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트리에스테 : 민족 갈등의 장에서 이탈리아적 도시로

        이경일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4 No.-

        Trieste, which had boasted cosmopolitan feature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lost its former diversity and changed into an entirely Italian city after going through two world wars. So far, the emergence of the fascism, and the following coercive nationaliz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decisive occasions that took away the hybridity of Trieste.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Italianization in two dimensions: the assimilation policy for minorities and nationalization to eliminate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To this end,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nationalist driving force and centralization attempts, we tried to observe the reactions of the various forces that cope with them. As a clue to the first theme, by analyzing the demographic change and denationalization policy immediately after World War I, we found that Italianization had progressed considerably before the rise of fascism. Regarding the second theme, we were able to see how the demands for totalitarianism in Trieste were applied in encounter with the existing values, and to identify the extent and limits of actual change. 19세기 말까지 세계시민적 면모를 자랑했던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는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다양성을 상실하고 이탈리아 일색의 도시로 바뀌었다. 지금껏이 도시의 이탈리아화 과정은 19세기 말의 민족주의 운동에서 발원하여 파시즘에서 정점에 이른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특히 트리에스테의 혼종적 특징들을앗아간 결정적 계기로는 파시스트 체제의 등장 및 20여 년간 이어진 강압적국민화가 지목되었다. 본 연구는 이탈리아화의 실제 과정을 재규명하고자 소수민족에 대한 동화정책과 지방적 특색과 문화를 일소하려 한 국민화라는 두 차원에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민족주의적 추동력과 중앙집권적 시도에 주목하면서, 그에 대처하는 여러 세력들의 다양한 대응도 살펴보고자 했다. 첫 번째 주제에 관한 실마리로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의 인구 구성 변화와 탈민족화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파시즘 등장 이전에 이탈리아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했다. 두 번째 주제와 관련해서는 트리에스테라는 도시 차원에서 전체주의 압력이 자치와 혼종성을 중시해온 기존 가치와 조우하여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파악하고 실제적 변화의 정도와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이용표,송승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drawing implication of the society in which the high rate of involuntary and long-term hospitalization are sustained through examining cases of Italy, which has restrained compulsory hospitalization of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t most and developed Mental Health and community-centered social services by Mental Health System. For the achievement of goal, it demonstrated historical background of mental health reform, mental health related laws, mental health budget, payment systems and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of Italy. Also, it analyzed the detailed progression, content and performance of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cases of Trieste, a representative local government in the reform of mental health. It also suggested the policy implication which Italian Mental Health System can bring to Korean Mental Health Welfare System. First, The barriers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t is a matter of policy will rather than a mental health law system itself. Seco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involuntary admission is possible only in public mental hospital. Third, In order to efficiencies mental health budge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ayment of social services for medical ai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ersonal budget system.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tracting-out system to secure of the Public Services of the mental health community center. Fif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of organization on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ixth, A society activist rol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required. 본 연구는 정신보건개혁을 통하여 정신병원을 폐쇄하고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 및 사회서비스를 발전시켜온 이탈리아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비자의입원 비율과 장기입원이 지속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의 함의를 도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이탈리아의 정신보건개혁의 역사적 배경, 정신보건관련 법제, 국가정신보건계획, 정신보건재정방식 그리고 정신보건전달체계를 전반적으로 조명해보고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인 트리에스테시를 사례로 개혁의 진행과정, 내용,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신장애인 탈원화의 장벽은 정신보건법체계 자체의 문제이기보다 정책적 의지의 문제이다. 둘째, 비자의입원은 공공정신의료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신보건재정 효율화를 위하여 의료급여의 사회서비스 지불과 개인예산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신보건센터 공공성 확보를 위한 민간위탁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신장애인 당사자조직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정신보건전문가의 사회운동가 역할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