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f single point incremental sheet forming with low-frequency vibration : 저주파 진동을 이용한 단점 점진 판재 성형에 관한 연구

        Xiao, Xiao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24

        Single point incremental sheet metal forming is a new type of sheet metal plastic forming technology. A specific tool is used to locally load the sheet, resulting in overall cumulative deformation under a die-less and unconstrained condition, and finally, the target shape is obtained. It integrates the design and manufacture, has the advantages of flexible, green, fast, and low cost. However, due to the local loading characteristics of the tool, the sheet is prone to instability during the forming process, leading to large springback, and ultimately making the forming accuracy difficult to meet the requirements of use. In addition, due to the uneven deform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complex evolution of the structure,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the forming parameters on the forming accuracy, the control of the forming accuracy becomes more difficult. This article attempts to introduce low-frequency vibration into single point incremental sheet form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problems of formed products. In this research, a low-frequency vibration-assisted single point incremental forming method is proposed. The unit-body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ol and the sheet is analyzed, and the mechanical equation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le stress and shear stress in sheet plastic forming, an approximate solution to the mechanical equation is obtained. A finite element model of the low-frequency vibration single point incremental sheet forming is established in which the low-frequency vibration is applied to the forming tool. Through the explicit and implicit numerical simulation of the whole forming process, the effects of low-frequency vibration on equivalent stress, equivalent strain, thickness distribution, forming force, residual stress, and springback a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w-frequency vibration assisted single point incremental forming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equivalent stress and forming force. At the same time, the reduction of residual stress significantly reduced springback and improved the accuracy of formed products. A set of low-frequency vibration single point incremental sheet forming systems was developed. After that,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the influence of low-frequency vibration on formability, forming force, surface quality, and forming accuracy was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the RSM analysis, the main parameters in the forming process of low-frequency vibration were analyzed and optim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w-frequency vibra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forming force and improves the formed product's surface quality and forming accuracy.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low-frequency vibration and other main parameters, which is suitable for popularization and use in actual production. 단점 점진 판재 성형공정은 금형이 없이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판재의 국부적인 소성변형을 가하여 점진적으로 성형하는 새로운 금속 소성성형 기술이다. 동 기술은 시제품이나 다품종 소량 제품의 빠른 생산을 위해 특화된 기술로 기존의 프레스 현장에서와 대용량의 대형 프레스와 상하 금형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공구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CNC 머신이나 로봇 등을 통해 제품의 외부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고 가압하면서 국부적인 소성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제품을 축차적으로 장출성형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공구의 국부적인 하중 특성과 금형이 없기 때문에 성형 공정 중에 판재의 불안정 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프링 백을 발생하여 제품의 성형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가공 공구 경로로 인해 성형품의 표면 품질 저하, 큰 가공력이 필요하다는 문제들이 존재하여 실제 산업 분야에서 단점 점진 판재 성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 기존 단점 점진 판재 성형에 성형품의 품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단점 점진 판재 성형 공정에 저주파 진동 보조 기술을 도입하고자 한다. 우선, 단점 점진 판재 성형공정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단점 점진 판재 공정의 성형 특성을 기반으로 기계적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저주파 진동을 포함한 SPIF 과정의 역학 해석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공구가 저주파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단점 점진 판재 성형 유한 요소 모델을 구성하였다. 명시적 및 암시적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성형 공정에 저주파 진동은 등가 응력, 등가 변형률, 두께 분포, 가공력, 잔류 응력 및 스프링 백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주파 진동으로 인해 등가 응력과 가공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것을 확인되었고 특히 잔류 응력이 감소함으로 인해 스프링백의 발생이 억제되며 성형품의 성형 정밀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저주파 진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저주파 진동 단점 점진 판재 성형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실제 실험을 통해서 가공력 및 성형 정확도에 대한 저주파 진동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저주파 진동으로 인해 판재와 공구 사이의 마찰 조건을 효과적으로 개선되며 윤활제의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되었다. 또한, 응답표면법을 사용하여 저주파 진동 단점 점진 판재 성형 공정의 주요 공정변수를 분석하여 최적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주파 진동으로 인해 성형 공정에 필요한 가공력이 크게 감소하며 성형품의 표면 품질과 성형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 종속형 인터넷 신문의 오보 및 정정보도에 관한 연구 : 『경향신문』, 『서울신문』, 『조선일보』의 사례(2012년 10월 ~ 2015년 9월)를 중심으로

