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형사사법기관 間 디지털증거 전송체계 도입방안 연구

        김일권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2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realities in which digital evidences are moved from end to end of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introduce legal and technical suggestions to allow digital evidence to be exchanged fully digitally at the state-wide level. Although S. Korea has seen a big advance made in sharing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of a criminal case electronically since the KICS system was implemented in 2010, digital evidence is still printed out or stored onto a physical media such as a CD or a DVD , which is provided to prosecutor or court physically. Such practices may cause digital evidence and its meta-data to be lost or damaged and increase burden of proof for integrity and chain of custody over the course of travelling inside or outside criminal justice services. Also a physical media may limit availability of digital evidence due to its short life-span in terms of evidential value. Thus, we may want to ask ourselves which one would be better? To revamp inefficient realities or to fix a mirror reflecting them? It is a very clear choice.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should be reshaped to embrace a new digital evidence exchange system called KoDEX(Korea Digital Evidence Exchange) which is an ICT infrastructure where digital evidence can be transferred, stored, analyzed, retained, discovered, and disposed digitally so that the KoDEX would not only improv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digital evidence but ease of access and retrieval. For this purpose, 「Act on Promotion Of The Digitalization of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other relevant laws need to be adjusted. The electronic way in which a digital evidence is transferred throughout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examined in a trial should be stipulated. And a printout or a physical media for digital evidence can be used only in a exceptional condition. Also, the KoDEX will be a repository for digital evidence including digitalized documentary evidence. Consequently, administrative and judicial regulations and supervision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misuse or abuse of stored information on top of a new perspective on the balance between objectives of criminal justice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pefully, the KoDEX will become a thought-provoking suggestion and a leading model to achieve the aim of fully digitalized criminal justice system.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함에 따라 일반 형사사건에서 조차 수집 및 분석해야 할 디지털증거의 대상과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수집된 디지털증거는 CD 등 정보저장매체를 통해 물리적으로 송부되고 있어 형사사법 프로세스의 전 구간에서 형사사법절차 참여기관은 물론, 방어권 보장을 위해 피의자, 피고인, 변호인 등 사건관계인들에게 중단 없이 전자적으로 디지털증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에 「형사사법절차 전자화 촉진법」을 제정하고, 형사사법업무 처리기관간 정보 공유를 위한 형사사법정보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당 시스템은 형사사법기관 내 업무 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사건기록인 종이문서의 전자화를 강조하였을 뿐 CCTV 영상물 등 다양한 디지털 포맷 증거를 형사사법기관 간 전자적으로 전송하는 방식까지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증거는 주로 CD와 같은 정보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인편으로 송부하는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지 못해 첫째, 송부 과정에서 저장매체의 파손, 분실 및 짧은 수명으로 인한 증거훼손과 정보유출의 위험이 상존하고 접근성 및 이용성이 제한되고 있다. 둘째, 형사사건 접수부터 종결까지 오랜 기간 동안 디지털증거물이 각각의 형사사법기관의 내외를 물리적으로 이동함으로 인해 디지털증거의 동일성, 무결성, 관리연계성에 대한 입증 부담이 가중되고 복사, 이동, 제출 등 접촉 이력을 빠짐없이 실시간으로 기록·추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디지털증거의 품질과 신뢰성이 저하된다. 셋째, 비록 우리 형사소송법이 디지털증거에 대한 출력·복제를 우선함으로써 최량증거원칙(Best Evidence Rule)을 채택하고 있지는 않으나, 데이터베이스나 각종 영상증거물 등 종이문서로 출력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디지털증거의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는 추세에 비춰, 디지털증거를 디지털 형태로 이용하지 않고 출력 등 종이문서에 의존하는 기술과 관행 간의 지체는 시급히 극복해야할 과제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형사사법기관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국가수준의 디지털증거 전송체계 도입을 제언하고자 한다. 디지털증거 전송체계는 원칙적으로 현행 형사사법정보시스템에서 전자적으로 유통되는 표준화된 사건서류와 더불어 모든 형태의 디지털증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현행 물리적 송부를 배제하고 전자적으로 형사사법기관 간 디지털증거를 전송할 수 있는 ICT기반을 의미한다. 당 전송체계는 디지털증거의 증거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관련 규범(Compliance)의 준수를 보장하고 증적감사 기능을 제공하는 세이프가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증거 사용의 신뢰성, 효율성, 효과성을 실현하고 권한 있는 자가 필요한 기간 동안(영구 보존도 가능) 중단 없이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한다. 당 제언을 구현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우선 디지털증거 전송체계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술적·제도적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이어 디지털증거 전송과 관련된 현행 법체계, 형사사법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뤄진 부분적 정보화 시도와 제한적 디지털증거 송부 실태 및 관련 문제점들을 검토한 후 국외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형사사법 환경에 적합한 설계방안을 제안하는 한편 디지털증거 전송체계 도입·운영에 필요한 법적 쟁점들에 대한 입법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언하는 국가 수준의 디지털증거 전송체계는 궁극적으로 디지털증거의 사용 가치를 높여 실체적 진실과 신속한 재판이라는 형사사법 목적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전국의 형사사법기관 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고, 단일화된 국가 형사사법 체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도입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시스템으로 국제사회의 미래 발전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Moral Foundations and Prejudicial Evidence: Helping Jurors Adhere to Jury Instructions

        McCowan, Kristen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Arizona State Univ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940

        Across three studies and two robust pilot studies, this project addressed issues surrounding prejudicial evidence and jury instructions to disregard inadmissible evidence. Specifically, this project examined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people vary in their response to prejudicial evidence, based on the morals they value,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 novel way to phrase jury instructions to debias jurors inspired by moral foundations theory. In two experimental studies, participants read a transcript of a sexual assault (Study 1: n = 544) or an assault and battery criminal case (Study 2: n = 509). In each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ad either a case with or without prejudicial evidence. Participants exposed to prejudicial evidence were either given standard jury instructions to disregard the evidence, no instructions, or novel jury instructions inspired by moral foundations theory.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foundations affected how susceptible people were to prejudicial evidence and case facts in general. This pattern emerged regardless of the type of jury instructions in most cases, suggesting that the moral foundation inspired instructions failed to help jurors disregard prejudicial evidence. The impact of people’s moral foundation endorsement has direct implications for how attorneys may phrase evidence to cater towards these moral biases and select ideal jurors during the voir dire process. To further advanc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prejudicial evidence and jury instructions in legal settings, a third study looked at how attorneys (n = 138) perceived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prejudicial evidence in real cases and the effectiveness of jury instructions. Over three quarters of the sample (77.54%) reported having experienced prejudicial evidence in their cases and expressed concern that prejudicial evidence is influential to jurors with jury instructions being ineffective. Taken altogether, the results of this project show the potential impact moral foundation endorsement can have on case judgments and how jurors are differently influenced by prejudicial evidence. In addition, data from attorneys showing the perceived prevalent and impact of prejudicial evidence in real cases further justifies the need to continue researching safeguards against prejudicial evidence.

