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의상에 나타난 미래소재의 조형적 특성과 효과

        곽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의 예술은 다양하게 변모하며 표현의 매개체로서 의상을 활용하였고 예술적 가치가 부여되면서 미술의상은 일상과 예술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섬유예술의 한 장르로 나타난 미술의상의 실용성과 예술성의 통합적 관점을 강조하며, 오브제가 가진 예술적 가치, 미술의상에 나타난 표현양상의 특성, 미술의상에 있어 미래소재의 활용의 가치, 미래소재의 조형적 특성을 역동성, 연장성 개폐성 등으로 살펴보고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및 방법을 밝히고, 2장에서는 오브제의 발생배경과 섬유오브제의 범위와 유형을 살펴 오브제가 갖는 예술적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3장에서는 미술의상의 일반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인체, 자연, 추상 등의 세 가지 표현양상은 미술의상의 창조적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바탕이 됨을 밝혔다. 4장에서는 미술의상과 미래소재의 관계를 논하기 위하여 소재(素材)적 측면을 먼저 살피고 기술 발전에 따른 용융소재, LED, 태양전지, 레이저, 실리콘, 광섬유, 비디오(빔), 리모트 컨트롤, 생체인식센서, 연기, 액화섬유 등 총 16가지 미래소재를 유형에 따라 환경친화형, 에너지절약형, 정보화지원형, 첨단기능형 등으로 구분하였다. 5장에서는 미래소재의 조형적 특성을 역동성, 연장성, 개폐성 등 세 가지로 제시하였고 정적, 동적, 확대, 축소, 개방, 축소 등의 6가지의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오브제의 필요성과 미술의상의 관계성을 확립하였다. 둘째, 미술사조에 나타난 오브제를 경향을 파악하여 일상생활의 오브제가 예술가의 무의식으로 선택되어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것, 오브제는 시간 개념을 포함하여 속도감 또한 표현 가능한 것, 배경과 공간의 연계성은 미술의상에 있어 연장성의 특성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경향을 보여준다. 셋째, 미술의상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형식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적 만족감과 예술적 호기심에 대한 내용적 측면의 자극은 반드시 필요하다. 인체표현은 조형적 가치의 재인식으로 인한 역동성, 자연의 예술화는 연장성의 특성이 나타나며, 추상은 가변적이고 무정형적인 성질과 관계된 개폐성의 특성을 가진다. 넷째, 오브제는 기존에 존재했던 대상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기, 바람 등의 비물질성도 활용할 수 있다는 것과 기술이 앞으로 발달한다면 현재 존재하지 않은 대상들도 미술의상에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미래소재에 나타난 조형성 중 역동성은 의상에 생동감을 주어 조형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의상을 등장시킬 수 있고, 정적, 동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연장성의 특성은 단순히 의상뿐만 아니라 공간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시간개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과 더불어 확장, 축소의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개폐성은 개방과 은폐의 효과로 독특한 가치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용융소재, LED, 광섬유, 태양전지, 레이저, 실리콘, 비디오(빔), 대기반응, 연기, 자극, 리모트컨트롤, 3D, 감정, 액화섬유 등 총 16가지의 코드로 분류된 미래소재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환경친화형 1건(6.25%), 에너지절약형 5건(31.25%), 정보화지원형 2건(12.5%), 첨단기능형 8건(50%)으로 첨단기능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 친화적 미래소재의 개발에 따른 미술의상의 활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조형적 특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미래소재의 활용은 연장성의 확장효과와 개폐성의 은폐효과의 특성을 잘 표현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연장성의 축소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활용이 연구되어야한다.

