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자율성, 계획된우연기술 및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곽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5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ablish the research model 1 and competing model 2 on the basis of college students' career belie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e two research question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of career belie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level were as follows: first, doe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second, doe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ird, doe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doub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48 students from 5 college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District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career belie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level was identified, and the research model was investig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lso,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by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how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is indicated it would be possible to enhance career decision level if there were changes i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o seek voluntary motivation and pleasure despite career belief.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Despite career belief formed from one's past experiences, one could enhance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new experiences if one developed attitude to accept a coincident event as an opportunit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ed doub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is indicated enhancing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enlarging experiences with optimism, flexibility, patience, risk-taking, and curiosity on happenstance opportunities would increase career decision level, despite career belief. The discussion of the findings in regard to the research question presented above wa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e direct effect of career belief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not significant, but only the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as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was not able to identify which sub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ad distinc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us, consta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is study found college students' career belief and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other words, the direct effect of career belief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not significant, yet only the indirect effect throug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found significant. In shor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 indicated that career decision level could change despite career belief by changing optimism, curiosity, patience, and risk-taking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s study presente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studies of incidental learning theory, which showed accepting a coincident event as a potential opportunity would positively affect one's career experiences despite one's career belief formed from what one learned from the past. Third, the results showe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double-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elief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s indicated the need for the programs that could help college students develop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terms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reinforcing the motivation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is important to enhance their career decision level. The findings suggest one needs to identify the behavior one voluntarily enjoys and one thinks important in terms of one's career plan to reinforce that particular behavior. It is crucial to choose efficient strategies for one's career decision by identifying the motivation for one's own behavior. Seco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motivation, and social changes in multilateral aspects. Therefore, the findings would be the basic data to explore strategies to enhance career decision level from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fast-changing society since the findings might be the basis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gra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s follow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vestigation of the model by assuming the casual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and career belief and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owever,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cross-sectional data only. Hence, a longitudinal study might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 Furthermore, practical effect on career education would improve if future studies focus on the program development with considering the relation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Keywords: Career Belief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Leve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신념, 진로결정자율성, 계획된우연기술을 진로결정수준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1, 경쟁모형 2를 설정하고, 그 적합성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진로신념, 진로결정자율성,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 계획된우연기술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과 계획된우연기술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서울, 부산, 경기도 소재 5개 대학의 34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진로신념, 진로결정자율성,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신념이 있다고 하더라도 자발적인 동기와 즐거움을 찾고자 하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변화를 갖게 된다면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 계획된우연기술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경험을 통해 형성된 진로신념이 있다고 하더라도 우연한 기회를 변화의 기회로 받아들여 자신의 새로운 진로의 방향을 모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면, 이를 바탕으로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과 계획된우연기술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신념이 있다고 하더라도 진로결정자율성을 높이고, 우연한 기회에서 낙관성, 유연성, 인내심, 위험감수, 호기심을 갖고 경험을 확대해간다면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진로신념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으며, 진로결정자율성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각각의 진로결정자율성의 어떤 하위변인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진로결정자율성의 하위변인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계획된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진로신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계획된우연기술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즉, 계획된우연기술은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었다. 진로신념이 있다 하더라도 계획된우연기술의 낙관성, 호기심, 인내심, 위험감수를 변화시킴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연학습 이론에서 과거의 학습을 통해 형성된 신념이 있다고 할지라도 우연적인 사건을 잠재적인 기회로 인식하여 받아들인다면, 개인의 진로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힌 연구를 검증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과 계획된우연기술이 이중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진로결정자율성과 계획된우연기술을 갖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의 대학생의 진로발달에서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관련된 동기의 강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자신의 진로계획에 있어서 자발적인 즐거움을 가지는 동기가 중요하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고 강화해 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이 어떤 동기에 따라 행동하는 양식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여 진로결정을 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관련된 변인의 인지, 동기, 사회적 변화에 따른 특성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볼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프로그램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신념, 진로결정자율성과 계획된우연기술과의 인과관계를 가정하고 모형검증을 수행하였으나, 횡단 자료만을 사용한 검증이므로 종단 연구를 수행한다면 진로결정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로결정과 관련된 변인과의 관련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의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진로교육에 실질적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진로신념, 진로결정자율성,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수준

      •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선경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26

