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리스도인의 의에 대한 성경적 근거에 대한 연구 : 시편 17-18편의 주석적 신학적 연구

        김반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32285

        이 논문의 목적은 시편 17, 18편의 신작 연구를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의 의를 연구하는 것이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의에 대해 말하고 있다. 시인의 언어는 바리새인의 자기 '의'에 대한 기도와 매우 유사하다. 본 논문은 시편 기자의 의와 바리새인의 자기 '의'가 어떻게 다른가를 다루고자 한다. 시편 기자의 '의'는 하나님과의 언약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시편 기자의 의는 신약이 말하는 이신칭의와 모순된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이신칭의는 인간이 하나님을 믿기 이전에 의롭지 못하고,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예수님을 믿어야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 구원을 받은 사람은 구원에 따른 의로운 행동을 해야 한다. 반면 시편 17, 18편 기자의 '의'는 구원에 이르는 의가 아니다. 이 '의'는 구원을 받은 이후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행위적 의이다. 구약성경이 말하는 구원은 신약적인 의미의 구원인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죄용서 받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시편의 구원은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의 구원은 하나님과의 언약적 관계를 가지고 하나님의 백성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은 바른 언약적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는데, 그것은 예수님을 구주와 하나님으로 믿는 것을 의미한다. 시인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통하여, 독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 것을 강력히 권하고 있다. 시편 17,18은 그리스도인은 의로운 행동을 해야 하고 기도 가운데에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겠다고 결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시편기자가 어떻게 우리를 권면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ighteousness of Christians through the study of theology in Psalms 17 and 18. In these Psalms the author speaks of righteousness, which God acknowledges. The Poet's language is very similar with Pharisees who spoke of his self-righteousness in the New Testament. This study will research what the difference with self-righteousness of Pharisees and the Poet's righteousness. The Poet's righteousness is based on covenantic relationship with God the Almighty. It may seem that Poet's words contradict with a dogma of "Salvation through faith." But this dogma refers only to those people who did not yet believe, and they cannot be righteous before God. Only faith we deserve salvation by grace which is Jesus Christ gives us. In this case, when a person is saved, he is supposed to do righteous deeds, consequent his salvation. When the Poet is speaking of his righteousness, he does not mean the righteousness leading to his salvation. That righteousness is after a person had been saved. In the Old Testament salvation means part-taking in God's Covenant. In the New Testament right covenant-relationship with God implies faith in Jesus Christ. The Psalmist having right covenant-relationship with God gives us a good example how we must take right decisions to follow God's Word. Christians must do righteous deeds and pray to God of their readiness to follow God's Word. Thus,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is problem.

      • 문화적 접근을 통한 베트남 선교 전략 : 하노이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최보란 총신대학교선교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1983

        본 논문은 ‘문화적 접근을 통한 베트남 선교 전략(하노이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이 제기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노이 주재 한인 선교사들은 어느 정도 문화 사역에 참여하고 있는가? 둘째, 하노이 젊은이들은 어떤 것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어떤 종류의 문화사역이 하노이 젊은이들에게 적당한가?” 베트남은 현재 사회주의 국가로서 정식 이름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1975년 사이공이 함락되어 베트남 전국이 공산화로 통일된 이후 베트남의 당시 20만 명의 교인들과 500명이 넘는 목사들은 모두 흩어지고 비공인 교회로 숨어들었으며 이후 2004년 6월 ‘신앙 종교 법령’이 공포되기 전까지 모든 비공인 교회의 사역자들은 정부에 등록하지 않으면 불법 모임으로 행정 처분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1986년 도이 머이 정책의 시행 이후 베트남의 도시들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많은 외국의 투자가 유치되며 외국인들의 베트남 방문이 증가되면서 빠르게 베트남은 서양의 문화에 개방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정치적 상황으로 아직 베트남 자체의 대중문화는 이제 발달의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서양의 퇴폐적이고 황금만능주의적인 대중문화가 베트남의 젊은이들을 사로잡기 전에 먼저 기독교적인 문화를 소개하고 영향을 끼치기 위해 베트남 하노이에 문화 사역의 발판이 될 북 카페를 개설하고, 하노이의 젊은이들을 직원으로 고용하여 그들을 전도하고 계속적으로 예수님의 제자가 되도록 훈련시켜서 차세대 베트남의 크리스천 리더십으로 아울러 문화사역자로서 사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트남 하노이 현지 한인 선교사들의 문화 사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또한 베트남 하노이 시내 중산층 가정의 젊은이들의 의식을 조사하여 그들을 위한 효과적인 문화 사역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The goal of this thesis is for surveying the mission strategy as a cultural approach of Vietnam, especially for the young people of Hanoi. For this thesis I propose some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much the Korean missionaries in Hanoi understand or take part in the field of culture for their mission? Second, what makes the young people of Hanoi interested? And the third, what kind of cultural mission makes them interested? Vietnam is a socialistic countr and the country name is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In 1975, Saigon was conquered by Hochimin, all of the nation became communistic, and over 200,000 of Christians and 500 of pastors spreaded out all over the country and they started informal church. All of the meetings of the informal church were not alowed before the proclaim of 'the law of the faith & religion' in June,2004. And after they took the policy of Doi Moi, the cities of Vietnam developed quickly. Many foreigners invested their money in Vietnam and they visited the cities of Vietnam, and they opened up the gate to the western culture quickly. But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not so much development in the public culture of Vietnam itself. So, before they are captured by the corrupted and mammonistic culture, I'd like to introduce the culture of Christianity and make the young people of the Vietnam as the leadership of the Vietnam to work as a cultural missionary . So, I surveyed the knowledge level of the Korean missionaries in Hanoi in their cultural works, and surveyed the young people's interests in their public culture for the effective evangelical mission works.