      • 현대 미술의상에서의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 국내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장희정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의상은 인간생활의 기본적인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던 의상의 개념이 아니라, 인체를 새로운 조형매체로 인식하고 그 뒤에 자유로운 내면세계를 표현하려는 인식에서 나타난 조형예술이다. 본 논문은 그러한 조형예술의 다양한 모습들과 시도들이 20세기 현대 미술의상 속에서 미니멀리즘이 어떠한 예술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가에 대한 하나의 이해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예술개념들과 변화된 미술의상을 통하여 미니멀리즘이 시대적·문화적 배경에서 어떠한 의미들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 의미들은 현대 미술의상의 형성 과정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범위로써 미니멀리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형예술의 고찰대상이 되는 시대를 1960년대로 두었고, 미니멀리즘적 특성이 미술의상에 어떠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어서는 연구대상이 되는 시대를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 사이로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미술에 있어서 오브제 미술의 등장과 미니멀 아트는 상투적인 의식세계를 수정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예술과 현실의 거리를 좁히는 과감한 혁신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팝아트의 등장과 더불어 옵아트, 키넥틱아트, 미니멀 아트를 탄생시켰고, 이러한 장르는 미술의상이 새로운 예술형태로서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즉 60년대에 섬유예술과 의상의 만남으로 파생되어, 표현영역의 확대와 미적 조형성을 추구하는 예술형태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시대적, 문화적 변화와 함께 미술의상작가들은 도시환경을 자신의 자연으로 삼고 현실감을 나타내기 위해 절제된 소재와 형태로, 표현영역을 확대해 나아가 미술의상에서의 미니멀리즘을 보여주었다. 현대미술의상이 미술의상작가에 의해 고유한 기술성에 대한 재인식 및 역사적 자기인식을 획득하기 시작한 이래, 작업주체의 변화와 새로운 조형의식의 형성과정을 거쳐 오늘날 다양한 면모의 자율적 예술로 자기모색을 해 나온 과정에는 무엇보다도 미니멀리즘이 갖는 여러 가지 의미들과 공유하고 있는 바가 크게 자리하고 있다. 즉, 현대미술의상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적 표현과 미술사에 나타나는 미니멀 아트는 사회적 현실과 그에 따른 작품의 소재 선택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 그러나 미술의상에서의 경우는 형태와 재료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섬유 재료를 통하여 감각적·촉각적 재질감을 특성으로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의상이 갖는 부드러움과 재질의 감각성이 이미 대중적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것에 그 차이점을 둘 수가 있다. 물론 미니멀리즘이 현대미술의상의 모든 것을 포괄하지는 못하며 현대미술의상도 그것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현대미술의상은 예술과 기술, 통합예술과 같은 의미로 끊임없는 자기모색을 해 나왔다. 또한 그 이면에 공유하고 있는 절충된 또는 제한된 단순미에 의해 앞으로도 계속해서 새로운 면모로 자신을 변화시켜 나갈 것이며, 바로 이러한 점에 미니멀리즘의 근본적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 미술의상이 동시대 예술로서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면모의 문화, 예술사적 의미들을 확보하고, 나아가 또 하나의 새로운 자기모색을 위한 반성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art wear is not the clothes made to satisfy the basic need of human life, but is a plastic art appeared based on the intentions to perceive the human body as a new medium of plasticity and to express the free internal world behind i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artistic meanings and values of minimalism in the 20th century modern art wears reflected with various trend and attempts of the plastic ar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the meanings shared by minimalism in terms of time and culture through new artistic concepts and the changes in the art wears, and on the ways how these meanings are revealed in the process that modern art wear takes its for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 minimalism, the period for the considerations of plastic art was limited to the 1960s. Meanwhile,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rms, by which the minimalistic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the art wear, the period of considerations is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In the modern art, the appearance of object art and minimal art has brought about the result of modifying the stereotyped world of consciousness. These can be seen as a radical innovation that narrows consciousness. These can be seen as radical innova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 art and the reality, which gave birth to the pop art, op art, kinectic art, and minimal art. These genres, which were the new forms of art, facilitated free expressions, and had their positions as an artistic forms that pursued an expansion of expressive ranges and the artistic plasticity, derived from the joint of the fabric art and clothing in the 1960s. Under these circumstances, with all the changes in times and culture, the artists showed minimalism in the art wears taking the urban environments as their own nature and expanding the domain of expression with self-restrained subject matters and forms to express the sense of reality. Ever since the modern wearable art earned the recognition and historical self-perception about its unique techniques by its artists, it has sought for a self-search as a liberal art with various appearances today, experiencing the changes in the working bod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w perceptions of plasticity. This process has much in common with the various meanings of minimalism. That is, the minimalistic expressions appeared in the modern art wears and the minimal art in the art histor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social reality and the consequent selection of subject matters. However, the wearable art has been deeply interested with the forms and materials. This is because it shows its diverse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 sensual and tactile texture, by means of changeable and flexible fabric materials. This characteristics seem to stem from the fact that softness of the clothes and sensuousness of the materials arouse popular response. Of course, minimalism can't embrace everything about the modern art wear, which is not also restricted within the boundary of this trend. The modern art wear has committed itself to the ceaseless self-search with the significance as an art, technique, or integrative art. Besides, it will be transformed continuously to a new appearance by the compromised or restricted simplicity present on the other side of this artistic genre, and this seems to be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minimalism. In this context, it is judged that the present study will be able to find the various cultural or art historical meanings that are proposed as a contemporary art by the modern art wear, and to prepare and another opportunity for the self-searching reflections.

