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최은경(Choi, Eun-Kyu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3 No.1

        그간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IRB 심의 체계가 과도해진 업무량을 감당할 수 없으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IRB 심의 체계는 제한된 전문가 자원, 부적절한 초기 및 지속 심사, 반복적, 무의미한 업무 과중, 이해 갈등, 질적 개선 노력의 부재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더군다나, 연구 윤리 심의 체계는 현재 의학 연구의 확장 및 표준화 요구에 발맞추어 심의 체계 또한 표준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인체유래물질 연구나 유전자 연구 등 비전통적 연구활동 또한 적절히 포함시키도록 요구받고 있다. 각국은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윤리심의 체계를 도입,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인가 시스템과 중앙 IRB 체계를 도입했으며 지방단위 심의 시스템 도입에 관하여 논쟁 중이다. 영국, 유럽 및 뉴질랜드에서는 그간 지방 단위, 다기관 윤리 심의체계가 정착되었으며 새로이 중앙연구윤리기구를 설치, 연구윤리심의활동을 조율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개혁은 대체로 기관심의위원회나 지역심의위원회의 특정 부분을 중앙화하며 심의위원회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행 IRB 심의 체계를 개혁하려는 선진 각국의 노력을 고찰한다. IRB 심의 체계의 중앙화는 윤리성 심의 활동의 효율을 높인다는 점에서 환영받으나, 또다른 관료제나 중앙 업무의 과중의 우려를 낳고 있다. IRB 심의 체계 개혁의 결과는 아직 불분명하나, 여전히 이들 노력이 현행 심의 체계의 위기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Since emergence and expansion of large-scale, multi-site research, concerns raised that institutional review system can’t handle increased workload. Institutional review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limited expert resource, inadequate initial and continuous review, repetitive and meaningless work, conflict of interest, and limited activity for quality improvement. Further, in response to enlargement and standardization of medical research, expansion of ethics review system and standardization of review activity has been needed. Also, current review system is needed to effectively include non-traditional research activity like human material research, genetic research. Each country has been made its own effort to introduce various systems and pursue reforms. In U.S and Canada, accreditation system and central IRB system were initiated, and regional review system is argued now. In UK, Europe and New Zealand where regional and multi-site ethics review system has been settled, central research ethics authority is established to organize and coordinate ethics review activities. In general, these countries try to centralize a part of institutional or local boards’ work and restrict their autonomy and authority. This paper shows these developed countries’ efforts to reform current institutional review system. Centralization of institutional review system is welcomed for improved efficiency of ethics review activity, but it is also worried to make another bureaucracy, excess of central work. The outcome of centralization of ethics review system is not certain yet, but these efforts are still expected to solve the challenges on institutional review system.

