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특성치 강건설계방법을 이용한 폴리아세탈 수지 절삭의 최적조건 결정에 관한 연구

        許准榮 명지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강건설계는 제품의 성능(특성치)변동을 줄이기 위해 잡음 그 자체를 통제하기보다는 성능변동이 잡음에 강건하도록 설계변수 값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80년대 초 다구찌가 실험계획법과 2차 손실함수를 근거로 파라미터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최근까지 생산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제품의 특성치가 하나인 단일 특성치인 경우의 파라미터 설계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특성치가 다수인 다특성치 파라미터 설계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그다지 연구되어 있지 않다. 현실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때 제품의 특성치 여러 개를 동시에 고려할 때가 많으며, 다특성치 문제는 단일 특성치를 이용한 파라미터 설계 문제로 보완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하지만 다특성치의 경우 다구찌 방법의 적용이 어렵고, 특히 다특성치에서 개별 특성치의 최적설계가 서로 상이한 상충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특성치나 설계변수의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특성치 파라미터 설계에 있어서, 상충현상이 발생했을 때 절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조용욱, 박명규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기계 절삭가공 실험 사례에 적용하였다. Taguchi method in this paper has been used to get high quality and to study a lot of control factors related with product environment. The Robust Design method uses a mathematical tool called orthogonal arrays to study a large number of decision variables with a small number of experiments. It also uses a new measurement of quality, called signal-to-noise(S/N) ratio, to predict the quality in the customer's perspective. Thus, the most economical product and process design for both manufacturing and customer's viewpoints can be accomplished at the smallest, affordable development cost. Many companies have found the Robust Design method valuable in producing high-quality products available to customers at a lower price while still maintaining an acceptable profit margin. However, his analysis of the problem focused on only on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r response, although in product and process design, considering multiple characteristics is commoner. The critical problem in dealing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is how to compromise the conflict among the selected levels of the design parameters for each individual characteristic. In this thesis, a methodology using SN ratio optimized by univariate technique is used and a parameter design procedure to achieve the optimal compromise among several different response variables is used. A study to analyze and solve problem of a surface roughness experiment has presented in this thesis. We have taken Taguchi's parameter design approach, specifically Cho and Park's Methodology, and determined the optimal levels of the selected variables through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N ratio.

      • 단순지지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설계방법의 비교분석

        권상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shear behavior of simply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is very complicated. Therefore, the many specifications of current design codes are developed based on experiences and experiments, and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most case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current design codes for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a 2-dimensional grid strut-tie model was suggested recently.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2-dimensional grid strut-tie model and current shear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ACI 318-11, Euro Code 2, FIB, and AASHTO-LRFD is verified through the ultimate strength analysis of the 237 simply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tested to shear failur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2-dimensional grid strut-tie model approach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shear design of simply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 TRIZ와 공리적 설계방법의 연계를 통한 설계과정에 관한 연구