      • 수사자료 관계분석을 통한 디지털 증거 현장 선별압수 수행 방안에 대한 연구

        이준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39

        The criminal procedure for collecting digital evidence has been strengthened, and the investigating agency is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in this regard. Especially, the principle of selective confisc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ime by performing the evidence analysis directly at the seizure search site is not properly followed, and the exceptional form of seizure is universally accepted as a principle. The complication and institutional rigor that accompanies this process adds to the burden of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and there arises a controversy in the court about the evidence of illegal collection. However, due to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and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e changed circumstances related to digital evidence have become a principle to be followed, and since the court's warrant handling practice has also changed accordingly, the investigation agency should not consider the investigation reality and efficiency alone, There is a need for practical measures to comply with the principles within the limits of law and system. If you look at the fundamentals of what alternative alternatives should be made, then you should first look at the screening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in the field. The reason is that on-site seizure is the starting point of collecting digital evidence, and if most of the digital evidence can be collected and terminated on site, all subsequent problems can be solved. It is very difficult to pick up a vast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at the site of seizure search,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ctual contents contained in it, and to seize only those things that are obvious in the value of the evidence. Furthermore, in the investigation environment where the investigators and the evidence analysts are divided, it is difficult for the analyst who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the digital evidence to know the substance of the case and to judge the value of the evi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judge the possibility of the evidence by looking at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ile within a permissible limit, away from the narrow frame of view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digital information. By doing so, we sought to find ways to improve the on - the - spot seizure of digital evidenc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resources. and More specifically, it was judged that the investigator's data, which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quantifiable factors that can be combined with digital evidence, is a date-based value in which significant traces are revealed during the entire crime period. How to standardize and manage systematically the various investigation data collected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through research, A method to extract influential crime dates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tandardized investigation data, A method to utilize this as a basic data for setting the target of the evidence to be seized by combining it with digital evidence collection, Prior to the seizure search, Procedures and technical methods for collecting digital evidence in the form of automated and patterned work were derived by pre - setting on evidence collection tools. Through such a proces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ile shortening the time to search for and collect evidence, and to obtain a relatively uniform quality result even in differences of human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troduced various practical problems involved in the seizure and processing of digital evide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troduced various practical problems involved in the seizure and processing of digital evidence. I hope this study will help to conduct similar research, legislation and policies. 디지털 증거 수집에 대한 형사절차가 강화되어 수사기관은 이와 관련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특히 압수수색 현장에서 증거분석을 직접 수행하여 범행과 관련이 있는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압수해야 하는 원칙은 제대로 지켜지지 못하고, 예외적인 형태의 압수가 마치 원칙처럼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반되는 사후 절차의 복잡성과 제도적 엄격함은 수사기관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고, 법정에서는 위법수집증거 논란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나 디지털 증거와 관련한 변화된 환경은 형사소송법의 개정과 대법원의 결정에 따라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되었고, 법원의 영장처리 실무 또한 이에 맞게 바뀌었기 때문에 수사기관은 수사 현실과 효율성만을 고려해서는 안 될 것이며, 법률과 제도의 허용범위 내에서 원칙을 준수할 수 있는 실무적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가를 근본적으로 검토해 볼 때 우선적으로 디지털 증거의 현장 선별압수 부분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현장 선별압수가 디지털 증거수집의 시발점이 되는 행위이고, 현장에서 대부분의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고 종결할 수 있다면 그 이후에 발생될 제반 문제들이 해결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수수색 현장에서 방대한 양의 디지털 정보를 골라내어 그 내부에 담고 있는 실질적인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여 분석하고, 그 중 범 증거 가치가 명백한 것만을 선별하여 압수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더구나 사건 수사관과 증거분석관이 이원화 된 수사 환경에서는 디지털 증거 수집을 담당할 분석관이 사건의 실체를 잘 알지 못해 파일의 내용을 보고 증거 가치를 판단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범죄와의 관련성을 디지털 정보의 내용을 기준으로 해석하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허용가능 한 한도 내에서 파일의 외형적 특성을 보고 증거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토대로 가지고 있는 수사자원 한도 내에서 디지털 증거의 현장 선별압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사관이 가진 수사자료에서 디지털 증거와 접목할 수 있는 계량화 할 수 있는 요소 중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전체 범행기간에서 유의미한 흔적들이 드러나는 날짜 기반의 값이라고 판단하였다. 연구를 통해 수사과정에서 수집된 각종 수사자료를 표준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 표준화 된 수사자료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유력한 범행날짜들을 추출해 내는 방안, 이를 디지털 증거 수집에 접목하여 압수 대상 증거의 타겟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방안, 압수수색 이전 증거 수집도구에 사전 설정하여 현장에서 자동화․패턴화 된 작업 형태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는 방안에 대한 절차들과 기술적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지털 증거의 현장 선별압수를 수행하게 될 경우 증거 탐색과 수집시간을 단축하면서도 효율성을 높이고, 인적요인 차이에도 비교적 균일한 품질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기술적 시간적 난이도가 필요 없는 대부분의 사건이 예외적인 방식으로 압수수색 되고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편적인 사건에서 현장 선별압수의 원칙을 최대한 준수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한 것이며, 고도의 기술범죄 또는 사안의 중요성이 큰 전문적이고 장시간 분석이 필요한 사건은 애당초 예외적 형태로 기기장치 자체나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 및 복제본을 반출하여 압수하는 것이 본래 성격에 맞는 것이라 하겠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및 처리와 관련한 제반 실무적 문제점, 현장 압수수색 시 디지털 증거를 형식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충분히 설명하고자 하였기에 향후 관련된 추가 연구 또는 입법 및 정책 마련 과정에 이와 같은 수사기관의 입장이 고려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 디지털증거 복제본 처리실태 조사를 통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영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39