      • KCI등재

        유신체제와 검열, 검열체제 재편성의 동력과 민간자율기구의 존재방식

        이봉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reorganization of the censorship system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al dynamics of the Park Chung-hee regime's pseudo-hegemony domination, propaganda, and the dynamics of the censorship system, and to explore the status and function of censorship as a sub-mode of social control. The basis of the authoritarian rule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70s was the permanentization of security ideology and state of national emergency. Socio-cultural policies were also deployed subordinate to these trends and directions. Censorship also undergoes changeable changes as it is used as a major means of propaganda and cultural control. At the depth and peak of censorship in the 1970s lies the legal censor, KCIA. The level and amplitude of censorship increased to the maximum in the wake of the law of prosecutive emergency, which was triggered as a policy mea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ll-out security system, and the Korean censor's total exhibition was completed. First, overall and offensive censorship was maximized through strengthening administration legislation. In the process, the mass production of media regulation,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decadence regulation, and the censorship stance that prioritized national interests were accompanied, and the emulsion of colonial censorship was revived. Second, while the target of control has reached a potential threat, the target object of censorship advances to a level that collapses the social and cultural foundation. Third, as the status of the private self-governing body during the law of prosecutive emergency is re-located, control over popular culture and arts is totalized. Because they wanted to use popular culture and art as a political means of all-out security based on legal organization, negative control had to prevail over the versatility of propaganda. However, despite the tangible results of coercive control over society and culture following full-scale censorship, the biggest obstacle that offset this was the sound people who aspired for liberal democracy. This is why the law of prosecutive emergency had to be extended indefinitely. 이 논문은 박정희정권의 의사헤게모니 지배-프로파간다-검열체제의 동력학이란 구조적 역학의 관점에서 1970년대 검열체제의 확대 재편을 재구성하고, 사회통제의 하위양식으로서 검열의 위상과 그 기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70년대 박정희체제의 권위주의적 통치는 국가안보를 지배이데올로기로 한 국가비상사태-유신헌법-긴급조치의 법제도적 토대 위에서 구사되었는데, 사회․문화정책도 이러한 기조와 방향에 종속되어 입안․배치되었다. 검열 또한 프로파간다 및 문화통제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변화무쌍한 변동을 거친다. 지배/저항의 분극화 현상이 촉진되면서 검열전선의 경직화를 고조시켰다. 1970년대 검열의 심층과 정점에는 합법적 검열자 중앙정보부가 존재한다. 중앙정보부는 대내외 심리전, 프로파간다, 검열을 일사불란하게 기획․통제하는 빅 브라더였다. 총력안보체제의 제도화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발동된 긴급조치를 계기로 검열의 수위와 진폭이 최대치로 증대하면서 한국검열사의 종합전시장을 이룬다. 첫째, 행정입법의 강화를 통해 전면적․공세적 검열이 극대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언론 규제의 양산, 퇴폐 규제의 본격화, 국가이익을 우선시하는 검열 기조 등이 수반되고 식민지검열의 유제가 재생되기도 했다. 둘째, 통제의 표적이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까지 미친 가운데 표적이 된 검열대상에 대해서는 사회적․문화적 기반을 붕괴시키는 수준으로 진전된다. 행정지도를 동원하여 제도적 검열의 구성적 외부까지 통제했다. 셋째, 긴급조치시기 민간자율기구의 위상이 재정위되면서 대중문화예술에 대한 통제가 전면화 된다. 법정기구화를 기반으로 대중문화예술을 총력안보의 정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에 프로파간다의 범용성보다는 부정적 통제가 우세할 수밖에 없었다. 윤리적 문제를 법으로 규제하겠다는 발상이었다. 퇴폐, 왜색, 저질 등은 반국가적 요소로 규정되면서 국민총화를 좀먹는 사회 내부의 적이자 명백한 이적행위에 해당한다. 그것은 사상검열의 부재, 미풍양속 저해에 대한 검열이 압도적이었던 심의 실적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긴급조치가 무기한으로 연장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그런데 전면적 검열에 따른 사회․문화에 대한 강압적 통제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쇄시킨 최대장애물은 자유민주주의를 염원한 건전한 국민들이었다. 유신체제가 형식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의 절차적 원리를 통해 성립되었다는 불편한 진실, 또한 법치주의로 분식된 교묘한 관료주의체제였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바를 탐구하는 작업을 통해서 박정희체제 검열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이 열릴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부패문제와 그 해결에 관한 고찰