        김충식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569

        종속형 인터넷 신문의 오보 및 정정보도에 관한 연구: 『경향신문』, 『서울신문』, 『조선일보』의 사례(2012년 10월 ~ 2015년 9월)를 중심으로 언론의 오보로 인한 피해는 작게는 기사에 해당되는 1인 또는 단체에 국한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가 등장한 미디어 환경에서 언론의 오보는 그 확장성으로 인해 그 피해는 순식간이며 엄청나게 불어난다. 언론의 오보는 개인뿐 아니라 오보를 낸 언론사에게도 그 피해가 돌아간다. 오보로 인한 그 피해에 대한 연구는 이미 오래전에 진행돼 왔다.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도 이루어졌으며, 그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정정보도이다. 언론의 정정보도는 오보로 인해 실추된 명예와 신뢰도를 회복시켜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는 언론으로서는 그 대안 역시 미디어를 통한 소통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언론의 기사는 독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언론과 기사에 대한 믿음은 실로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보인 기사에 대해서는 언론이 정정보도를 내는 형태나 사과문에 대해서는 독자들이 불만족한다는 연구도 있다. 그렇다면 언론이 오보로 인한 신뢰성 회복을 위해 정정보도를 내는 경우 어떠한 문장으로 정정보도나 사과문을 게시해야 독자들로부터 신뢰성을 회복하고 독자들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까? 이에대해 먼저 『경향신문』, 『서울신문』, 『조선일보』의 정정보도 형태와 내용에 대해서 분류하고 사과문의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세 개 언론사의 종속형 신문에 실리는 정정보도 내용은 주관적 오보보다 객관적 오보가 훨씬 많았으며, 이는 취재기자의 기사작성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또한 사과문의 분석에서 정정보도 요청자의 직업군에 따라서 사과문이 변할 것이라는 비판적 생각으로 직업군과 사과문을 분석하였으나 그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점은 찾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된 사실은 인터넷 신문의 장점이 될 수 있는 정정보도 내용과 함께 오보기사(원 기사)에 대한 링크서비스가 독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과성에서 꼭 필요한 과정으로 인식됐다. 또한, 사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사과문은 첫째, 오류(wrong)에 대해 시인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둘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책임의 귀속여부가 명확해야 하며 셋째, 사과의 대상(apology)은 독자와 기사에서 거론된 대상자에게도 해야하며 넷째, 사과문의 질(quality)을 따져 게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이효성 교수가 지적한 “정정보도에서 사과의 대상은 분명해야 한다”( KPF 333호 : 118-119)는 ‘언론윤리 확립차원’에서도 중요한 사항이다. 마지막으로 각 신문사마다 정정보도를 하는데 있어서 시스템과 사과문 작성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확인해 보기 위해 조사대상 신문사의 정정보도 담당자(또는 각 부서장급)와 인터뷰를 통해 알아 보았고, 앞으로 종속형 인터넷신문의 오보 및 정정보도에 관한 연구에서 필요한 가이드라인 개발과 더불어 오보 유형별 체계적 분석, 이론과 연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 Study on the Errors and Corrections in the Online Newspapers as the Online Version of Printed Periodicals Damages caused by the media errors might be confined to just one individual or organization. However, with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s are key players, the damages caused by the errors in the media could be huge and escalated quickly because of their extensibility. The media errors can cause damages not only to the individuals but also the media companies which made the mistakes. The damages caused by the media errors have been studied a long time ago. Studies to reduce the damages have also been performed and an alternative solution suggested in the studies is the correcting errors, i.e., posting the notice of the errors or mistakes that appeared in a past issue of a newspaper. Correcting the media errors has some meaning in the sense that it redeem the tarnished honors and restore credibility. That is, since communication is highly regarded in the media, the alternative is also given in terms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media. Because a media article provides its readers with some information and it is based on the fact and credibility, the media and its articles are highly trusted. However, there also are studies which state that read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media’s correction or apology for its errors. Then what kinds of corrections should be made to recover the credibility hurt by the media errors, and resolve readers’ complaints? Regarding this issue, the types and contents of the correcting errors in 『Kyounghyang Newspaper 』, 『Seoul Newspaper 』, and 『Chosun Ilbo』were classified and analy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far more objective errors (errors of fact) than subjective errors (errors of opinion or perspective) in the corrections of the three online newspapers. This reveals that reporters’ writings have some problems. In the analysis of the correction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corrections might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jobs, who requested the correct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with the correction which can be a strong point of internet newspapers, link services to the original articles need to be analysed in the future studies. Also, there are four ingredients that make a positive corrections. Firstly, people must be encouraged to report their mistakes. Secondly, who is responsible and where the responsibility goes should be clear. Thirdly, the apology should be made to the media’s readers and the individual who was mentioned in the article. Fourthly, corrections must be written and edited with the same care as other content. This is important in terms of establishing media ethics as professor Hyo Seong Lee pointed out : “It should be clear in the correction who the apology goes to.” (#333 KPF, pp.118-119) Finally, this study performed interviews with the persons in charge of corrections to figure out what are thought of as important in doing the correction in each newspaper. It was recognised that the development of guide lines for the studies of errors and corrections in the online newspapers is needed, and systematic analyses and theory based on the types of errors also need to be further studied. Key words : errors, corrections, form of corrections, contents of corrections, accuracy of reports, links for the corrections, media corrections, unfaithful reports, corrections and apologies

