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치매진단 고지와 설명 후 동의의 원칙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의생명과학과 법 Vol.15 No.-

        전통적인 의료행위에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양 당사자 간의 문제로 한정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의사와 환자 및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전과 같은 형태의 논의는 타당하지 않고 환자나 그 가족과 의사, 그리고 권위(치료관계를 규율하고 이를 통제하는 그 대표자로서의 공권력)라는 삼 당사자 간의 공동의 의사결정이라는 구조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계의 정립은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대등한 양자관계로 볼 수 없다는 점에 기본적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대등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편중현상을 규율하는 것이 권위이며, 이러한 권위는 설명 후 동의의 법리(신인법리)로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법리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신탁 혹은 신인관계의 의의를 넓게 해석함으로서 정립할 수 있다. 즉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환자가 의사를 신뢰하여 신체와 같은 중요하면서도 개인적인 면을 위임하는 것이므로 이는 신탁과 유사한 관계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문가인 의사와 그에 의존하는 환자 사이의 비대등한 관계를 신탁이나 신인관계로써 파악하는 법리는 논리적으로 가능하며, 더 나아가 수탁자인 의사에 대해서도 신탁법리에 근거한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신뢰를 받는 자, 즉 수인인(fiduciary)이며,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신인관계(fiduciary relation)에 있다.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신인관계로 본다면 이러한 관계에서는 의사는 ① 최대한 충실하고 성실하게 환자의 의료정보를 보호해야 하며, ② 환자에게 적절하게 의료정보를 개시해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 이러한 법리는 치매병명 고지와의 관계에서도 나타나며, 이는 단순히 환자본인에 대한 병명고지만이 아니라 의사와의 특별한 사회적 접촉관계를 전제로 한다면 가족이나 대리인에게도 병명 고지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ssues on notice of dementia illness and notice of cancer to family. Most discussions on the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recognize a relation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as a relation of the parties. However,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which could occur to a doctor, a patient, or a family, traditional style discussions are not proper, but it needs to understand co-decision making among three parties, including patient, doctor, and authority(representative's governmental power for disciplining and controlling the treatment relation). Establishment of this relation exists by virtue of not being able to see them equal parties' relation. Disciplining this unbalance, possibly occurred in the unequal relation, is authority, and this authority could be explained by legal principles for informed consent(legal principles for fiduciary relation). This legal principle would be established by the enlarged interpretation of trust and fiduciary relation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Namely, because a patient trusts a doctor, and has a relation of delegating important and personal affairs like a body, the rel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could be interpreted as a relation of trust similarity. In that case, legal principles recognizing unbalanced relation between an expert, a doctor and a patient as trust or fiduciary relation, are logically available. Furthermore, a duty could be imposed on a trustee, doctor based on trust law. Therefore, a doctor is a person being trusted by a patient, namely, a fiduciary. The relation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is in a fiduciary relation, and if the relation is recognized as a fiduciary relation, in this relation, the doctor should ① protect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with the best of faith and diligence, and ② have a burden to open medical information to the patient appropriately. This legal principle appears on the relation with notice of dementia illness, and this burden of notice of illness is not only simply on a patient, but also a family and a representative in the precondition of special social contact relation.

      • KCI등재

        의약품 임상시험에서의 피험자의 자기결정권 확보방안

        송영민(Song Young-M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東亞法學 Vol.- No.46

