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카오톡 메신저의 소통 양상과 사회언어학적 특성

        강연임(Gang Yeon im)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논문은카카오톡메신저에나타나는의사소통양상을살피고, 카카오톡메신저의사 소통의사회언어학적특성과효과를고찰한것이다. 스마트폰이보편화되면서카카오톡메신저를활용한의사소통이중시되고있다. 카카오톡메신저의사소통은면대면의대화나 기존문자메시지소통과는다른양상을보인다. 그것은언어적장치외에비언어적장치를 적극적으로활용하여소통의새로운패러다임을구축했기때문이다. 그래서카카오톡메신저를 활용한 의사소통에서 다양한 사회언어학적인 기능과 특성을 살필 수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소통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기능으로, 먼저카카오톡 메신저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가 심리적으로 안정된 거리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화자의 발화에 대해 청자는 긍정이든부정이든 응답에 대한시간적 여유를 가질수 있으며 그로 인해감정적마찰도 유보할 수 있다. 또한 유희적인 조어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언어적인 생략과 축약·첨가와 비언어적인 그림과기호를활용함으로써 재미있는의미표현이가능하다. 특히 그림과여러가지기호의활용은화자의발화감성을더적극적으로드러낼수있다. 그림의 경우 화자의 자아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대리만족을 얻을 수도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 의사소통의 효과로, 우선 긍정적인 면은 여러 제약에서 벗어난 효율적 의사소통 담보, 정보의 시각화에 의한 발화의미의 강화, 그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 한긍정적대인관계형성등을들수있다. 한편카카오톡메신저의사소통의부정적인면은 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의사전달, 무의미한 대화의 지속, 그리고 어문규범 일탈 표현의 남발 등을 들 수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 의사소통은 매체의 발달과 함께 앞으로 그 쓰임도 점차 다변화될 것이다. 소통의 방법과 양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 상황을 감안하면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한 의사소통의 특징과 기능을 시차를 두고 다시 한 번 검토해야 하겠다. As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 is receiving attention, the way and aspect of conversation is also being taken notice of. There are various kind of conversation nowadays since the media is advanced. However, like good packaging is also important as much as the contents, the form of conversation is important for true conversation. In this paper, the aspect of conversation and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 aiming ‘Kakao-talk’ is being examined. And basing on thi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by ‘Kakao-talk’ is looked at. Hoping that ‘Kakao-talk’ becomes positive material for conversation, the summary of discussion will replace conclusion. Firstly, the used aspect of ‘Kakao-talk’ convers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lingual aspect and nonverbal aspect. In the lingual aspect, it uses noun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ellipsis. On the other way, final consonant is frequently used based on addition. In nonverbal aspect, th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emoticons and symbolic usage of letters stand out. Secondly, the sociolinguistic function of ‘Kakao-talk’ conversation is examined. ‘Kakao-talk’ conversation attend in maintaining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Maintaining reasonable distance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can prevent the emotional damage, therefore minimizing conflict causation. Also there is amusing language coinage. Abbreviation, consonant and neologism and make conversation participants share interesting vocabulary. It can also activat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emoticons and various symbols, speaker can express one’s emotion in detail. Lastly, there is self image creation function. Through emoticons and symbols one can embody ideal image and propose it to the society, and get vicarious satisfaction. Thirdly, the effect of ‘Kakao-talk’ conversation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The positive aspect of ‘Kakao-talk’ is effective conversation can be guaranteed without limits, reinforcement of utterance meaning by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can be built through smooth convers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affect of ‘Kakao-talk’ is unilateral convers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listener, meaningless conversation, and overusing expression which is against a norm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 KCI등재