      • 통사적 숙달도 진단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분석을 바탕으로

        서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68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로 중간언어의 통사적 발달 양상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규준 체계와 세부 항목을 설정한 후 여러 변인이 효과적으로 통제된 외국인 한국어 백일장 자료와 한국인 대학생 작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 수의 제약으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보다는 연구방법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보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학습자의 언어 능력 중 통사적 능력에 대한 중간언어 발달 양상을 진단한 연구는 기존에 국내에서 시도된 바가 없었다. 기존의 언어교육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주로 총체적 인상 평가의 주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거나 객관적인 방법으로는 학습자의 산출 오류에 중심의 오류분석 방법으로 진단,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법은 그 객관성과 타당성, 실효성에 있어서 이미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권의 최근 중간언어 연구방법을 한국어 상황에 맞게 조정하고 개선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 진단을 위한 규준 및 도구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숙달도별로 학습자가 생성한 문장을 구조적 복합도, 문법형태 다양도, 통사적 정확도, 담화적 응집도의 네 가지 규준에 따라 진단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주제와 분량의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작문 자료도 함께 분석하여 학습자의 중간언어의 숙달 수준을 상대적으로 진단,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구조적 복합도 진단은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더 복합적인 짜임새의 문장을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며 그 양상이 작문에 드러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숙달도별로 모든 문장마다 어절, 절, 형태소의 빈도, 절당 종속절의 빈도를 측정했다. 이는 영어권에서 60년대부터 활발히 사용하고 그 타당성을 인정받은 T단위 연구방법을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수용한 것이다. 분석 결과, 문장당 어절 수와 절 수, 형태소 수가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문법형태 다양도 진단은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더 다양한 문법형태를 더 많이 사용하여 문장을 생성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학습자 작문에서 시제, 상, 서법, 부정, 존대, 연결어미, 전성어미의 세부 형태의 누적빈도와 문장당 빈도, 비율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정했던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문장 안에 더 다양하고 많은 문법형태가 나타났다.통사적 정확도 진단은 한국어 능력이 높아질수록 문법적 정확도가 향상되어 오류의 빈도가 줄어들고, 오류의 유형의 양상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양적인 방법과 질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문장당 무오류절 수를, 질적인 방법으로는 문법형태 중 연결어미에 한정하여 오류 유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오류율을 계산했다. 그 결과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 오류 유형의 비율이 유의미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모든 숙달도에서 의미적 오류가 가장 많고 철자 오류가 가장 적었으며,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통사적 오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오류율은 기존 오류분석 연구가 산출 오류만 분석한 것과 달리, 학습자가 본래 사용했어야 할 목표 연결어미를 기준으로 오류를 정하여 학습자가 회피한 연결어미의 오류율도 함께 계산함으로써 기존 연구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 중간언어의 연결어미 숙달도 양상을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다.담화적 응집도 진단은 접속부사와 지시사의 사용 빈도를 측정하였다. 두 항목 모두 초급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중급에서부터는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본 연구는 여러 변인이 효과적으로 통제된 작문 자료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객관적인 수치를 산출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보임으로써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학습자 중간언어의 통사적 발달 양상을 효과적으로 제시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자료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제약으로 결과의 일반화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능력의 진단 및 평가,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정도 및 패턴 측정 및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언어 발달 측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