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영역 사회서비스 품질관련 특성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1) :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기관 특성과 이용자만족을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본 연구는 장애인영역의 사회서비스 품질과 영리적 제공주체의 등장에 주목하여, 장애인영역의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품질관련 특성과 영리적 서비스공급주체가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는 지역사회투자사업의 13개 영역의 사회서비스 중 전반적인 이용자만족도가 가장 낮은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의 중요 측면 인식에서 다 른 서비스영역과 비교할 때 서비스제공자 전문성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특성이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공기관의 영리적 특성은 이용자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이용자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 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인력 양성체계를 대학 및 대학원 교육 과정과 통합하는 방안과 서비스가격의 차등부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공급자로서 영리조직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복지법인 설립요건의 완화, 사회적 기업의 활용, 사회복지기업의 신설 등과 같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영역 사회서비스 품질관련 특성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기관 특성과 이용자만족을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done into customer satisfaction factor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which a negative verification was made in the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between profit provider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e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st among the thirteen kinds of social service.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vice manpower program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university level of education program. Also, we need to seek the way the social enterprise or social welfare venture can be participated in the social service markets much more. 본 연구는 장애인영역의 사회서비스 품질과 영리적 제공주체의 등장에 주목하여, 장애인영역의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품질관련 특성과 영리적 서비스공급주체가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는 지역사회투자사업의 13개 영역의 사회서비스 중 전반적인 이용자만족도가 가장 낮은 서비스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의 중요 측면 인식에서 다른 서비스영역과 비교할 때 서비스제공자 전문성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특성이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공기관의 영리적 특성은 이용자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이용자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인력 양성체계를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과 통합하는 방안과 서비스가격의 차등부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공급자로서 영리조직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복지법인 설립요건의 완화, 사회적 기업의 활용, 사회복지기업의 신설 등과 같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표(Yong-Pyo Lee),송승연(Seung-Yeo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관련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앤더슨 행동모형을 근거로 발달장애인 부모 451명을 대상으로 한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2011년 서울시 중․장년 발달장애인가족 복지욕구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돌봄자가 직업이 없는 집단일수록, 피후견 대상인 발달장애인이 남성인 집단이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나 사회보장제도 관련요인에서는 가구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욕구요인 중에서는 제3자에 의한 돌봄욕구가 존재할수록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 장애등급, 돌봄부담의 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에 관련되는 비용의 정부지원이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 둘째,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와 관련된 제3자 돌봄욕구 개념 및 문화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usage related predictors to activate Adult Guardianship Syst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survey of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2011 Welfare Needs Assessment of Seoul middle and senior-aged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applied used SPSS 2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increases meaningfully if the parents does not have occupation, and the subject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male. In income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wise,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w remarkably large rating if the average income is high and the desire to be cared by others is high. But in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the degree of disability, burden of caring does not have effect on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is, first, to activate vigorous usag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plain to the concept of the needs caring by others and the cultural factors relating to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 KCI등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발전사례분석

        이용표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2

        Case study on the growth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 for mentally disabled person: focused on social capital theory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우수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시설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장애인근로자의 개별적 속성을 중심으로 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자본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대상조직의 전체 시장에서의 구조적 연결망 및 판매연결망의 특성 그리고 시설 내부의 근로자 연결망을 분석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대상조직은 일반적으로 시장 연결망의 변방에 위치한 임가공업체가 아니라 원청업체의 위치를 가지고 있어 생산품의 부가가치를 스스로 높일 수 있는 시장권력을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조직의 판매망 구조에서는 장애인생산품 우선발주제와 같은 제도적 지원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장애인보호작업시설의 시장에서의 취약점인 마케팅 활동을 적절하게 보완하고 있었다. 셋째, 상품의 생산과정과 납품과정에서 장애인근로자들이 구조적으로 수평적 위치에 있어 생산과정이 소수의 직업재활교사에 의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주제어> 직업재활, 직업재활시설, 사례연구, 사회자본이론, 연결망분석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에 따른 대안입법 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표,배진영 한국법정책학회 2022 법과 정책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irection of related alternative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Article 15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interested parties and experts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view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Article 15 brought a low disability registration rat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within the whole disabilities group. Second, the participants found that the main factors that caus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services were political isolation from welfare issues for them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exclusion due to administrative practice out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article 15. Thir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ffect of the amendment of Article 15 as follows: symbolic