        莊子的 疏通과 映畵的 疏通

        신성렬(Shin, Seong-Yeo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 ‘疏通’의 의미는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疏通의 대중적 영향에 앞서는 ‘映畵’의 영향은 매우 크다. 오늘날 映畵는 단순 오락거리, 기분 전환의 수단으로 활용될 위치에 머무르고 있지 않다. 우리의 시간과 경제적 여유가 조금이라도 있게 되면 누구나 손쉽게 映畵를 접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수용자의 입장에서 단 한 편의 映畵를 전문적 이해 없이도 다가설 수도 있겠지만 올바른 ‘疏通의 場’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映畵가 단순한 이미지 전달이 아닌 상호작용을 원한다면 우리는 보다 면밀한 疏通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문화예술은 한 사회 또는 한 국가를 구성하는 삶과 정신적 가치관의 표현, 생활 방식, 가치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물질적 풍요로움에 비하여 무분별한 문화예술의 유입으로 정체성의 위기, 보편적 가치관의 부정, 다양성의 획일화에서 오는 위기를 경험할 수 있다. 이는 疏通에도 많은 문제를 갖게 한다. 그렇다면 진정한 疏通이란 무엇인가? 현대인의 삶, 그리고 映畵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과거와는 달리 최근 들어 산업적, 상업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映畵가 철학적인 면에서도 과연 고유한 성취를 이루고 있을까? 또한 映畵 속에 내재된 철학적 의미는 무엇을 담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되곤 한다. 이는 오늘날 映畵의 텍스트화와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성만으로도 한 편의 映畵에 대한 관점은 감독(작가)의 의도나 텍스트의 형식적 완결성을 시각적 테크놀로지에 따라 파악하기 보다는 그 철학적 의미가 어떻게 形象化될 수 있는지가 의미 있을 것이다. 본 논고는 『莊子』 「內篇」을 중심으로 映畵 <포레스트 검프>를 疏通의 形象化로 환원함으로써 상호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현대사회를 사는 우리들에게 진정한 疏通의 방법, 나아가 治癒의 방법으로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 한다. 논자는 ‘莊子的 疏通’의 의미가 映畵에 어떻게 적용되고 표현되어 形象化에 이를 수 있는지 그 意味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는 시대를 아우르며 대중매체로써 거대한 疏通의 場 역할을 하는 映畵를 통해 철학적 사유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다. 莊子에 대한 논의는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莊子는 시대적 패러다임으로써 갖는 疏通의 의미와 더불어 상호 학제간 연구의 토대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상과 철학, 이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映畵가 그 대중성으로 인해 시대의 발전, 변화와 함께 증대될수록 『莊子』를 포함한 인문학의 행보는 더욱 새롭게 나아가야 할 것이다. Today, meaning of "Mutual understanding" becomes important day by day in our life. Specially, effect of "Movie" is very big before popular effect of mutual understanding. Today, movie is not staying in position to be utilized by simplicity entertainment, means of change of pace. If there are our time and economical something extra anything, everybody can receive movie easily. By the way, we can bring near services movie without special comprehension only in situation of consumer, but need to recognize as right "Chapter of Mutual understanding". If want interaction that is not image transmission that movie is simple, we will have to prepare for more meticulous mutual understanding. Culture art of 21th century can exist by expression of life and spiritual sense of values, life style, sense of values that compose society or the country. By the way, we can experience crisis that come from crisis of identity, impropriety of general sense of values, standardization of variety by inflow of culture art that is indiscreet than material that is rich. This does to have a lot of problems to mutual understanding. Then, what is genuine mutual understanding? Can you explain connecting with life, and movie of modern? May I be effecting industrial, that movie that is growing greatly commercially is peculiar really in philosophical cotton accomplishment recently unlike past? Also, doubt which philosophical meaning that is indwelled within movie would contains what used to bring. This means that discussion about text anger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oday movie need more. And viewpoint for British currency of that do by these necessity may be relevant so that the philosophical meaning can be materialized how rather than to grasp intention of supervisor (writer) or formal definite decision of text according to visual technology. This study connects mutually by restoring movie <Forrest Gump> by shape of mutual understanding laying stress on 「Nei-pian」 of 『Zhuang-tzu』 and examined. Method of mutual understanding that this is genuine to us who buy modern society, furthermore, do not approach by method of healing. Debater wished to examine that meaning of "Mutual understanding of Zhuang-tzu" can arrive in shape because is applied how for British currency and is expressed and the intention. This is side view that wish to expand discussion about philosophical reason through movie that function as chapter of mutual understanding that put together age and is huge by mass media. Discussion about Zhuang-tzu can already confirms through a lot of virtue researches. There may no be inferiority to foundation of research between educational system mutually along with meaning of mutual understanding that 『Zhuang-tzu』 has as period paradigm nevertheless. Therefore, walking of literae humaniores including 『Zhuang -tzu』 may have to go forward more newly as movie that can say that is though and philosophy, product of ideology is enlarged with development, change of age by the popularit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한지희(Jihee Han),이문수(Moonsoo Le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4차,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 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인인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을 ‘공감 부진-소통 하, 공감 부진-소통 중, 공감 부진-소통 상, 공감 양호-소통 하, 공감 양호-소통 중, 공감 양호-소통 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특성 요인에서는 중학생은 여학생, 자아개념 및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은 학업성취도가 높거나 독서량이 많을수록 ‘공감 부진-소통 하’집단 대비 ‘공감 양호-소통 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부모-자녀 관계, 고등학생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의사소통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도시 규모, 교사와의 관계 및 교우관계, 고등학생은 수업방식이 의사소통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 현장의 수업 보완 및 효율적 운영, 가정에서의 자녀 지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classifies latent class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lass classification by utilizing the 4th and 6th year’s dataset found in Korea Longitudinal Research 2013.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classified as: Limited Empathy and Poor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ed Empathy and Average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ed Empathy and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e, Adequate Empathy and Poor Communication competence, Adequate Empathy and Averag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dequate Empathy and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e. Individual, household,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will give teachers useful insights into how to complement and efficiently operate classes and will give guidance to parents on how to improve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소통의 맥락에서 본 조선후기 우정논(友情論)의 양상

