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国产品责任赔偿范围研究 - 以侵权责任法与判例为研究視角 -

        서세걸,박규용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4

        Chinese Tort Liability Law, which was enacted in 2010, has a great influence to the Chinese tort liability system, including the products liability. Before Tort Liability Law, the adjustments of product liability laws are General Principles of the Civil Act, Consumer Protection Law, Product Quality Law and so on. These law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tecting the rights of victims, but still not enough. The execution of Tort Liability Law became an important role as a complementary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After the Tort Liability Law, Consumer Rights Protection Law was amended; Food and Drug Judicial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People’s Court has also been announced to take effect in March 15, 2014.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impact of these laws and judicial interpretation on the Tort Liability Law and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gulations and Product Quality Law, other judicial interpretation,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of product liability and calculation of damages. The scope of tort liability damages includes physical damage, property damage and mental damage. But there is special damage in product liability damages, which is punitive damage. Firstly, with the price of product increasing, whether the victims can receive the compensation for the defect product in the tort litig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Secondly, Tort Liability Law determined the scope of the physical damage, but there still remains some conflicts with other regulations. Finally, punitive damage is the characteristic in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This paper will study on the above matters and some related cases, and be used to the previous reference for comparative study of China and Korea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중국은 권리침해책임(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법체계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권리침해책임법을 2010년 7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이 법은 제조물책임 분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권리침해책임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제조물책임을 규율하는 법률로서 민법통칙, 소비자권리보호법, 제조물품질법 등이 피해자인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나, 여기의 규정들만으로는 피해자를 충분히 보호하기 어렵다는 한계에 직면하였다. 권리침해책임법의 시행은 제조물책임에 관한 법체계를 보완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였는데, 이 법이 시행 된 후 새로 개정된 소비자권익보호법이 2014년 3월 15일 시행되기 시작하였고, 최고인민법원의 ‘식품약품사법해석’도 공포되어 효력을 갖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법률들이 권리침해책임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제조물책임에 따른 손해배상체계에 어떠한 작용을 일으킬 것인가, 그리고 배상범위의 확정 및 배상금액의 계산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권리침해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의 유형은 재산손해, 신체손해 및 정신적 손해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조물책임에는 특수한 손해배상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이 포함되어 있다. 권리침해로 인한 소송에서는 기계설비 등과 같이 제조물의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결함제조물 자체의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는가의 여부가 우선적 관심사가 될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권리침해책임법 제41조의 손해가 결함제조물 자체의 손해를 포함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우선 검토해야 한다. 한편 중국 제조물책임규정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의견의 대립은 치열하지만, 중국 제조물 책임의 발전, 그리고 피해자의 보호를 강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제조물책임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은 전보배상의 보충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손해배상체계에서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되고 있으며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영역이다. 구 소비자권익보호법에서도 징벌적 손해배상이 규정되어 있었으나, 그 성질에 관한 논의가 끊이지 않으면서 실제 적용에 문제점들이 많이 들어났다. 새로 제정된 권리침해책임법 제47조는 권리침해책임체계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확립하고 구성요건도 명확히 하였으나, 적용을 위한 생산자의 주관적인 요건을 엄격히 정하였고, 징벌적 배상으로서 그 금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배상액의 산정방식을 규정하지않아, 징벌적 손해배상규정이 적용될 가능성은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는 달리 2014년 3월 15일 새로 시행된 소비자권익보호법은 제55조에 2개의 항목을 두어 징벌적 손해배상의 산정방식을 구체화하였고, 식품약품사법해석은 생산자의 주관적인 요건을 완화함으로서 피해자의 보호를 한층 강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결함제조물 자체의 손해로서 재산손해 및 신체손해와 정신적 손해의 배상범위를 기술하고, 중국 제조물책임의 특징이라 할수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또한 제조물책임에 따른 손해배상에 있어서 중국 법원의 판결을 소개하여 중국 입법기관이 구체화해야 할 내용을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Legislative Perfection of the Application of Law System for Foreign-Related Products Liability in China

        ( Ding Li Ming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09 과학기술법연구 Vol.14 No.2