        Recently, the number of police digital evidence analysis media is increasing each year as the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becomes an important means to solve the case. In fact, the number of digital evidence media for police increased from 7,388 in 2011 to 32,281 in 2016, about 4.5 times over five years. However, despite this quantitative increase in digital evidence analysis, the digital evidence analysis environment is getting worse. Smart phones with increasing security and big data such as hundreds of terabytes have added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analysis and also aim to strengthen the privacy right of information subjects such as the principle of confiscation of digital evidence One legal regulatory enforcement is making it more difficult to perform a thorough digital evidence analysis. Among them, there is a great gap between the court and the digital evidence analysis sit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thesis, which is the court's seizure search warrant for the processing of the digital evidence replica, and it is urgent to improve through the supplementary legislation. In the process of police seizure and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a field investigator confiscates the original or a copy of the digital evidence and requests it to the police or the local police agency for analysis. (Image file) of the digital evidence, and use it to conduct digital evidence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evidence in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hash value of each digital medium is calculated, issued to the intruder, and submitted to the court to prove that the evidence confiscated and the evidence submitted to the court are the same. However, recently, after the completion of search, duplication, and output in the seizure of the seizure search warrant, the electronic information excluded from the list of the seizure without delay is stipulated to be deleted and discarded, causing confusion in the digital evidence analysis field. This is because, firstly, most of the current digital evidence at the seizure site or the investigative agency is opened and the hash value is only issued.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hash value is not issued by separately classifying the event related file in the analysis process There may be a problem of identity and management continuity (Chain Of Custody) where the hash value of the first time the seizure has been inconsistent with the hash value submitted to the court by the investigating agency. Second, if an investigator deletes a duplicate that was analyzed on the same media for further analysis, it may be subject to a confiscation warrant and analysis of the evidence. Thirdly, if the integrity of the digital evidence is raised in the court, the digital analyst must present at the court to prove that the evidence submitted to the court has not been altered or damag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court on the warrant, There is no technological proof of integrity if all are dele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depend on memory long ago. As a result of reviewing overseas laws and regulations, there has been no provision in the copy of the digital evidence confiscat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until now, but in the case of the original digital evidence in US federal law, the confiscated person is illegally seized by the court, In any case, there is no obligation to return copies of the digital evidence produc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but only if the document proves that it no longer needs to be archived. Compared with the US case, which is the most advanced in the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and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suspects, after the search, duplication, and output of the seizure of the domestic court's seizure search warrant are completed, The rules governing dismissal appear to be too harsh on the authoriti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digital evidence copies at the National Local Police Agency, most of them have kept replic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deleting their replicas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igital evidence analysis. In a survey on digital evidence analysts, Most of them have kept copies of digital evid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of the court's requests for case-related data, requests for further analysis, and the analyst's future attendance. Therefore, we propose to immediately abandon the stipulation of the seizure of the seizure of the court, which is causing great confusion in the digital evidence seizure and analysis field, and to solve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igital proof copy processing through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addition, it proposes to consolidate the National Police Agency or to maintain a reliable third institution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keeping digital evidence copies. 최근 디지털 증거분석이 사건해결에 있어 중요한 수단으로 등장함에 따라 매년 경찰의 디지털 증거분석 매체 수는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경찰의 디지털증거 매체 수는 지난 2011년 7,388건에서 2016년 32,281건으로 5년간 약 4.5배가량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런 디지털 증거분석의 양적증가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증거분석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점차 보안이 강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및 수백 테라바이트에 이르는 빅데이터 등은 분석의 기술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한편, 디지털 증거의 사본압수 원칙 및 압수범위의 사건관련성 제한 등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권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한 법률적 규제강화는 온전한 디지털증거 분석수행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번 논문의 주제인 디지털증거 복제본 처리에 대한 법원의 압수수색 영장별지 규정은 디지털증거 분석현장과 매우 큰 괴리가 있어 반드시 보완입법 등을 통한 개선이 시급하다. 경찰의 디지털증거압수 및 분석과정을 보면 현장 수사관이 디지털증거의 원본 또는 사본을 압수하고 이를 경찰청 또는 지방경찰청에 분석을 의뢰하면, 디지털 분석관은 분석매체의 원본 및 사본 구분 없이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디지털증거 복제본(이미지 파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증거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증거의 동일성 및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각의 디지털 매체의 대한 해시값을 계산하여 이를 피압수자에게 교부하고 향후 법정에 제출하여 압수한 증거물과 법정에 제출된 증거물이 같다는 것을 입증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별지에 탐색·복제·출력이 완료된 후에는 지체 없이 피 압수 목록에서 제외된 전자정보는 삭제·폐기토록 규정하여 디지털증거 분석 현장에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이는 첫째, 현재 대부분 압수현장 또는 수사기관에서 원본 디지털증거에 대한 사본 전체를 뜨고 그에 대한 해시값만을 교부할 뿐 추후 분석과정에서 사건관련 파일을 별도로 구분하여 해쉬값을 교부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할 때 피압수자가 최초 교부받은 해시값과 수사기관이 법원에 제출 한 해시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동일성 및 관리의 연속성(Chain Of Custody)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둘째, 수사관이 동일 매체에 대해 추가 분석 요청 시 분석하였던 복제본을 삭제한 경우 다시 압수영장을 받아 증거분석을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셋째, 법정에서 디지털 증거물의 무결성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 디지털 분석관은 법정에 출석하여 법정에 제출된 증거가 변경되거나 훼손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하는데 법원의 영장별지 지시에 따라 피 압수 목록에서 제외된 복제본을 모두 삭제한 경우 기술적으로 무결성을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다만 오래전 기억에 의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디지털 분석관이 재검증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진다. 이에 해외 법령 및 판례 등을 검토한 결과 현재까지 수사기관이 압수한 디지털증거 복제본에 처리에 대한 규정이 없고, 다만 미국 연방법률에서 디지털증거 원본의 경우 피압수자가 법원에 압수가 불법이고 수사기관이 더 이상 보관하고 있을 필요가 없음을 입증하는 경우에 한해 원본을 돌려주도록 규정할 뿐 어떠한 경우에도 수사기관이 만든 디지털증거 복제본을 돌려줄 의무는 전혀 없다. 디지털증거분석과 피의자의 인권보호에 있어 가장 앞서 있는 미국의 사례와 비교해 볼 때에도 국내 법원의 압수수색 영장별지에 탐색·복제·출력이 완료된 후에는 지체 없이 피 압수 목록에서 제외된 전자정보는 삭제·폐기토록 하는 규정은 수사기관에게 지나치게 가혹한 규정으로 보인다. 전국 지방경찰청을 대상으로 디지털증거 복제본 보관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 디지털증거 분석 완료 후에 복제본을 바로 삭제하지 않고 일정기간 복제본을 보관하고 있었고, 디지털증거 분석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수사관, 검사, 법원의 사건관련 자료요청, 추가분석 요청, 분석관의 향후 법정 출석 대비 등을 이유로 대부분 일정기간 디지털증거 복제본을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디지털증거 압수 및 분석현장에 큰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법원의 압수수색영장 별지 규정을 즉각 폐기하고, 형사소송법 개정을 통한 개인정보보호 및 디지털증거 복제본 처리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 더불어, 디지털증거 복제본 보관의 신뢰성 및 효율성 강화를 위해 경찰청 통합관리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제3의 기관보관을 제안한다.

