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현황

        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5375

        기독교학교의 역사는 개화와 함께 개신교 선교사의 내주로부터 시작된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선교를 위해 취한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바로 교육사업이었다. 이는 개화기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근대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개신교 선교사들이 교육 사업을 통하여 선교를 실천하고자 한국에 내주하여 많은 기독교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그러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학교는 오늘날 학문의 수월성(academic excellence)을 추구하면서 그 근본기능인 선교의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의 기독교학교 중에서도 여성교육을 주도한 이화여자대학교의 기독교교육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현재 이화여대 기독교교육의 현실을 파악해봄으로써 앞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서론인 제1장에서는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의 설립이념을 밝히고 현재 기독교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또한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기독교학교가 설립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대표적으로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이념을 간단히 기술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대표적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변천과정을 채플과 기독교 절기행사, 기독교 교양과목의 세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육에 대해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을 다시금 밝히고 선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독교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화여자대학교의 보다 나은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mission school begins with the missionaries moving into the Korea in the age of civilization. As peoples' interest about the Occident civilization was increased, the modern education was required in Korea. So the Protestant missionaries practiced the education bus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for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ed many mission schools. However, orientating academic excellence, the mission school is now losing the basic purpose as missionary work. For this reason, I researched the historical changes in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hich could be appreciated as the leader of the education of wome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of Ewha University,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present diagnosis. The study is consist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One reviews the ideology of Ewha's establishment and the necessity of present condition of religious education,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e way of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suggested. Chapter Two explores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school. I choose nest four mission schools and shortly described the ideology of educational establishment ; Paichai Haktang, Ewha Haktang, Jungshin girl's school. Chapter Three exams the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education in Ewha. I classified this as the three aspects; chapel, christian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e ideology of education and christian. Chapter Four examines the present religious education practised in Ewha analyzing the result of making up questions. Chapter Five explained the ideology of education of Ewha agai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to reach the goal of missionary. And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 비교 분석

        김유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43

        현대사회에서 여성평생교육은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 생활주기의 변화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과 이러한 변화로 인한 개인적 측면에서의 여성 스스로의 교육적 요구가 늘어가면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여성평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 가운데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다른 기관에 비해 고급 인적자원, 방대한 물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교육적 명성과 교육신뢰가 높은 기관으로 1980년대 이후 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 비해 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중 특히 여성교육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는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기관이 제시하는 교육목적과 현재 운영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여성평생교육기관으로서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 실시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이 여성평생교육의 발전과 여성들의 진정한 자아의식향상, 자기발전에 적합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발전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조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6개 여자대학, 즉, 덕성, 동덕, 서울, 성신, 숙명, 이화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으로, 문헌과 자료분석, 현장방문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각 기관들의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의 비교 분석을 위해 우선 교육목적을 4가지, 즉 ① 교육기회제공, ② 전문지식 및 기술 향상, ③ 개인적 교양함양, ④ 공동체적 의식 함양으로 범주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재분류하였다. 재분류한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모두 전문지식 및 기술향상, 개인적 교양함양의 측면에만 편파적인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별로 재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 사이에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공동체적 의식 함양의 측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았으며, 여성평생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식과 관련된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대해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담당자들은 공동체적 의식이나 여성의식과 관련된 측면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의 요구와 수요가 희소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학습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전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집중적인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것으로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현상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의 교육프로그램이 개인적인 목적과 내용에 치우쳐 있고 공동체적 의식함양이나 사회참여, 여성의식함양을 위한 교육체제가 미흡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적합하고 다양한 교육경험을 접하기가 어려워 발생하게 된 결과이다. 그러므로 여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교육목적과 교육프로그램의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교육프로그램을 지역사회와의 관계성, 공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편하고, 여성의 지위향상과 여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관 본연의 교육이념과 목적에 충실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여성 스스로도 자신이 사회참여의 핵심주체라는 것을 인식하고 개인적인 목적, 내용을 위해서 여성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 여성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비로소 여성 학습자들의 여성평생교육에 대한 참여가 적극적,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the necessity of lifetime education for women is ever increasing, due to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changes in family structure, the improvement of women's social position, and changes in life cycle, as well as the increase in women's desire for further education following the aforementioned socio-economic chang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which have recently grown considerably, due to the increasing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It attempted to explore some ideas to develop such educational goals for women run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consciousness of ego and their development. First of all, I categorized the educational goals into four groups; (1)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2) the improvement of specialist knowledge and techniques, (3) the cultivation of personal culture, (4) the cultivat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for the goals of compar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Based on these categories, I sub-categorized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rough the sub-categorization,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appeared to be partial to the aspects of the improvement of specialist knowledge and techniques, and the cultivation of personal culture. Furthermore, the analysis through the sub-categorization of each institute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a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few educational programs that were concerned with the aspect of the cultivat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Even though these institutions were supposed to be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it seemed that few of them have attempted any approach aimed at the improvement of women's consciousness. As for this, those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explained the gap between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re is rarely demand from learners for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communal consciousness or women's consciousness, which results in difficulties in running such programs in reality. Secondly, it is very hard to avoid running specific specialist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keep learners continuously interested in educational programs. However, it seems that this problem is also derived from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that have been partial to the individual purposes and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until now, and the inadequacy of educational system for the cultivat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social participation and women's consciousness. Therefor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reorganize the content of their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so they that can develop their relationships to local communities and cooperative character, and to strengthen the content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social position and the solution of problems surrounding women,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tached to women's universities. Moreover,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attempt to develop and run educational programs that correspond with their educational ideals and goals properly. Women are also required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the core subj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o take an interest in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the cultivation of women's consciousness. As long as educational programs for women are run in a desirable way, women learner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more actively and continuously.