      • 동성애에 대한 교육과 치료방안

        강전석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1981

        동성애가 나타난 것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다만 최근에 와서 더욱 부각되기 시작했고, 동성애에 대한 인식이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해가고 있고 심지어 교회 안에서 조차도 동성애에 대해 올바른 교육 없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그 문제가 심각하다. 이에 교회도 동성애에 대한 기존에 해오던 것처럼 무조건적인 정죄와 죄악시하던 과거의 편견에서 벗어나 동성애자들 역시 우리(이성애자)와 같은 하나님의 동일한 부르심 아래 놓여 있음을 인식하고 동성애자들에 대해서 목회적 돌봄의 대상으로 새롭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동성애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없애고, 교회가 동성애자들이 동성애 욕구를 회개하고 돌아올 수 있고 여전히 기도 속에서 후원과 용납을 받을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성애에 대해 올바로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보다 많은 세미나를 통해서나, 인터넷을 통해서 알려야 할 것이다. 그래야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이 몰라서 동성애적 행위를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을 용납함에 있어서 타협하지 않고 지켜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사람을 남녀로 창조하시어 서로 배필이 되도록 하신 것이며, 즉 이것이 하나님의 창조 질서임을 알도록 하고 바른 규범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서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시인하도록 도와주어 치료가 가능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 예로 보편적인 것은 아니나 이요나 목사를 통해서 우리는 충분한 치료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제 교회는 동성애를 정죄하는데 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기에 교육을 통해 청소년기에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교육과 동성애에 대해 올바로 알고 인식하도록 하는 교육, 그리고 실제적으로 동성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독교 상담을 통한 치료가능성까지 연구해야할 것이다.

