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 이후 발생한 담도계 합병증에 관한 비교

        김태협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15

        목적: 간 이식 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은 비교적 흔하면서 이식 간과 환자의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도계 합병증을 보고한 산발적인 연구들에 따르면 뇌사자 간이식술은 8~30%,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대부분 연구가 성인과 소아를 포함한 것이지만 6~23%로 빈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직접적인 담도계 합병증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인데, 이에 비교적 많은 수의 사체, 생체 이식술이 시행되는 단일센터에서의 각 이식술에 따른 담도계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1992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된 간이식 수술 119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예들에서 사체, 생체 간이식술 종류와 담도계 합병증(담도 협착, 담즙 유출, 담도담석)의 빈도를 조사한 후, 합병증이 발생한 수술 예들에서의 담도 문합방법, 합병증 발생 때까지의 기간과 치료법, 경유두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의 일차적인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98예의 수술 중 161예에서 뇌사자 간이식술, 1,037예에서 생체 부분간이식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374예(31.3%)에서 담도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뇌사자 간이식술은 15예(9.3%- 담도협착;12, 담즙누출;3, 담도담석;6, 6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359예(34.6%- 담도협착;330, 담즙누출;40, 담도담석;30, 41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로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합병증이 의미있게 많았다(p<0.001). 합병증이 발생한 예들에서 담도 문합방법은, 담도-담도 문합과 담도-장 문합이 뇌사자 간이식술은 각각 15, 0예이었고,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각각 299, 140예(80예는 담도-담도와 담도-장 문합이 동시에 이루어졌다.)이었다. 뇌사자 간이식술은 수술 후 중앙값 33주째,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중앙값 17주째에 합병증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9). 뇌사자 간이식술 11예, 생체 부분간이식술 178예에서 합병증 치료를 위한 첫 시도로서 경유두적인 접근법이 선택되었고 일차적인 치료 성공율은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9예(81.8%)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53예(29.8%)로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성공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01). 결론: 간 이식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 발생은 뇌사자 간이식술에 비해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합병증의 종류에 있어서는 담즙누출, 담도담석은 생체 부분간이식술과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발생빈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담도협착은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담도계 합병증을 내시경적으로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담도계 합병증이 뇌사자 간이식술의 경우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biliary complications (BC)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T) are common and affect the outcome of grafts and mortality of patients. According to scattered studies, the incidence of BC was 8~30% in cadaveric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DLT) and 6~32%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though studies of LDLT included adult and child. However, the direct comparison of BC among adults was rare, so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C after CDLT and LDLT in one center that many cases of LT has been performed. Methods We investigated 1,198 cases of LT that were performed from Oct. 1992 to Mar. 2006 in Asan Medical Center, Korea, retrospectively. After cases were divided into CDLT and LDLT, we compared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BC (biliary stricture, bile leak, biliary stone), the method of biliary anastomosis,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the treatment for BC, and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of transpapillary approach. Results In 1,198 cases, 161 CDLT and 1,037 LDLT were performed and BC was developed in 374 cases (31.3%). To be concrete, there were 15 BC (9.3%-biliary stricture;12, bile leak;3, biliary stone;6, 6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CDLT and 359 BC (34.6%-biliary stricture;330, bile leak;40, biliary stone;30, 41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LDLT; BC after LDLT wer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p<0.001). In the aspect of biliary anastomosis within BC cases, all 15 cases of CDLT performed duct to duct anastomosis (DD) while 299 cases of LDLT performed DD and 140 cases of LDLT performed hepaticojejunostomy (HJ) (80 cases were performed DD and HJ simultaneously). The median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was 33 weeks in CDLT and 17 weeks in LDL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89). For the treatment of BC, transpapillary approach was chosen in 11 CDLT and 178 LDLT case.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after CD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fter LDLT (81.8%-9 cases vs. 30.9%-55 cases,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C after LDLT was higher than that after CDLT. The incidence of bile leak and biliary ston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CDLT and LDLT, however, biliary stricture was mo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fter LDL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BC after LDLT was more difficult, in the aspect of endoscopic management.