      • 디지털 증거의 본질에 어울리는 증거조사 방안

        박찬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39

        형사소송의 목표는 구체적 법률관계 즉, 범죄의 성립 여부를 확정하고, 범죄가 성립하는 경우 적정한 형벌의 종류와 양을 정함에 있다. 이러한 법률관계는 일정한 사실관계를 전제로 하고, 그 사실관계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자료가 증거이다. 증거는 아래 3가지 의미를 포괄한다. 즉 ① 사실 인정의 자료가 되는 물건이나 사람 자체(예: 증인, 증거서류, 증거물)를 가리키는 증거방법, ② 증거방법을 조사함으로써 알게 된 내용(예: 증인의 증언내용, 증거물의 성질)을 가리키는 증거자료, 그리고 ③ 증거자료와 그 밖에 증거조사를 통해 얻는 비언어적인 자료(예: 증인신문시의 표정이나 태도 등)를 포괄하여 뜻하는 증거결과가 그것이다. 디지털 증거는 ‘2진수 형태로 저장 혹은 전송되는 것으로서 법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증거의 위 3가지 의미 중 ‘증거자료’에 주안점을 둔 개념이다.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증거에 관한 수사 및 재판실무상 그 증거능력 인정 요건으로서 동일성, 무결성, 신뢰성 등을 충족하여야 하고, 전자정보가 담긴 저장매체 또는 하드카피나 이미징 등 형태를 수사기관 사무실 등으로 옮겨 복제·탐색·출력하는 경우 판례는 그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원칙적으로 피압수자나 변호인에게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실무상 디지털 증거를 수집할 때에 해시값을 산출하여 이를 기재한 확인서를 참여자에게 교부하는 방식으로 동일성 등의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그런데 예컨대 세월호 선체의 CCTV 동영상 저장장치를 둘러싼 논란에서 보듯이 디지털 증거를 최초 수집할 때 피압수자 등이 참여할 수 없거나, 조사 주체에 대한 신뢰가 없는 상황에서는 디지털 증거를 최초로 수집한 시각 및 그 이후의 분석 과정에 대하여도 불신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우선 디지털 증거에 관한 계층적 구조를 살펴보고, 디지털 증거의 본질과 특성에 가장 어울리는 증거조사 방법으로 아래 3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는 현재와 같이 ‘압수물인 디지털 저장매체로부터 출력한 문건 등’(= ‘증거방법’에 해당, 증거능력 요건으로서 동일성, 무결성, 신뢰성 등 입증이 필요)을 증거로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0과 1이라는 디지털 형태의 정보 자체’(=‘증거자료’에 해당)를 증거로 수집하여 법정에 제출하는 방안이다. 이 경우 디지털 형태의 정보인 파일 자체(1차 증거)와 이를 문서뷰어 등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화면이나 문서(2차 증거)를 함께 제출하는데, 이는 예컨대 외국어나 기술부호로 기재된 문서(1차 증거)와 이를 번역 또는 감정한 결과(2차 증거)를 함께 제출하는 것에 비견될 수 있다. 둘째는 위와 같이 1차 증거로 제출하는 디지털 증거의 진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적 봉인기법의 개선 방안이다. 현재는 증거자료인 파일 자체에 대한 해시값을 산출하여 참여자에게 확인서를 교부하는데, 해시값 산출 대상에 증거자료인 파일 외에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해당 파일의 수집시각’을 포함하는 것이다. 해당 파일의 수집시각을 공인된 방법으로 획득하여 해시 대상에 포함시키면 수집 현장에 참여자가 없더라도 해당 파일의 수집시각을 객관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그 기술적 수단으로는 NTP 또는 TSA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는 위와 같은 일련의 증거수집 및 분석 과정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파일 수집, 분석 및 시각 확인 등의 모든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가상머신으로 구현하고, 그 가상머신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를 기록한 후, 가상머신 자체에 대한 해시값과 행위기록에 대한 해시값을 산출하여 보존하는 것이다. 이로써 포렌식 조사 주체 및 조사 과정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증거의 수집, 조사에 관한 현행 실무상 미비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향후 형사전자소송시스템이 완비되면 법정에서 제안된 방식의 증거조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criminal proceedings is to determine specific legal relations, that is, whether or not a crime is established,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ype and amount of punishment if a crime is established. These legal relations presuppose a certain factual relationship, and the data used to confirm the factual relationship is evidence. Evidence encompasses three meanings. That is, ① the method of proof referring to the objects or people themselves(eg: witness, evidentiary documents, article of evidence) that become the data of fact recognition, ② the evidential data indicating what they learned by investigating the method of proof(eg: the witness’ testimony, the nature of article of evidence), and ③ the evidence results that include the evidential data and the other non-verbal data obtained through examination of evidence(eg: the expression or attitude of a witness during the examination of a witness). Digital evidence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that can be trusted in court as stored or transmitted in binary form." This concept focuses on 'the evidential data’ among the above three meanings of evidence. In the investigation and judicial practice about digital evidence in Korea, identity, integrity, and reliability should be met as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in the case of duplicating, serching or printing digital data storage media or hard copy or imaging, etc, by moving to the office of an investigative agency, the Supreme court says that in principle, the confiscated person or lawyer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uch a series of processes. In practice, when collecting digital evidence, a hash value is calculated and a confirmation written in it is issued to the participants to deal with issues such as identity. However, as shown by the controversy about the CCTV video storage device of the Ferry Sewol, when the confiscated person cannot participate when collecting digital evidence for the first time, distrust may arise over the time and subsequent analysis process of the first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digital evidence, and then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ways to improve the Methods for Examination of Evidence that best suit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The first is not to provide evidence of documents printed from digital storage media that is confiscated article(= corresponds to ‘the method of proof’ that requires verification of identity, integrity, reliability, etc), but to collect and submit ‘0 or 1’ digital form of information itself(= correspons to ‘the evidential data’) to the court. In this case, the file itself which is information in digital form(primary evidence) and a screen or document reproduced in a program, such as a document viewer(secondary evidence) are submitted together, which can be compared to document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or a technical code(primary evidence) and a translation or a result of appraisal(secondary evidence).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of the technical sealing measure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digital evidence submitted as primary evidence as above. Currently, the hash value of the file itself, which is the evidence, is calculated and a confirmation letter is issued to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file as evidence, let’s include ‘the time of collecting digital file that can be objectively verified' to parameters of the hash function. If the time of collecting is acquired by an authorized method and included to the parameters of the hash function, the time of collecting the digital evidence can be objectively guaranteed even if there is no participant at the collection site. As the technical means, NTP or TSA can be considered. The third is a virtual machine. In order to gain confidence in the above series of evidence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es, a system that performs all procedures such as file collection, analysis, and time check is implemented as a virtual machine, and all actions performed in the virtual machine are recorded. After that, the hash value for the virtual machine itself and the hash value for the behavior record are calculated and preser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trust in the subject of the forensic investigation and the investigation process. As abov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ficiencies in the current practice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of digital evidence were reviewed at the theoretical level. When the electronic system of criminal procedure is completed soon, the investigation of digital evidence in the way proposed will be smoothly conducted in the courtroom.

