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윤리교육의 지향점과 방법 : 특히 ABEEK와 관련하여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59 No.1

        Engineering ethics is an emerging discipline. Though a scientific community for the discipline has not yet built up, its place in the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seems already manifest. Colleges of engineering in Korean universities list engineering ethics courses as ingredi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 of ABEEK. But the target and methodology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do not stand firm yet. This paper discusses the aim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nalyzing how ABEEK and ABET describe the role of engineering ethics in their basic rules and guidelines.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sha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ffect that the research of engineering and its products are safely and ethically embedded in the society, but also to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individual engineers. Herkert(2001; 2005) and Son(2008)suggest that engineering ethics allow more weight for macroethics, that STS perspective and philosophy of technology be applied. This suggestion as itself sounds reasonable But as for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of undergraduate level, especially considered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we concentrate in the engineering ethics courses further on moral sensitivity and concrete ability of ethical judgment of individual engineers. 최근 공학윤리는 빠른 성장을 보이면서 새로운 전문분야를 형성해가고 있다. 공학교육에서 공학윤리의 의미와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공학윤리교육에 대한 관심도 빠르게 고조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의 공학윤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자료 및 교육방법론의 개발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논문은 적절하고 효율적인 공학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정립을 위한 기초 논의로서 현재 우리 대학들의 상황에 부합하는 공학윤리 프로그램의 목표를 분석하고, 나아가 대학에서 제공하는 공학윤리교육의 방법론적 측면을 검토한다. 특히 이 연구는 공학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공학교육인증제의 맥락과 결부시켜 분석한다. 이는 공학교육인증제와 부합하는 공학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정립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의미와 동시에 현행 공학교육인증제의 일부 측면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의 논의는 두 가지 초점을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하나는 '공학교육인증제의 틀 안에서의 공학윤리교육'이라는 조건에 대한 고려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윤리의 미시적-거시적 관점과 관련하여 최근에 진행된 토론이다. 나는 전자의 토대 위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공학윤리교육이라는 맥락에서는 최근 허커트, 손화철 등이 주장하거나 강조한 '거시적 관점의 도입과 확대'가 제한된 의미에서 수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나는 공학교육인증제 내의 전문교양 교과목으로서의 공학윤리 교과목과 철학적-STS적 관점의 공학기술 관련교양교과목은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현행 공학교육의 제한된 여건 속에서는 개별공학자 관점의 (미시적) 공학윤리를 위주로 하는 공학윤리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빈 학단의 과학사상: 배경, 형성과정, 그리고 변화

        고인석 ( In Sok Ko )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1

        Vienna Circle is a very complex topic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resists easy generalizations about its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This paper tries to give a synopsi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ircle. I investigate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Vienna Circle 1) at its genetic background, the Machian thought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ich was the source of both anti-metaphysical positivism and the evolutionary viewpoint of scientific knowledge, 2) at the stage of the (so-called) First Vienna Circle of H. Hahn, O. Neurath, et al., and finally 3) at the stage of the Vienna Circle with M. Schlick as its leader and R. Carnap its major theoretician. According to my analysis, this whole development could be described as a phase change accompanied by focus shift of academic activity, from the social enlightenment movement upon the foundation of sciences to a research program of philosophical analysis of empirical sciences, especially the analysis of the logical structure of scientific knowledge in general.

      • KCI등재

        생산적인 융합연구를 촉진하는 학제적 소통을 위한 방안

        고인석 ( In Sok Ko )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2

        Tong-sop(統攝) and yung-hap(融合) have been among the key words in recent academic and social discourses in Korea. But solutions for how practically to overcome the Snowian Two Cultures and how efficiently to widen and intensify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have not been articulated.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amendment of this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e aims and three relevant modes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re analyzed. Then two basic but practical approaches to the problem are discussed, i.e. in order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and, above all, to nourish the grass-root culture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that I call garden of promiscuity.

      • KCI등재
      • KCI등재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로봇윤리를 구체적인 규범의 차원까지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그 적용 대상인 로봇이라는 존재 범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특히 그것의 적절한 분류학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려는 일단의 시도다. 이 논문은 먼저 로봇의 분류라는 문제의 의미를 음미하고(1절), 분류체계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분석한 후에(2절), 로봇윤리 관점의 로봇 분류라는 문제의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 로봇 분류의 가능한 원칙들을 검토한다(3절). 이어 4절에서 필자는 기존의 로봇 분류체계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례를 2절에서 논한 중첩 금지, 전포괄성, 분류원칙의 체계성 등의 관점에서 검토, 평가함으로써 이 논문의 문제의식을 충족시키는 로봇의 분류체계가 아직 만들어져야 할 과제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5절에서 합리적인 로봇의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적용할 만한 분석의 두 차원을 제시한다. 로봇은 인간의 도구지만 특정한 방식으로 제한된 수준의 자율성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여느 인공물과 다른 고유의 지위를 지니며, 인간과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작용하는 존재자의 특성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로봇윤리와 유관한 로봇의 분류는 이와 같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특성을 분석의 주된 축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은 로봇시스템이 구현하는 인공지능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구조에 대한 분석의 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In order to get a practical system of roboethics up to its details we need a systematic ontology of robotic beings, especially a reasonable taxonomy of them. This paper looks into some basic questions on the taxonomy of robotic beings by discussing qualifying conditions of a taxonomy in general and some unique aspects of the classification of artifacts. No-overlap, exhaustiveness, and consistency are analyzed to be essential conditions for an effective classification. It reviews then several examples of robot taxonomy from this evaluative viewpoint. None of the examined examples proves to satisfy all three basic conditions. The paper investigates some peculiar difficulties of robot classification which were the background of the unsatisfactoriness of the given examples, then proceeds to suggest a set of basic classificatory principles for systematics of robotic beings. Considering the target, to provide systematic ontological foundation of roboethics, the mode of human-robot interaction(HRI) should be the core taxonomic principle. The analysis of HRI in this respect includes inqui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alized by the robotic system and that of the structure of HRI.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올바른 과학적 설명이란 어떤 것인가