      • 순수미술과 Art to wear의 조형성 비교

        이종화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미술에 이르러 두드러진 탈장르적 경향과 인간의 몸을 주제로 한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미술가들의 작품 소재로서 의상을 사용하여 설치와 조각 작품 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향의 사회반영 지표로서 의상이 Art to wear(이하 미술의상)의 영역에서 취해지는 그 조형성을 알고 그 신체적 유형들을 바탕으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이며 작품의 의미는 어떠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있는지를 통하여 순수미술과 미술의상의 진정한 공통 분모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트와 미술의상의 조형적 이미지 유형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몸의 여러 가지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매개로 한 작품에 표현되어진 아트의 왜곡과 변형의 조형 현상은 미술의상의 고정성에 이르러 기존의 인체에 대한 이상향에 대한 탈피한 개방적 조형성의 제한적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아트의 실재 인체의 크기에서 과장 확대된 조형적 표현은 현 사회의 만연된 물질문명의 허상과 위상의 위력을 나타내는 미술의상의 연장성의 확장과 과장 표현으로 그 부류를 함께 한다. 또 기존의 구성 방식에서 벗어난 아트의 분석과 종합의 성향은 기존의 의상의 착장 방식에서 벗어난 미술의상의 개폐성의 개방적 조형 형태로 재창출 되었다. 그리고 사물이 가진 순수한 본질에서 시작하여 내부의 신비감으로 이어지는 아트의 단순화는 단순한 은유적 표현이나 상징적 요소에서 그 실재의 부재에 다다르는 미술의상의 강도성과 그 맥을 함께 한다. 이와 같은 유형적 분류는 신체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함은 물론 아트와 의상의 역할과 영역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순수한 재현의 개념으로서의 아트에서부터 지금의 다층적, 다의적, 다소재의 성격을 띤 탈장르적 개념의 컨템퍼러리 아트까지 우리의 신체를 따라 함께 재현되어지고 발전, 변형되어진 의상과의 경계의 혼용성은 그 발전 단계를 미루어 볼 때 다분히 필연적인 것이었으며 더욱 강조되는 개개인의 존엄성과 정체성의 재발견으로써의 의상의 현 기능을 미루어 볼 때 포괄적 작가 전시주의의 성격을 넘어서 좀 더 실생활에 맞닥뜨리는 개인주의적 실체로서의 진보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예술가들은 철저한 미의식과 장인 정신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미적 자각을 이어가 순수 예술로서의 미술의상의 조형적 표현은 그 잠재력으로 막연히 추상적인 무엇에서 벗어나 가까운 미래에 현실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현대의 미술에 이르러 두드러진 탈장르적 경향과 인간의 몸을 주제로 한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미술가들의 작품 소재로서 의상을 사용하여 설치와 조각 작품 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The subject of many contemporary artworks is the human body and the loss of genre. This includes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in which costumes play a role. My research looks at the visual qualities of costume in art-to-wear as reflections of social tendencies. I suggest that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art and art-to-wear is in what the artist tries to express based on body types and how the meaning of the work is interpreted. Compared to art, the visual changes and distortions in art-to-wear present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approaches to the body in expressions of the visual that are liberated from the ideal body. The grotesque expressions of real body sizes in art go with the grotesque expressions of the continuity of art-to-wear and demonstrate the power and position of materialistic civilization that have infected society today. What's more, in the same way that the tendency of art is to reinvent itself continuously, art-to-wear's "opening and shutting" recreates a visual form that frees itself from the way that people wore costumes in the past. The way art simplifies ideas and forms, beginning with the essence of an object and ending with its essential mystery, are similar to the intensity of art-to-wear, which succeeds in being absent from reality in its symbols and simple metaphors. This suggests that conventional ideas of the body are lo longer valid and that the roles and milieus of costume and art have dramatically changed.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art-to-wear has changed but been necessary, and has been simply represented by our bodies since art, and especially contemporary art, with its multiple subjects and meanings, has evolved. And when one looks at how today's clothing functions strongly as a rediscovery of the identity and respectability of the individual, there seems to be progress in the way that individuality enters into daily life and surpasses the exhibitionism of artists. Artists continue to create in a spirit of craftsmanship and extreme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is sense, art-to-wear as visual expression and pure art will sooner or later be less abstract and vague because of its rich possibilities.