        박수밀 ( Su Mil Park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소통의 맥락에서 조선후기 우정론의 양상을 살핀 글이다. 먼저는 조선후기에 우정 논의가 활발해지게 된 현상을, 소통 부재의 현실이라는 관점에서 짚어보았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우정론의 층위를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자기와의 소통이다. 이 태도는 외부와의 소통을 거부하고 자신과 소통하는 행위이다. 나는 나를 벗 삼겠다는 말에는 자아와 소통함으로써 자기를 지켜나가겠다는 삶의 의지가 담겨 있었다. 두 번째는 공동체 내부와의 소통이다. 이는 같은 뜻을 지닌 이들끼리 모여 공동체끼리 소통하는 경우이다. 주류 사회와 소통할 수 없었던 소외된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집단의식을 공고히 하며 공동체 고유의 우정 담론을 형성했다. 연암 그룹은 친구를 가족 개념으로 이해했고, 남인은 『교유론』을 수용하여 ``친구는 제2의 나``라는 생각을 적극 받아들였다. 이들이 관심을 가진 것은 집단 내부의 이익이 아니라 더 나은 세계를 위한 고민이었다. 세 번째는 이방인과의 소통이다. 담헌과 항주 세 선비와의 우정은 조선 지성사에서 가장 창조적이고 진정성 있는 소통이었다. 이들이 天涯知己를 맺은 과정을 통해 진정한 소통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요컨대, 우정은 두 존재가 대등한 관계에서 만나는 것이기에 소통의 의미를 되새겨 보기에 좋은 제재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spect of friendship theory in terms of communication in the late of Chosun. Firstly, it reveals social environment and condition causing active talks about friendship, view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reality. On this base, there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 friendship theory. The first aspect is on internal communication with self. This attitude is to refuse extern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only with self. The statement that I want to make friendship with myself contains the strong intention to keep ego, communicating only with self. The second aspect is on internal communication inside community. This case is about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one community having common purpose. Yeon Am group considered friends as family members, Nam Party accepted 『theory of social intercourse』, so a friend was considered as an another self. Their concern was not about the internal benefits of community, but about the better world. The third one is on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The friendship among Dam Hyen and three noble men of Hang Joo became a brilliant communication model of creativity and sincerity in the intellectural history of Chosu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of CheonAeJiGee, the condition of real communication has deeply been considered. In short, friendship is meeting between two different existences in equal relationship, it is a good element to consider the meaning of real communication.

      • KCI등재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 : 소통권과 소통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의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4

