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구조설계 및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

        강재호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우선 서론에서 전기전자라는 분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원래는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로 나뉘어 있었으나 90년대 후반부터 서울의 각종 대학들을 시작으로 통합되어 현재 전공으로 개편되었다. 전기전자공학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전자기학의 원리를 파악하고 개발하는 분야이다. 이론 뿐만 아니라 실습 등이 상당히 어려우며 분량도 방대하다. 또한 브레드보드, 디지털 멀티미터, 파워 서플라이, 펑션 제너레이터, PCB 보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뤄야 한다. 학창 시절부터 물리와 수학에 대한 애착이 있다면 이 전공만큼 공부하기 흥미로운 전공은 없을 것이다. 전자회로이론과 반도체 등 전기전자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는 점들을 넘쳐날 것이다. 이 전공에 대한 고민을 여러 가지로 해보면서 다른 전공과 융합을 시켜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다소 근거가 없는 논리를 만들었다. 근래 들어 공과대학 전공을 복수전공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생각을 가지는 사람들도 여럿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설비 분야에 대해 관심을 둔 사람이라면 전기전자공학과 함께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은 추세이니 충분히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에서 예시로 든 전공은 그나마 연관성이 있는 전공들이기 때문에 생각해 볼 개연성은 충분하지만 완전히 겹치는 부분이 없는 전공들끼리도 과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고, 그러한 의문을 논리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지금의 논문을 작성하고 제출한다.

      • 전기공사 인력 수급을 위한 산업계 주도형 인력양성 모델 개발

        김경창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전세계적인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경제·사회 구조의 대변혁이 예고된 가운데 우리 정부는 스마트공장, 바이오, 지능형로봇, 첨단자동차 등과 더불어 에너지신산업을 핵심요소로 꼽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또한 2011년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의 안전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을 감축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확대하는 등 국내 에너지 로드맵이 재수립 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공사업은 기존의 업역 뿐만 아니라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충전설비, 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급격하게 업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확장된 업역에 따라 시공기술 인력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우리 사회 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3D 산업에 대한 취업자들의 기피현상으로 인해 전기공사업 분야에서도 인력수급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전기공사업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공사업의 인력 실태 및 수급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행 기능인력 교육과정과 보급중인 NCS 교육과정 간의 비교를 통해 업계가 요구하는 기능인력의 양성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의 전기공사 인력양성모델을 조사·분석하여 국내 교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기존 정부 교육방침에 따라 양성되어 배출되는 방식을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직무능력에 따른 직업교육과 훈련과정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변경된 산업계 주도형 기능인력 양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 음이온 밀도와 부유 전위 분포 측정을 통한 산소 플라즈마 물성 연구

        장애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lectrical diagnostic method that can measure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using a harmonic curren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xygen plasma by measuring the two-dimensional floating potential distribution at the position of substrate of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or. In the case of an electropositive plasma, argon, variables such as electron temperature, electron density, plasma potential, and electron energy probability function(EEPF) a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plasma properties. However, in an electronegative plasma such as oxygen and perfluorocarbons,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should be further determined. These factors contro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egative plasma, while also affecting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yield. Nowadays, diagnosis of electronegative plasmas is largely divide into two methods, an optical diagnosis method and an electric diagnosis method. The optical diagnosis method generally has a disadvantage in that parameters at a specific location cannot be obtained, whereas the electrical diagnosis method can measure the plasma parameters at any locations in the plasma. In this work,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are obtained using the harmonic current by applying a small sinusoidal voltage to a potential lower than the plasma potential. This method can give less perturbation to the plasma than the method of sweeping the probe voltage higher than the plasma potential.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an inductively coupled oxygen plasm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a two-dimensional model and a two-probe theory under the same discharge condition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The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distributions measured with varying the pressure and applied power agree well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other two method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lectronegative plasma is widely used in process steps such as photoresist ahing, anisotropic etching, and material oxidation. A non-uniform plasma will lead to a non-uniform flux of charged particles incident on the wafer, which further affects the uniformity of the potential of wafer surface. This can cause voltage breakdown or current leakage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in the trench structure.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negative ions on the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by measuring the floating potential at the wafer position in the electronegative plasmas(oxygen). In general, the plasma that is frequently used in laboratories is an electropositive plasma such as argon. Since the electropositive plasma ha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lectronegative plasma, in this study, argon plasma and oxygen plasmas are comparatively analyzed under the same discharge condition. 본 논문에서는 고조화 전류를 이용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진단 방법을 개발했고,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극판 위치에서 이차원 부유 전위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특성 분석을 진행했다. 아르곤과 같은 전기적 양성 플라즈마 일 경우, 플라즈마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자 온도, 전자 밀도, 플라즈마 전위 및 전자 에너지 확률 분포 함수와 같은 변수를 측정하게 되는데 산소, 과불 화 탄소 (perfluorocarbons) 같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에서는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추가로 파악해야 한다. 이 요소들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의 전반적인 특성을 제어하는 동시에 반도체 생산 수율 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존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 진단은 크게 광학적 진단 방법과 전기적 진단 방법 두가지로 나뉜다. 광학적 진단 방법은 보편적으로 특정위치에서의 정보를 얻을 없는 단점이 있는 반면 전기적 진단 방법은 플라즈마 내 특정위치에서의 플라즈마 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전위보다 낮은 전위에 작은 싸인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얻은 고조화 전류를 이용해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측정했다. 이 방법은 프로브에 플라즈마 전위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보다 플라즈마에 섭동을 적게 주게 된다. 실험은 유도 결합 산소 플라즈마에서 진행하였고, 진단 방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같은 방전 조건에서 이차원 모델과 이중 프로브 진단법을 사용해서 그 결과를 비교했다. 압력과 인가 파워를 변경하면서 측정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 분포는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부터 얻은 결과와 잘 일치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포토 레지스트 (photoresist) 에싱, 이방 성 식각, 산화 막 생성 등 공정 단계에서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를 폭 넓게 사용하고 있다. 플라즈마가 불 균일하면 웨이퍼 표면에 입사하는 대전 입자들의 선속도 불 균일 해지기 때문에 웨이퍼 표면 전위의 균일 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트랜치 구조에서 산화 막 두께에 따라 전압 붕괴 또는 전류 누설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산소)에서 웨이퍼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음이온이 표면 전위 분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는게 매우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실험실 단위에서의 플라즈마는 전기적 양성 플라즈마 (아르곤)를 많이 사용한다. 이는 산소와 같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와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같은 방전 조건에서의 아르곤과 산소 플라즈마를 비교 분석했다.