      • 미술의상에 표현된 오브제 :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전을 중심으로

        금방란 慶熙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예술활동의 그 영역들은 과거와는 달리 경계가 없는 복합적인 예술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패션과 미술이 결합하여 새로운 예술로 탄생하였다. 즉, 예술가들의 새로운 미적 욕구와 자유로운 형식의 도전들은 예술의 영역의 확대를 낳게 되고, 패션과 미술이 다양한 각도에서 만난 결과 미술의상(Art to Wear)이 라는 새로운 표현양식이 발생하였다. 미술의상은 생활의 도구로서 가치 성보다 작가의 관념적인 세계를 인체 위에 형상화시켜 조형미를 통해 시 각화하고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목적성을 갖는다. 이러한 미술의상은 모든 미술을 동원시켜 새로운 형식으로 형상화 시키며 다양한 방법으로 창작되고 있으며 이때, 오브제 개념은 작가들에게 창조적인 실험정신과 자유로운 조형성을 형성하고, 작품에서 여러 양상으로 응용되어 미적인 감수성을 환기시키는 예술작품으로 발전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예술에서 큰 기둥을 이루고 있는 오브제의 개념을 파악하고 미술의상에 표현된 오브제를 분석하여 현재 미술의상 창작활동이 현대 예술로서 그 맥락을 같이 하는 사실을 밝힘과 동시에 미술의상의 문화 예술로서 가치를 고취시켜 그 고유 순수 예술의 영역을 확보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범위는 최근에 개최된 1995·1997년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 전시회에 발표된 156개의 작품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문헌연구를 통해 오브제의 개념과 현대미술에서의 양상 및 미술의상의 개념과 역사를 알아보았으며 사례분석연구를 통해 미술의상의 오브제를 재료 형태 기법의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전체 156개 작품 중 오브제가 표현된 작품의 비율을 파악한 후 오브제가 표현된 작품에 대해 소재 형태 기법의 오브제를 각 유형별로 빈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체 156작품 중에 89작품에서 오브제의 표현이 이루어졌다. 이것은 57.1%의 비율로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오브제가 표현된 작품에서의 그것의 역할은 작가가 전달하고자하는 주제의 주요수단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재료의 오브제를 분석한 결과, 작가의 창조정신은 오브제의표현을 통해 미술의상의 창작활동에 재료의 해방을 가져왔고, 이로인해 일상 생활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미술의상의 훌륭한 재료가될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고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재료 개발을 통해 참신하고 기발한 재료의 등장이 기대된다. 셋째 형태의 오브제를 분석한 결과, 작가가 표현 하고자하는 주제와 무한한 상상력과 감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오브제가 미술의상에 표현되었으며, 미술의상이 하나의 독자적인 예술로서 작가의 주제 전달에 일차적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할 때 오브제의 개념은 그 주요 부분을 차지하면서 전하고자하는 메시지를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었다. 넷째 미술의상의 오브제들이 표현된 기법은 3차원적 표현인 아쌍블라주 기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현대 예술의 전반적인 경향과도 일치하는 점이며 특히 인스텔레이션 기법은 작가의 실험정신이 돋보이는 작품들에서 주로 선보인 것으로 미루어 앞으로 자유로운 예술세계를 추구하는 작가들의 더 많은 작품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섯째 오브제 개념의 발전과 그 확장으로 현대예술은 일상생활의 모든 사물들이 예술품에 표현 될 수 있게 되었고 자유로운 미의식으로 형태의 다양화를 가져왔으며,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장르의 구분이 허물어지게 되어 평면적인 표현보다는 입체적인 표현을 통해 작품의 조형적 가치를 완성하려는 경향이 뚜렷해 졌다. 한편, 미술의상을 제작하는 작가들의 독창적인 실험정신과 자유로운 감각표출의 결과로 다양하고 기발한 재료와 형태의 오브제들이 미술의상에 표현되어 지고 있으며, 이들 오브제들의 특성 또한 현대예술 속의 오브제들의 그것과 다르지 아니하다. 이렇듯, 미술의상은 순수예술로서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순수예술 속의 오브제 개념의 도입과 응용을 그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앞으로의 미술의상 제작 또한 새로운 예술세계 창조를 위한 적극적인 시도와 노력을 통해 현대예술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Modern art is often described as a complex art in a sense that each individual art activity does not limit its boundary to its own area. A desire to pursue new sense of beauty and a challenge for free style result in an expansion of art area. Art to Wear is one of those examples: it combines fashion and art. The purpose of Art to Wear is to form an artist's ideal world on the human body, rather than to focus the value of wear as living instruments, and to communicate an artist's message through the visualized model. Art to Wear develops in a variety of forms by mobilizing new style of art, and the concept of object roles as an instrument to stimulate an artist's creativity and free modeling to enhance the sense of bea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object, the main axis of modern art, and to analyze the object expressed in Art to Wear. This will lead us to understand that Art to Wear is one of the main stream in modern art and will secure its domain as one of a pure and unique art area.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156 art works participated in 1995ㆍ1997 Kawang-Ju Biennale International Art to Wear Exhibition. The meaning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object is studied through literature. Further, all of 156 Vienale works was analyzed by materials, form and techniques for case study.