        ‘불통과 갈등 시대’란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은 물론, 다양한 나라들에서 사회갈등 양상은 점점 복잡다기화되고, 그 강도도 더해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기술 발전에 도 불구하고, 소통과 공감보다 불통과 갈등이 심해지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소통권(the right to communicate)’ 중심으로 소통과 소통학의 대응 방향을 찾고자 했다. 소통권은 ‘아래로부터(bottom-up)’, 즉, 시민의 생생한 일상이 이루어지는 ‘생활 세계’에서 소통의 질적·양적 확장과 성장으로부터 실천되며, 이러한 과정은 참여적 민 주주의의 가교이고, ‘소통학’의 핵심 연구주제이기도 하다. 소통학은 불통과 갈등 시대 에 맞서 상호교류와 호혜로 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실천적 학문이며,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통학 연구를 지원하고, 체계화하며,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학회, 즉 학문공동체의 역할은 막중하다. 먼저, 다양한 연구자들과 유관 학문공동체 간 교류 강화가 중요하다. 연구주제 선정부 터 이론과 방법론을 정하고, 연구결과를 해석하는 전 과정에서 집단지성이 발휘되도록 학보나 특별세션 차원에서 공동연구 지원 프로젝트를 마련한다면, 학문의 확장과 다양 성 강화에 유익할 것이다. 소통 관련 학제 간, 학회 간 공동학술대회 개최, 공동연구 프 로젝트 발굴과 지원, 공동 신진학자 워크숍 등을 추진하는 것도 제안한다. ‘소통’을 연 구하는 신진학자들이 일찍부터 다른 영역이나 학회들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연구를 접 하고, 교류하고, 배워나간다면 학제 간 연구로서 소통학의 토대를 탄탄히 할 수 있겠다. 다른 학제(인문학이나 기타 사회과학, 공학, 의약학, 보건학 등)에서 전개되는 소통 연 구 경향을 그 분야 연구자의 원고로 학술지에 소개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이러 한 학제 간, 연구자 간 교류가 상호호혜적 배움과 학문의 다양성 원칙 속에서 추진될때 소통학의 패러다임 변화도 가능하며, 불통과 갈등이 아닌 소통과 교류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aming of the age of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has become familiar, the scope and degree of conflict in Korean society has been intensified as time goes by. This research critiques the reality of worsening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situations rather than communication and sympathy, and further interrogates the proactive action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based on the right to communicate. The right to communicate can be realized from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expansion of communication in every day life situatons “from below”, in which citizens live their lively daily life; this process is the bridge of participatory democracy and a main theme of communication research. Communication research is a practical academic field, which can present a method for reciprocal relationship in response to the age of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Academic association, as a community for academic activities, plays a vital role in terms of supporting, systematising and actualizing communication research.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interchange of diverse researchers and related academic communities. Also, it is useful to enlarge the scope and diversity of the field by providing collaborate research projects, such as special journal edition and conferences, to facilitat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whole process of selecting research topic and method as well as interpreting research outcome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 association should collaborate conferences among diverse disciplines and academic associations, and support co-research projects as well as workshops for rising scholars. If rising communication scholars can contact communication research conducted in other fields from early age, and further interact with and learn from diverse scholars, it can lea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of communication research. Mutual exchanges among diverse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should be pursued based on mutually beneficial learning and diversity of academics.

      • KCI등재

        최한기의 기(氣)-소통 사상 연구

        김진웅 ( Jin Woong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상가 혜강 최한기의 기-소통사상을 분석하였다. 최한기의 소통사상은 기(氣)의 운화를 기반으로 천지 만물 사이의 소통논리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인간, 사물, 자연은 활동운화하는 신기(神氣)의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상호 유형적, 무형적 소통을 하는 일통적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혜강 사상에서 소통의 의미는 인간 뿐 아니라 천지자연을 구성하는 만물세계의 물질적, 형이상학적 일통관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 기-소통이 이루어지는 차원은 크게 일신운화, 통민운화 그리고 천지운화로 대별되며, 교접과 승순(承順)이 소통을 매개한다. 이러한 소통은 궁극적으로 대기(大氣)와 인기(人氣)가 상통하는 천인운화의 대통(大通)으로 이어져, 인간사회 차원에서는 인도(人道)와 천도(天道)가 결합된 대동(大同)사회가 구현되고, 우주적 차원에서는 천지만물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일통(一統)적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혜강의 소통사상은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를 구심으로 한 일통적 소통관, 주객일체의 통합적 소통, 초합리적 메타소통관, 그리고 인간과 자연을 포괄하는 생태적 소통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천지만물의 운화기의 일통적 소통관계로 인식하는 최한기의 소통사상은 이원론을 극복하고, 인간 중심의 의사소통관점을 극복케 하는 관계론적 인식론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hi(氣)-communication theory of Choi Han-Ki. At first explain the article nature of chi, numinous-chi(神氣) and circulation-change(運化). He suggested flow of the numinous-chi through vitality-activity-circulation-change(活-動-運-化). The principle of the chi-communication is the flow of the numinous-chi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in the universe. There are various types of numinous-chi flow, but thi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enerally such as body, society and atmosphere. Therefore are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the numinous-chi`s flows in three sp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rawn some implications for the communication theory as fellows: general flow of the same chi, inseparable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para rational communication thoughts, ecologic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세종의 리더로서의 소통능력