        김태식 ( Tae Shik Kim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중국은 눈부신 경제성장의 결과 현재 국제무대에서 G2 국가로 성장하여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화려한 배경의 이면에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점들이 도사리고 있는데, 빈부격차문제, 물가상승, 환경오염 등 제 문제에 덧붙여 최근 연일 언론에 오르내리는 부패척결 또한 중국 정부가 짊어지고 있는 주요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중국의 부패정도는 국제투명성기구(TI)에서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를 통해 객관적으로 판단해 볼 수 있는데, 그 부패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중화권지역이자 현재는 같은 정치 체제 속에 있는 홍콩은 중국과 매우 대조적인 지수를 보여주며 전 세계에서 반부패의 성공적인 모범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과 홍콩이 부패문제에 있어 큰 대조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무엇에 있는지 양 지역의 반부패 조직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중국이 부패문제 해결에 있어서 궁극적인 성공의 길로 가기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recent years, China has become one of the G2 nations and exercises great influence in international arenas as a consequence of its rapid economic growth. While China enjoys this favorable international reputation, it also faces with a lot of internal problems to solve at the same time. The wid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 fast infl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the problems that China has faced with these days. In addition, exposing corruption which became a buzz word by media is also one of the major problem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needs to solve urgently.The corruption level of China can be found objectively from the Corruption Perceptions Index(CPI) released by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TI). According to the CPI, the corruption level of China is terribly serious, while Hong Kong shows a good index in corruption. Hong Kong has returned under the Chinese government’s control since 1997 and it has the same political system as China’s, but its CPI is in extreme contrast to China.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nalysed to lead China to the ultimate success in the problem of corruption through finding the reasons why China and Hong Kong are very different in the matter of corruption comparing the anti-corruption organizations of the two regions.

      • KCI등재

        1960-70년대 외화수입과 외화검열체제의 변화: 행정은 어떻게 검열(자)을 생산하는가

        조준형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4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film censorship, but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changes in the censorship system in detail. In particular, the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imported foreign films is all the more so. During the military regime, the state had such a powerful power that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it dominated the movie market. In this regard,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nation’s film administration system is not only a narrow topic such as film censors, but also a basic task in th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various subject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the process of censoring foreign films in the 1960s and 1970s. Among the censorship processes of foreign films, a particular part that needs to be reviewed is the change in the procedures for recommending foreign films’ imports. Unlike the relatively stable final screening process for films, the import recommendation process has undergone a chaotic change since the late 1960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process of customs and the Korean Motion Picture Promotion Corporation(KMPPC) participating in the censorship process of foreign films. The two organizations’ cases are not just unique cases, but also important clues that can explain the specificity of foreign film censorship and even film censorship of the tim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mainly analyzed important foreign film censorship documents and oral history materials preserved by the Korean Film Archive,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is, I separately described 1) the process of importing foreign films and the overall change in censorship administration in the 1960s and 1970s; 2)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e-examination system for foreign films scheduled to be imported; 3) the process of customs and KMPPC’s participation as censors. Through this article, I hope to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ocedures for foreign film imports and the censorship process of foreign films, as well as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film policies during the military regime. 최근 수 년 간 영화검열에 대한 적지 않은 연구가 제출되고 있지만, 검열체제 자체의 변화를 세밀하게 검토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수입외화의 검열과 행 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그러나 군사정권기 국가가 영화시장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졌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 가의 영화 행정 체제의 변화양상을 살피는 작업은 비단 영화검열사나 정책사 뿐 아니라 한국영화사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일이라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1960-70년대 외화수입의 검열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주체와 행정절차의 역사적 변형과정을 살핀다. 이 글은 특히 외화수입추천 절차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상대적으로 안정되었던 본편 실사 검열(상영허가) 과는 달리, 외화수입추천 절차는 1960년대 후반 이후 1970년대 내내 혼란스러울 정도로 변화를 거듭하여 정리가 필요하다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절차의 복 잡화에 더해 주체의 복잡화 역시 동반된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일견 영화검열 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기관인 세관과 영화진흥공사(이하 영진공)가 외화의 검열 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이 글은 한국영상자료원에 보존된 주요한 외화검열서류 및 구술자료, 당시 신문기사 자료, 관련 법규 등을 주요 사료로 삼아 1) 1960-70 년대 외화수입절차와 검열행정 전반의 변화, 2) 수입예정 외국영화사전심사제도 의 변화, 3) 세관과 영진공이 검열자로 참여하는 과정과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 별 도로 기술하였다. 이 글을 통해 그간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던 외화수입의 절차와 검열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당대 영화정책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 해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