        During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global economy, the contacts between countrie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trade becoming more and more frequent. In the meantime, the number of issues on products liability between nations rises sharply as well.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of consumers, clos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roblems on products liability in all the countries. However, the regulations on products liability are very different because of the different legal systems they belong to, and there diversified background of politics and economy. These differences lead to conflict of laws among the nations inevitabili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their choice of law rules for products liability. In China, There are no special choice of law rules on foreign? related products liability in “Product Quality Law”, stipulations concerning products liability can be traced to article 146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Civil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law of the place where an infringing act is committed shall apply in handling compensation claims for any damage caused by the act”. Comparing with the legislation on Products liability in developed countries, these regulations are obviously over simple and lack of manipuility. It is time to make som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the prevailing method for resolving products liability conflicts in China was to apply the law of the country in which the injury occurred (the lex loci delicti rule), without regarding to the content of that law.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d some research and analyzed the deficiencies of the application of law system on products liability legislation in China by comparing with the similar provisions of some other countries and the Hague Convention. At the present time, the shortcomings of the relative laws in China are: a. Legislative structure is unreasonable and can not meet the real needs. b. The existing careless conflict rules and the undistributed legal norms make judicial practice into certain difficulties. c. The conflict rules are not scientific, rational and adaptative. Suggestions on how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also provided in this paper. The author recommend that law?makers in China should borrow ideas from foreign legislation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s, absorb valuable experiences from them, and research how to make them work significantly in China`s specific circumstance. China should apply the doctrine of partition to regulate the rule of conflict. The author proposed a draft clause aiming at the choice of law rule on the international products liability in China that is to divide an international products liability case into “liability” and “damages”. Different rules of conflict should be applied to different parts.

      • KCI등재

        加工水産資源의 利用과 消費者保護에 관한 小考

        소재선,임종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경희법학 Vol.46 No.3

        Fisheries Products imports of South korea were raised to market risk due to Fukushima nuclear power crisis in Japan. The legislation of product liability in South Korea has put in operation since July 1, 2002.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applications of Products Liability of Fisheries Products. Fisheries products belonging to the 1st Industrial is not included in the Product Liability. But the general fisheries processing applies to Product Liability. At present, our product liability based on the heating process, seasoned, salted,smoked, powdering, extract juice and canned. South Korea has signed an FTA with many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necessary to import or export of fisheries products. It’s checked for consumer protection the applications of Products Liability. The European Union, France and German law on Products liability extend Products to the Fisheries. The Products liability Restatement pulished by American Law Institute 1998 apply to Products Liability of Fisheries products. Norway and Finland, at the time of enact a law the product liability, are included Fisheries in the area of intellectual property. With the world change checked standard to fisheries products processing. Living Modified Organisms(LMO) is called the crops produced by genetically modified technology. But many NGO are worried about a potential danger to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Living Modified Organisms has a characteristic thing with a few merit and a veriety of risk. Article 2(1) of product liability provides that product mean manufactured or processed moveables including other moveables or a apart of immoveable properties. in other words, Living Modified Organisms nes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products by legal provisions. The result is desirable to broade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word “products.” This is desirable to consumer protection. Therefore, the Fisheries Products is necessary to expand the criteria. This is also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our fisheries resources and protection of consumers.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인해 우리의 수산물 수입시장에 위험이 발생하였다. 2002년 7월 1일에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연구는 수산물이 제조물책임법으로 다루어질 수 있냐는 문제를 다루는 것에 의미가 있다. 우리의 제조물책임법에서 제조물의 정의에 대해 동산이나부동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 제조 또는 가공된 동산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제1차 산업물인 수산물에 대해서는 제조물로 포함하고 있지 않다. 현재우리의 제조물책임법에서는 가공의 기준으로 가열, 조미, 절임, 훈제, 분말화, 즙짜기, 통조림가공을 보고 있다. 그러나 세계화의 물결에 따라 각국의 국경이 없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국내로 수입되는 수산물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실정이다. 즉 우리가 세계 각국과 FTA를 체결하게 됨에 따라 우리의 수산물의수출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수산물 역시 우리의 시장으로 수입해 들어오게됨에 따라 소비자의 보호를 위해서 제조물로의 적용을 검토해 볼 단계인 것이다. 이미 유럽연합의 경우 EC지침에 따라 각국의 제조물책임법에 수산물을 제조물로 적용하였거나 적용하려고 준비 중이며 미국의 리스테이트먼트에서 역시 제조물로 파악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 역시 EC지침의 개정에 따라 제1차 산업분야즉 미가공 수산물에 대해서도 제조물로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노르웨이와 핀란드는 제조물책임법을 제정할 당시부터 수산물을 제조물의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이러한 세계의 변화에 따라 수산물의 가공에 대한 적용기준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전자변형 수산물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조물책임법으로 적용문제를 다루었다. 유전자변형 수산물이란 유전자 조작 기술을 통해 만든 수산물을 말한다. 유전자조작 기술은 미래의 식량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조작은 소비자들에게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위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변형 수산물에 대한 유용성과 더불어위험성도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즉, 유전자변형수산물에 대해서도 제조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수산물의 경우도 가공된 수산물과 미가공된 수산물은 물론 유전자변형수산물까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이 소비자의 보호라는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수산물의 경우 가공된 수산물의 기준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제조물책임의 영역에 미가공 제1차 농수축산물을 제조물로 확대한 개정한 여러 국가들처럼 우리 역시 검토해 봐야 한다고 보아진다. 이는 우리의 수산자원의 보호 및 소비자의 보호를 위해서도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製造物責任紛爭을 위한 ADR(재판외 분쟁처리)제도의 활성화 방안