        임상시험은 본질적으로 실험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실험과정상 피험자에게 미칠 직접적 이익의 유무ㆍ정도, 위험성 등에 대하여 불명확한 것이 많다. 그러므로 임상현장에서 임상시험에 참가할 피험자의 진정한 의사가 반영되었는가 하는 점은 구체적인 의료행위의 경우보다 더욱 더 중요한 문제이다. 동의능력을 갖고 있는 성인의 경우에는 신체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내용으로서 스스로의 판단하에 자율적인 결정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아나 중증의 치매환자와 같이 본인에게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피험자로서의 적격성을 인정할 수 없다. 그러나 당해 임상시험의 목적상 그러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야만 임상시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경우에도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한편, 본인에게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의료현장의 관행으로서 대행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행자에 의한 동의는 피험자본인의 입장에서는 ‘자기’의 결정이 아닌 ‘타인’의 결정이다. 그러므로 대행자의 선임에는 ①사전에 본인의 임상시험에 대한 참가의사가 있거나 후견계약이 있었는지의 평가 ②본인의 의사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본인의 희망ㆍ가치체계를 알고 있는 근친자가 선임되는지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연구자는 대행자에게 임상시험에 관한 설명을 하기 전에 본인에게 동의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판정결과를 알리고, 대행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본인에 대하여 그러한 취지를 알려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 절차를 두는 이유는 피험자의 동의능력의 유무에 대한 불명확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본인이 거부하지 않아야 한다. 본인이 거부한 경우에는 거부권은 존중되어야 한다. Owing to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 of clinical trials, it is not obvious how much the benefit and riskiness would affect to the trial subjects in the process of experiments, thus whether the intentions of trial subjects are reflected is more important issue than medical treatments in clinical services. The adults who have the consent abilities would be able to take part in clinical trials with their own decision as the rights of self determination to their bodies, however those who are not capable of consenting for themselves like the underage or serious dementia patients should not be admitted their eligibility as the trial subjects. Nevertheless it could be permitted exceptionally in case the result of clinical trials could come out only when those people take part in as the trial subjects to achieve the aims of clinical trials, but still in this case it should be allowed if it is only for treatment. In addition, the substituted determinations are made in accordance with custom in medical services in case of not having consent abilities, however the consents of agents should be considered as other's decision not his(her) own decision in the position of trial subjects. Thus, there need to be a couple of assessments in the designation of agents. those are as follows. ① the assessment whether there is the intention to take part in clinical trials of himself(herself) or the contract of guardianship in advance. ② the assessment whether there is the designation of a close relative who knows his(her) value systems although it is unclear to be his(her) own intent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s should inform the trial subjects of the result of judgement that he(she) lacks the ability to consent before explaining the clinical trials to the agents and let the trial subjects know the intents in case the agents agreed with it. The reason additional procedures should be made is that the consent abilities of trial subjects are too obscure. I also suppose that the trial subjects should not refuse the procedures and the rights of refusal should be respected in case of his(her) refusal.

