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장병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공군 방공관제사령부 장병을 중심으로

        이승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447

        최근 대한민국을 둘러싼 안보환경은 북한의 비핵화 추진과 동시에 군사적 도발, 주변국들의 자국 중심의 이익추구가 복잡하게 전개되는 등 평화와 도발의 양면적인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북한은 끊임없는 군사적 도발을 감행하고 있으며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고 있어 한반도에서의 안보위협은 어느 때보다도 위기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에서도 지속적으로 한반도의 위기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 국민들의 안보의식은 점차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안전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등에서 일반 국민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평화 분위기 전개 및 우리나라의 경제적 성장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안보의식이 과거에 비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 국민들의 안보의식도 낮지만 안보의 최 일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 장병들의 안보의식도 상당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국방부 주관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군 장병들의 안보의식은 최근 3년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군에서는 국방개혁 2.0에 의거 각종 무기개발ㆍ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미래 국방을 설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무기, 기술전력과 운용전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나 정신전력은 오히려 약화될 수 있다. 군인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한 최후의 보루로서 군의 조직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신전력을 강화하고 안보의식의 동기를 개발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산재되어 근무 중인 공군 방공관제사령부 장병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유효설문 기준 601명을 실증분석 하였다. 군에서는 국방부 지침에 의거 군인이 되기 위한 양성과정 및 자대배치를 받은 후 주기적인 보수교육을 통해 안보의식을 함양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장병들을 대상으로 안보의식 실태와 안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바라보았다. 이를 위해 안보의식과 관련된 각종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선행요인으로 사회ㆍ정치ㆍ경제문제에 대한 관심도, 사회 안정에 대한 긍정성, 군에 대한 신뢰도, 북한 위협에 대한 위기감, 국가체제에 대한 지지도, 역사교육 여부, 안보교육 여부, 안보교육 만족도, 사이버테러 인식, 국방역량 강화 필요성, 사회문화에 대한 자긍심, 국제관계 개선의지를 도출하여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화 하였다. 또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군 장병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실증분석 하였다.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로 1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군 장병들의 안보의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활동은 안보의 최일선에서 복무하고 있는 군 장병들의 안보의식을 높이고 앞으로 입대하여 대한민국을 지켜야 할 청년들의 안보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국가안보, 안보의식, 영향요인, 군 장병, 국방부, 안보교육, 정신교육

      •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명호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4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이 군 생활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군 장병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적 역량의 요인분석에서는 참여 의지,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감정 조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자기 효능감, 문화 공감 수준, 문화적 역량과 군 생활 적응 수준,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 중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만이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병의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을 고려한 군 생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인 과제로 부각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는 해외 체류(방문) 경험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과 입대 후 다문화 교육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나머지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따라서 장병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군 생활 적응 차이는 계급별, 나이별, 근무 기간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별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고, 나머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의 문화적 역량 수준은 중상이었다. 그러나 미군의 문화적 역량 수준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문화적 역량 수준은 참여 의지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감정 조절 순이었으며 문화 공감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병의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사례를 발굴하여 제공해야 한다. 인터넷 매체를 통한 학습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지역별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와 프로그램을 공유해야 한다. 다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둘째, 장병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병 다문화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국가와 지역사회), 학교(초·중·고·대학), 군(부대)이 연계한 ‘문화역량 강화 네트워크’(가칭)를 구축해야 한다. 다문화 관련 자격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다문화 장병 등 소수자 특기 발굴 및 개발을 해야 한다. 이외에도 군의 다문화 환경 개선 방향과 한국군 장병에 적합한 문화적 역량 척도 개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군 장병의 평생학습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정종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31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참여정도, 요구, 여건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 참여 관련 요인들은 일반 성인들의 평생학습 참여 관련 요인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요인과 참여율에 관련된 이론 및 실태에 관한 국내외 문헌들을 활용하는 한편, 육,해,공,해병 소속 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 번째, 군 장병들은 평생학습이 본인의 삶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평생학습 참여율은 13%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 일반 성인들의 참여율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목적으로 병사들은 취미 및 여가활동을 위한 평생학습에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으나, 간부는 현행 업무 및 군 경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장병들의 평생학습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지원체제를 구성해야 한다. 둘째, 군 평생학습체제 종합모형의 개발 및 정립으로 군 평생학습을 체계화해야 한다. 셋째, 군 장병 개개인의 경쟁력 강화 및 자기발전 차원에서 증가하는 다양한 학습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litary personnel's awareness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needs, conditions, and plans in order to invigorate military personnel's lifelong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veloped: First, to what extent is military personnels awareness regarding lifelong learning? Second, how many military personnels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ird, what differences exist in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between military personnels and general adults? Fourth, how can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be promo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hat is, the researcher made wide review of literature from home and abroad related to theories and present status of factors affecting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litary personnels who belonged to the Army, the Navy, the Air Force, and the Mari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military personnels perceived lifelong learning as being important in their life, but the rate of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was around 13%, which was less than that of adults in general. Secon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ivates aimed at hobbies or leisure activities, while leading officers aimed at increasing their present tasks and military career.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positive support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military personnel'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stablish a synthetic model of a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army. Third, it is necessary to accept increasing diverse learning demands for building individual competitiveness and self development.

