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오토 아펠의 거시 윤리에 대한 신경 과학적 해석 - 조슈아 그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결(Jung, Kyul)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7 No.3

        과학 기술은 과도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기존에는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을 출현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칼-오토 아펠은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윤리로 거시 윤리를 제안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조슈아 그린과 같은 최근의 신경 과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우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로 문제상황의 진단에 있어서, 아펠이 말하는 ‘전환기적 수준의 위기’는 그린이 제시하는 ‘상식적 도덕의 비극’과 유사하다. 둘째로 문제 해결의 측면에 있어서 아펠이 말하는 ‘거시 윤리’는 그린이 제시하는 ‘수동 모드’와 유사하다. 도덕적 책임 주체의 확대 차원에서 아펠의 주장이 여전히 강점을 가지므로 현대의 신경 과학도 그를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아펠의 담론 윤리에 근거한 의사소통이 새로운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ology has become the cause of new ethical problems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Karl-Otto Apel proposed macroethics as a new ethics to solve global problems. His argument can als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f interpreted from a recent neuro-scientific perspective like Joshua Greene. First, in diagnosing the problem situation, Apel’s ‘transitional crisis’ is similar to the ‘tragedy of commonsense morality’ presented by Greene. Second,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pel’s ‘macroethics’ is similar to the ‘manual mode’ Greene suggests. As Apel’s argument is still strong in terms of expanding the moral responsibility, modern neuroscience needs to be studied by referring to it. Since the communication based on Apel’s discourse ethics could serve as a clue to solving new ethical problems, a neuro-scientific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responsible subjects is expected to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폴 테일러 생명 중심주의의 『생활과 윤리』 교과서 서술 개선을 위한 분석 및 제언

        정결 ( Jung Kyul ) 한국환경철학회 2021 환경철학 Vol.- No.32

        폴 테일러는 기존의 환경 윤리 논의가 동물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던 상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명 중심주의 환경 윤리를 진지한 학문적 탐구의 주제로 정착시켰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생명 중심적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 합리적이고, 그런 관점이 자연 존중의 태도의 바탕이고 그 태도를 지지하면서, 도덕 행위자가 생명 중심적 관점을 받아들이고 자연 존중의 태도를 지닌다면 그들을 안내할 윤리적 기준 및 규범의 체계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테일러의 주장은 인간 중심주의와의 비교 아래 생명 중심주의가 펼치는 규범적 주장이 옳은지를 살펴보는 이론적 과제, 인간과 인간 이외 존재 사이의 갈등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딜레마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하는 실천적 과제의 두 가지 논증으로 나누어진다. 현재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이와 같은 테일러의 주요 주장을 느슨하게 언급하는 수준에 그치거나 일부 서술이 아예 누락되어 있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테일러 논의의 이론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교과서 서술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Paul Taylor took a step further and settled biocentric environmental ethics as the subject of serious academic inquiry at a time when existing environmental ethics discussions were centered on animals. According to his argument, it is reasonable to accept a biocentric outlook, and there is a system of ethical standards and norms that guided moral agents if they accept a biocentric outlook and have an attitude of respect for nature. Taylor’s argument is divided into two arguments: a theoretical task of examining whether the normative argumnet of biocentrism is correct in comparison with anthropocentrism, and a practical task of finding ways to reasonably solve the moral dilemma arising from conflicts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high school Life and Ethics textbook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only loosely mentioning Taylor’s main arguments, or that some descriptions were omitted at al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extbook descriptions in the direction of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aylor’s discussion.

      • KCI등재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메타 윤리와 신경 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0 No.1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지금-여기’에 한정되어 있던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공간적으로는 전체 자연으로, 시간적으로 미래 세대의 인류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거시 윤리의 한 가지 원천으로서 책임 윤리는 우리에게 많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주었지만, 그것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요나스가 주장한 책임 윤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보다 발전된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 위해서, 윤리학과 관련되는 주요 영역에서 그의 사상을 검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 윤리의 입장과 신경 과학의 입장에서 평가할 때,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가지는 약점을 지적하고, 강점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메타 윤리의 입장에서, 존재가 당위를 함축한다는 요나스의 주장이 자연주의적 오류를 통과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신이 존재를 선으로 창조하였다는 주장의 증명 불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신경 과학의 입장에서, 요나스의 창조론을 유전자와 진화의 관점으로 대체하면 보다 강한 설명력을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 공포의 발견 술에 대한 실험적이고 경험적인 근거들을 검토해 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메타 윤리의 입장에서 평가할 때, 의문스러운 근거들 위에 수립되어 있는 주장이지만, 오히려 최근의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증거로 동원하면 보다 높은 설득력을 가지는 이론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Hans Jonas' responsibility ethics argues that the scope of ethical responsibility, which used to be limited to ‘now-here’,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of nature in space and to the future generations of mankind in time. While responsibility ethics as a source of macro ethics have given us many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blind pursuit of it is by no means desirable. It is time to make an effort to review his thoughts in key areas related to ethics so that more advanced discussions can be made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Jonas' responsibility ethics. This paper will point out the weaknesses of Jonas' responsibility ethics and suggest ways to further develop their strengths when evaluated from the position of meta ethics and neuroscience. First, from the viewpoint of meta ethics, I point out that Jonas' argument for ‘Problem of Is-Ought’ can not pass naturalistic fallacy and will discuss the impossibility of proving that God created existence by goodness. Next, from the standpoint of neuroscience, I suggest that replacing Jonas' creationism with a viewpoint of genes and evolution can have a stronger explanatory power, and examine experimental and empirical grounds for the heuristics of fear. Through these processes, Jonas' responsibility ethics is an argument that would be established on questionable grounds when assessing it from a meta ethics standpoint, but rather with the recent evidence of neuroscience.