        오채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리더의 소통능력은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협조를 이끌어내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게 할 수 있으 므로 중요하다. 역사 속에서도 리더의 소통능력은 중요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리 역사 속에 탁월 한 리더로 기록된 세종대왕에 주목하였다. 세종은 우리나라를 15세기 동아시아 최고의 문명 ․ 문화 국으로 격상시켰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준 그의 리더로서 소통능력, 즉 리더십 소통능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상호작용성, 권한 위임, 개별적 배려, 비전 제시, 지적 자극, 신뢰 구축, 자제력, 카 리스마, 영감, 창의성, 그리고 열정 등 11개의 리더십 소통능력의 특징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이에 따라 세종의 리더십 소통능력은 시기, 재위 중 다룬 사안의 중요도, 개인의 신념 및 심리적 압박감 의 정도에 따라 역동적이고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신하들에게 의제를 주고 자신의 발언은 최소화하는 특성은 시기나 현안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보이기도 하지만, 재위 기간 전반(全般)에 걸쳐 관찰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세종과 같은 역사적 인물의 리더십,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고전을 소통 적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새로운 장르의 개척을 통한 학문적 발달, 통섭적 시각 함양, 한국 소통학 전형의 발견, 이를 통한 한국적 소통의 정체성 확립, 아울러 온고지 신을 통해 현대의 개인과 조직의 조화 속에서 소통능력 함양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발견하는데 기 여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eature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f King Sejong as a leader by analyz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examined the whole duration of his reign, and devided it into the five periods of significant occasions. They were the early part of succession, stabilized governance, changing of his personal environment(e. g., worsened his illness, and the death of family members), building the Cheomsawon(the office of Prince Secretariat), and invention of Hunminjeongeum(the Korean alphabet). This study adopted a total of eleven elements of leadership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frame of analysis. They were interaction, empowerment,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vision-provi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confidence- building, self-control, charisma, inspiration, creativity, and passion. Results show King Sejong implemented opened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nfidence-building, interaction, and empowerment. During the early part of succession, he showed invitational communication, moral-training communication, and quotative communication. The period of stabilized governance King Sejong implemented Master-King communication, warmhearted top-down communication, and bottom-up communication. When he faced changing of his personal environment he used pushing communication. The period of building the Cheomsawon, he also showed pushing communication. Finally, when King Sejong invented Hunminjeongeum he showed advantage-taking communication, and closed communication. In sum, throughout his entire life King Sejong was a great communicator and competent communication strategist.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혜심(Hye Sim Kim),김진서(Jin Seo Kim),주혜령(Hye-Ryung Joo)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부적응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는 서울소재 어린이집의 만 5세 부적응 아동과 부모 두 가족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의 회기 구성은 친해지기, 나의 가족 표현하기, 나를 표현하고 발견하기, 동적인 가족 표현하기, 무인도에서의 가족, 가족과 소통하기, 사랑하는 가족, 행복한 미래 등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부적응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 부모의 의사소통 검사와 담임교사의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KFD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모래놀이에서의 가족 역동성과 모래상자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부적응 아동의 가족모래놀이치료 결과는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가정과 기관에서 아동의 부적응 행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부적응 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사소통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감소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아버지가 가족 구성원으로서 가족모래놀이치료에 함께 참여하고 협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and play therapy using communication sandbox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mal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ladjusted children. The family sandplay therapy using the communication sandbox was conducted as a program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once a week for a 5-year-old maladjusted child and two parents at a daycare center I in Seoul. The composition of the session of family sandplay therapy using the communication sandbox is to get acquainted, express my family, express and discover myself, express a dynamic family, family on an uninhabited island, communicate with family, love family, happy future, etc. made up of themes. In order to analyze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parent-child communication tests, mal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tests of children, the KFD of family member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nalysis, and the family dynamics in sandplay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sandbox were explo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firs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hanged positively. Second,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 was reduced and in particular, they showed a stable social-emotional appearance, Third, self-esteem was improved.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family sand play therapy using communication sandboxes in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and promot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in expressing each other’s feelings for families of maladjusted children.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father participated and cooperated in family therapy as a family member.