      • 군장병 자살 예방을 위한 성경적 상담

        김애현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31

        대한민국은 2007년 - 2009년 청소년 사망 원인이 1위는 자살이다. 정보 공개 센터의 통계청 자료의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다. 청소년의 8.9%가 자살을 생각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현상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군대도 자살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해마다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육군 통계에 의하면 전체 사망 사고 가운데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5개년 평균 거의 50%를 육박하고 있다. 군대에서의 자살은 일반 사회에서 발생하는 자살과는 달리 군 조직의 특수성, 조직 간의 갈등 상황, 개인의 심리-사회적 배경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는 군 입대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한다는 점을 생각해야한다. 군 입대의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어, 심리적 발달과정에서 보면 ,정체감이 공고하게 형성되지 않았다면, 역할 갈등을 경험 할 수 있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시기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장병들은 취약한 때라는 것을 감안해야한다. 2002년 국회 국방위 국정 감사에서 나타난 것을 보면 군 복부 중 자살자의 자살 원인이 과거 가정환경, 여자관계 등 개인적인 문제에서 구타 및 가혹 행위, 복무염증 등 부대 내 문제로 역전 된 것으로 보인다. 군 지휘관들은 자살 장병의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검토하여, 국가적, 사회적인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해결점을 찾고,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야한다. 또한 그 대책을 시급하게 모색해야한다. 본 논문은 장병자살의 심각성과 특징을 살펴보고, 자살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장병자살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성경적 상담의 이해를 바탕으로 그 방법을 활용하여, 자살 상담사례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군 장병 자살 예방에 대한 실제적이고 궁극적인 대안으로 성경적 상담을 제시하고자 한다.

      • 입대장병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종광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15

        본 연구의 목적은 입대 장병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족기능, 개인성격의 각 하위요인들을 분석하여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기능과 개인성격이 군 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OO부대 입대 장병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군 생활 적응도는 Stuffer(1949)가 개발하고 신태수(1981)가 한국군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기능은 유영주, 최희진(2002)가 개발한 한국형 가족 기능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개인성격은 Morey(1991)이 개발한 PAI(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의 임상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척도는 부대관리 체크리스트를 고려하여 군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10가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대 장병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대부분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부여된 임무가 경계작전인 경우에 군 생활 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대 장병의 개인성격이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쳐, 개인성격 중 우울(DEP)이 높을수록 군 생활적응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대 장병의 가족기능은 군 생활 적응 하위척도 중 군 조직 환경 태도에만 영향을 미쳐, 입대 장병의 가족기능 중 정서적지지가 높을 수 록 군 조직 환경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입대 장병의 군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들이 군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탐색하고 특히 동일한 환경에서 다양한 성격적 특성과 가족기능을 고려하여 군 생활 적응의 차이를 밝히고 통제된 환경에서의 주관적 관점에서의 군 생활 적응을 판단하는 차원을 넘어 객관적인 군 생활 적응도와 각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가족 기능도를 고려한 차이를 밝혀 부적응 장병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의 접근과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군 사고예방 차원에서 시행되는 각 종 제도와 부적응자 식별 및 진단도구 개선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Z세대 장병들의 군 복무 스트레스 해소와 군 인성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허휘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14