      • KCI등재

        AI 시대에서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형 제안

        정결 ( Jung Kyu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1

        AI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도 바람직한 인간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을 차례대로 검토한다. 첫째, AI 시대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AI 시대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둘째, 인성이 단일한 요소로 설명하기 어려운 통합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인성교육 또한 다양한 교과들 간의 융합적 접근의 방법이 실질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밝힌다. 셋째, 인성교육의 핵심적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는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예체능교육과의 융합교육 모형을 제안한다. Even in the era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AI, education to identify desirable human identities must be continued.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following in turn. First, I critically review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the AI era, and men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AI era. Second,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personality has an integrated character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a single element,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method of convergence approach among various subjects can bring practical effects to character education. Third, I propose a convergence education model with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entering on ethics education, which plays a key platform role in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자연법 윤리의 자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 No.62

        자연법 윤리는 긴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인간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행사해온 이론으로, 그 핵심적 윤리의 원칙은 “자연을 따르라.”는 것이다. 존 스튜어트 밀에 따르면 자연은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자연’과 ‘존재해야만 하는 것으로서의 자연’으로 구분되고, 사실상 존재해야만 하는 것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논의는 무의미한 것이다. 따라서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자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올바른 태도이고 “자연을 이해하라.”의 방법론에 따라 자연법 윤리의 주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자연법 윤리에서 중요시하는 네 가지 기본 가치 중 생식 가치는 종교적 편향으로 인해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잘못 이해하게 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자연법 윤리의 실천적 방침인 이중 결과의 원리는 이성적 판단이라기보다 오히려 직관적 판단에 따른 사후 정당화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자연법 윤리에서 강조하는 인간의 고유한 본성으로서 이성은 현대의 새로운 윤리 문제 해결에 알맞은 수동 모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에 이런 측면에서 이성의 중심적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가 될 것이다. Natural law ethics is a theory that has exerted a lot of influence on humans with a long historical tradition, and its core ethical principle is to “Follow Nature.” According to John Stuart Mill, nature is divided into ‘nature as it exists’ and ‘nature as it should exist’ and discussion of nature as it should exist is actually pointless. Therefore, focusing on nature as it exists is the right attitude and the argument of natural law ethics needs to b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ology of “Study N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among the four fundamental val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natural law ethics, reproductive value is at risk of misinterpreting human nature due to religious bias. Also, the doctrine of double effect, which is a practical policy of natural law ethics, is not a reliable rational judgment but rather a post-justification based on intuitive judgment. As a unique human nature emphasized in the natural law ethics, reason can play a role in manual mode appropriate for solving new ethical problems in modern time, so it would be desirable to give a central role in this aspect.

      • KCI등재

        과학 기술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거시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결 ( Jung Kyu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3

        과학 기술은 인간의 삶 자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바람직한 삶과 관련되는 윤리적 가치와도 연결성을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심정 윤리나 의무론과 같은 의무 윤리의 입장은 기존 윤리학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진보된 현대 과학 기술 시대의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기술은 원시 사회의 신체기능적 행위 능력에서, 전통 사회의 경험기술적 행위 능력을 거쳐서, 현대 사회에 이르러 과학기술적 행위 능력을 보여주는 것까지 발전해 왔다. 현대의 과학기술적 행위 능력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들로 인해 기존 윤리학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윤리학은 과학 기술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윤리학 혹은 윤리학의 변형을 요청하고 있다. 새로운 윤리학은 거시 윤리학이라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윤리적 지평을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으로 확대시키는 성격을 가진다. 그리고 새로운 윤리학은 전체 인류의 연대성을 바탕으로 하는 책임을 강조해야 한다. Since science and technology are directly connected with human life itself, it can be evaluated that it has connectivity with ethical value related to human’s desirable life. However, the position of deontic ethics such as Gesinnungethik and deontology represents the position of existing ethics and express limitations in solving various ethical problems in advanced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echnology has developed from the ability of physical functioning of primitive societies to the ability of socio-technical ability of traditional society to show up to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bility to act in modern society. Because of the diverse nature of modern technological performance, various ethical problems arise which can not be solved by conventional ethics alone. Therefore, ethics in the future demands a change of ethics or ethics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science and technology. New ethics can be called macro ethics. It has the nature of expanding the ethical horizon both in time and space. And it should emphasiz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solidarity of the whole human race.