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156 works, 89 works, 57.1%, were classified as expressed object to communicate the artist's theme. Second, the artist's creativity results in breaking the limitation of materials used in Art to Wear. This result implies that all the materials in living environment can be used as material in Art to Wear and new materials will be explored continuously. Third, The object is used to express the artist's own imagination and sense of beauty it is the main instrument to communicate the artist's theme effectively and to secure the unique domain of Art to Wear in modern art.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s are the three-dimensional "assemblage" . This i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trend in modern art. Especially, the 'installation technique' is used in most experimental works, which might be the main trend in experimental artists groups to pursue free styles. Fif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bject' enables modern art to express things in daily life into art works. It also results in the variety of forms in art works by the influence of free sense of beauty and leads the trend to cubic, rather than plain, expression through breaking the wall of each art domain. As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in modern art, the object in Art to Wear is expressed in variety of models and materials through creative experiments and free expressional style. The Art of Wear is pursuing the value of pure art by adopting and applying the concept of object in pure art. Art to Wear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through aggressive work for creation of new art world.

      • ART TO WEAR에 관한 연구 :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주제를 중심으로

        서영수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2

        근래에 들어서 더욱 활발해진 섬유예술을 비롯한 공예 전반에 걸친 자유로운 조형의식과 다양한 표현형식은 전통적 공예기법과 형식의 논란 자체를 떠나서 이제는 새로운 표현방법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미술사가나 비평가들이 관념적으로 정의해왔던 '실용성', '장식성', 혹은 '미(美)와 용(用)의 결합'등과 같은 개념위에 새롭게 구축되어 가고 있는 현대공예는 현대미술이라는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더 나아가서는 현대라는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파악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그 표현 양상이 복잡하게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연구와 새로운것을 시도하려는 실험정신으로 형태나 표현방법이 끊임없이 변화해왔으며 즉, 60, 70년대의 전통공예적 표현에서 대중예술(Pop Art)의 시작과 80년대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 90년대에 이르러 작가의 미적 표현방법, 기술, 소재적 변화는 과거의 생활공예적인 표현방법에서 탈피하고 있다. 산업과 과학의 비약적인 발달은 새로운 섬유소재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예술가들은 이를 도입하여 자신의 예술적 표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추세에 따라 섬유미술은 미적인 형식 이에 기능적인 가치까지 견지(堅持)할 수 있는 순수 조형예술의 한 장르로 부상되어 각광받고 있으며, 섬유매체를 통한 작품세계로 표현범위가 자유로워져서 어떤 특정한 한계를 지울 수 없을 만큼 넓은 의미로 확대되었다. 또한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쟁시대의 의상은 단순하게 실용성이나 산업의 차원에서 논의하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한 단계 높은 예술의 차원으로 승화시켜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섬유예술의 새로운 형태와 소재의 모색과 의상분야에서 일어난 미적 조형적 표현에로의 추구가 만나 60년대 후반 미국을 중심으로 '미술의상'이라는 새로운 한 장르를 출범시켰다. 미술의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옷을 만드는 일 자체뿐만 아니라 옷과 인체와의 관계이다. 옷의 기능은 갖추되 '입는 옷'보다는 '보는 옷'으로서의 예술성을 강조한 조형예술로서의 인체를 '움직이는 조각'으로서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인체운동과 색채리듬을 동원한 전위적 입체표현으로까지 그 개념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의상이 특정한 용도를 중요시하는 의상디자인에 비하여 작가 고유의 경험, 철학, 사상, 감정 등을 의상에 표출시킬 수 있는 즉, 주제의 선정에 있어 무한한 가능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ese days, free formative consciousness and various expressions covering whole field of technical art. including the textile art, which has became more active, have left the argument about formalities itself, and the introduction of new method of expression became inevitable. Modern technical art building up on the conception of 'practicality' 'ornamentation' and 'the connection of beauty and use', which art historians and art critics have defined, has such complicated aspects of expression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the social backgrounds, going forward from the wider view of modern art. In addition, artist have kept their experimental minds with which they've always studied and tried new things, so that they could change their forms or their ways of expression continuously. This is illustrated by the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craftwork of 60s or 70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Pop Art, and post-modernism in the 80s. All these lead to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s, and materials that are dramatically different form the traditional way of expression. The rapid progress of industry and science have been giving birth to new textile materials. Artists are making great effort to use these materials in attempt to express themselves.