      • KCI등재

        성분화질환을 둘러싼 법적 문제

        송영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의생명과학과 법 Vol.27 No.-

        Sexual differentiation disease is the abnormal condition in development situation of sexual differentiation which is the basis of gender determination. This thesis reviewed for the person born with this disease to enable normal growth without emotional disorders and inferiority complex under the system of male or female choice. The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the malpractice of medical operation for gender confirmation. Malpractice cannot be admitted because the medical operation for gender confirmation of the son was suitable medical level at that time. Second, it is about the relation with the guarantee of gender determination of the son. About this, all unnecessary surgical operations should be postponed until the time when the son becomes mature and decides for himself. In addition, the doctor has the obligation to provide all information to the person with parental rights when the doctor is going to perform the gender confirmation operation on the patient with sexual differentiation disease. Especially, if the gender confirmation operation is not an emergency, the doctor should explain to the person with parental rights, thus the person with parental rights should not be misunderstood as emergency situation and not to perform early gender confirmation operation. Furthermore, the doctor should explain the side effect that the newborn baby can lose fertility through the gender confirmation operation. That is an important matter about basic human right to body, so if these information were not provided, it is against informed consent. Even in case the patient with sexual differentiation disease can live as male or female either, the son should be able to decide his gender as best interest not facing identity problem when he grow up. Third, it is about the birth registration of the person with sexual differentiation disease. About this, like family registration practice in Japan, birth registration should be reported in an undetermined state for happiness of the son, and the irreversible treatment like genital organ removal should be prohibited until the son can decide for himself. In addition, it is appropriate for the son to decide his gender and complete family relation register subsequently after adolescence appearing second sexual characteristics through sexual differentiation of brain. Fourth, it is about the decision criteria of gender correction to sexual differentiation disease. Recently, as the decision criteria, not only sex chromosome as the sole absolute criteria but also cause of abnormality, condi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genital organs, composition of sex chromosome, surgical operation possibility of external genital organs and prediction of future sexual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simultaneously, it also should be considered which gender would secure for his happy life, and then the doctor shall select the gender to perform operational treatment. 성분화질환이란 인간의 성별결정의 기초가 되는 성분화의 발달상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본 논문은 성별의 남녀택일적 체계하에서 이러한 질환을 갖고 태어난 자를 성에 대한 정서적 장애나 열등감없이 정상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논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성별확정 수술 자체의 의료과오 여부에 대한 것이다. 子에 대한 성별확정 수술자체는 당시의 의료수준에 적합하므로 의사의 과실은 인정할 수는 없다. 둘째, 子의 성별 결정권 보장과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子가 성숙하여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때까지 모든 의학적 불필요한 외과수술을 연기하여야 하며, 다만 子가 성숙하여 자기의 성별에 대한 결정권의 행사에 의해 수술을 요구한 경우에는 자의 권리는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의사가 성분화질환자에게 성별확정수술을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환자의 친권자에게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특히 성별확정수술이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이러한 사실을 설명하여야 하며, 친권자가 응급상황으로 착각하여 조기 성별확정수술을 받게 하여서는 안된다. 더 나아가 신생아에게 성별확정수술을 함으로써 한쪽 성기가 제거된 결과 생식능력을 상실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면 그러한 부작용에 대해서도 설명해야 한다. 이는 자의 신체적 기본권에 관한 중대한 사항이므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설명후 동의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성분화질환자가 남성과 여성 어느 쪽으로도 생활이 가능한 경우에는 자가 성장함에 있어 최선의 이익이 되는 성을 판단함에 있어 이러한 상황을 모두 설명함으로써 성장 후 자신의 성정체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성분화질환자의 출생신고에 대한 문제이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의 호적실무처럼, 子의 행복을 위해서 성별미확정 상태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때까지 생식기 적출 등의 불가역적인 치료를 금지하여야 한다. 뇌의 성분화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제2차 성징이 나타난 사춘기 이후에 자 본인이 성을 결정하여 가족관계등록부를 추완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성분화 질환에 대한 성별정정 결정기준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성염색체를 유일한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지 않고, 이상의 원인, 내부성기 및 외부성기의 상태, 성염색체의 구성은 물론, 외부성기의 외과적 수술 가능성, 장래 성적 기능의 예측 등을 고려함과 동시에 어느 성별을 선택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장래 자에게 더 행복한 생활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예측까지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 KCI등재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주호노 한국의료법학회 2018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6 No.1