        延基榮(Yeun, Kee-Young)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法學論文集 Vol.32 No.2

        Strict products liability is liability in tort for harm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without any necessity for the plaintff to show fault on the part of the defendant. The American Greenmann v. Yuba Power case is of major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Srict Liability doctrine for the defective product. After this case, most American jurisdictions have adopted the verson of strict tort liability contained in section 402A of the Restatement (Second) of Torts which was first drawn up by the American Law Institute in 1965. Propsals for a European Community Diretive on Products liability were first considered in the 1970s and after slow progress, finally led to the adoption by the Member States of the present Directive in 1985. The Directive provides in its first article that 'producer shall be liable for damage caused by a defect in his product'. This Directive was the first significant attempt to achieve the harmonisation of an area of private law at Community level. Now, All Member States of EU have adopted legislation incorporating the Directive into their national legal systems. Jananese Product Liability Act 1994 and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1999 have adoped the strict liability doctrine as well as EC Directive 85/374 and the American Restatement of Tort 1965. For the resolution of products liability cases, many countries use ADR system. Especially with the introduction of strict liability, many dispute resolution centers in the field of product liability have been set up and begun opertions in Japan. ADR has the potential of being guick and less expensive in the procedural phase. ADR is easily accessible to the parties and removes various impediments in access to legal remidies. In Japan, there are two types of ADR organizations for Products Liability. One is that of the national Consumer Center and local Consumer Centers, which deal with product complaints, the other is that of the Product Liability Centers that take care of extended damages and harm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Many Producers tend to think that such compromise is not un reasonable for maintaining their reputation and goodwill, partly because the monetary amount in dispute with consumers is often very small. PL centers can be appreciated as an attempt to build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fair resolution of disputes, based on law and facts, by providing a new and scientifically natural service for investigating the cause. Final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a new ADR system focusing on the Japanese organizations for the products liability disputes(PL centers and Cause Investigating Organizations).

      • KCI등재

        中國産品責任賠償範圍硏究 -以侵權責任法與判例爲硏究視角-

        ( Shi Jie Xu ),( Kyu Yong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4

        Chinese Tort Liability Law, which was enacted in 2010, has a great influence to the Chinese tort liability system, including the products liability. Before Tort Liability Law, the adjustments of product liability laws are General Principles of the Civil Act, Consumer Protection Law, Product Quality Law and so on. These law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tecting the rights of victims, but still not enough. The execution of Tort Liability Law became an important role as a complementary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After the Tort Liability Law, Consumer Rights Protection Law was amended; Food and Drug Judicial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People`s Court has also been announced to take effect in March 15, 2014.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impact of these laws and judicial interpretation on the Tort Liability Law and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gulations and Product Quality Law, other judicial interpretation,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of product liability and calculation of damages. The scope of tort liability damages includes physical damage, property damage and mental damage. But there is special damage in product liability damages, which is punitive damage. Firstly, with the price of product increasing, whether the victims can receive the compensation for the defect product in the tort litig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Secondly, Tort Liability Law determined the scope of the physical damage, but there still remains some conflicts with other regulations. Finally, punitive damage is the characteristic in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This paper will study on the above matters and some related cases, and be used to the previous reference for comparative study of China and Korea product liability legal system.