      • 디지털 증거 분류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찬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39

        Looking at recent criminal trends using digital evidence, in the past, digital evidence was mainly used only in cyber crime, but digital evidence is now being used in various criminal types, not limited to cyber crime. Currently, digital evidence is used as key evidence in a variety of criminal types, including intelligence crimes, violent crimes, and female and juvenile delinquency. This is because digital media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portable electronics have become necessities in life. In addition, digital media is used as a primary means of criminal activity or as crucial evidence to solve cases. This study classified digital evidence types based on statistical data from the digital evidence actually used and collected on site. The digital analysis data are analyzed and classified for digital evidence used by criminal type, using an analysis algorithm.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e type of digital evidence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event is presented. An analysis of the type of digital evidence used by each criminal type facilitates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by crime type for site investigator. These analysis methods are expected to help us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cas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case handling. Digital evidence type analysis can improve the digital evidence collection capabilities of site investigator and the operational structure of digital evidence gathering. Direct involvement of field investigators in digital forensics procedures is ensured and digital evidence is collected and processed.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create an efficient classification of digital evidence. 디지털 증거가 사용되는 최근의 범죄 동향을 살펴보면 기존에 사이버 범죄에서만 주로 사용되던 디지털 증거물들이 단지 사이버 범죄에만 국한 되지 않고 지능범죄, 강력범죄, 여성청소년 범죄 등 여러 가지 범죄 유형에서 주요 증거로 채택, 사용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전자장치 등과 같은 디지털 매체들이 일상에서 사용되는 필수품이 되었고 범죄 행위에 있어서도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고 수집된 디지털 증거물의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범죄 유형별로 사용되는 디지털 증거를 분석·분류하고 사건 특성과 연관 관계가 있는 디지털 증거 유형을 제시 한다. 각 범죄 유형별로 사용되는 디지털 증거물의 유형 분석 및 수집된 디지털 증거물과 연계된 분석 방법을 확인하여, 일선 수사관에게 범죄 유형별 디지털 증거 수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계된 분석 방법을 통해 향후 진행될 사건의 방향을 예측 가능케 함으로써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디지털 증거물의 구분 및 분석 유형 제시를 통해 일선 수사관의 디지털 증거 수집 능력을 향상시켜 디지털 증거수집 시 사이버 수사관 혹은 디지털 증거 분석관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업무 구조를 개선하며 사건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일선 수사관이 직접 디지털 포렌식 절차에 참여하도록 하여 사건의 해결 가능성을 높이게 하고 궁극적으로 디지털 증거를 다루는 현장 수사관이 사이버 수사관이나 증거분석관의 도움 없이 디지털 증거 수집 및 처리가 가능하도록 디지털 증거물에 대한 효율화된 분류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刑事節次上 컴퓨터 關聯證據의 押收와 搜索에 관한 硏究