      •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학위관련 교과과정 연구

        손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534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교과과정과 비교해봄으로써 각 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특수한 기능과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의 개선 및 편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의 대학원 체제와 음악교육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을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기능상의 차이점과 미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음악교과과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음악교육 석사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의 체제와 교과과정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교과과정의 편성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지에서 조사한 사범대학원(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순위에 나와 있는 10개의 우수학교들 중 음악교육전공을 설치한 3개(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University of Oregon)의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의 교육대학원은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10개의 우수교육대학원 중 음악교육전공이 설치된 6개(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우석대학교, 영남대학교, 공주대학교)의 대학과 일반대학원 음악교육이 설치된 2개(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의 대학을 중심으로 학위취득 요건과 학사운영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설정교과목은 임의대로 영역별, 학교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모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정과 이미 취득한 교사들을 위한 과정이 통합하여 개설됨으로 현직교사들에게 알맞은 교과목이 부족하여 교사재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학위취득을 위한 요건이 대학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대학의 기능에 부합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의 대학간 과목 수 ,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으며 음악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다섯째,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설정과목이 부족하다. 여섯째, 각 대학별 교과 영역에 대한 필수학점 설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재교육과 교원양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대학원과 연구기능을 가진 일반대학원 모두 국악과목에 대한 설정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이 설치된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은 기능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 음악교육의 전문화를 위해 교원재교육 프로그램, 교원양성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교육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bot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within South Korea as well as that of the USA. By close examination of the specific func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will ultimatel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 current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aim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are also analyzed and compared. Furthermo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in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i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e US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reorganize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can eventually lead us to the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USA this study investigates 3 schools (the 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and University of Oregon) which have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anked amongst the top 10 in the U. S. media.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it is to find a curriculum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music education major from 6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oosuk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at are ranked in the top 10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2000 and 2 general graduate schools(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paper study concludes as follows; 1. Certificate programs and degree courses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ourses and programs for non-teachers. 2. The criterion for the certification of teachers must be more strictly standardized because curr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have very different standards. 3. The number of subjects offered, pedagogy of courses and music in each university is unbalanced. 4. There is a shortage of core music pedagogy subjects. 5. In preparation for South Korea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an increased focus on international music subject is necessary. 6. The required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music major needs to be standardized for all of the university. 7. Korean Universities have a duty to pay homag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Unfortunately, they are not meeting these dut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that offer music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need teacher retraining program, specialization and variety in research programs on music education to develop and professionalize our education program.

      •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과 과학과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생명과학 교육을 중심으로

        우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education program for no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 of Ewha Womans University of natural history museum. In this study, the relevance check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 of Natural History museum. As no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 this study is trying to confirm whether researcher want to run the educational role of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For this reas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of Natural History biology science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established us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For Grade 3-4, courses 21 that are performed to date from 2010 were included. 5-6 grade, course of 17 to be enforced by the spring semester of 2013 from the current 2011 were included. Materials for the course included in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ourse. The course was confirmed that it was constructed to correspond educational goals are presented in most courses, the search element. It was also to provide a deepening with a collaboration with top grade in terms of the material and content.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are included in the teaching material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science education goal classification system of Klopfer. If applicable to the area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analysis result of educational goals of 5-6 year 3-4 year was the most.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you are using concepts and terminology that are required to provide a deepening content. Area of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s the next was followed after. This could be confirmed by providing a serious contents experiment through hunting activities, lectures were configur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Natural History Museum to carry out properly the role of strengthening the interest and attitudes of students. Also,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included in the various search elements that are presented to the curriculum is confirmed. Time, to provide for reasons such as lack space, the equipment it was done mainly on hard work and experimentation in most schools. This can be analyzed to have to carry out properly the role complementary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format required by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is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is nonformal. Curriculum cooperation were analyzed separately on the side of the cooperation of the material and content cooperation vertical surface. When cooperation with content, based on the course of the spiral, the contents of the deepening was included in a variety of ways. Courses with materials linkage is a case where not limited to grades, are contained in the course content social scientific issues. 13 lecture course in 21 has the content collaboration, is configured to have a material cooperation 8 courses 3-4 grade. 13 courses 17 courses during the contents have cooperation, 4 course is configured to have a material cooperation is 5-6 grade.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생명과학 교육프로그램과 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인을 통해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으로서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역할 수행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개정 교육과정을 사용해 개설된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생명과학 교육프로그램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3-4학년의 경우 2010년부터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21개 강좌가 포함되었다. 5-6학년은 2011년부터 현재 2013년 봄 학기까지 시행되는 17개 강좌가 포함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강좌에 대한 자료는 강좌에 해당하는 교재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강좌들은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목표, 탐구 요소에 부합하여 구성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내용 및 소재 측면에서 상위 학년과 연계성을 가지고 심화 내용을 제공하고 있었다. 교재에 포함된 교육 목표는 Klopfer의 과학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3-4학년과 5-6학년의 교육 목표 분석 결과 지식 및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는 심화 내용 제공에 필요한 개념 및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태도 및 흥미 영역이 뒤를 이었다. 이는 심화 내용 제공, 실험, 탐구 활동을 통해 강의가 구성 된 것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자연사박물관이 학생들의 태도 및 흥미 증진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 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 요소들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대부분 학교에서 시간, 공간 및 기자재의 부족 등을 이유로 제공하기 어려운 활동이나 실험 등을 위주로 진행 되고 있었다. 이는 사회가 비형식적 과학교육기관인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요구하는 형식적 교육기관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교육과정 연계성은 수직적 내용 연계성 측면과 소재 연계성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용 연계성을 가지는 경우는 나선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심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소재 연계성을 가지는 강좌는 학년에 국한되지 않고 과학과 관련한 사회 문제를 강좌 내용에 포함하는 경우이다. 3-4학년은 21강좌 중 13강좌가 내용 연계성을 가졌으며, 8강좌가 소재 연계성을 가지고 구성되었다. 5-6학년은 17강좌 중 13강좌가 내용 연계성을 가지며, 4강좌가 소재 연계성을 가지고 구성되었다.