      • KCI등재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의 제조물 결함에 대한 고찰 - 민법의 관점에서 -

        고세일 한국경영법률학회 2024 經營法律 Vol.34 No.2

        미국법률협회(American Law Institute)가 제조물책임 보통법전집(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을 마련한 뒤에 여러 국가에 제조물책임 법리에 대해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또한 현행 제조물책임법도 여러 측면에서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의 영향을 받았다. 이 논문에서는 제조물결함과 관련한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 제1조와 제2조를 중심으로, 해당 법리의 역사적 배경과 실제 운용하는 측면, 구체적인 사례에서 우리 법제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은 제조상 결함뿐만 아니라, 특히 설계상 결함과 표시상 결함에 대해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그런 면에서 현행 제조물책임법이 적용될 때의 여러 기준과 요소에 대해서 제시하는 바가 크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II에서는 제조물 결함에 따른 판매업자의 책임 법리를 살핀다. III에서는 제조물 결함의 종류에 따른 책임 법리와 여러 운영 요소를 고찰한다. IV에서는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에서 고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논문에 결론을 맺는다. 미국 제조물책임 보통법전집은 무과실 책임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제조물책임 보통법전집 제1조와 제2조의 운영과 여러 가지 판단 요소를 살펴보면, 그 이면에서는 위험과 효용성이라는 합리성 판단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과실 책임이라는 원칙에서 출발하지만, 무과실 책임을 실제 운영하는 측면에서는 과실책임과 비슷한 측면의 합리성 기준으로 여러 요소와 함께 쓰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제조물책임은 전적으로 무과실 책임은 아닌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1998년에 만들어진 미국 제조물 보통법전집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또 다른 전환점을 맞고 있다. 그것은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공지능 책임에 대한 근거로서 제조물책임을 부과하려는 시도가 그러하다. The American Law Institute’s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product liability in many countries. Current Korean product liability law has also been influenced in many ways by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This article focuses on sections 1 and 2 of the U.S.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explo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statement, its practical applic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our legal system in specific cases.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offers a different perspective on not only manufacturing defects, but also design defects and inadequate instructions or warning defects. As such, it has a great deal to say about the different standards and elements of product liability law. This article is organized into four parts. Part II examines the law of sellers’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Part III examines the law of liability and operative factors for different types of product defects. Part IV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The American product liability law operates under strict liability.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operation of sections 1 and 2 of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s Liability and the various elements of the test reveals that, behind the scenes, there is a rational test of risk and utility. Therefore, although it starts from the principle of strict liability, in terms of actual operation, strict liability is used as a standard of reasonableness similar to negligence, with various factors. In that sense, product liability can be characterized as not entirely strict liability. The 1998 Restatement of Products Liability in the United States is at another turning point as times have changed. As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developed, many attempts to impose product liability as bases for AI liability. In this respect, the Restatement (Third) of Product Liability works in this new area as well.

