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탐색

        유영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91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로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만성신장질환자의 증가는 말기신부전 (End-stage renal diseases; ESRD),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 이를 원인으로 한 사망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 (NHIS-NSC 2002~2013) 자료를 사용하여 만성신장질환자의 주요 임상적 결과인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 및 사망 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2년 사이에 만성신장질환이 발생한 신규 환자 2,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 및 사망은 10만 인년 당 발생 건수로 확인하였으며, 위험인자별 말기신부전, 뇌졸중발생 및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콕스의 비례위험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R 4.0.0을 이용하였다. 총 연구대상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28±2.89년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관찰 기간 동안 만성신장질환자 중 말기신부전은 10만 인년 당 105.49건, 뇌졸중은 10만 인년 당 15.80건, 사망은 10만 인년 당 15.80건이 발생하였다.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비례위험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0.748, 95% CI=0.606-0.922; 60세-69세 미만 HR=0.641, 95% CI=0.518-0.792; 70세-79세 미만 HR=0.609, 95% CI=0.482-0.770), 고혈압 (HR=1.415, 95% CI=1.200-1.667)과 빈혈 (HR=1.824, 95% CI=1.554-2.141)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뇌졸중의 비례위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2.374, 95% CI=1.128-4.995; 60세-69세 미만 HR=0.641, 95% CI=2.356-9.334; 70세-79세 미만 HR=7.117, 95% CI=0.482-0.770), 고혈압 (HR=1.531, 95% CI=1.074-2.183)과 빈혈 (HR=1.600, 95% CI=1.125-2.276)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사망의 비례위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1.984, 95% CI=1.228-3.204; 60세-69세 미만 HR=4.486, 95% CI=2.911-6.913; 70세-79세 미만 HR=9.520, 95% CI=6.201-14.617), 빈혈 (HR=1.600, 95% CI=1.073-1.609)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결론적으로,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발생은 연령이 낮을수록, 뇌졸중과 사망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빈혈이 있는 환자는 말기신부전, 뇌졸중 그리고 사망의 비례위험이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이들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치료계획의 수립에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