        김종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1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면서 많은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는데 회사들은 제품을 만드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줄이므로 회사의 경제력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첫 단계로 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그 중 제품의 방향과 목적을 제시하는 개념설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설계가 그러하듯 설계과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는데 아이디어 부재로 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설계자 자신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바른 문제해결책이라고 인정받지 못하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주기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행착오법을 포함한 브레인스토밍이 있으며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유용하고 명확한 결론을 유도해 주는 TRIZ와 합리적 해결방법을 제시한 공리적 설계가 있다. 이 방법들은 문제 해결과 아이디어 도출․확립이라는 부분에서 결과적으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는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방법인 브레인스토밍과 효과적인 기술인 TRIZ 그리고, 합리적 해결법인 공리적 설계의 내용과 각 방법을 사용하는 문제해결 과정과 문제해결 과정의 기법 등을 기술하고 서로의 문제 해결 방법을 비교하여 상호 연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연계 방법을 찾아냄으로써 각 방법들을 효율성 있게 사용하는 또 다른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 해 보였다. 제시된 브레인스토밍과 TRIZ 그리고, 공리적 설계를 연계한 새로운 문제해결과정을 실제 제품 설계과정에 적용하여 사용해 봄으로써 구체적인 수행 가능성을 살펴보고 아이디어 정제와 확립에 가장 빠르고 정확한 수행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 미아 사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가이드라인 및 평가모델 개발 :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최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미아는 우리 주위에서 비일비재하게 발생하지만, 대부분 48시간 내에 발견된다는 점 때문에 미아 연구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낮게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미아가 사고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고, 범죄에 연루되거나 장기실종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따라서 가급적 처음부터 미아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미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과 제도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는 미아 연구는 미아의 사후대처방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미아가 발생하는 본질적인 특성을 연구하고 예방책을 제시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선진국에서 시행 중인 미아 관련 제도들 또한 미아 발생 후, 경보를 발령하고 수색을 통해서 미아를 찾는 등의 사후대처방안에 불과하다. 즉, 세계적으로 사전에 미아 발생을 예방하는 방안의 연구와 제도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아 사전예방의 새로운 방안으로서 ‘미아예방 환경설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용화할 수 있는 도구로 설계 가이드라인과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당 연구 과정을 통해, 환경설계를 통한 미아 사전예방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내용이 제도화 및 법제화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설계 가이드라인과 평가모델의 우선 적용대상으로는 미아 발생이 가장 빈번하고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3장에서 202건의 ‘미아 사례조사(설문·인터뷰)’를 통해 미아 발생경위를 고찰하고, 보호자 및 아동의 행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서의 미아 발생원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미아 사례에 대한 ‘동시발생 매트릭스’를 통해, 미아 발생원인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평균 2.8개 원인, 즉 2~3가지 원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미아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미아는 보호자 부주의와 아동특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여 발생하였으며, 환경특성이 기폭제역할을 함으로써 미아 발생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보호자의 미아 발견을 더 어렵게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2건의 미아 사례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순차연관규칙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미아 발생 원인들이 조합되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규칙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총 137개의 규칙(패턴)들이 도출되었고, 이 규칙들을 공통된 속성을 가진 유형들로 그룹화함으로써, 크게 3가지의 미아 발생 유형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 미아 과정을 미아 발생, 미아 길찾기, 미아 발견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체계화하였다. 4장에서는 복합상업시설을 대상으로 한 ‘미아예방 환경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설계 방법론을 고찰함으로써, 미아예방 환경설계 방법론의 도구 개발 프로세스를 설정하였다. 이후, 가이드라인의 계획요소가 되는 미아예방 환경요소를 도출하고, 미아 과정의 각 단계(발생, 길찾기, 발견)에서 요구되는 미아예방 방향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소를 토대로 각 목표별로 적용할 수 있는 미아 예방 방안을 10가지의 설계 기본원칙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미아 발생 원인을 기능적 공간(판매, 유희, 휴식, 식음, 편의, 이동공간)별로 구분하여, 미아예방 환경설계 기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미아 대처 방법(길찾기 및 발견)을 근거로 하여, 공간 전반에 적용되는 미아 대처 환경설계 기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기법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통합 가이드라인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으며, 각 항목(내용)별로 우선순위에 따른 중요도 평가도 함께 진행하였다. 그리고 검토 내용을 반영하여 미아 예방에 효과가 없거나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는 항목들을 삭제하거나 수정함으로써 보완하였다. 이후 5장에서,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미아 예방 가능성/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설계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CPTED의 방어선 개념을 차용하여 ‘이탈방지선’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미아예방 환경설계의 평가대상 및 평가영역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평가영역별 평가항목 점수를 배점하는 방법으로 ‘단순가중치법’을 적용하였다. 가중치로는 ‘위험 매트릭스’를 통해 도출된 평가영역별 미아위험도 가중치와 평가영역별 미아예방 환경요소 가중치를 곱하여 나온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해당 가중치를 평가항목의 설계요소별 평균 중요도 점수에 곱하고 항목별 중요도에 따라 점수를 재배분함으로써, 평가영역 및 항목별 점수를 산정하였다. 궁극적으로 미아 발생의 위험이 높은 공간(평가영역)일수록, 그리고 미아를 유발하거나 예방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요소(평가항목)일수록, 점수를 높게 배점함으로써 미아 예방 효과성 평가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후, 해당 평가모델이 실제로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해, 4곳의 복합쇼핑몰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 쇼핑몰의 평가영역별 점수와 총 점수를 미아발생률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계 평가모델이 유의미하고 미아 발생 및 방지 가능성을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미아 사전 예방안으로서 ‘미아예방 환경설계’를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 가치와 의의를 가지고 있다. 먼저, 아동학 분야를 포함하여 국내외에서 미아 관련 기초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리고 미아 발생 원인 또한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보호자와 아동의 부주의로 간주하던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관념을 탈피하고 행태 및 환경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미아 발생 원인과 유형 및 미아 과정을 도출하였다. 즉, 기존의 국내외 연구에서 아직 정립되지 않은 미아 기초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해당 연구내용은 추후 다양한 분야의 미아 관련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미아 관련 연구와 정책은 대부분 미아 발생 후 대처방안에 불과하며, 세계적으로 사전에 미아 발생을 예방하는 방안의 연구와 제도는 거의 없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환경적 측면의 미아 발생 및 방지 특성을 도출하고, 환경조성을 통해 미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설계 가이드라인 및 평가모델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미아 예방안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해당 가이드라인과 평가모델이 인증제로 발전하고 실용화된다면, 코드아담제도와 함께 복합상업시설에서의 미아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사용자 중심의 난방시스템 설계