        고인석(In-Sok Ko)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0 No.-

        선우환 교수는 과학적 설명을 주제로 한 최근의 논문 확률적 설명 모형이 설명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가? 에서 확률적 설명 모형들은 올바른 설명의 조건을 규정한다는 설명 이론의 중심 과제를 수행하기에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반사실 조건문적 설명 모형을 구상하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과학적 설명에 대한 선우환 교수의 기본적 관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비록 ‘올바른 설명’에 대한 그의 규정이 순수한 규약적 정의로서는 성립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과학의 맥락에서 실제로 흥미롭고 수용가능한 설명의 예들을 포섭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꾸로 유의미한 설명으로 볼 수 없는 사례들까지 그 범주 안에 허용한다는 점에서 그 효용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낸다. 위의 논문에 담긴 내용에 국한한다면, 반사실 조건문적 분석이 설명적 유관성의 핵심을 규명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 필자는 과학적 설명이 언제나 어떤 패러다임적 기반 위에서 수행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수용가능한 과학적 설명의 범위가 과학의 거시적 변동과 더불어 가변적이라는 점을 조명한다.

      • KCI등재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인공물의 한 특수한 형태인 로봇은 현상적 차원에서 마치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위하는 주체인 양 작동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현상을 어떤 관점에서 다루어야 하는가? 특히, 로봇의 작동 결과로 인해 벌어진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어떤 원칙에 따라 할당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은 로봇기술의 발달과 사회적 적용에 부수할 현실적인 문제들을 일관성 있게 다루기 위해 필수적인 선결문제인 동시에 우리의 합리적 결단을 요구하는 문제다. 필자는 로봇의 도덕적·사회적 지위를 쾌고감수의 능력을 지닌 동물의 그것에 견주어 조명하지만, 결국 동물의 지위에 의존하는 유비를 통해 로봇의 지위를 결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 그 대신 필자는 로봇, 특히 공공의 맥락에서 활용되는 로봇시스템을 '사회적 정신의 외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그리고 로봇이라는 존재 범주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로봇시스템에 '위임된 권한'과 '위임된 자율성'이라는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Robot, being a specific form of artefact, can perform its function as if it were an autonomous agent. It apparently makes judgments and fulfills the task by itself. What kind of ontological status should be applied to such robots or robotic systems? To whom and how should the responsibilities be attributed and distributed, if a robotic action caused certain harm? These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beforehand, if we are to deal consistently with those problems which will accompany the development of robotics and its ever-widening social implementation. I suggest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for ontological status of such high-tech robotic systems in this paper. The robotic systems, especially the ones that are employed for public use, are to be interpreted as externalized social mind, which is a subcategory of extended mind. From this perspective, we might also ascribe the notions of 'entrusted authority' and 'entrusted autonomy' to robotic systems with specific social function, even if they were not genuinely autonomous agents in themselves.

      • KCI등재

        사이버 공동체에서 아바타의 존재론적 지위 : 매체와 준-주체로서의 아바타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3 No.53

        사이버 커뮤니티 람다무에서 일어났던 아바타 간의 사이버 성폭력 사건에 대한 분석의 과정에서 아바타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특히 세컨드라이프 류의 사이버공동체 공간에서 3D 아바타는 실세계 사용자의 대리행위자로서의 지위를 점점 더 공고히 확립하고 있다. 날로 확장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활에 점점 더 깊숙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이버 세계의 주민인 아바타는 실세계 사용자와 사이버공동체의 차원을 연결하는 매체인 동시에 그 자체 독자적 정체성의 측면을 지니는 준(準)-주체다. 아바타의 매체성은 사용자가 아바타의 몸을 빌려 사이버 세계로 진입하고 사이버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지점에서 드러난다. 한편 아바타의 준-주체성은 아바타의 정체성이 사용자의 임의적 처분에 완전히 복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사이버 세계 내 사회적 지위', 그리고 그것 고유의 역사적 발달 경로에 의해 한정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