      • 최근 15년간 광주·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간농양의 임상적 고찰

        서태진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15917

        배경 및 목적: 간농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의 발전으로 과거에 비해 사망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간농양의 발생빈도가 줄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 15년 동안 광주·전남지역 간농양 환자들의 임상양상, 합병증 그리고 원인균의 변화를 분석하고 또한 합병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첫째, 1989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15년 동안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간농양으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197예를 5년 단위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임상양상 및 원인균주를 비교하였다. 둘째, 최근 5년동안(1999년 1월~2003년 3월) 간농양으로 치료받은 93예를 대상으로 나이, 성별, 당뇨병 유무, 전신성 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ESR, C-reactive protein (CRP), hemoglobin, bilirubin, albumin, AST, ALT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남녀비는 1.59 : 1로 남자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평균연령은 56.1세였다. 화농성 농양이 190예(96.4%), 아메바성 농양은 7예(3.6%)로 화농성 농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시기에 빠른 차이는 없었다. 감염경로에는 담도계 질환이 가장 많았으며, 시기에 빠른 차이는 없었다. 최근 5년간 감염경로를 알 수 없었던 예는 39예(43.3%)였으며, 그 중 기저질환으로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13예(33.3%)로 가장 많았다. 전체 배양율은 39.5%였으며, 그람음성균(70.2%)이 가장 많았다(Klebsiella pneumoniae 28.7%, Escherichia coli 14.9%). 각 시기에 따른 균주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최근 5년간의 93예 중 합병증이 25예(B6.8%), 사망이 2예(2.1%)에서 발생하였다.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나이가 60세 이상인 군(p=0.013),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IRS) 인자들 중 f개 이상 양성인 군(p=0.015), CRP가 8 mg/dL 이상인 군(p=0.020), hemoglobin 10 g/dL 미만인 군(p=0.010), bilirubin 2 mg/dL 이상인 군(p=0.017), albumin 3 g/dL 미만인 군(p=0.006), AST 200 lU/L 이상인 군(p=0.017)에서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최근 IS년 동안 간농양의 원인균주는 그람음성간균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담도계 질환으로 인한 화농성 간농양의 발생이 가장 많았다 간농양 환자에서 나이,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IRS), CRP, hemoglobin, bilirubin, albumin, AST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로 생각된다. Liver abscess is still one of the clinically significant disease because of its high incidence and mortality. Although many clinical studies of liver abscess in Korea have been described, detailed long-term studies for the etiology and predisposing conditions of liver abscess are limited. In audition, the studies on predicting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liver abscess are extremely rare. For the study of changing patterns of etiologies and predisposing condition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9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and amebic liver abscess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March 2003. The data of late five years and those of early ten years were compared. And predicting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liver abscess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s in incidence of pyogenic abscess (96.4%) and amebic abscess (3.5%) from January 1989 to March 2003. In recent 5 years, positive culture rate in pus culture was 61.2% in pyogenic liver abscess. Klebsiell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organism in pyogenic liver abscess (28.7%). The most common infection route in pyogenic abscess was biliary tract (45.8%), followed by cryptogenic (44.2%), pulmonary disease (2.6%), hematogenous (2.1%) and abdominal trauma (1.5%). The significant predicting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were age (≥60),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2factors), CRP (≥8mg/dL), hemoglobin (<10g/dL), bilirubin (≥2mg/dL), albumin (<3 g/dL) and AST (≥200 IU/L, p<0.05).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s In etiologies and predisposing conditions of liver abscess in Gwangju·Chonnam Province from January 1989 to March 2003 Age, SIRS, ERP, hemoglobin, bilirubin, albumin and AST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predicting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liver abscess.

      • 담도계 양성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

        이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182831

        An analytic review of the olinical records of 228 cases of benign biliary tract disease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at Dept. of General Surgery of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for 5 years from Jan. 1978 to Dec. 1982, was to get following results. 1. The causatives diseases were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which were most common in 192 cases(84.2%)and follows parasites in 18 cases(7.9%), asymptomatic calculous diseases in 9 cases(3.9%), congenital anormalies in 6 cases(2.5%)and trauma in 3 cases(1.3%)respectively. 2. The age group of highest incidence was in 5th decade in male and 6th decade in female. The male to female sex ratio was 1.1:1 and it had t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prominant symptoms wee abdominal pain in 216 cases(94.7%). Among the 216 cases, pain on R.U.Q. was most common in 184 cases(80.7%), epigastric pain was 101 cases(44.2%)and radiating pain was 58 cases(25.4%). 4. The positive stone shadow was identified in 12% on plain addomen films, 24.2% on oral cholecystogram and 13.3% in I.V.cholagiogram. Gallbladder stone was identified 100% on preoperative ultrasonogram. 5. Stone was identified in 166 cases(72.8%), the most frequent site was gallbladder in 100 cases(60.2%)and followed by common bile duot in 83 cases(50.0%)and intrahepatic duot in 28 cases(16.9%). 6. In the operative procedures, oholeystectomy and T-tube drainage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in 94 cases(41.2%), cholecystectomy alone was in 85 cases(37.3%) the next, cholecystectomy and choledochoduodenostmy was in 21 cases(9.2%). 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as noted in 40 cases(17.5%), and wound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in 12 cases(5.3%)and bile leakage in 9 cases(3.9%)the next. 8. The overall mottality rate was 5 cases(2.1%)who were performed emergency operation, and most frequent cause of death was sepsis in 3 cases(6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