        This article suggests solutions after grasping situations and analyzing causes of problems caused by enforcement of so-called ‘Death with Dignity Act’, that is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shortly named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withholding or withdrawal according to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principly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owever, if patient is a minor or can not confirm his or her intention, the withholding or withdrawal according to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exceptionally justified by decision of minor’s parents or agreement of all members of his or her family, that is so-called others-determination, granted as an exception to the self-determination. Here, regarding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t is criticized as problems that the above Act can not thoroughly carry out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leads to legal blank space in the case of a person without any family member. Because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as so-called exception of others-determination and the above Act has legal blank space. This article proposes a limitation theory of doctor’s treatment obligation as a solution to above problems. In other words, a limitation theory of doctor’s treatment obligation is suggested as a justification basis for withholding o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 end of life in addition to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ccording to above limitation theory of doctor’s treatment obligation, is a doctor’s legal treatment obligation ended when there is no medical indication which is composed of justification requirements for medical treatment togather with medical righteousness and informed consent. Thus, for the patients at the end of life, the medical indication can be denied under certain conditions, so that treatment obligation can be terminated as a result. If the treatment obligation has been terminated, withholding o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ay already be outside of legal protection. Therefore, a limitation theory of doctor’s treatment oblig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can substitute for criticism of others-determination and resolve the legal blank space against a person without any familymembers. 이 논문은 연명의료결정법이 초래하고 있는 문제의 현상을 파악한 후 그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의 보류 또는 중단에 대한 정당화근거로서 원칙적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입각하고 있다. 다만, 환자가 미성년자인 경우나 본인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친권자의 의사에 의하거나 가족 전원의 합의에 의하여 연명의료의 보류 또는 중단을 인정하는 자기결정의 예외로서 타인결정을 인정하고 있다. 여기서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하여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철저히 관철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가족도 없는 무연고자의 경우에는 자기결정이 불가능한 경우 타인결정도 불가능하게 되어 법적 공백이 발생되고 있다는 점에 대하여는 문제점으로서 비판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의사의 치료의무한계론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연명의료의 보류 또는 중단에 대한 정당화근거로서 환자의 자기결정권 외에 의사의 치료의무한계론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의사의 치료의무한계론에 의하면 연명의료를 포함한 치료행위는 의술적 타당성과 설명후동의의 원칙과 함께 치료행위의 정당화요건인 의학적 적응성이 없는 경우에는 의사의 치료행위는 종료한다는 원리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에 대하여는 일정한 요건하에 의학적 적응성이 부정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치료의무가 종료된다고 할 수 있게 된다. 치료의무가 종료된 상황이라면 연명의료에 대한 보류 또는 중단은 이미 법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사의 치료의무한계론은 타인결정에 대한 비판이나 무연고자에 대한 법적 공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 KCI등재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위계찬 대한의료법학회 2012 의료법학 Vol.13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tection of trial subjects, who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for new drug. It takes long time to develop new drugs and the clinical trials are required. Usually, pharmaceutical company, which develop new drug, request a research institution(usually, hospital) to investigate the examination of security and side effects of new drug. The institution recruit trial subject to participate in the trials. The contract for clinical research of investigational new drug is concluded between the pharmaceutical company and the institution. This thesis studies the legal regulations for protection of participants of clinical research for new drug. In this respect the first matter of this study is to seek which relation between pharmaceutical firm and participants of clinical trials. Especially, there is a question which the trial subject is entitled to demand the pharmaceutical company which requested clinical trials the institution to supply the investigational new drug, after the contract for clinical trials had terminated or cancelled. This study take into account the liability of the pharmaceutical company to trial subject. Secondly, it is researched the roles and authority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IRB is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institution, in which clinical trials for new drug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ule of Korea good clinical practice(KGCP), IRB is the mandatory organization which is authorized to approve, secure approval or disapprove the clinical trials for investigational new drug in the institution. The important roles are the review of ethical perspective of trial research and the protection of trial subject. Thirdly, this paper focuses if the participants are to be paid for the participation for clinical research. This is ethical aspect of clinical trials. It is resonable that the participant is reimbursed for expenditure such as travels, and other expenses incurred in participation in trials. It is not allowed that the benefit of clinical trials is paid to trial subject. The payment should not function as financial inducements for participations of trials. Finally, the voluntary consent of the trial subject is required. The institution ought to inform the subject, who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rials, and it ought to received informed consent in writing for subject. In this regard, it is matter that trial subject has ability of consent. It is principle that the subject as severely psychogeriatric patient has not ability of consen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not only healthy people but also patients are allowed to take part in clinical trials of new drug, in order to confirm which the investigation new drug is secure. Therefor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legal representative of subject consent the participation of the trials.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regulations concerning clinical trials of new drug is to be systematically well-modified. The approach of legal and political approach is needed to achieve this purpose.

      • KCI등재

        미성년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자기결정권

        송영민(Song, Young-Mi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3

        The legal principle of Informed consent, which originally emerged to ease patient burden of proof in medical treatment, is currently developing in the way of protection of patient self-determin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medical treatment is based on the respect of empowerment of the individual regarding his or her body, which is the idea of human dignity stated in the Constitution. Therefore, patient self-determination should be completely secured not only in general health care but also in medical treatment with more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sanctity of life. All human beings can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any action related to their own body and infringement of sanctity of life, and such a right should not be violated. As for adolescent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always imperative and it can be temporarily restricted only in exceptional cases. In other words, the temporary and tentative abandonment of the right can be considered just when exceptional reasons exist but adolescents can exercise the right without any restriction after the cancellation of the reasons. In case of clinical practice on adolescent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hould be respected more than in case of medical treatment on the general public. Even the right to child custody could be restricted in a certain way when it restrain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The reason is that a person with the right to child custody can be a guardian of benefits of the adolescent but at the same time he or she can be the one who infringes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adolescent.

