.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6, 2011 to June 8, 2011. Result: The average point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as 2.94, and the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as 3.7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r=.199, p<.001). Conclusion: Nursing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human tissue donations and transplantations. Also the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s nursing students sh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