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게 키네지오 테이핑을 적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신체 균형의 변화

        이정빈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53

        본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게 키네지오 테이핑을 적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정적 균형, 동적 균형, 족저압 분포의 변화를 비교 측정하고 테이프를 제거한 후에도 균형 변화를 유지하는지 비교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테이핑군 20명, 대조군 1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측정은 실험에 동의한 순서대로 시간 경과에 따라 2일에 걸쳐 진행 하였으며 테이핑 부착 전 측정과 테이핑 부착 후 30분, 24시간, 48시간, 48시간 후 테이핑 제거 순서대로 측정이 진행되었다. 정적 균형 검사는 UPST(unipedal stance test with eyes closed)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동적 균형 검사는 Y-test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족저압 분포는 보행 분석기(gait analyzer)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정적 균형, 동적 균형, 족저압 분포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고 각 차이의 사후검정을 위하여 Bonferroni 검정을 사용하였다. 정적 균형 검사의 테이핑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30분 후에 4.3초, 24시간 후에 5.1초, 48시간 후에 5.9초로 정적 균형이 테이핑 이후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룹 간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적 균형 검사의 테이핑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30분 후에는 3.6 cm, 24시간 후에는 12.6 cm, 48시간 후에는 15.5 cm 동적 균형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그룹 간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족저압 검사의 테이핑군에서 테이핑 발에서 30분 후 2.7%, 24시간 후 3.6%, 48시간 후 7%가 감소하였고 테이핑을 하지 않은 발에서 30분 후 0.8%, 24시간 후 2.4%, 48시간 후 3.3% 증가하여 양발의 족저압 비율이 비슷해져 신체 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조군의 족저압 분포 검사에서는 손상발과 비손상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 간 교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테이핑을 제거한 이후에도 정적 균형 검사에서 6초 증가, 동적 균형 검사에서 13.7 cm 증가하였고 족저압 검사의 테이핑발은 4.7%감소, 테이핑을 하지 않은 발은 3.6%증가하여 테이핑을 제거한 이후에도 잔여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키네지오 테이핑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정적, 동적인 균형의 향상과 양발 족저압의 균형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테이핑을 제거한 후에도 자세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를 치료할 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적의 테이핑 적용 시간과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changes in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over time and compared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Measurements were also conducted after tape removal to determine the maintenance of the observed changes. The study subjects, consisting of 38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who consented to the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a taping group (20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18 patients).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ver two days, at 30 min, 24 h, and 48 h after taping and again after removal of the tape. Static balance was measured with unipedal stance tests with eyes closed (UPSTs)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with Y-tests.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with a gait analyzer.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s in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s over time and Bonferroni tests were used for ex post facto tests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static balance tests for the taping group revealed increases over time after taping, from 4.3 s at 30 min to 5.1 s at 24 h and 5.9 s at 48 h after taping, but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action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ynamic balance tests in the taping group also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over time after taping, from 3.6 cm at 30 min to 12.6 cm at 24 h and 15.5 cm at 48 h after taping,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the interaction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lantar pressure tests for the taping group revealed decreases in plantar pressure of 2.7% at 30 min, 3.6% at 24 h, and 7% at 48 h after taping on the taped foot, as well as increases on the other untaped foot of 0.8% at 30 min, 2.4% at 24 h, and 3.3% at 48 h; therefore, the ratios of the plantar pressure of both feet became similar and normal body balance was recovered. By contrast, the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tests of the control group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aped foot or the untaped foot and the interaction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fter removing the tapes, the taped foot showed an increase of 6 s in the static balance test, an increase of 13.7 cm in the dynamic balance test, a decrease in plantar pressure of 4.7% on the taped foot, and an increase in plantar pressure of 3.6% on the untaped foot, indicating the maintenance of residual effects after tape removal.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Kinesio taping can improv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bring about a balance in plantar pressure between both feet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he improved postural stability can also b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tapes. These findings also indicate optimum taping application tim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패턴 키네지오 테이핑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팔 흔들림과 균형 그리고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문서정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36

        Background/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ith kinesio taping balances and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A total of 3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nd 2 individuals scoring below 24 on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were excluded. As a result, 2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14 participants) and a control group (14 participants) using the Excel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walking training with tape applied before each session, lasting 10 minutes and occurring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The control group conducted walking training without tape application, lasting 10 minutes per session and occurring five times a week, also for a total of 4 weeks. After the 4-week period, The subjects were measured variables related to arm swing angle during walking,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gait parameters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rm swing angles during walking were evaluated using the Image J program. For measuring static balance, this study used a force plate and for assessing dynamic balance, this study conducted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five times sit-to-stand test (FTSST).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by the dynamic gait index (DGI) and the GaitRite. Results: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s, arm swing angle,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gait parameters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s, arm swing angle,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gait parameters variable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However,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s, arm swing angle,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gait parameters variabl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upper limb taping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may be considered for chronic stroke patients experiencing arm swing abnormalities during walking. It is believed that this intervention could potentially aid in improving static and dynamic balance as well as gait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패턴 키네지오 테이핑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팔 흔들림과 균형 그리고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30 명이 모집되었으며, 제외 기준에 따른 한국형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점수 24 점 미만인 자 2 명을 제외하여 총 28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실험군 14 명, 대조군 14 명씩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패턴 키네지오 테이프를 부착한 뒤 보행 훈련을 1 회 10 분, 주 5 회로 총 4 주 동안 보행 훈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 보행 훈련을 1 회 10 분, 주 5 회로 총 4 주 동안 진행되었다. 4 주 후 보행 시 팔 흔들림 각도, 정적 및 동적 균형, 보행 변수를 측정하여 두 그룹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은 팔 흔들림 각도, 정적 균형, 동적 균형, 보행 변수는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대조군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실험군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 팔 흔들림에 있어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패턴 키네지오 테이핑이 고려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과 보행 기능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