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s, textile art has been growing as a genre in the field of pure technical arts, which has functional value on the aesthetic form. The field of textile art is growing and it is being focused on. The range of expression in the art world through textiles is free, it is enlarged up to the broad-scaled world of meaning wher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se days of cultural competition, it could be archaic if we discussed clothing on the level of practicality or industry as we did long ago. Now we should sublime it onto the upper level of art.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 new genre of 'art clothing' was created. It centered around American trend as a result from the seeking new forms and materials in the textile art as well as the aesthetic formative expression which had risen in the field of clothing in the late 60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making artistic clothe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human bodies, rather than the labor to make it itself.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clothing is the possibility to express humans bodies as 'moving sculptures'. This can be accomplished by giving more emphasis on the artistic merit of 'clothes to see' than 'clothes to wear'. Recently this concept is being enlarged up to the level of avant-garde cubic delineation using body movement and rhythm of color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oint that art to wear can draw limitless potentialities in choice of themes. Artists can express their experiences, philosophies and their emotions in art clothes, better than in design clothes where the emphasis is placed on practical purposes of particular uses.

      • PVA도포 종이를 응용한 미술의상 연구 : 종이 조형기법을 중심으로

        이경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인간은 어떤 것을 창조할 경우, 우선 목적을 생각하게 되고,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의지가 작용한다. 그 의지란 기능성을 겸비한 『用』과 장식성을 갖춘 『美』에 두 가지 면을 요구하는 의지이다. 즉, 기능성만을 존중해서는 결코 만족할 수 없으며, 시각에 의한 아름다움이 함께 함으로써 만족감을 얻게 된다. 한 예로 의복은 인간을 보호하는 것에서 출발하였지만, 어떤 형태의 장식과 유행이 부가됨으로써 의복 그 자체의 가치가 고양되고, 착용자에게 만족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의상디자인은 『用+美』의 두 가지 면을 겸비함으로써 성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의상디자인에 다양한 표현양식을 도입함으로써, 심미적 기능과 더불어 조형적 측면과 다양한 재질 표현을 강조하는 창조적인 조형예술로서의 새로운 의상디자인의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현대 의상에 있어 새로운 소재에 대한 관심과 창의적인 표현방법은 오랜 시간 연구되어진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현대에는 다양한 미디어들이 등장하여 종이 자체가 인쇄매체의 총아로서 지녔던 예전의 위력은 상당히 약화되었다. 하지만 공예를 비롯한 조형예술 분야에서는 종이가 지닌 재질감을 비롯한 여러 장점을 새롭게 재인식하여 조형적 표현 수단으로서 활발하게 도입하는 시점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이조형 기법을 이용하여 의상 소재로서의 종이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강화하여 독특한 실루엣과 형태를 강조하고, 이를 의상에 응용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을 표현하여 예술 공연이나 퍼포먼스, 또는 공간의 일부를 장식하고, 감상하거나 의상이미지를 형상화 한 디스플레이용으로 이용 가능한 미술의상을 창조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으로는 종이조형의 역사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종이조형의 특성과 기법을 알아보았으며,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종이조형 작품의 특성을 기법, 재료, 형태에 따라 종합 검토하였다. 더불어 종이의상의 발전과정과 종이를 소재로 한 현대의상을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해 살펴보았고, 이와 관련된 참고 작품을 표집 하였다. 또, 종이조형을 디자인 모티브로 응용한 현대의상디자인의 사례를 문헌과 사진자료, 인터넷을 통해 표집·분석하였다. 선행된 이론적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총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종이조형기법중 보마키염(Bomaki Shibori)을 이용한 종이주름접기와 PVA도포를 이용한 파피에 마쉐(Papier mache)의 두 가지 기법을 중심으로 하여 종이조형의 독특한 질감을 의상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유산지와 트레팔지를 사용하여 조형적 형태미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이조형 기법은 변화무쌍한 조형성으로 인해 미술의상에 다양한 형태를 부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종이의 빳빳한 성질을 주름과 컷팅기법의 사용을 통해 입체적 조형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중첩의 묘미를 살린 독특한 재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다. 셋째, 종이의 부족한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PVA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간의 결합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조형소재로서의 견고성과 착용가능성을 증가시켰다. 