      • KCI등재

        지방의회와 지역주민간 소통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주민인식을 중심으로

        김이수 ( Kim Lee - So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2

        본 연구는 지방의회와 주민들간 소통에 관한 실증연구가 드물다는 점을 토대로 탐색적 연구차원으로 지방의회와 주민들간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지방의회와 정부기관 종사자간 소통에는 지역소속감이 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회와 공기업종사자간 소통에는 정당활동 참여, 지역소속감, 정치성향이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회와 민간기업종사자들간 소통에는 성별, 연령, 주민행복감, 공무원/정치인에 대한 민원 전달활동, 시민운동단체 활동참여, 지역사회 공공모임 활동 참여, 주민1인당 지방(광역)의원 수, 지역유형, 지역소속감, 정치/사회 현안에 대한 온라인 의견 피력활동지지 정당유무, 지방(광역)의원 수가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회와 일반주민들간 소통에는 연령, 지역(시,도) 소속감, 정부나 언론에 의견 제시활동, 자원봉사나 기부단체 활동참여, 사회적 경제조직 활동참여, 지지 정당유무, 주민1인당 지방(광역)의원 수가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방의회와 비영리기관종사자들간 소통에는 학력, 주민행복감, 지역사회 공공모임 활동 참여, 지역유형, 지역(시,도) 소속감, 정당활동 참여가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분석적 함의로 지방의원들과 정부기관 종사자들간 정기적인 소통포럼 등을 개설, 지방의원들과 공기업종사자들간 소통활성화를 위한 현장에서의 직원들과의 간담회 개최, 지방의원들과 비영리기관 종사자들간의 공동목표 추구(주민행복)를 통한 소통활성화, 다양한 형태의 소통을 통한 지방의원들과 민간기업종사자들간 소통, 자원봉사, 기부단체, 사회적 경제조직 등 공동체 조직참여를 통한 일반주민들과 지방의원들과의 소통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determining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citizens focusing on perception of citizens. As a result of analysis, a sense of belonging in region affects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citizens. political ideologies affect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public enterprise. a number of factors such as gender, age, happiness, etc make an influence on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private company. community activities affect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nonprofit. Policies are suggested as establishing regular communication forum, holding a meeting with employees on site, pursuing common goals, Community involvement.

      • KCI등재

        지역소통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강릉시 지역소통활동을 중심으로

        정현주,홍창의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3

        지방자치제도란 지방의 정치와 행정을 지방주민들 스스로 자율적으로 처리해 나가도록 하는 제도인 만큼 현장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지지를 직접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소통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는데 반해, 지역주민들이 느끼는 소통인식도는 낮으므로 효과적인 지역소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소통의 범위 및 역할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 지역소통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인식, 소통의 효율화를 위한 산출물 유형 등 소통현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아울러 주민들의 소통인식이 파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신뢰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소통 활성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지역소통 수준을 시스템 측면과 활동 측면에서 분석하고, 소통담당자들의 소통인식을 파악하고자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정부 소통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강릉지역에서는 매체인프라, 인적인프라 등 소통활동을 위한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었고,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을 위해 다양한 활동들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강릉시의 소통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협의체 운영을 통해서도 홍보활동을 하고 있으나, 이들 협의체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이들은 지역주민 전반을 위해서라기보다는 본인들의 이익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refers to a system in which local residents deal with local politics and administrative works by themselves. As such, to directly induce participation and support by local residents in a fiel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has been increasingly rising. Contrast to the enlargement of need to community communication, however,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level residents feel is very low. Accordingly, in order to accomplish the effective community communication, the clear identification about the range and role of community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close examin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communication through explicating the perception of practitioners in charge, the kind of outputs for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made.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e up with ways to invigorate the community communication which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rust to local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society centering on the city of Gangneung. For this study, the level of local communication was analyzed in the aspect of system and activities,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icate the communication perception among practitioners in charge of local communication. Also, a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the residents have on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by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Gangneung had enough infra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media infra and personal infra and attempted various activities for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However, the perception of residents to communication activities by the city of Gangneung was significantly low. Also, the answers from interview showed that even though a variety of associations were operated for PR activities, the diversity of members taking part in the associations was not ensured, and they worked for their interest rather than the local residents’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