      • 현직 중등 음악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

        강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 기능의 강화가 요구됨에 따라, 중등 음악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직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의 중등 음악 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사 인식과 필요성, 현직 중등 음악 교사의 재교육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의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직교사로서 인지하는 현행 교원재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교육의 방향성 등에 관한 질문도 함께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심층 인터뷰 자료는 크레스웰의 나선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종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 음악 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을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기능보다, 예비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그 기능이 강화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대학원을 교사를 위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인지하거나 진학하려는 욕구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부(2021b)의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 추진을 통한 교육대학원 기능 개편 계획에 따라, 현직 음악 교사의 교사 전문성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발전 및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중등 음악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재교육 과정을 통하여 기대하는 바는, 현장에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내용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재교육에 관해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율 문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가 요구하는 현장성이 강조된 교육과정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 현장에 곧장 반영될 수 있는 역량 제고에 관한 필요성 요구에 따라, 본인 전공 외 타 음악 전공 실기 역량, 대중음악 등에 관한 교육과정 마련도 함께 간구 되었다. 더하여, 현직교사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고학점제, 과정중심 평가 등의 교육정책 재교육에 관한 필요도가 높았던 반면, 세계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등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는 교육내용과 테크놀로지에 관한 교사 재교육을 통해 이를 이해하고 음악 교과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인지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두 가지 논의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현직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을 때, 본인이 인지하는 재교육 영역의 필요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서 학점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체제 개편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령, 교육대학원을 진학하여 여러 가지 실기 역량에 관한 함양을 목표로 하였을 때, 대학원 재학 기간 중 원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재교육을 받고 교육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수 체계를 자율화하여 수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이 현직교사들의 재교육 요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교사의 개별 의지에 달려 있으므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교육과정을 제공함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함양 욕구를 고취하기 위한 외적 동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면서 새롭게 현장에 도입해야 하는 교육내용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재교육 과정을 선택하였을 때, 외부적인 지원이 우선 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에서는 교사가 본인의 교수 전문성에 관해 재고하고 이를 개발할 목적으로 진학하였을 때, 교사에게 현장 적합성이 높은 교육과정들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해당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을 위한 기능 강화 및 교육과정 재편에 관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중등 음악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다양한 음악 교과 수업 실행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retraining of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9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a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curriculum required for ncumb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surveys and the answers of self-descriptive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For the interview, questions o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current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recognized as in-service teachers and the direc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also composed, Creswell's spir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e final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ived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institution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training For this reason, they did not show a desir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mplied that music education major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a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incumbent musi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what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 throug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training course is the curriculum and contents that can actually be used in the fiel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not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field as unnecessar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answered ques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ing the field required by in-service teachers was about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improvement of competencies that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classroom, it was also sought to prepare a curriculum for practical skills in music majors other than one's own major, popular music, etc. In addition, incumbent teachers had a high need for educational policy reeducation such as school credit system and process-based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new curriculum changes, while perceived needs for newly emphasized educational content and technology suc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not very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scus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area recognized by incumbent teachers and reorganize the system so that the credit comple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you go to graduate school and aim to cultivate your ability to play various instruments, you should be able to provide classes by autonomousizing the method of completing lectures to retrain as much as you want and realize the purpose. To this end, various subjects that can meet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re-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since it is up to the individual will of the teacher to go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ternal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spire the teacher's desire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the re-educatio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course so that the willingness to actively understand and accept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to be introduced in the field as the curriculum changes, external support should first be followed. Thir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a teacher reconsiders his or her teaching expertise and goes on to develop it, he or she should develop and provide curriculums with high field suitability to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implement various music curricul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