        김정희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939

        본 논문은 오늘날 컴퓨터 및 정보통신망의 빠른 확산과 함께 증가하는 컴퓨터 關聯證據의 押收와 搜索에 대하여, 컴퓨터와 컴퓨터 犯罪理論을 기초로, 關聯證據의 搜査및 蒐集에 따른 法的 諸 爭點들을 살펴 이러한 證據들이 재판에서 실질적으로 인정되기 위한 證據能力까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컴퓨터 關聯證據의 기초가 되는 "컴퓨터(Computer)"란 개념은 電子式情報處理裝置로서 미래의 기술발전에 따른 可變性이 인정되어야 하며, "0"과 "1"의 2진법 코드(binary code)로 실행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hardware)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시스템은 범죄에 있어서, 범죄의 직접적인 도구로써 이용되거나 단순히 범죄 관련 증거의 貯藏 기기로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역할의 차이는 關聯證據의 搜査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犯罪는 그 개념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刑法및 컴퓨터 關聯立法과 搜査의 필요성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긍정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컴퓨터의 情報處理裝置라는 特性을 이용한 反社會的行爲中에서도 특히 다른 전통적인 형법상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그에 해당시키기 곤란한 범죄만을 모아 이를 컴퓨터 犯罪라고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컴퓨터 關聯證據의 搜査는 컴퓨터와 관련된 專門性을 필요로 하며, 특히 전자적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data)를 證據로 蒐集함에 따른 搜査의 難點과 정보통신을 활용한 搜査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문 수사팀의 구성에서 令狀請求에 이르는 세부적인 搜査節次에 의해 수사되어야 한다. 특히 컴퓨터 關聯證據를 法的 證據物로 제출할 수 있도록 調査하는 전문기술분야로서 컴퓨터 포렌식스(Computer Forensics)는 앞으로 컴퓨터 기술적, 법률적 분야를 모두 만족시키는 전문 분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搜査에서도 刑事訴訟法上基本原則은 유지되어야 하며, 특히 컴퓨터 關聯證據의 특성상 내부 관련자의 任意提出이나 搜査協助가 緊要한 만큼 任意搜査가 원칙이 되어야 한다. 실질적인 컴퓨터 關聯證據의 蒐集에 대하여 중요한 法的 爭點들을 고찰하여 보면, 우선 "컴퓨터 關聯證據"의 定義는 刑事節次上 證據에 비추어,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구조와 통신망 이용에 관련된 證據方法의 총체로 전제하기로 한다. 구체적 문제로, 컴퓨터 하드웨어(hardware) 시스템 대해서는 시스템 구성요소가 獨立된 證據로서 인정되어 令狀에 구체화되어야 하는 獨立構成要素의 原則에 따라 押收·搜索이 실행되어야 하며, 컴퓨터 하드웨어 시스템이 범죄에 직접적인 도구나 結果物로써 인정되는 경우에는 관련 컴퓨터 시스템 자체에 대한 押收와 搜索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범죄관련 證據資料만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라면 搜査 比例의 原則上 특정의 증거자료(data)에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無體情報(data)에 대한 押收와 搜索의 가능성은 결론적으로는 證據物로써 有體性을 지녀야 한다는 要式 必要性을 別論으로 한다면, 無體情報에 대한 押收·搜索은 긍정된다고 할 것이며 이는 현행 通信秘密保護法 등이 일정한 適法節次를 거친 경우 정보통신망에 대한 搜査를 인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도 타당하다. 그리고 컴퓨터 關聯證據를 押收·搜索할 때에도 令狀主義 原則은 당연히 적용되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미국 법무부(Department of Justice)에서 발표한 매뉴얼(Sear ching & Seizing Computers & Obtaining Electronic Evidence in Criminal Investingations)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컴퓨터 關聯證據수집에 있어서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컴퓨터 關聯 證據 蒐集에 적용되는 令狀主義의 一般原則과 그 例外로서 同意에 의한 경우와 緊急狀況, 자연스럽게 목격한 경우, 정당한 체포과정, 국경 및 사업장에서의 押收·搜索이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관련 판례와 함께 소개하였다. 그밖에 컴퓨터 네트워크(network)와 게시판(BBS)에 대한 押收와 搜索에 있어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에 대한 搜査時개인의 통신비밀의 自由權과 통신을 통한 表現의 自由 및 프라이버시 보호권 등이 보장되어야 하며, 특히 通信秘密保護法의 검토 및 外國의 立法例를 검토하여 보면, 새로운 도청(wiretapping)방법으로써 電磁的監視(electronic surveillance)는 오직 제한적이며 특별한 상황에 있어서만 사용되어져야 하는 수사의 굉장히 특수한 형태라고 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蒐集된 컴퓨터 關聯證據가 궁극적으로 재판에서 證據로써 인정되기 위한 證據能力을 살펴보면, 컴퓨터에 저장된 無體情報인 증거 자료(data)를 可視的인 상태로 출력하여 그때의 기록물을 證據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刑事訴訟法上 傳聞法則이 적용된다고 할 것이며, 이때의 증거자료가 되는 것은 여전히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적법한 檢證節次를 거친 출력 기록물은 재판에서 컴퓨터 시스템 내에 전자적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원래의 자료(data)와 同一性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本稿는 위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정보사회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빠른 확산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컴퓨터 關聯證據의 押收·搜索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컴퓨터 관련 범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일반 범죄유형에 있어서까지 컴퓨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컴퓨터 關聯證據를 搜査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諸 法的 문제점들을 고찰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legal issues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based on computer crime theory in the field of search and procedure as computer crime increases in the rapid expansion of computer and information networking system in recent years. In detail, the admissibility of those computer related evidences in court. The term "Computer" is an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EDPS) part of computer hardware system using binary system; It has only two values : "0" and "1",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changes of the computer must be accepted as technology developed. These computer system serve either as the means of committing crime or as storage devices for evidence of crime. These difference of role in crime have an effect on search of those evidences. Also computer crime must be acknowledged for the necessity of future legislation related to the various computer crimes and traditional Criminal Law in spite of uncertainties of crime using computer-related devices. In particular, computer crime should classified into a crime using character of the computer, not involving traditional elements of crime or crime not fit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crime among antisocial activities. Next, search for those computer-related evidences requires professional handling different from other search. In particular, the complicated way of search of those electronic date evidence in computer and the search using computer-related devices requires detailed steps in search procedure from assembling the technical expertise team to requesting a warrant. Computer Forensic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searching of admissible computer evidences to the court, will be expected to be settled as a professional job satisfying both Technology and Law. Also, the fundamental principal of criminal procedure should be respected in the search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Specially, discretionary search should be recognized as a fundamental rule because discretionary submission of the computer-related evidences or cooperation of insider take part in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dealing with intangible character of the computer-related evidences. Reviewing important legal issues in search of computer-related evidence in practice, the concept "computer-related evidence" premises the evidences drawn up concerning the basic structure of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network related devices. In detailed issue, one of the elements of the computer hardware system it self computer should be accepted according to the substantive evidence rule; evidence it self should be recognized as a substantive evidence and be specified in warrant to be accepted in court. In case of providing means of committing crime or being a fruit of the crime, the search and seizure of the computer system it self should be allowed. In case of computer being a storage device for evidence of crime, however, only specific data should be searched and seized according to the necessary disposition accompanied to the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In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search and seizure of intangible data should be affirmed, if it excludes the theory of necessity of tangibility. In the light of another application of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in 'The Korean Communications Privacy Act' within the boundary of due process procedure, search of networking system is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rule of warrant should be applied as a fundamental principal in search and seizure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In seeking an appropriate policy for seizure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in Korea, author reviewed a manual on 「Searching & Seizing Computers and Obtaining Electronic Evidence in Criminal Investigations」 publish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Author introduced how fundamental rules and exceptions to the warrant rules; Consent, Exigent Circumstances, Plain View, Search incident to a Lawful Arrest, Inventory and Border Search are applied in searching and seizing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with additional reference to the related cases. Besides,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right of privacy should be protected in the course of seizure of computer network and BBS (Bulletin Board System). Specially, electronic surveillance as a new way of wiretapping is a special kind of search that should be allowed only in a restricted and special circumstances base on the conclusion drawn after reviewing The Korean Communications Privacy Act and other legislation of other countries. Lastly, with the respect to the admissibility of computer-related evidence, print-out data will be admitted because it has been transferred to a tangible form from an intangible form base on the "Hear say Rule" in Korean Criminal Law. However, still it is the content of the data that is the evidence stored in that computer system ultimately admitted to the court. Also, print-out data taken satisfying due process procedure is regarded as an identical data stored in the computer system in electronic form as far as trial is concerned. This dissertation aims at studying search and seizure of computer-related evidence base on those discussions given above in the information society, expanding computer and internet networking system in a rapid speed. It is necessary to study legal issues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course of search and seizure of computer-related evidences, since the use of computer has been increased not only at a computer-related crime, but also at a traditional crime set.