      • KCI등재

        개정 제조물책임법에 관한 소고

        이경미,황경웅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文集 Vol.43 No.1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the types of accidents caused by product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and the scale of damage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according to the existing Product Liability law, the manufacturer liability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defects is defined,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product safety liability law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afety of people's lives and contributing to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e purpose of enactment. For this reason, the Product Liability law was revised. The revised Product Liability law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troduced the punitive damages system that has been constantly introduced and discussed. Although the punitive damages system recognizes deficiencies by calculating the cost of trying to eliminate defects in the product and by calculating the economic cost of distributing defective products to the victims, I think it is a very useful system because it punishes the act of distributing the product as it is to the market and deters it. In addition, the obligation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manufacturing manufacturer to the supplier in the form of erasing the liability only if there is a cause for the existing supplier, and if the supplier violates these obligations, , Which seems to reflect the willingness to double protect the victim. In addition, we have added a rule to estimate that a product has been defective if the victim prove a few facts, which I think is a meaningful rule to mitigate the difficulty of proving a product defec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duly burdensome to prove to the victim that the manufacturer has not taken the necessary measures despite the knowledge of the defect in the product. In addition, the issue of proof that the exemption from liability of the supplier liability is so simple that it can be ensured, that it is desirable to give the supplier the same responsibility as the manufacturer, and that the product does not normally occur in the absence of defect It seems to remai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olve such problems when revising the Product Liability Law later,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search for introducing a collective dispute settlement system and restrictive enforcement of product liability insurance for more effective victim relief .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제조물로 인한 사고의 유형이 점차 다양해지고, 그 피해의 규모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기존의 제조물책임법에 의하는 경우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물책임법의 제정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조물책임법을 개정하게 되었다. 개정 제조물책임법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도입 논의만 있어왔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제조물의 결함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결함이 있는 제조물을 그대로 유통시켜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을 해주는 것 중 어떤 쪽이 경제적인지 계산하여 결함이 있음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조물을 그대로 시장에 유통시키는 등의 행위를 처벌하여 이를 억지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제도라고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공급업자에게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책임을 지우는 형태에서 공급업자에게 제조물 제조업자의 신원을 확보할 의무를 부담시키고, 이러한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과실이 없는 경우라도 책임을 지도록 공급자 책임을 강화하였는데, 이는 피해자를 이중으로 보호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몇 가지 사실을 입증하는 경우 제조물에 결함이 있었음을 추정하는 규정을 추가하였는데 이는 기존 제조물 결함 입증의 어려움을 완화시켜준 유의미한 규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자가 제조물의 결함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것을 피해자에게 입증하도록 하는 것은 지나치게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자 책임의 면책요건이 매우 간단하여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공급자에게 제조자와 동일한 책임을 지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제조물의 결함이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후에 제조물책임법을 개정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보다 효과적인 피해자 구제를 위하여 집단분쟁해결제도의 도입과 제조물책임보험의 제한적 가입강제화 등의 도입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EU의 생산물책임법의 역내 이행

        김두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법학논고 Vol.0 No.31

        In these days, the issues of product liability and product safety have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uropean Union. Council Directive 85/ 374 seeks to approximate the law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the liability of producers for damage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Specially, the Directive introduces a system of liability without fault. And under EP/Council Directive 99/34 the primary agricultural product wa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oduct liability Directive. Therefore the exten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Directive to include primary agricultural products would merely constitute a complimentary measure. The strict liability regime to cover primary agricultural products will act as an incentive to the placing of safe, healthy, high quality food products on common market of the EU. In recent several cases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pointed out the product liability Directive prevented Member States from establishing strict liability laws which provided for greater liability than prescribed by the product liability Directive. But, there are necessities to revise the provisions such as the financial limits of 500 Euro and the development risks defence. The other side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covering accountability for damage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is very encouraging in the unification process of european private law. Lastly, if Korea-EU FTA conclude, Korea must give attention to understand the product liability law of the EU. 소비자들은 ‘1차 농업생산물’을 포함하는 생산물의 안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유럽에서는 1990년대 후반 영국의 광우병과 벨기에의 다이옥신오염과 같은 사건으로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를 위한 ‘책임제도’의 도입 및 강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경험하였다. 이로써 EU는 ‘1차 농업생산물’이 포함된 생산물에 대한 ‘엄격책임’의 체계를 확립하여 역내시장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건강에 좋고 고품질인 식품 생산물의 제공을 촉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침 85/374와 지침 99 /34에 의해 확립된 ‘생산물책임 체계’의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1999년 7월 28일 ‘생산물책임에 관한 그린페이퍼’에서 강조되었던 최소손해액 500유로, 개발위험의 항변, 공급자책임의 한도와 같은 문제들이 잔존하고 있다. 특히 ECJ의 주요 판결 이후에는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특히 GMO의 안전성문제와 관련하여, 만일 식품안전의 문제가 먼 미래에 발견된다면, 현재는 ‘개발위험의 항변’이라는 면책수단에 의해 생명(생물)공학 산업이 과연 그 책임을 회피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물책임지침에 의해서 확립된 ‘엄격책임’ 체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지침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결함 있는 생산물에 대한 책임 외에도 수많은 사법 영역을 다루고 있는 EU의 공동참조기준초안(DCFR)은 EU사법의 통일적 적용에 있어서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EU의 생산물책임법은 한-EU FTA의 발효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플랫폼 사업자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