      • KCI등재

        미성년자 대상 임상시험에 관한 법적 문제점

        송영민 대한의료법학회 2016 의료법학 Vol.17 No.2

        모든 형태의 임상시험은 시험 자체가 불확실하며, 리스크가 다양하므로 피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완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임상시험에 관한 법률은 약사법과 의료기기법에서 일정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이는 ‘의약행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법목적에 비추어 피험자 보호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미성년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약사법 등에서 직접적인 규정을 두지 않고,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이나 ‘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 등에서 일정 부분 규율하고 있으나 이는 법적 효력이 없는 권고사항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미성년자 대상 임상시험에 대한 법흠결 문제는 인체침습의 정도 면에서 통상적인 의료행위의 경우보다 강한 장기이식법상의 미성년자 취급제도와 기타 외국법상의 미성년자 임상시험 제도를 검토함으로서 입법적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현행법 체계상 약사법, 의료기기법 기타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시험 규율체계를 이른바 “피험자보호법”이라는 법률제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All forms of Clinical trial should be fully equipped with protection systems for experimental subjects considering their uncertainty and various risks. Existing laws have some regulations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and medical device act. Nonetheless, there is a limit to protect the subjects considering law objective to perform administration of medicine. Furthermore, the clinical trial on minor has no direct regulations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but prescribes certain portion in clinical trial assessment guideline on infants or medicine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 however there is a limit because that is just recommendation not having legal effectiveness. The legislative solution would be possible for legal problems of clinical trial on minor by examining treatment system on minor in organ transplant act and clinical trial on minor in other foreign laws stronger than usual medical practice in terms of degree of human body invasion. I suppose that the control system of clinical trial being done focusing o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medical device act and other guidelines in existing laws system should be resolved by legislating 'trial subject protection law', in addition, this would be well balanced in organ transplant act on protection system of minor organ donors. Furthermore, the judgement on the consent ability and spontaneity in clinical trial on minor should be judged considering maturity and mentality of minor by clinical tri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based on legislative solution mentioned above.

      • KCI등재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송영민(Song, Young-m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2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생체장기이식에 관한 법적 문제를 “지적장애인도 자기결정권을 가지는가”라는 권리의 유무라는 본질적인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건강한 자의 자기결정권의 의미와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의미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건강한 자의 자기결정권은 ‘먼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논의’이며, 안락사․존엄사, 유전자치료, 클론기술 등 사회윤리상 어디까지 개인의 자기 결정권을 인정할 것인가가 쟁점이 된다. 그러나 지적장애인은 ‘이성적이며 자율적인 개인’이 아니라 ‘보호의 대상으로서의 개인’으로 보아야 하므로, 이들의 자기결정 문제는 “장애를 가진 자도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고,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을 누가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그리하여 영국의 의사결정능력법에서는 무엇이 본인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는가 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최선의 이익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을 두고 있다. 동 법에 의하면 본인의 최선의 이익에 대한 판단은 단지 의학적 의미에서의 판단에 한정하지 않고, 본인의 종교, 문화, 타인과의 사회적 이익도 포함하여 결정한다. 지적장애인은 장애로 인하여 정보를 처리하거나 타인에게 자신의 사고를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지적장애인을 일률적으로 자기결정 능력이 결여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개인에 대한 차별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지적장애인이 주위의 강요로부터 벗어나 가능한 한 개인으로서의 자기결정 기회를 보장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현행 장기이식법 제11조 제3항 제3호 단서에 의하여 지적장애인의 동의능력을 판단함에 있어 영국의 의사결정 능력법은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의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지적장애인의 생제장기제공 문제뿐만 아니라 임신중절, 피임수술, 연명치료 등과 같은 다양한 법률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들 문제에 대한 자기결정권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structure on the organ transplant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terms of their own consent.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as examined as fundamental level whethe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exists or not. It should be understood as different level of problem between selfdetermination of the normal and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 The debate on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normal person should be focused on how much the self-determination on their bodies would be admitted, and it can be the issue how much the self-determination of individual would be admitted as social ethics like euthanasia, death with dignity, gene therapy, clone technology and so on. Howeve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hould be regarded as the individual to be protected, not the reasonable and liberal individual, thus, the problem of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s who and how to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abled person are also able to exercise their self-determination. Sometimes,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e not easy to deal with information, or to use and decide information, or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due to disability, but it can be a differentiation problem to the individual in case that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e regarded as if they are uniformly lack of self-determination. It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o be guaranteed to have the opportunity of self-determination as an individual free from other people"s pressur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disabled like Artificial abortion, contraceptive operation, life prolonging treatment, and so on would occur with the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technology. I suppose this study would be the basic reference to secure their self-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