      •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지영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17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ubstance theory appropriate for middle-aged christian depressed women by explaining how the participants recover from their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treatment phase of depression and the type of the recovery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aged christian women who were about early-40s to mid-50s. And the data was based on 8 counseling cases which were progressed by one biblical counselor. All cases are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fter researching, 155 concepts, 39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in the open coding process. Also the model are configured by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Middle-aged christian women who were under the depression showed this recovery process. Causal conditions for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depression says ‘causative factors of depression’ and ‘suffering from symptoms of depression’ and its contexts are ‘verifying current state of one’s own faith’ and ‘failure of the measures to save oneself’. Its core status affected by the causal condition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is ‘trying to cling on God’. Intervening conditions are ‘developing rapport with the counselor(giving love)’, ‘the type of support system’ and ‘the expectations of the change’. the interaction strategies are ‘self insight(looking at one’s own situation)’, ‘confessing themselves as the sinner(confessing themselves as the sinner before God)’, ‘accepting the biblical encouragements(encouraging by the Words on the bible)’, ‘making efforts to change(changing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resisting change’ and the results are ‘recovering worship(the fruit to bear)’ and ‘recovering the adaptation of daily life’. In this condition, its core status is ‘trying to cling on God’ during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depression. It means that participants would like to bail out of depression by depending on God. The recovery process had shown 6 stages. Firs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unseling and being comforted stage(giving love). Second, admitting self situation. Third, confessing themselves as the sinner. Fourth, accepting the biblical encouragements. Fifth, changing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Sixth, Spiritual renewal process(the fruit to bear). Before the start of counseling, the participants recognize the need of counseling experience as they are in a variety of life stress, induced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When the depressive symptoms become serious stress in their lives and as they do not fix the problem, participants are naturally willing to depend on God and participate a biblical counseling. The first stage is ‘to be comforted(giving love).’ It is time to actually start counseling. At this stage, they talk to a counselor their life story, and are consoled. Also they form rapport with the counselor at this stage. As counselor they trust, depending on God to change their lives' process actually begins. This is the second stage to admitting their situation. Because depressed people tend to think of theirselves that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emselves, there are a lot of complaining about others. As they are self-centered thinking, if they do not switch, there will be no differences. So, it is the top priority to make them recognize that themselves are in a chronic state of severe depression. The third step is a ‘confessing themselves as the sinner’. When they insight themselves in the previous stage, they tend to stand before God, to give up the self-centered point of view and to have a God-centered perspective. The fourth stage, ‘accepting the biblical encouragements’. Participants are presented the Scripture which are fit there situations, and demanded to obey the Scripture. At this time, they are told to keep the Lord’s day sincerely, and to pray, praise, meditate the Scripture periodically. Participants are urged to think how they could live a God-centered life, in the life of worry by thinking ‘how does God think of me’. Fifth, changing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Participants accept the biblical encouragements, and try to practice them in their lives, but it failed. Then the participants learn that the real change is only possible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And they really experience the actual change that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n their lives. Sixth stage ‘spiritual recovery(the fruit to bear)’ Through biblical counseling, participants’ distorted relationship with God is changed, and they are being redefined as a God-centered life from the self-centered life. At this point, they experience that when their worship is restored, and if they are changed to the God-centered life, from the self-centered life, all their problems will naturally resolved. Core category out of selective coding is ‘the progress of restoring life by trusting God’. It means that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depression is not solving the causes of depression, but repenting before God, and shifting their lives from the self-centered life to God-centered lif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the recovery from depression says that the process to lay their lives down before God and restore the worship. There are three types of depression recovery. ‘Independent maturation of faith type’, ’Faith community’s maturation type’, ‘Dependent on Shamanistic faith type.’ ‘Independent maturation of faith type’ is for those who have the willingnes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with faith, but do not have someone to help. They want to change themselves as a God-centered life. However, as their family does not join together, they feel some degree of resistance to change, so they achieved intermediate level of change when compared to their desired change. ’Faith community’s maturation type’ is for those who have the willingness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ir own faith. Also, as the participants’ family members were joined together, participant's recovery and restoration of the home took place at the same time. ‘Dependent on Shamanistic faith type.’ is for those who believe in God but hoped that God will solve all their problems magically. So, they took little effort, but when the result does not fit for their own mind, they gave up easily. And this repeatedly happened. Some of their family were joined, but it did not lead to lasting change. After all, worship was not recovered in their lives, and they dropp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its contextual model, discuss 3 results and provides application proposals for further biblical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this paper is to resolve the Christian middle-aged women’s problem who are experiencing with depression. An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biblical counseling by determining the types and stages of ‘the progress of restoring life by trusting God’ in their real lives.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기독 중년 여성의 회복 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함으로써 치료단계와 우울증 치료에 반응하는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 중년 여성으로서 연령대는 40대 초반에서 50대 중반이었다. 자료는 한 명의 성경적 상담가에 의해 실시된, 총 여덟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55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15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모형을 구성하였다. 우울을 경험하는 기독 중년 여성의 회복 과정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우울증 유발 요인’, ‘우울 증세를 겪음’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신앙의 현주소 확인’, ‘자구책의 실패’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하나님을 붙들고자 함’이라는 중심현상은 ‘상담자와 라포 형성(라포 형성하기)’, ‘지원체제의 유형’, ‘변화에 대한 기대’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통찰(자기 인식과 수용하기)’, ‘죄인임을 고백하기(죄인임을 고백하기)’, ‘권면 수용하기(권면 수용하기)’, ‘변화에의 노력(성령의 역사로 변화하기)’, ‘변화에의 저항’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며 결과적으로 ‘예배의 회복(열매 맺기)’과 ‘일상생활 적응의 회복’을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 우울을 경험하는 기독 중년 여성의 성경적 상담을 통한 회복 과정의 중심 현상은 ‘하나님을 붙들고자 함’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하나님을 의지하여 우울에서 벗어나고 싶어 한다는 의미이다. 회복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라포 형성하기, 자기 인식과 수용하기, 죄인임을 고백하기, 권면 수용하기, 성령의 역사로 변화하기, 열매 맺기의 6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 시작 전, 참여자들은 우울증을 유발시킨 다양한 삶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우울 증세를 겪으면서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 때, 자신의 삶 속의 스트레스와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우울 증세가 심각해지면 신앙을 가진 참여자들은 자연스럽게 하나님을 붙들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되어 성경적 상담을 받게 된다. 첫 번째는 ‘라포 형성하기’이다. 이는 상담을 실제적으로 시작하는 시점으로 지금까지 자신이 겪은 삶의 이야기를 상담자에게 이야기 하며 위로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상담자와의 라포가 형성되고 상담자를 신뢰하게 되면서 ‘하나님께 의지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기’ 과정이 실질적으로 시작되었다. 두 번째는 ‘자기 인식과 수용하기’ 단계이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자신은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원망과 불평이 가득하다.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전환하지 않으면 아무런 변화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자신이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만성적으로 심각한 우울상태에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식하게 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죄인임을 고백하기’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 자기 통찰이 일어나면 하나님 앞에 자신이 죄인임을 고백함으로써 자기중심적인 관점을 포기하고 하나님 중심적인 관점을 갖기 위해 노력하도록 하였다. 네 번째 단계인 ‘권면 수용하기’는 참여자들에게 각각 맞는 성경 말씀을 제시함으로써 성경 말씀에 순종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 때 신앙생활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주일 성수, 기도, 찬양, 말씀 묵상을 주기적으로 하게 하였다. 참여자들은 이 단계에서 삶 속에서 하나님은 내가 어떻게 하기를 원하실까를 스스로 물어보는 숙제를 통해 자신이 하나님 중심적인 삶을 살아가는 훈련을 받게 하였다. 다섯 번째는 ‘성령의 역사로 변화하기’ 단계이다. 참여자들이 권면을 받아들이고 삶 속에서 이를 실천하려고 하지만 실패하게 된다. 이때 참여자들은 상담자로부터 진정한 변화는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 가능하다는 것을 배우며 실제 삶 속에서 성령님의 역사로 변화가 된다는 것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여섯 번째는 ‘열매 맺기’ 단계로 성경적 상담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하나님과의 왜곡된 관계가 재정립되고 자기중심적인 삶에서 하나님 중심적인 삶으로 변화되는 단계이다. 이 때 예배가 회복되면 자기중심적인 삶에서 하나님 중심적인 삶으로 바뀌며 자신들의 문제들도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는 것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 범주로는 ‘하나님께 의지함으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기’가 도출되었다. 이것의 의미는 우울의 회복하는 과정은 우울을 발생하게 한 요인들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나아가 회개하고 자기중심의 삶에서 하나님 중심의 삶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우울 회복 과정은 참여자가 자신의 삶을 하나님 앞에 내려놓고 하나님 앞에 예배를 회복해 가는 과정이다. 회복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우울 회복의 유형은 ‘신앙의 독립적 성숙형’, ‘신앙의 공동체적 성숙형’, ‘신앙의 샤머니즘적 의존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신앙의 독립적 성숙형’은 자신의 어려움을 신앙으로 이겨내려는 의지가 있었지만, 함께 도와주는 사람이 없는 유형이었다. 자신이 하나님 중심의 삶으로 변화하고자 하지만 가족과 주변의 도움이 없어 변화에의 저항을 어느 정도 느끼면서 실생활에서 자신이 원하는 변화를 중간 수준으로 이루었다. ‘신앙의 공동체적 성숙형’은 자신의 문제를 신앙으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가족과 교회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참여자의 회복과 가정의 회복이 동시에 일어났다. 이 유형은 변화에의 저항이 적었고 변화가 뚜렷하며 유지되었다. ‘신앙의 샤머니즘적 의존형’은 하나님을 믿지만 하나님께서 자신의 모든 문제를 마술처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래서 조금 노력해보다가 자기 마음에 맞는 결과가 일어나지 않으면 쉽게 포기하는 일을 반복하였다. 참여자들에 따라 가족이 함께 참여하기도 하였지만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지는 못했다. 결국 예배가 회복되지 못하고 상담에서 조기 종결을 한 유형이다. 이 외에도 상황모형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세 가지로 논의하였고, 앞으로 성경적 상담에서 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기독 중년 여성들의 문제를 성경적 상담으로 해결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해 가는 ‘하나님께 의지함으로 자신의 삶 변화시키기’의 과정에서 그 단계와 유형을 확인함으로써 실질적인 성경적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인 기틀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