넷째, 종이조형기법의 다양한 형태는 인체와 연관하여 새롭고 독특한 실루엣을 형성하므로 인해, 평면에서부터 입체조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이를 미술의상에 응용함으로써 창조적인 조형감과 재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종이의상은 섬유소재의 옷에 비하여 잘 찢어지고 물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일회성의 퍼포먼스나 공연의상으로는 사용 가능하며, 빛을 투과하는 종이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업공간의 장식이나 디스플레이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종이의 가장 큰 단점인 내구성 부족의 한계를 PVA도포를 이용하여 극복하고, 종이조형기법에 의한 미술의상의 독특한 조형미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술의상을 조형예술의 한 영역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더욱 더 다양한 종이소재와 종이조형기법을 접목시킨 복합적인 표현기법의 연구와 실험이 계속 되고, 이를 통하여 미술의상에 있어서 예술성이 증대되기를 바란다. Human usually thinks of objective and then makes a strong effort to accomplish that desiring to create something. Due to human's instinctual will, he will be able to create and devise something new in his periods. What is the will? That requires both "Use" combining the practicality and "Beauty" completing the ornamentation. Hence, it is not possible to be satisfied only with "Use" but it will be perfect to be satisfied with "Beauty" through sight. For example, ornamentation and popularity can add high values to clothes and give satisfaction to customers, although clothes' objective was originated from "Guardness Thus, the costume design and its ornaments will be perfected with the combination of "Use" and "Beauty". Recently, new costume design, as a creative formative arts focusing on various materials, formativeness and aesthetical functions, is being spot lighting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an addition to this kind of design with various expression method. The interest of new materials and the methods of creative expression in modern costume design was one of themes that have been studied. In the modern ages, new appearance various media was weakening the influence of paper-based media. However, the strength of paper-feeling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s was newly understood and then is becoming the instrument of expression method for formative art areas.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unique silhouette and formation through str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aesthetical functions of paper with a paper-formation method, and then is applying these to costume design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more than high value-added costume design-formation showing something unique. This study already considered history of paper-formation art with documents and reviewed the skill, technique and materials in modern paper-formation art. Furthermore, the evolution of paper-clothes, modern clothes using paper-materials in documents and photo-information and related reference-works made this study more flourish. I also analyzed the samples and information showing paper-formation method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 had devised 8 pieces of dresses. During my work, I tried to express unique feeling of paper-formation with 3 methods such as folding, papier-marches and cutting. Partially, I also pursuit ultimate sight-effect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embroidery, beading, tissue-paper and thick oiled paper were utilized as a row materials and quilted cotton was also helped for the formation-effect and simple & clearer impression. To summarize my study as followings : First, the paper-formation method has a potential of allowing diversity due to unshaped format Second, due to original property of paper, the bonding can enhance the coupling property between papers in order to double the practicality, possibility of wearing and duration. Third, the various paper-formation method can express from 2D to 3D freely thank to its new and unique silhouette related with human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dress design and realize the creative formation and material feeling. Lastly, the effort of application to clothes with the property of paper will look out the possibility of new valuable material for the costume design. In conclusion, I hope that the pursuit of unique formation of costume design through paper-formation method will be a key role enlarging its scale or area toward new valuable area of formation arts. Furthermore, more than uniqueness and practicality will be expanded by the additional and complex study combining various paper-formation methods with new materials. That is my earnest desire.