      •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의 근거에 관한 연구

        박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38

        Background Few studies have systematically analysed whether health recommendations and claims from TV medical talk shows were supported by the evidence and whether they were exaggerated or bias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health recommendations and claims from TV medical talk shows were supported by the evidence and their levels of evidence. Methods Sixty randomly selected episodes aired in 2016 from top 3 TV medical talk shows were watched and 382 recommendations made were identified by two independent researchers. For 356 recommendations from which searchable questions can be developed, specific details surrounding recommendations were extracted. For 139 randomly selected recommendations (39%), percentage of recommendations that are supported by evidence was a primary outcome and levels of evidence based on Oxford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criteria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frequent topic disease belonged to aesthetic category (44.6%). Among Western Medicine, Korean Medicine and diet/exercise/lifestyle advice categories, diet/exercise/lifestyle advice was the most frequently recommended (61.5%). Recommendations regarding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were the most common (41.1%). More than half of the recommendations mentioned clinical outcomes (54.7%) and general benefits were presented in 70.6% of the recommendations while costs were not addressed in any recommendations. Evidence supported 59% of recommendations, while evidence contradicted or no relevant evidence was available for 41% of recommendations. Level 1 or 2 evidences were available for 46.3% of recommendations that are supported and for 66.7% of recommendations that evidence contradicted. Conclusions Recommendations from TV medical talk shows often lack adequate evidence or evidence contradicts them. Evidence is often at a low level of mechanism-based reasoning. The public should be adequately informed of evidence-base of recommendations made on TV medical talk shows. 배경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권고나 주장이 근거에 기반하고 있는 것인지, 그 정보에 과장이나 비뚤림이 없는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권고나 주장들이 근거에 기반하 고 있는지, 또 그 근거의 수준은 어떠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TV 건강 프로그램 중 시청률이 가장 높은 세 가지 프로그램을 선정해 2016년 방영분 중 각 프로그램 당 20회차를 단순무작위추출하여 총 60회 분량에 대해 두 명의 독립된 연구자가 시청한 후 총 382개의 권고를 추출하였다. 이 중 검색 가능한 질문으로 변환이 가능한 356개의 권고에 대해 자료를 추출했다. 이어 139개의 권고(39%)를 단순무작위추출해 근거를 검색하였으며 근거에 기반한 권고 의 비율을 일차 평가 지표로 삼았다. 아울러 옥스퍼드대학교 근거중심의학연구소 의 근거 수준을 이용하여 근거의 수준을 분석했다. 결과 권고의 주제 질환은 미용 등과 관련된 것이 44.6%로 가장 많았고, 서양의학, 한 의학, 식이, 운동, 생활습관 요법 중 식이, 운동, 생활습관 요법 관련된 권고가 61.5%로 가장 많았다. 치료, 진단과 감별, 예방 및 건강증진 중 예방 및 건강증진 에 관련된 권고가 41.1%로 가장 많았다. 권고들에 나타난 결과지표의 유형은 임상 지표가 54.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권고에서 이익을 일반적으로 언급 한 경우가 전체 권고의 70.6%였으며 비용을 언급한 권고는 없었다. 근거에 기반한 권고의 비율은 59%, 오히려 반대되는 근거가 있거나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경우는 41%로 나타났다. 근거에 기반한 권고 중 근거의 수준이 비교적 높은 수준인 level 1, 2인 경우가 46.3%였고 오히려 반대되는 근거가 있는 권고의 경우 level 1, 2의 근거가 66.7%를 차지하였다. 결론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권고는 뒷받침하는 근거를 찾기 힘들거나 오 히려 반대되는 근거가 있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근거의 수준도 기전에 근거한 추론 수준의 근거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권고 의 근거 기반에 대해 대중에게 제대로 알릴 필요가 있다.