        본 논문은 Z세대 장병들이 군에 입대하여 복무기간에 받는 군생활의 스트레스의 해소와 군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 시대는 각종 정보통신기술과 처리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소위 정보화 사회라는 새로운 큰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다른 나라에서 찾기 힘든 계층, 지역, 그리고 세대간의 갈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사회구성원의 인성형성에 커다란 악영향을 주고 있다. 계층 간 갈등은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더욱 심화되었고, 지역간 갈등은 정치가들이 지역을 불모로 정치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지역감정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심화시켰다. 또한 세대간 갈등은 소위 Y세대, Z세대로 나뉘어 세대별 가치를 생각하는 기준이 다르고 상대방을 부정하려는 사고에서 갈등이 심화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위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인화단결을 필두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군 에서 장병들의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Z세대 장병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군 복무 스트레스 해소와 인성교육 전략을 수립하여 군에서 접목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고 체계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relieving the stress of military life that Generation Z soldiers receive after enlisting in the military and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conducted in the military. Today's human society is facing a new era of great transformation, the so-called information society, due to the dazzling development of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The rapid social change has markedly manifested conflicts between classes, regions, and generations, which are difficult to find in other countries, and has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the character formation of members of society. Conflicts between classes intensified in the process of rapid economic growth, and inter-regional conflicts were further exacerbated by political leaders exploiting local emotions to achieve their political goals through regional intrigue. Conflict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are divided into the so-called Generation Y and Generation Z, which have different values ​​for each gener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bove problems and to develop the character of the soldiers in the military to win the war, starting with the unity of the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Z-generation soldiers are identified, and the military service stress relief and character education strategies are established and grafted in the military. It aims to establish a new strateg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present a system.

      • N世代 將兵의 軍 服務 動機附輿에 관한 實證的 硏究

        김규수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414

        要約 조직에서 개인의 성과는 천차만별로 측정된다. 우수한 성과를 얻는 조직원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하는 조직원도 있다. 이들의 차이는 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자발적인 의욕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 즉 조직의 리더는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직원들이 자발적인 의욕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동기부여의 문제는 중요한 과제가 되는 것이다. 정보화로 인한 사회변동의 가속화와 함께 새로운 생활환경에 더 많이 노출된 N세대의 가치가 기성세대의 가치에 오히려 영향을 미치는 역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한 사회의 성원은 끊임없이 새로운 세대로 대체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세대들이 어떠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생활 특성을 보이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군 조직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하는데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세기의 전위 세대로 등장하고 있는 N세대(Net Generation)의 가치관과 생활특성을 살펴보는 일은 단순히 N세대 장병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는 인지적 목적을 넘어, 이를 토대로 군 복무 동기부여를 위한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N세대 장병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동기부여 촉진에 대한 연구가 육군 사병을 위주로 이루어져 있었고, 육군과는 다른 환경에서 군복무를 수행하고 있는 해군장병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은 첫째,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N세대 장병들의 행태를 파악할 수 없으며, 둘째, N세대 장병들의 동기부여 요인 및 정도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부대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없으며, 셋째, 이러한 연구 부족은 관리자들의 N세대 장병들에 대한 관심소홀 문제가 표출되게 된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N세대 장병들을 중심으로 동기부여의 요인을 선정해 보고 이러한 요인들에 의한 장병들의 인식 및 현 실태를 분석하여 미흡한 요인들에 대한 동기부여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N세대 장병들이 전투력 발휘에 긍정적 행동을 갖도록 동기부여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존 이론에 입각한 분석 결과 N세대 장병들의 욕구계층은 기성세대와는 달리 사회적욕구, 자기실현욕구 등 상위의 욕구 충족을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N세대 장병들은 서로 믿고 신뢰하는 분위기가 되어야 조직효과가 증대한다고 인식하고 있고, 군 복무간 대부분이 Y이론적 본성을 보여줌으로써 임무를 수행할 분위기만 조성 이 되면 무엇이든지 창의성을 발휘하여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병영생활 중 가장 만족스러운 요소로는 상급자가 믿고 권한과 책임을 증가 시켜주었을 때와 어려운 일을 성취했을 때라고 응답함으로써 근무여건이나 대인관계, 소위 위생요인보다는 도전적이고 자율을 추구하며 일하는 보람이나 자기의 지식이나 능력을 십분 활용할 수가 있을 때 동기가 유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선정한 동기부여 요인들에 대한 인식 및 실태분석 결과 해당 직무에 대한 적성의 부적합, 개인의 노력과 업무의 성과에 대한 보상의 차별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지휘관(자)들의 처벌위주의 지휘방법 인식과 장병들에게 권한위임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업무수행시 자율성 보장 미흡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간관계 면에서는 상관으로부터의 인정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징집되어온 장병들을 어떻게 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군복무를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할 것인가에 대해 제도적인 측면과 지휘통솔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지휘통솔 측면에서는 지휘관(자)의 리더십 개선방향으로 부하를 신뢰하며 상과 벌을 적절히 활용하고 우호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상황에 적합한 바람직한 리더십 발휘와 인간관계 향상방안으로 부하와 좋은 관계형성하기 프로그램 시행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부하를 부대 목표 설정에 참여시키고 군복무에 대한 확고한 사명감을 갖도록 N세대 특성에 부합된 정신교육 방법 모색과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병영분위기를 다양하고 유익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신바람 나는 병영생활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조사가 전 군 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되지 못하였고 그 대상도 전대 예하 함정으로 한정하였으며, 둘째, 본 설문지의 설문구성이 표준화 된 것이 아니고 연구자의 자의적 작성이었다는 점과 군 조직의 특성상 장병들이 응답시 솔직한 응답보다는 상식과 이론에 기초를 두고 실시한 면도 있다는 한계가 있다.