aboli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preparation of grounds for expansion of welfare for them,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elfare service provision. Fourth,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problems that could arise from the amendment of Article 15 as follows: limitation in substantive changes due to administrative practices, potential conflicts with peopl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nd service discrimination between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ifth,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related laws as follows: Fully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welfare to disability system, partial integration of welfare part from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and enactment of the Act of Welfare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as special law of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whether the amendment of Article 15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welfare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depends on how flexible they are to adjust and supplement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which are difficult to harmonize in the current law.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에 따른 관련 대안입법의 방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주요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조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가 장애집단내의 차별과 정신장애인의 낮은 장애등록률을 가져온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가 정신장애인 서비스차별을 형성하게 된 주요 요인을 서비스 전달체계 분리에 따른 정신장애인 복지문제에 대한 정책적 고립과 「장애인복지법」 제15조 본래의 해석을 벗어난 정신장애인 배제의 행정 관성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의 효과에 관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법률적·제도적 차별의 상징적 철폐, 정신장애인 복지 확충요구의 근거 마련 그리고 복지서비스 제공의 효율화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행정적 관행으로 인한 실체적 변화의 한계, 기존 장애영역과의 갈등 가능성 그리고 정신질환자와 정신장애인 간의 서비스 차별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 이후 관련법률의 정비방향을 「장애인복지법」 체계로 정신장애인 복지서비스 완전통합, 정신건강법 체계하에서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만 장애인전달체계로 통합 그리고 「장애인복지법」의 특별법으로서 정신장애인복지법 제정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론으로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이 정신장애인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는 현행법에서 조화되기 어려운 「장애인복지법」과 「정신건강복지법」의 원칙과 한계를 얼마나 융통성을 가지고 조정하고 보완해나가는가에 달려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간의 경로분석: 회복(Recovery)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표,강석임,노수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에 관한 회복의 관점에서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관련요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환경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낙인 그리고 주거환경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환경요인이 자아정체감, 사회적 기능 등을 매개로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인천·충청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32개 기관을 이용하는 대상자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기능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매개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은 주거환경, 일반지지, 낙인지각 등 환경요인과 자기결정 실행을 완전매개하고 있었으며, 사회적기능은 전문가지지와 자기결정 실행을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장애의 본질에 관한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다. 둘째, 자기결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 자기결정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생태학적 모형이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실행을 설명하는 데에 적절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회복에 관한 두 가지 관점이 자기결정의 생태학적 모형을 통하여 적절하게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정신능력을 중심으로 한 자기결정담론을 환경요인 중심으로 이동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he related factors of a mentally challenged person’s self-determ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recovery from mental handicap. Through theoretical stud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ocial support, stigmatization and dwelling surroundings were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impact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a mentally challenged person’s practice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medium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such as identity and social functions, were analyzed. As the analysis result into the effect of a mentally disabled person’s identity and social functions mediating the independ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s, identity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sidence, general support and awareness of stigma, and the practice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social functions were proved to partially mediate the support by professionals and the practice of self-determin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pports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vism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disability. Second, the ecological model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concluded to be the proper model to explain a mentally disabled person’s practice of self-determination. Third, the study results prove that the two standpoints on recovery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through the ecologic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focus of the self-determination discourse needs to be shifted from a mentally challenged person’s mental faculty to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례관리에 관한 인식과 실천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사례관리에 관한 인식과 실천양상을 그 작동기제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영역의 사례관리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 8명을 대상으로 2회의 포커스그룹 면접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복지관의 사례관리에 관한 인식과 실천양상은 첫째, 사례관리 인식의 다양성과 혼돈, 둘째 분절적 서비스구조하에의 사례관리 강조와 종사자 부담감, 셋째 기관서비스 중심의 형식적 업무양식으로서의 사례관리와 서비스공백, 넷째 지역사회 조정체계 및 자원의 부재, 다섯째 자생적 네트워크와 자발적 자원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여섯째 실효성이 있는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희망과 노력 등 6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사례관리의 발전방안으로 장애인복지관이 현존하는 지역사회 자원에 관한 수평적 교환관계를 수립하는 거점조직의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gnition and practice phase of case management of the social worker working in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handicapped to focus on the functioning mechanism. As a research tool, the qualitative study was used, and the 8 case were analyzed twice. Through this study, 6 theme were found and the more effecive alternative policies were offered based on them.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handicapped be a key resource exchanging base among the voluntary service organization for the handicap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