        본 연구는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 개인의 실천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관여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석사 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 176부, 온라인 119부 총 295부를 회수하였고 이들 중 불성실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우연기술의 5가지 하위변인(호기심, 유연성, 인내심, 낙관성, 위험감수)은 모두 진로관여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위요인 중 ‘호기심’이 종속변인인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문제해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은 모두 진로관여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과 ‘직업정보’가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환경을 고려하여 상담전공대학원생의 현재와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적응력이 중요시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미래의 상담전문가가 될 전공생들의 진로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인지와 동기 및 행동적 차원의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연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이 초심상담자인 상담전공생에게 자신과 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행동적 변인인 진로관여행동을 높이기 위해 상담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 초등 고학년 아동의 부모 진로지지,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김정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인지 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부모진로지지,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부산, 세종의 8개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2일부터 약 한달간 설문을 실시하였다. 500부를 배포하여 수집된 463부의 설문지 중 스크린닝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총 439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검증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은 적합도 지수에서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부모진로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매개 효과 검증에서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각각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냈고 이중매개효과에서도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이중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활용한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about a month from June 22, 2020 to the 5th and 6th graders of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Busan, and Sejong. Of the 463 questionnaires collected by distributing 500 copies, a total of 439 people were finally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scree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using the AMO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model set up in this study was shown to be a good model in the goodness of fit index.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parental career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nned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ach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educational intervention usi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 계획된 우연 기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24

        College students should establish a clear and stable image of their career based on an accurate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midst uncertainty and change. In particular, during the college years,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get out of the depend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order to form and acquire a new sense of identity. However, due to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atmosphere, Korean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orming a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delaying psychological separation. In this reality, when college students form a sense of career identity, it is necessary to set various alternative goals and harmonize with realistic situations, and one of the factors that can help them i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s a concept that combines various technologies that can turn coincidences into opportunities. Psychological separation has been most verifi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there are also studies that do not show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personal variables c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ddition, since th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independence, it was assumed that th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variables. For this study, 319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28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respondents' general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scale, career identity scale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cale. SPSS 29.0.0.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multicollinear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amined.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variabl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career identi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r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sub-variables on career identity.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bootstrapp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Model 1, which is a moderating model of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2013). Fifth,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and risk taking,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a condition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This shows that the more Korean college students achiev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the more successful they can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y.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curiosity, a sub-variable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is is interpre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identity by domestic College students, but a negative effect on curios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not significant, bu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in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s means that persistence and risk tak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interact with the level of psychological separation to affect career identity. This means that even if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is low, skills that adaptively change attitudes or environments and have positivity toward unexpected new opportunities can improve career identity. On the other hand, curiosity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strengthened.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enhancing the skill to explore with an open attitude to new things negatively affects the formation of career identity, but strengthen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career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career identity was confirmed and in the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which ar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achieve psychological separation in developing their career identity effectively and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achieving psychological separation, they can effectively help improve their career identity throug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curiosity, flexibility, and optimism. In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identity will be examined in depth and various and specific measures to further enhance career identity will be provided. 현 시대의 대학생은 불확실성과 변화 속에서도 자신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에 관한 명확하고 안정된 상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특히 대학생 시기에는 새로운 정체감의 형성과 획득을 위해서 부모와의 의존적 관계를 벗어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및 교육 분위기로 인해 심리적 독립이 지연되고 진로정체감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대학생들이 진로정체감을 형성할 때, 여러 가지 대안 목표 설정 및 현실적 상황과의 조화가 필요한데 그에 도움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계획된 우연 기술이다. 계획된 우연 기술은 우연을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을 종합한 개념이다. 심리적 독립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많이 검증되었지만, 두 변인 사이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내적 변인이 두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계획된 우연 기술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 변인들은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위 변인에 따라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하여 총 280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및 심리적 독립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계획된 우연 기술 척도로 구성되었다. 설문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9.0.0.0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료의 신뢰도, 다중공선성 및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계획된 우연 기술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변인 간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심리적 독립과 계획된 우연 기술 및 하위변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조절 모형 Model 1을 적용하여 부트스트랩 검증(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 변인인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심리적 독립은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대학생이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을 이루어낼수록 진로정체감을 성공적으로 확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계획된 우연 기술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대학생이 진로정체감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서 계획된 우연 기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호기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인내심, 위험 감수는 심리적 독립의 수준과 관계없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은 심리적 독립의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심리적 독립의 정도가 낮더라도 태도나 환경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고 예상치 못한 새로운 기회에 대해 긍정성을 가지는 기술이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호기심은 진로정체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관계는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는 새로운 것에 열린 태도를 가지고 탐색하는 기술을 높이는 것이 진로정체감 형성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 독립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독립과 계획된 우연 기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심리적 독립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계획된 우연 기술의 하위변인인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이 진로정체감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있어서 심리적 독립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고, 심리적 독립을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더라도 호기심, 융통성, 낙관성의 계획된 우연 기술을 통해 진로정체감 향상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진로정체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