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하대청(Ha, Daecheong)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7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는 생활정치로의 전환을 의미할까? 이 논문은 BSE(일명 광우병) 질병 위험 관리를 ‘지구적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쇠고기 안전을 생활정치 이슈로 보는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저자는 지구적 생명정치의 관점과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의 접근법을 이용해 쇠고기 안전 표준을 제정하는 국제기구인 OIE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초국적 기구라는 국지적 현장에서 위험정의와 평가가 실천되는 양식을 조명하면서 어떤 진리 담론과 절차, 방법 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결과가 WTO와 연계된 특정한 정치적 합리성 아래에서 구성된 것이라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결국, 이런 권력장치들과 정치적 합리성의 결과는 불확실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개인적 책임이나 시민사회의 자율적 규제로 만든다는 점에서 ‘위험의 개인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는 BSE 위험의 정의와 평가는 단지 먹거리 안전의 문제가 아니라 초국적 수준에서 정치적 합리성과 권력 장치들이 결합해 나온 결과를 점을 보여주면서 지구적 생명정치에의 관심을 요청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urrounding a disease called 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in the perspective of ‘global biopolitics.’ I analyze a trans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OIE, which has set the international science-based standards such as BSE-free beef parts. By exploring how the BSE risk was assessed and countries were classified by degree of risk in practice, I show that the “truth discourse”, ‘scientific method,’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used in that process were closely intertwined with a ‘political rationality’, which WTO, an another international body has promoted since 1995. Next I show that this ‘global biopower’ would give rise to “the individualization of risk” if the state facing this global biopower did not try to resist it. Finally, I argue that this case illuminates the new meanings of the memorable mass candlelight demonstrations against US beef import in 2008.

      • KCI등재

        현대 생명정치적 통치성 비판: 비상의 상시화와 민주적 통제 가능성을 중심으로

        임일형 국회입법조사처 2022 입법과 정책 Vol.14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acknowledge and understand modern bio-political doctrine, exploring a genealogy of bio-political governmentality. In modern Europe, governmentality has played a hidden role in sustaining bio-power as a paradigm of government. As the contemporary global civil war spreads out, bio-political governmentality is emerging. By conceptualizing bio-political governmentality in the structure of the state of exception, the article can illustrate the two modes of domestic/international emergencies: the war on terror and the pandemic, which we have experienced. Its contribution is that the bio-political doctrine can explain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s between people/population, bio-power, and the state of exception. In this light, it proposes feasible democratic control over the state of exception in response to various global emergencies. 본 논문은 생명정치 교리와 그 통치성의 계보를 검토함으로써, 긴급사태, 비상의 상시화 및 저항 전략을 조망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실제로 근현대 유럽에서 통치 패러다임은 생명정치를 지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전 지구적 내 전의 확산에 따라 생명정치적 통치성이 법과 정치의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에서 근본적인 통치 구조 속에서 생명과 생명권력, 정치와 법의 중층적 관계성을 재정립 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생명정치적 통치성과 예외상태의 관계성을 개념적 틀로 재구성 하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테러-대테러 전쟁 모델 및 팬데믹-방역 모델에 적용해본다. 생명정치적 통치성의 개념은 긴급사태, 예외상태 및 생명권력 간 다층적 관계성에 관한 일정한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함의가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긴급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창출될 수 있는 행정권의 확장과 비상의 상시화 문제를 민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입법 정책적 방향을 모색한다.

      • KCI등재후보

        전지구적 사유화 체제와 생명공학의 실행양식 - ‘undone science’로서의 GMO 연구와 그 함의를 중심으로

        김동광(Dong-Kwang K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9 생명, 윤리와 정책 Vol.3 No.2

        오늘날 과학을 둘러싼 상황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20세기 말 이래 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모든 요소들을 제거하려는 신자유주의의 움직임은 과학기술의 실행양식, 특히 생명공학의 실행 양식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과학기술의 행위주체, 규율양식, 지원체계 등에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면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연구에서도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과학의 새로운 정치사회학, 또는 신과학정치사회학(new political sociology of science, NPSS)이라는 이름으로 포괄되는 접근방식은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 STS)의 기존의 성과와 한계를 기반으로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려는 시도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NPSS의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GMO를 사례로 분석해서 생명공학의 실행양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작은 시도이다. 흔히 GMO를 둘러싼 논의는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안전과 위해로 축소되거나 환원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것은 GMO를 지나치게 협소한 틀로 가두고 안전성을 둘러싼 과학적 논쟁으로 축소시켜 사회적 및 구조적 논의를 배제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이 이른바 과학화(科學化)의 위험성이다. GMO의 문제점은 전지구적 사유화 체제라는 관점에서 산업화된 농업 구조와 다국적 기업의 이익 추구, 그리고 시민사회가 수행하는 역할과 그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신자유주의와 전 지구적 사유화 체제, 그리고 생명공학은 떼려야 뗄 수 없이 밀접하게 얽혀있고, 이음매를 찾을 수 없을만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Today, the situation around science is changing very rapidly.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neoliberal movements to remove all the obstacles to the free flow of capital have greatly influenced the mode of pract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of biotechnology. As radical changes in the actors, regulations, and support syst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emerged, new approaches are beginning to be required in the social research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pproach encompassed in the name of the new political sociology of science(NPSS) is an attempt to responds to these changes based on the existing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STS). This study is a small attempt to analyze how the mode of practice of biotechnology is changing by analyzing GMOs on the basis of the NPSS approach. Often, the debate surrounding GMOs tends to be reduced to safety and harm to humans and ecosystems, but it may confine GMO studies into an overly narrow framework and reduce the issue from social structural discussions to scientific grounds for safety. This is the danger of so-called scientization. The problem of GMOs needs to consider the industrialized agricultural structure, the pursuit of the interes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role played by civil society and its impa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globalized privatization regime. Neoliberalism, the globalized privatization regime, and biotechnology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and inseparably tightly coupled.

      • KCI등재

        Global Fascism and Colonial Biopolitics in Asia

        이택광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1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global fascist movement to Asian modernity. As for the case of Korea, not many would know that the Korean national anthem was written and composed by those who collabora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Although no one knows for sure, it is allegedly said that Yun Chi-ho, a convert from a nationalist to a pro-Japanese politician, wrote the original poem of the song and Ahn Eak-Tai, the earliest classical Korean composer and conductor who was a conductor at a ceremony which celebrated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kuo(滿州國), set an original lyric to music. Ahn also conducted a concert in Berlin for commemorating Hitler’s birthday in 1941. While one might say that these are mere coincidences, I argue otherwise. Rather, these are the manifestation that attests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colonial biopolitics, nation-state-formation, and one of the sources of global fascism that haunts the contemporary present. In this essay, I will investigate the various perspectives on fascism and their leg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