        김남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제품의 품질이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즉 사용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제품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감성이나 감성 따위의 추상적인 요인들을 반영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미국에서는 인간적인 요소(Human Factor), 유럽에서는 인간공학(Ergonomics)라는 이름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와 같이 추상적인 요인들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지만 일부 단계 혹은 디자인 단계에서 고려될 뿐 공학설계 단계까지 반영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는 추상적인 요인들을 설계변수 단계까지 연결시킬 수 있는 공학적 방법론을 제안하고, 그 사례로서 건축학적 설계와 실내 쾌적성에 대해 각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난방 시스템에 적용해 보았다. 연구는 추상적 요인을 설계 요인으로 사상하기 위해 QFD-AD(품질기능전개-공리적설계)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FD 단계에서는 추상적, 물리적, 설계변수 요인을 추출하였고, 추출 과정에는 새로운 설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표준 및 기존 연구 결과를 이용하였다. 이 후 공리적설계 방법론은 요구 요인과 변수 요인간의 대응 관계를 규명하고 연성, 비연성관계를 이용하여 설계 프로세스를 계획하였다. 논문 내 사례연구로써 조명 시스템을 다시 설계하여 범용성을 보였고, 설계방법론의 결과인 설계 시방서를 이용하여 가상적 설계를 진행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난방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가능한 방법임을 검증 하였다. 방법론 측면에서 사용자의 추상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설계 변수를 재구성함으로써 가치가 높은 새로운 제품의 개념을 창안하는 방법임을 보였으며, 또한 새로운 개념을 창안하는 것이지만 기존의 표준 및 연구 결과 즉, 타당성 있는 자료의 요소를 추출함으로써 기술 실패 요인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보였다. 설계방법론은 아직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학문이나 본 연구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획기적인 설계 방향을 제시하여 보다 좋은 설계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포화방지를 위한 보호용 변류기 설계 방법

        이주훈 명지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4

        변류기는 전력 시스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축소하여 보호 계전기에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1차·2차 권선의 쇄교 자속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자로를 철(iron)로 하고 있다. 그런데, 철심 내의 자속이 어느 정도 커지면 자화 전류가 많이 증가하더라도 자속이 많이 증가하지 않는 자기 포화 특성이 있다. 변류기가 포화되면 계통 보호용 계전기의 오동작 또는 부동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변류기 포화의 주요한 원인은 사고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직류옵셋에 의한 감쇄하는 직류 과도분과 변류기 사용 중에 자로에 남게 되는 잔류자속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변류기는 정격 전류의 20배의 전류가 흐를 때 10% 이내에 변류비 오차를 갖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사고전류에 직류 옵셋에 의한 과도분이 많이 포함되면 사고전류가 정격 전류의 20배가 넘지 않아도 변류기가 포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재폐로 시와 같이 변류기가 설치된 계통이 차단 후에 재투입될 때 철심에 남아있는 잔류자속이 무시할 정도로 작지 않으면 포화되는 시간이 짧아진다. 그러므로 직류 과도분과 잔류자속에 의해서 포화에 이르지 않도록 변류기를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변류기가 특정한 기간동안 포화되지 않고 요구되는 변류비 오차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철심 변류기와 공극 변류기를 설계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은 사고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대칭 단락전류 계수와 직류 과도분을 고려하여 과도 단면적 계수(K_td)를 구하는 방법이며 공극 변류기의 경우에는 철심 변류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과단면적 계수를 구한 이후에 이것을 이용하여 공극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재폐로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재폐로를 고려한 경우에도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방식으로 설계한 변류기와 제시한 방식으로 설계한 변류기를 EMTP로 구현하고 비교하여 제시된 설계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Current transformer (CT) saturation may cause a variety of protective relays to malfunction. The conventional CT is designed that it can carry up to 20 times the rated current without exceeding 10 % ratio error. However, the possibility of CT saturation still remains if the fault current contains substantial amounts of ac and/or do components, and if remanence is not neglectable.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 of CTs for use with protective relays to prevent CT saturation. The proposed mehtod determines the core cross section and air-gap length of CTs ; it employs the transient dimensioning factor to consider relay's operating time (duty cycle) and do component as well as ac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ault current, and symmetrical short-circuit current factor to consider the biggest fault current. Also the proposed method designs the cross section of CTs in cases of reclose and no reclose.