      •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선형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environmental social issues such as fine dust and warming have been highlighted, regulations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missions have been gradually tightened around the world, and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cars has also emerged in line with this social direction. The government encourages the supply of electric cars through eco-friendly policies, and this trend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every year. However, the social perception that the charging time of electric vehicles is longer than the filling time of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s and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 after charging an electric car once is a stumbling block to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As a result,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are expanding the supply of chargers, but there is still a social perception that there i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s compared to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In this study, the infra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is analyzed to identify and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It is required to check the lack of charger infrastructure by comparing the supply status of electric vehicles and the install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urrent infrastructure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government and state-run companies were used to identify the low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compared to the annual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by analyzing complaints about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checking cases where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s parked at the charger location, the law was enacted, but due to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the law in most cases. Thus, the need for revision of the law and the need for modifi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s ow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tection devices were proposed, and the government's policy for supplying chargers and mandatory installation standards were mentioned.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we expect that it will be a reference for buil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infrastructure in the future through solutions to the causes. 미세먼지와 온난화 등의 환경 관련 사회적 이슈가 부각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내연기관 배출가스 규제를 점차 강화하였고, 이런 사회적 방향에 동조하여 친환경 차 도입 또한 대두되었다. 정부는 친환경 정책을 통하여, 전기차의 보급을 장려하고, 이런 흐름으로 전기차 보급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 충전 시간은 내연기관차 연료 주입시간 대비 길고 일반적으로 전기차 1회 충전 후 주행 거리는 짧다는 사회적 인식은 전기차 보급에 있어서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민간 기관에서는 충전기를 보급 확대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기차의 보급률 대비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충전기의 인프라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확인 및 제안한다. 전기차의 보급 현황 및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 현황 등을 대조하여 충전기 인프라의 부족 여부에 대해서 확인하고, 현 인프라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및 공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전기차의 연도별 보급률 대비 전기차 충전기의 보급률이 저조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민원을 분석하여 충전기 위치에 내연기관차가 주차하면서 이용이 어려웠던 사례 등을 확인하여, 법이 제정되어 있으나 법의 해석 논란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사례에 대해서 실제적인 법 집행이 어려운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법 개정에 대한 필요성과 충전기 자체적인 내연기관 차 감지 장치에 대해서 제안을 하였고, 정부의 충전기 보급 정책과 의무 설치 기준에 대해서 수정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인프라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으며 원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통하여 향후 충전기 인프라 구축에 있어 참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한 충전설비 시공 연구