        박지흔 ( Park Ji-heu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法과 政策 Vol.26 No.2

        현대사회는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상거래가 일상화되었고, 그 규모는 오프라인 거래량을 넘보고 있을 정도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COVID-19 전염병의 유행으로 그 성장세가 주춤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비대면 거래의 증가로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플랫폼 사업자는 제조물의 유통에 있어 시장지배적 지위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을 정도로 거대해졌고 그로인해 시장지배력남용, 경제력집중, 불공정거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규제하기 위한 다각도의 입법논의가 있다. 그 중 하자있는 상품의 유통과 관련하여 전자상거래는 비대면 거래 형태로 입점업체와 플랫폼 사업자, 개별 소비자로 연계되는 시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이해관계가 복잡하며 여러 단계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피해 구제가 문제된다. 소비자는 개별 제조업자의 신용도와 무관하게 실제 상품의 구매ㆍ결제ㆍ배송ㆍ교환ㆍ환불 등의 모든 과정을 처리해 주는 플랫폼 사업자의 신용을 신뢰하여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그런데 플랫폼을 통해 거래된 상품의 하자로 인해 확대손해가 발생한 경우 상품의 확대손해에 대한 책임을 규정한 현행 제조물책임법에 의하면 소비자에게 제조물의 결함으로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제조업자, 가공업자, 수입업자는 1차적인 제조업자로서의 제조물책임을 부담한다. 다만 해당 소비자가 제조물의 제조업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그 제조물을 영리 목적으로 판매ㆍ대여 등의 방법으로 공급한 자도 제조물책임을 부담하나 소비자측의 요구에 의해 상당한 기간 내에 그 제조업자 또는 공급한 자를 고지(告知)한 때에는 책임을 면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제조물책임법에 의하면 플랫폼 사업자는 제조업자, 수입업자, 판매ㆍ대여 등의 방법으로 공급한 자에 포함되지 않아 제조물책임을 물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제조업자나 판매업자에 대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혹은 해외직구로 인해 수입업자가 없는 경우에도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전자상거래 시장을 실질적으로 형성하고 관리ㆍ통제하고 있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하여 제조물책임법상의 책임을 물을 필요성이 생겨났고, 특히 이해관계가 복잡한 구조로 얽혀 있는 플랫폼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최종 소비자가 이러한 이해관계를 전부 파악하여 책임 주체를 선별하기 어려운 측면을 고려해 보면 판매중개업자라는 이유로 쉽게 책임을 회피하는 플랫폼 사업자에게 제조물책임을 지우고 이후 플랫폼 사업자가 제조업자 등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도록 하여 소비자는 제조업자, 중간 공급자, 도매상, 소매상 등 제조 유통 관여자에게 폭넓게 제조물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업체인 아마존에게 판매자로서 제조물책임을 인정한 판례 등을 참고해 볼 때 우리나라도 소비자 피해 구제를 위하여 플랫폼 사업자에게 제조물책임법을 적용하기 위한 근거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In the modern society, electronic comme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commerce”) has settled in our routin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is undergoing a huge increase in transactions which almost exceeded off-line transactions.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its growth will be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it is currently growing more rapidly with an increase in non face-to-face transactions. With the activation of e-commerce, platform providers have gained a critical role and thus been exerting market- dominating status and influence in the distribution of products, which causes problems including abuse of market dominanc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unfair trade and so forth followed by legislative debates in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regulation of such problem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defective products, the remedy of victims arises due to complicated webs of interests caused by the distinct nature of e-commerce market where a company, a platform provider and an individual customer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under non face-to-face transaction and its process encompassing several steps. Customers purchase products based on their trust in the credibility of platform providers who deal with the entire process involving purchase, payment, delivery, exchange and refund of actual products regardless of the credibility of individual manufacturers. However, under the current Product Liability Act which provides the liability for consequential damage caused by a product traded through a platform, a person who is engaged in the business of manufacturing, processing or importing products have a product liability as a primary manufacturer for damages inflicted by a defect of a product on a customer's life, body or property. However, the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supplied the product by means of sale, lease, or other form of transaction for profit shall also assume a product liability only when the manufacturer of the product cannot be identified by the customer, but such person shall be exempted from the liability by informing the identity of the manufacturer or the supplier within a reasonable period upon request from the customer. In accordance with the Act, a platform provider is not considered as a person who is engaged in the business of manufacturing or importing, or who supplied the product by means of sale, lease, or other form of transaction, and thus not held liable for the product. However, when information on a manufacturer or seller cannot be identified or when there is an absence of an import trader in case of cross-border shopping, the need to hold platform providers who practically form, manage and control e-commerce market liable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to protect customers. Besides, considering that it is hard for final customers to determine an agent of liability based on full understanding of complex structures of interests caused by the nature of platform market, it is necessary to allow customers to bring those involved in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including a manufacturer, an intermediate supplier, a wholesaler and a retailer, to account by making platform providers frequently exempted from liabilities as sales agents assume a product liability, and to exercise the right to demand an indemnity against a manufacturer, etc.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product liability of Amazon, the biggest platform provider in the United States, was accepted and laws in many European countries, Korea also needs to introduce applicable regulations to apply the Product Liability Act to platform providers for the remedy of customers.