      • 정황증거의 전문법칙에 관한 소고

        이다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38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은 형법을 실현하는 절차를 규정하는 절차법이자, 헌법 기본 원칙을 형사 절차에서 실현하는 법률이다. 형사소송법은 일제강점기에 독일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법률을 의용한 조선형사령을 배경으로 발전해 왔다. 해방 이후, 영미의 당사자주의 요소를 강화하고 인권보장을 위한 개정으로 전문법칙을 도입하였다. 우리 법은 적법한 증거를 인정하는 증거재판주의(형사소송법 제307조)를 채택 및 전문증거에 대한 전문법칙을 적용하는 반면 전문법칙의 예외(형사소송법 제311조 내지 제316조)에 명문화하여 억울한 피해자를 발생시키지 않고자 노력해왔다. ‘전문법칙’은 ‘전문증거는 증거가 아니므로 증거능력이 인정될 수 없다는 원칙’ 이고 ‘전문증거’란 ‘사실인정의 기초가 되는 경험적 사실을 경험자 자신이 직접 법원에 진술하지 아니하고 다른 형태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는 전문법칙이 헌법상의 원리인 ‘신속한 재판의 내실화와 실체적 진실 발견을 통한 공정한 재판의 실현’과 충돌하고 있으며 전문법칙의 예외가 점차 확대 인정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전문법칙의 예외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증거법 제807조 규정을 우리 법에 맞게 입법하여 형사법의 이념 중 하나인 합목적성을 추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법원 2021. 2. 25. 선고 2020도17109 판결과 대법원 2018. 5. 15. 선고 2017도19499 판결을 통하여 전문증거와 간접사실에 대한 정황증거에 대한 법리를 분석해 보았다. 판례에서 ‘간접사실에 대한 정황증거’는 ‘어떠한 전문진술을 그 진술 내용의 진실성과 관계없는 원진술자의 심리적·정신적 상황과 같은 간접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정황증거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문법칙은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그 진술이 자신의 행동의 의도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에는 정황증거를 입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진술 내용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수단이므로 전문증거의 개념에 포함된다’고 설시하고 있다. 즉, 요증사실에 따라 그 해석을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사실에 대해선 전문증거가 될 수 있고 어떤 사실에 대해선 전문증거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 건의 대상판결은 원심과 대법원에서 요증사실을 다르게 정하여 증거가 전문증거인지 아닌지 판단이 달라졌다. 이것은 법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적 안정성을 높이고 법관의 법리 해석에 오해를 줄이기 위하여 정의 규정을 우리법에 맞게 입법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is a procedural law that stipulates the procedures for realizing criminal law, and a law that realize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in criminal proceedings. The Criminal Procedure Code develop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Korean Penal Code, which was based on German-influenced Japanese law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t was reformed to strengthen the Anglo-American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and to ensure human rights.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s the principle of evidence system(Article 307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hat recognizes legitimate evidence and applies hearsay rules to hearsay evidence. On the other hand, We have made efforts to prevent unfair victims from occurring by defining exceptions(Articles 311 to 316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o the hearsay rule. The hearsay rule is the principle that hearsay is not evidence and is not admissible. Hearsay evidence refers to the indirect transmission of empirical fac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facts by means of other forms other than the statement of the experienced person to the trial court. The problem is that expert testimony conflicts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speedy trial and fair trial through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and the exceptions to the hearsay rule are gradually being recognized. Therefore, rather than strictly applying the exceptions to the hearsay rule, the provisions of Article 807 of the American Evidence Act should be legislated in accordance with our law to pursue suitability, which is one of the ideologies of criminal law. In this study analyzed the legal principles on hearsay evidence and circumstantial evidence of indirect facts through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0Do17109, pronounced on February 25, 2021,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o19499, sentenced on May 15, 2018. In cite a precedent, ‘circumstantial evidence for indirect facts’ is explained as follows. ‘The hearsay rule does not apply even if any hearsay statement is used as circumstantial evidence to prove indirect facts, such as the psychological or mental situation of the original statementer, that are unrelated to the truth of the statement. However, if the statement contains content explaining the intention of one's actions, it is included in the concept of hearsay evidence because it is not intended to prove circumstantial evidence but is a means of proving the truth of the statement. In other words, since the interpreta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cts of the case, some facts may be hearsay evidence and some facts may not be hearsay evidence. In the two subject rulings, the original trial and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e supporting facts differently, resulting in a different judgment on whether the evidence was hearsay evidence or not. This suggests that legal stability is low.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definitions in accordance with our law in order to increase legal stability and reduce misunderstandings in judges' interpretation of legal principles.

      • 디지털증거 선별 절차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박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38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현대 문명에서 디기털기기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모든 자료와 정보는 디지털기기에 의해 생산, 유통되고, 디지털정보의 저장, 분석을 통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정보화시대를 거쳐 최근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돌입하면서 사이버 세계에서 생산되는 정보의 양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정위, 검찰, 경찰 및 국세청 등 법률에서 규제하는 행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를 밝혀야하는 기관의 조사 방법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기업을 대상으로 불공정거래행위, 부당한 공동행위 등을 조사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더욱 급격하게 체감할 수 밖에 없다. 기업에서 생산되는 모든 정보는 디지털화된 전자정보이고, 기존의 서류문서나 업무일지 등은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 위주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는 그 방법과 규모, 절차 등에 따라서 기업의 영업기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이 노출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 역량을 강화화기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조직을 강화하는 등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디지털증거는 디지털정보 중 증거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증거를 수집부터 폐기까지의 사이클 중에서 위에서 기술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하는 과정이 디지털증거의 선별절차이다. 또한 조사 대상 자료의 양과 범위가 늘어나는 추세를 볼 때 선별수집보다 포괄수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포괄수집의 경우 부작용을 수반할 가능성이 커지는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소관 법령에 위반한 행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정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포괄수집이 적절하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연구결과 포괄수집 과정에서 대면 선별 절차의 한계점과 피조사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사건과 무관한 기업의 영업비밀이나 피조사인의 소속 임직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자료에 대한 처리 방안을 강화할 필요성, 포괄수집에 의해 확보한 디지털정보들 중에서 사건관련성이 있는 디지털증거만을 수집하기 위한 선별 시 주요 증거들이 사장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 필요성 및 문제점을 기초로 공정거래위원회의 디지털증거 수집 및 선별 절차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원격 선별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피조사인의 참여권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둘째, 포괄수집으로 인해 피조사인과 피조사인의 소속 임직원들의 법익을 해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제한권한을 피조사인에게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셋째, 디지털증거의 단계적 선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디지털증거를 처리하는 과정 중 수집 및 선별 단계의절차를 재정립하고, 그에 따라 피조사인의 참여권 보장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 과정에서 증거자료 관리의 내실을 강화할 수 있고, 피조사인은 증거자료 처리 과정의 참여 기회가 확대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igital devices have become an important tool in modern civilization. All data and information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digital devices, and added value is created through storage and analysis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duced in the cyber world is exploding beyond imagination as it has recently enter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information age. The changes are affecting the methods of investigations by law-regulated bodies such as the prosecution, police,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for the Fair Trade Commission, which investigates unfair trade practices by companies, so-called collusion, the change is more acute. All information produced by a company is digitalized electronic information, and existing document documents and work logs have long disappeared. Thus, the Fair Trade Commission's investigation has changed to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digital information. However, the investigation into digital information still has the potential to have side effects that could expose the business secrets of the entity, personal privacy, etc., depending on the method, size, and procedure. In order to minimize such side effects and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investigate digital information,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responding organically by strengthening specialized organizations composed of experts. Digital evidence can be understood to be valuable evidence among digital information. Screening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described above, among cycles from collecting to disposing of digital evidence. In addition, given the increasing trend in the amount and scope of data surveyed, there is a concern that comprehensive collection is likely to involve side effects, although the need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is greater than for selective collection. This study began with the Fair Trade Commission's consideration of how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conducted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o check whether there were any violations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the keyword analysis methods used mainly in the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during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process and the need for measures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evidence and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companie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digital evidence according to the relevance of the case. Based on these limitations and needs, the Fair Trade Commission plans to improve its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nd screening procedures. First, we proposed a remote screening framework to expand the right of the subjects to participate. Second, the measure was proposed to grant access to information that could harm the legal interests of the employees of the investee and its employees through comprehensive collection. Third, phased screening of digital evidence was proposed. This paper means that by redefining the procedures of collection and screening steps during the process of processing digital evidence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us proposing measures to guarantee the right of participation of the subjects, the Fair Trade Commission can strengthen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management of evidence data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opportunity for the suspec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evidence data is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