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일반인의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총배령,이윤주,김수연,김슬기,김시애,김현지,남이,함석영,강경아,Tsung, Pei-Ling,Lee, Yoon Joo,Kim, Su Yeon,Kim, Seul Ki,Kim, Si Ae,Kim, Hyeon Ji,Nam, Yi,Ham, Suk Young,Kang, Kyung Ah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총 5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개구청과 대학교의 협력사업으로 진행한 죽음준비교육 참여자로 실험군 35명, 대조군 40명으로 총 75명이었고 사전 사후 측정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죽음준비교육 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명치료중단 인식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인간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로서 늘어나는 기대수명에 맞춰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자신의 삶의 마지막을 결정할 권리가 있는데, 본 연구결과는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고 본다. 또한, 일반인들에게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한 교육과정과 기간 및 교육방법에 대한 평가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how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ave the effects on awar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i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mong quasi-experimental desig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rised with 35 adults and the control group with 40 adults.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consisted of five two-hour sessions and was administered once a week for five straight week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COVA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66.2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observed in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F=3.380, P=0.040).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war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0.163, P=0.850).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death preparation training could positively affect people's awareness of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all ages and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hospice palliative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