        김용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환경, 미세먼지 등의 이슈와 맞물리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온실가스 규제와 맞물려 전기차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다. 기존 완성차 업체는 물론 IT 업계, 전력 회사 등 전기차 산업과 연관된 업체들이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국내 전기차 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하여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의 성능과 배터리의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반면 충전인프라에 대한 계획과 충전설비 시설에는 확충에는 소홀하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해외의 경우 적극적인 정부의 주도로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충전 인프라 또한 잘 구축되어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친환경 전기차를 많이 목격 할 수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도로에서 전기차를 보기가 매우 힘들다. 전기차 선진국의 일본의 경우 2015년까지 누적 판매대수가 6만5000대 약 24%의 보급률을 보이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누적 판매량은 5800대 약 0.9%의 보급률로 친환경차의 보급률이 매우 저조하다. 전기차 시장이 발전하려면 충전설비시설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국내 완성차 업체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충전시설 인프라 구축이 더딘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기차 충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 사항과 충전 설비시공 사례를 제시하였다. 시공 사례를 통해 앞으로 국내 전기차 충전시설 인프라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機能性 高分子 LB薄膜의 電氣 : 光學的 特性에 관한 硏究

        유승엽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유기분자가 가지는 기능을 활용하여 전자소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LB법에 의해 나노미터 크기의 박막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기능성 고분자 LB박막의 구조를 광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자의 기능성과 전기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하는 이미다졸 고분자 LB박막에 대해 라만 스펙트럼 등의 광학적인 방법으로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금속이온 농도에 의한 전기전도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 다수의 기능기를 가진 덴드리머 LB박막에 대해 XPS 스펙트럼 등의 광학적인 방법으로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금속이온 착체에 의한 정류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3) 분자의 가교화 기능을 이용하여 p-HP박막에 대해 BAM 등의 광학적인 방법으로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열처리를 통한 가교화에 의한 유전율 등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4) 분자의 작용기 변화에 의한 제작된 폴리우레탄 유도체 LB박막에 대해 광흡수 스펙트라 등의 광학적인 방법으로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작용기 변화에 의한 쇼트키 장벽 등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분자의 집합체인 초박막에서의 분자의 기능과 전기·광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로서 분자의 기능성을 제어함으로써 반도체성 박막, 절연체성 박막 등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 박막은 장래 분자소자제작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nanometer order thin films were prepared by Langmir-Blodgett(LB) method to utilize their functional group as electronic device or molecular electronic device and also investigate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Their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 (1) The imidazole polymer, which has been known to form metal ion complex, monolayer was obtained by LB method. And the complex between polymer and metal ions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by Raman spectroscopy. Their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conductivity was able to control by changing metal ion concentration. (2) The dendrimer molecule with many functional group in their periphery was transfered to solid substrate by LB method. And the complex between polymer and metal ions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by XPS spectrum. Their electrical properties showed rectification characteristics at their monolayer. (3) The behavior of cross-linking at the air-water interface and the surface structure of LB films was investigated by BAM and SMM respectively. The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dielectric constant, rectifying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using cross linking by heat treatment. (4) Organic thin film with various functional group was prepared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conductivity, and Schottky barrier height were able to control as changing their molecular functionality. In this study, the molecular 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insulation films were obtained by controling the their functional group and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molecular electronic device.