      • 섬유예술로서의 Knitwork이 현대미술의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 작가의 작품 중심으로

        배준범 청주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1

        현대 섬유 예술은, 조형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바뀜에 따라, 작품들의 표현은 자유롭고, 관념의 틀을 벗어나 전위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작품이 오브제적인 경향이 짙으며, 평면적이거나 부조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3차원적인 조각품과도 같은 것들로 표현되고 있다. 섬유 예술의 한 분야인 미술의상은 인체를 미술의 매체로 인식, 옷의 기능을 갖추되 '입는다는 것' 보다 '감상의 의복'으로의 예술성을 강조한 조형예술로, 실용적인 의상에 적용할려는 발상과 이러한 섬유예술의 미적, 조형적 표현에로의 추구가 만나 - 60년대 본격적인 작품이 나온이래 - 기존의 일정한 틀을 벗어나 인간의 내면세계와 창조적 아이디어를 더욱 새로운 재료와 기법으로 표현하는 실험적 작품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섬유예술은 그 자체가 인류 최초의 문화라고 할 수 있듯이, Knitting도 인류가 생존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시작된 조형 예술이라 할 수 있다. Knitting의 시작은 식물의 줄기나 동물의 가족들을 찢어 바구니를 짜는데서부터 시작 되었으며, 1589년 편직기가 발명되기 전까지 인간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온 수공예로서 전수 되어 왔다. 단순한 생활용품을 제작하는데 사용했던 Kniting 기법은 섬유예술가들이 그들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작품수단으로써 1960년대 중반부터 실험적 창작 시도가 이루어져, 작가들의 풍부한 조형적 아이디어와 내면세계, 미적 개념을 표출시키는 표현매체로 순수 예술적 표현의 수단으로 인식되어왔다. Knitting은 제한 없는 폭과 길이, 신축성, 드레이프성 뛰어나며 색의 조절과 기법의 변화로 평면 및 입체적인 형태의 표현이 자유로우며 Knit 기법은 초기 미술의상에서 많이 쓰여진 Crochet 기법과 혼합하여 그 표현의 영역을 더욱 넓게 할수있다. 수공예적 차원에서의 Knit 는 핸드 니팅(Hand Knitting)을 시작으로 현재의 과학은 컴퓨터 및 그 기술을 활용하는 머��니팅(Machine Knitting)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편물기계는 미술의상 작업에서 조각적인 형태와 텍스츄어 정확한 산출. 정밀도. 신속한 복제성 등으로 한정된 수량의 미술의상을 판매. 보급하여 대중과 예술이 가깝게 되고있다. 이러한 Knitwork의 특성은 초기 Crochet 작가들을 Knitting에 새로운 관심을 끌게했으며 90년대 그들의 혼란-"옷이냐?" "예술이냐?" 라는 대중의 질문과 작품제작 기간에 비해 그들의 경제적 문제성의 갈등과 의상을 통한 그들의 표현이 순수예술로 받아들여 지는가에 대한 갈등을 어느정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Knitwork을 통한 표현이 다소 Crochetting에 비해 그 자유로운 표현 방법이나 조형적 표현면에서 불리한 면도 있지만, 이 기법에 대한 섬유예술작가들의 관심과 노력, 많은 재료와 소재의 연구 및 실험으로 미술의상에서의 Knitwork이 그 예술의 영역을 넓혀 나감으로써 인류가 시작한 이 작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예술이라는 차원에서 그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change in the conception of formative arts, the modern textile art's expression has been showing a transpositive tendency being free from its frame. This kind of tendency has resulted in such expression as the three-demensional sculptures, while its object tendency is free from a plane or relief formation. As one of textile arts, the art costume is a formative art emaphasizing its artistic feature as "feeling" rather than "wearing" while it functions as the costume after considering the human body as an artistic subjects. As a result, there have appeared many kinds of experimental works expressed by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with both human internal world and creative idea being free from the existing frame since the regular works appeared in 1960, while this textile art directed toward the tendency of its formative and beautiful expression. It may be said that the textile art is the first culture of human beings. For this reason, the knitting may be a formative art naturally originated after the human beings existed. The beginning of knitting resulted from the making of wicker baskets by stem of plants or skin of animals. In addition, this knitting was handed over as manual arts and craft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life before the knitting machine was devised in 1589. The knit technique required for making simple living necessaries was used by the textile artists to express their images from the middle 1960,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method for expressing the pure art by using this technique for expression of artists' formative ideas, internal world and beauty conception. The knitting generally features such elements as limitless width and length, excellent elasticity and drafting, and free expression of plane and cubic form with color control and technique chang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s expression more various by combining with the crochet technique which was frequently used for the early artistic costume. From the standpoint of manual arts and crafts, the knit has ranged from the hand knitting to machine knitting based on computer and its technologies. This kind of knitting machine is available only for manufacturing and distributing a limited quantity of art costumers due to their sculptural form and texture, exact output and precision, and rapid reprinting which tend to make the masses close with and art. These characteristics of knitworks encouraged the earl crochet artists to be newly interested in the knitting, which should make it possible to solve their problems in 1990 such as a question of "Costumes or Art?", economic difficulties concerning the period for their works, and pure art of costumes. Although the knitwork is unfavorable from the viewpoint of both free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expression as compared with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