      • 公理設計를 이용한 設計方法과 旣存設計의 分析에 대한 硏究

        이준규 亞洲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1

        공리설계는 고객영역, 기능적영역, 물리적영역, 공정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맵핑(mapping), 분해(decompose), 지그재깅(zigzagging)을 통한 설계의 계층구조(Hierarchies) 생성시, 기능적요구(FRs)는 서로 독립적이라는 독립공리(Independence Axiom)를 만족한다는 전제아래 정보량를 최소화하는 정보공리(Information Axiom)를 만족해야 한다. 공리설계는 QFD Method, 동시설계, Taguchi Method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다. 공리설계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기존의 보통형 나사식 잭은 decoupled 설계이다. The Axiomatic Design is made up of four domains: the customer domain, the functional domain, the physical domain, the process domain. When the hierarchy structure is made by mapping, decompose, zigzagging, FRs has to satisfy the Independence Axiom and Information Axiom. The Axiomatic Design has the merits of QFD Method, Concurrent Design, Taguchi Method. The analysis result by axiomatic design of existing general portable jack is decoupled design.

      • 초고층 건축 설계를 위한 수직동선계획 전문가시스템 개발

        이정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70

        초고층 건축물을 다양한 인간 활동을 담아내는 하나의 수직도시공간이라고 가정했을 때, 도시 계획에 있어 교통계획이 가장 중요한 핵심 분야인 것처럼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수직동선계획이 가장 중요한 계획 분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초고층 건축물의 수직동선계획은 건물의 형태계획이 이루어지면 엘리베이터 계획 분야의 전문가가 수직동선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계획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한 교통량 분석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건축가에서 엘리베이터 전문가로 이어지는 일방향적인 설계 프로세스로서 계획 초기단계에서부터 수직동선계획을 염두에 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초고층 설계가 이루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수직동선계획이 설계 초기단계에서 배치대안의 선정이나 형태 디자인의 발전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대안 평가도구 혹은 설계 지원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계획 초기단계의 간단한 기본정보만으로 초고층 수직동선계획을 수립해주는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초고층 수직동선계획 수립의 과정은 승객 운송의 효율성과 공사비 절감, 평면계획의 효율성 등을 목표로 하는 명확하고 합리적인 문제해결의 과정이다. 이러한 계획 수립의 과정은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주어진 상황에 대한 최적의 판단에 기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야에서는 프로세스에 따른 판단의 과정을 컴퓨터에 축적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정확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논리로 개발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이라 한다. 이상의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초고층 건축의 설계과정에서 수직동선계획 수립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여 초기단계의 기본정보만으로 합리적인 수직동선계획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을 개발한다. 둘째, 초고층 건축의 설계과정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계획안을 선정하기 위한 대안평가 및 설계지원 도구로서의 시스템 개발을 통해 지금까지의 초고층 설계 프로세스와는 다른 새로운 설계방법론을 제안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연구는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1장과 2장 부분에서는 초고층 설계 프로세스와 수직동선계획의 관계 설정을 통해 대안평가 및 설계지원 도구로서의 새로운 설계방법론 제안과 초고층 수직동선계획 수립 프로세스의 고찰을 통해 전문가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구체화하고,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구축방법론을 모색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3장 및 4장에서는 수직동선계획 전문가시스템의 구체적인 개발 과정을 다루고 있다. 전문가시스템의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fact), 해설설비(explanation facilities), 추론엔진(inference engine), 기반지식(knowledge base)을 초고층 수직동선계획에 맞추어 시스템의 구조를 구체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계획 수립의 도구가 개발되지 못한 원인이 되었던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핵심기술’이라 명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구현을 위한 단계별 구성 및 시스템의 실행 프로세스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5장 부분에서는 수직동선계획 전문가시스템을 실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고, 이를 ‘A-RIDE(AssistantㆍArchitect - Rough and Instant Design for Elevator)'라 명명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에 대한 검증 과정으로서 건축물의 용도별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RIDE가 초고층 건축의 설계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하였는데, 이는 앞서 제안하였던 초고층 건축의 새로운 설계방법론으로서 A-RIDE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초고층 수직동선계획 분야는 초고층 건축 설계의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전문가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A-RIDE는 건축가에게 관련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건축설계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계획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리고 A-RIDE 개발은 현재까지 초고층 수직동선계획과 관련한 연구 성과들을 집약시킨 결과라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관련 연구의 결과들이 산발적으로 존재하던 상황에서 향후에는 A-RIDE를 기반으로 관련 연구의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A-RIDE는 초고층 건축의 수직동선계획을 수립하는 도구로서는 전 세계적으로 최초의 시도이자 결과물이다. 현재까지 수립된 계획에 대한 검증 도구로서의 프로그램은 존재하지만 계획 자체를 수립해 주는 도구의 개발은 처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당 분야의 발전과정에서 선도적인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연구의 범위 제한에 따라 혹은 시스템 사용에 있어서 일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수정ㆍ보완이 필요하다. 최근 초고층 건축의 설계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디자인방법론이 제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A-RIDE가 이러한 디지털 기반의 설계도구와 연동될 수 있다면 보다 강력한 설계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