      • KCI등재

        제조물 책임법의 디지털 제조물책임으로의 확장을 위한 검토: EU 「제조물책임지침 개정안」을 중심으로

        김재완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3 민주법학 Vol.- No.82

        The revision of EU 「Product Liability Directive」 is proposed to protect consumers from harm caused by software and AI products in the digital age. Software plays a central role in all industries, including the Internet of Things, self-driving cars, drones, medical devices, robots, and digital services on online platforms. As such, the core of digital age products is software, and hardware relies heavily on software features and enhancements. On the other hand, damages due to defects in digital products and services are expected, but the current Product Liability Act does not explicitly include software in the scope of products subject to product liabil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learly ask for product liability when damages occur to consumers due to the use of software and AI. To protect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current product liability laws to meet digital product liability. As for the contents, the task of expanding software to the subject of product liability, preparing criteria for judging defects in software, and expanding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for digital products was reviewed. To this end,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products in the revision of EU 「Product Liability Directive」, defect judgment regulations, and responsible party regulations and related regulations of Korea's Product Liability Ac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amend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These legislative challenges are not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digital industry. Rather, the digital industry will be able to further develop and grow based on the trust gained through relevant legislation and its maintenance that guarantees the safety and human rights of citizens and consumers. EU 「제조물책임지침 개정안」은 디지털 시대 소프트웨어 및 AI 제조물로 인한 손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소프트웨어는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드론, 의료기기, 로봇, 온라인 플랫폼의 디지털 서비스업 등 모든 산업에서 중추신경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시대 제조물의 핵심은 소프트웨어이고,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그 향상에 크게 의존한다. 한편 디지털 제조물 및 서비스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 발생이 예상되지만, 현행 제조물 책임법은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책임 대상인 제조물의 범위에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 소프트웨어 및 AI의 이용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손해가 발생할 경우, 명백하게 제조물책임을 묻는 것은 곤란하다.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현행 제조물 책임법을 디지털 제조물책임에 부합하도록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내용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제조물책임 대상으로 확장하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결함의 판단 기준을 마련하며, 디지털 제조물에 대한 책임 주체를 확장하는 과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EU 「제조물책임지침 개정안」의 제조물의 정의 및 유형, 결함 판단 규정, 책임 주체의 규정과 우리 제조물 책임법의 관련 규정을 비교 검토하고 제조물 책임법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입법 과제는 디지털 산업의 발전과 성장에 걸림돌이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 산업은 시민 및 소비자의 안전성과 인권을 보장하는 관련 입법 및 그 정비를 통해 얻은 신뢰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