      • 군 장병들의 감성이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

        김용안 湖南大學校 福祉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2399

        군이라는 특수한 생활여건을 놓고 볼 때 분명히 일반 사회와는 다른 차별성이 있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군에 입대하는 병사들은 여태까지 익숙해져 있던 가족과 친구들의 주위환경을 떠나 심리적·신체적으로 불안한 상태에서 군대라는 특수한 조직의 구성원이 되어야 한다. 이들은 여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생활이 시작되는데, 단독생활에서 집단생활로의 급격한 주위환경 변화와 엄격한 지휘 통제하의 생활 그리고, 개인적인 목표와는 거리가 먼 군이라는 전체 공동체의 목표를 위해 집단의 규범을 받아 들어야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병사들에게 있어 적응하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국가의 부름을 받아 국방의 신성한 임무를 수행하고자 군에 입대한 병사들을 위해 군은 국가를 대리하여 이들이 겪게 되는 생활 여건 및 이질적인 주변 상황의 어려움을 조기에 극복하고 부대 생활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어서 책임이 있으며, 여기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당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매년 군에 입대하는 병사들의 심리상태는 곧 군대 조직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구성원들 문제로 이는 개인의 심리적·신체적 건강을 위해서나 군대의 임무수행과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군 복무중에 있어 좋은 감정을 느끼는 병사들은 군대조직의 구성원으로서 군대환경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해 나가며, 욕구좌절이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갖게 되고, 주어진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관계를 통해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행동 양식을 보이며 조직내의 타 구성원들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반대로 군 생활에 있어 부정적 감성을 느끼는 장병들은 군 생활 자체에 대해 불만과 불평을 갖고 정서적으로 불안하며,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스스로 행동에 제약을 가하거나 심한 경우 조직 구성원들과의 불협화음으로 인해 각종 사건·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제 군 장병들의 긍정적 감성을 높여 일탈된 행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 수립과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 초급지휘관의 윤리적 리더십이 군 장병의 직무스트레스 및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조직공정성 지각의 미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병규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32380

        최근 들어 사회 전반적으로 공정하지 못하고 깨끗하지 못한 일련의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리더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의 하나로 윤리적 가치관을 이야기 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권에도 새바람을 일으켜 이른바 안철수 리더십으로 대변되는 깨끗한 이미지의 리더가 바람직한 리더의 모습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전반적인 현상을 군 조직 내의 군 장병들에게 적용하여 군 내부조직에서, 특히 초급장교의 윤리적 리더십이 발휘될 때 군 장병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군 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조직공정성 지각이 이들 변수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규명하여 군 조직의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2장은 이론적 배경부분으로 군 조직의 리더십 및 조직구성, 직무스트레스, 군 생활적응, 조직공정성 지각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3장은 연구방법에 대한 제시를 하였으며, 4장은 연구결과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은 결론부분으로서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가설검증의 결과로는 첫째,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넷째,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조직공정성 지각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윤리적 리더십과 군 생활적응과의 사이에서 조직공정성 지각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 내에서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음을 감안할 때 윤리적 리더십이 군 조직 내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주었으며, 기존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과의 인과관계를 다룬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직무스트레스,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거의 없었기에 본 논문은 큰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의의에도 연구대상의 한계 및 연구방법의 한계를 가지며 이러한 한계는 추후 연구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