      • 타 공사에 의한 전기공사의 피해사례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박은영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While I was enrolled at the graduate school, I reviewed the titles of the dissertations furnished in the meeting room of Students' Council Hall. The terminologies and adjectives were too numerous. Then, I could not realize that my dissertation would be among them. Despite the deadline for presentation of my dissertation was being ushered in, I was at a loss, being pressed to write a dissertation; only the title was vivid in my memory. Nevertheless, I am proud of the title of my dissertation, feeling a deep sense of attachment to it: "A study on the damaging examples and the preventing measures of electric work by other construction” For I had not sat up for numerous nights, reviewing the infinite theories or others' autobiographies or reference; I discussed what I had experienced with my colleagues on the spot or what my colleagues stated about their experiences. So, I could not concentrate much on tables, formulas, data or comparative analysis, much less on the literature. I wanted to describe the examples of damages I had witnessed and thereupon, determine their causes and suggest the solutions. There are innumerable types of electric works, but I took such much comprehensible examples as the electric works for large buildings, apartment buildings, mixed-use apartment buildings, stadiums, exhibition halls, Cheonggyue River recovery work, street-side lamps and tunnel works. This study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ny one who is equipped with the basic theory and experience about the electric works. Electric facilities might well be damaged to cause casualties, and damaged and aged facilities would result in serious economic and mental losses. This study suggested the solutions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those engaged in electric works or electric facility management to discharge their responsibilities. Lastly, if I should be given another opportunity to write a dissertation, I would like to be assisted by experts, while learning about figures to make my dissertation more interesting, vital and comprehensible with the figures. And I should have not only determined the causes of the damages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but also estimated the economic loss and mental damages. 대학원 다니면서 총학생 회의실에 가지런히 비치된 많은 논문의 제목을 읽어 보니 참으로 많은 용어와 수식어가 붙은 제목을 생각하니 나도 머지않아 저들과 함께 나란히 배치된다는 것을 실감하지 못하였는데 어느덧 논문작성 시기에 들어 제목만 뚜렷한 기억 속에 심한 압박감으로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 타 공사에 의한 전기공사의 피해사례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amaging examples and the preventing measures of electric work by other construction)” 라는 논문제목에 자부심에다 애착이 간다. 왜냐하면 그 많은 논문과 같이 이론에 바탕을 두거나 자타의 경험담과 함께 많은 참고문헌으로 말을 지새우는 것 보다는 실제 산업전선에서 동고동락하는 동료들과 실제 몸으로 체험하거나 동료들이 체함 한 것을 경험담으로 기술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표나 수식, DATA, 비교분석에 소홀 할 수 밖에 없었고 참고문헌 또한 많지 않은 것은 경험에 의한 피해사례를 우선 기술하였고 그 다음 원인과 예방대책으로 결말을 보았기 때문이다. 전기공사만 해도 공사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누구나 알기 쉬운 대형빌딩, 아파트, 주상복합건물, 경기장, 전시장, 청계천 복원공사, 가로등, 터널 공사 등을 예로 들었다. 이 논문은 전기공사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이나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쉽게 이해 할 수 있으며 훼손으로 인한 사고가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노후되어 많은 경제적, 정신적 손실로 이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기공사 종사자나 전기 시설물 관리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이 이 논문을 보고 공감 할 부분이 있어 전기공사나 전기 시설물 관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더 할 나위 없이 좋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의 바람이 있다면 다시 논문을 쓴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그림 공부를 하여 재미있고 생동감 있게 그려 누구나 알기 쉽게 하고 싶다. 그리고 피해사례 및 원인과 예방대책 뿐만 아니라 경제적 피해 금액과 정신적 피해까지도 기술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초고층 빌딩의 전기간선 시스템에 관한 연구

        장대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초고층빌딩의 전기간선 시스템은 초고층 빌딩의 전체 변전 수배전 배선 시스템의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력 운반의 중요한 요소이다. 전기간선 시스템은 변전 수송 소비의 한 축에서 수송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인 만큼 그 전력 수송이 얼마나 효율적이며 경제적인지 문제에 결부된다. 전력수송에서 첫째는 무정전 전력공급이다. 초고층 빌딩에서 정전이 발생한다면 어떠한 일이 발생할 것인가에 대해 말하지 않아도 상상하기 어렵다. 즉 페닉상태에 이를 것이다. 엘리베이터가 중간에서 정지하게 된다면 상상도 못할 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는 건물이 존재하는 한 어떠한 경우라도 전기가 공급되야 한다라는 대명제를 안고 있다. 두번째로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초고층 빌딩인 것만큼 거리도 장거리이고 부하분포를 보면 평지에서 부하 밀도와 수직 공간에서의 부하밀도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간선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로 안정성이다. 전기가 공급되더라도 전력에도 전력품질이 요구된다.전력품질은 전산설비 엘리베이터 각종 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요 관점에서 보건데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처음부터 근본적으로 해결책은 기초적인 여건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는 요소가 전기간선 시스템이다. 전기간선 시스템은 한번 설치하면 건물 수명과 같이하기 때문에 LCC (Life cycle cost)염두에 두면서 설계하여야 한다. 본연구를 하게 되는 중요한 부분은 무정전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이며 그 실행 방법으로 BACK UP 시스템을 해결방안으로 정하였다. 초고층 빌딩에서 건물이 존재하는 한 전기는 항상 공급하여야 한다는 대명제를 안고 있다. 무정전을 지향하려면 이에 적합한 시스템과 설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정전을 완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BACK UP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며 1차가 고장나면 2차가 보완하고 2차가 고장나면 3차가 고장나면 4차가 4차가 고장나면 5차가 BACK UP 시키므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무정전을 지향하였다. 또한 공급 형태에도 여러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건물의 다양한 요구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전기간선 시스템을 여러 모델을 제시하였다. Electricity is largely divided into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consumption, so consumers can also divide it into three categories: subst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Unlike large flatlands, high, narrow, and long characteristics of high-rise buildings have limited conditions. In order to complete the uninterruptibility under such conditions, the author tried to complete the uninterruptibility by applying the BACKUP system. Korea built the Dubai Burj Khalifa building in Samsung and the Lotte World Tower, so there are technologies for high-rise buildings, but only a few engineers have directly experienced and constructed them. So far, only some construction experienced knowledge of high-rise buildings and there are areas that are not disclosed. I thought that what the author considers important while working in the electricity industry was the path of electricity, that is, the track. I hope this paper will help an electrician a litt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