      • KCI등재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현대 사회는 고도로 발달한 과학 기술로 인해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윤리학은 인간의 바람직한 행위를 규정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발달한 과학 기술 속 에서 인간의 행위 능력에 따른 옳고 그름의 기준 역시 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도덕 교육 역시 변화하는 시대에 알맞은 모습을 갖추어야만 한다. 그러나 급격하게 발달한 과학 기술은 도덕 교육을 여러 가지 위기에 봉착하게 만들고 있다. 학교의 도덕 교육의 힘을 빌리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도덕적 직관이 이미 인간의 사유 능력 속에 내재하여 있다고 보는 사회적 직관주의, 도덕성을 포함한 인간의 여러 가지 능력들을 유전자 조작이나 약물 치료 등의 방법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트랜스 휴머니즘의 논의가 대표적 사례이다. 이런 사례들을 통해 주장되는 도덕 교육 무용론을 극복하고 도덕 교육이 생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학 기술 시대 속에서 도덕 교육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한 몇 가지 방향을 우리는 거시윤리에서 찾을 수 있다. 아펠의 담론윤리나 요나스의 책임윤리는 도덕 교육이 지향해야 할 이정표를 제안하는 유의미한 이론적 근거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의사소통적 책임성을 따르는 도덕 교육이 새로운 도덕 교육의 목표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rapid change due to highly 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ethics is a discipline that defines desirable behaviors of human beings, it should be able to present the right and wrong criteria according to the ability of human act in 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moral education based on ethics must also be appropriate for a changing age. However, the rapidl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s causing moral education to face various crises. The first case is social intuitionism, in which basic moral intuitions are already inherent in human thinking ability, without borrowing the power of school moral education. The second case is transhumanism, which shows that human abilities, including morality, can be improved by genetic manipulations or drug therapies. It is time to overcome the argument that the moral education mentioned through these cases is not effective and to worry about the way to survive moral education.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can find some directions for moral education to survive and develop in macroethics. The discourse ethics of Apel and Jonas` responsibility ethics can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rationale suggesting a milestone for mor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oral education which follows communicative responsibility can be a goal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 있어서 거시윤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9 No.1

        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어서 기존의 윤리학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윤리학이 요청되는데, 그러한 윤리학은 거시윤리학이라 부를 수 있다. 거시윤리학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으므로 그러한 논의의 흐름에 따라 거시윤리학의 방향이나 이론적 정당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칼-오토 아펠의 담론 윤리와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필자는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거시윤리학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영역 설정에 있어서 거시윤리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Modern society has shown a number of problem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eontic ethics according to addressing this problem has a breaking point. Therefore, the appropriate request a new eth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era. We can call it the macroethics. The properties of the macroethics is summarized in three. First, we need to focus on the future and the earth. Second, we must mainly responsible for the results. Third, the emphasis on collective and consider the existence of other human beings. There were two representatives of the macroehtics. Discourse ethics of Karl-Otto Apel and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f Hans Jonas is it. According to Karl-Otto Apel conventional moral is divided into microethics and mesoethics. But modern society has been the emergence of new problems that can not be resolved by conventional moral. So it is the position of Karl-Otto Apel suggesting apply macroethics from the standpoint of discourse ethics. Hans Jonas argues that the ne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responsibilities of global and future generations of mankind far. We must apply the perspective of macroethics courses in high school 『life and ethics』.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AI 윤리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의 세 가지 핵심 분야를 바탕으로 한 융합으로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모습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그 중 가장 핵심을 차지하는 디지털 분야의 AI 기술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재편하고 있다. 기술의 창조자였던 인간이 기술의 노예로 종속되는 호모 사피엔스에 대한 호모 파베르의 승리가 극적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 AI 윤리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AI 윤리는 문제가 발생한 이후 그것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기존 응용 윤리와 비교할 때,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 그것의 징후를 예측해 나가는 것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닌다. 또한 AI 윤리는 윤리 실천의 주체로서 인간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발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가진다. 자율성, 공공성, 공정성, 책무성, 투명성의 원칙을 핵심으로 하는 AI 윤리 원칙을 설정하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기반으로 도덕 교육 또한 각 원칙에 대응하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효과적 수행이 가능하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based on three key areas of physics, digital techn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the way society we live in. Among them, AI technology in the digital sector, which is at its core, is resha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s. Homo faber’s victory over homo sapiens, where humans, who were creators of technology, were subordinated to slaves of technology, was dramatically revealed. It is essential to discuss AI ethics to overcome this situation. AI ethics has a unique status in that it predicts its signs before an ethical problem occurs, compared to existing applied ethics that seek its solution after the problem occurs. AI ethics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function as a stepping stone to redefining human status as an agent of ethical practice. AI ethics principl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autonomy, publicness,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nd moral education should also select topics corresponding to each principle to find ways to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