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군 평화유지활동의 성과와 발전방향

        이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21세기 국제사회의 안보현실은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상황에 놓여있다. 탈냉전 시대를 겪으면서 세계질서가 재편되고 이 과정에서 그 동안 잠재되어 있던 문제들이 표출됨으로서 안보환경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되었고, 오히려 냉전시대 보다도 더 많은 분쟁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유엔은 평화유지활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의 분쟁에 활발하게 개입해 왔으며, 분쟁지역이나 평화협상이 진행 중인 지역에서 평화유지군 주둔과 평화유지의 역할이 긴장을 줄이고 평화조성 및 분쟁해결에 중대한 공헌을 해왔고, 앞으로도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은 1993년부터 소말리아 평화유지 활동에 유엔 평화유지군(PKF)으로 공병대대 파병을 최초로 하였고, 현재는 레바논 평화유지단,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 그루지아 정전감시단, 라이베리아 임무단, 아프간 지원단, 수단 임무단, 동맹군 협조단 등에서 8개국에서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6년여 동안 국제사회의 많은 분쟁 속에 실시된 한국 평화유지활동(PKO) 파병 역사에서 우리는 많은 성과를 이루었으나, 아직도 법적·제도적, 군사 운용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평화유지 활동에 대한 이해 부족 및 파병에 대한 일부의 부정적인 여론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한국 및 한국군의 위상에 부합되는 평화유지활동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평화유지활동은 유엔의 회원국으로 세계평화에 이바지 한다는 근본 취지에 부합되고는 있으나, 한국의 국가위상과 국가이익을 고려한 장기적인 측면의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정책마련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확고한 인식 미흡과 적극적 국제 활동 미흡, 유엔의 참여요구에 대한 신속성 결여, 평화유지활동 관련법과 조직의 미비, 전문 인력 양성 활동의 미흡, 혼성 평화유지 활동의 미흡하기 때문이며, 향후 우리의 국력신장에 정비례하여 평화유지 활동 참여에 대한 국제적 압력 가중과 국제사회 요구에 감당하기 위해 한국군 평화유지활동의 발전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한국군 평화유지 활동 발전방향은 법적·제도적 분야와 군사 운용적 분야로 먼저, 법적·제도적 분야의 발전 방향은 (가칭) 국제평화유지활동 법 제정, 신속배치 체제(상비체제)의 정책 공조체제 유지, PKO 활동지원 센터 설립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군사 운용적 분야의 발전방향은 평화유지군 신속배치 체제 구축과 평화활동 교리체계 정립, 교육훈련 체제 발전, 국제 재난구조 활동체제 정립, PKO 관련 전문 인력 관리체제 정립, PKO 관련 대국민 홍보활동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한국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세계평화에 기여한다는 국민의식과 정부차원에서 평화유지활동 참여를 통한 국가적 이익을 식별하고 국가이익 증대와 평화유지활동의 상관관계 차원에서 평화유지활동 영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status of international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becam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ecurity environment. World order has been reshuffled throughout the post-period of cold war. In the course of reshuffling world order, many latent problems were uncovered and security environment changed into a variety of modalities, thus resulting in more international strifes and impediment of international society's stability. UN has actively intervened in global strifes in a variety of forms through the peacekeeping operation (PKO). Its stationary peacekeeping troops and peacekeeping operation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ension, the creation of peace, and the settlement of strife. The importance of UN's PKO will increase ever more in the future. Korea first dispatched an engineer battalion to Somalia in 1993 as the peacekeeping forces (PKF). Now Korean PKF is active in 8 countries such as Lebanon peacekeeping commission, India/Pakistan cease-fire supervisory commission, Georgia cease-fire supervisory commission, Liberia commission, Afghan assistance mission, Sudan commission, and allied forces cooperation mission. Although Korean PKO has achieved a lot in a variety of international strifes for 16 years, it still needs the legal, systematic, and operational development. And with some people's in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PKO and negative opinion for the dispatch of PKF, Korean PKO does not reach to the level of Korea and Korean military forces recognized internationally. Korean PKO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philosophy of contributing to world peace as a member country of UN, but establishing a long-term policy of PKO in which national position and gain are taken into account is insufficient so far. It is seemingly because there are insufficient recognition of PKO, insufficient international operation, lack of promptness for UN's requirements, lack of related legal provisions and organizations, insufficient cultivation of specialized manpower, and insufficient mixed PKO.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work out a developmental strategy of Korean PKO in order to cope with international pressure for the Korea's participation in PKF and to satisfy international demand according to the level of national power. The developmental strategy of Korean PKO can be classified into the legal and systematic field and the military and operational field, As for the legal and systematic field, it is necessary to enact International PKO Law (tentatively named), establish a political cooperation system of prompt placement (standing forces system), and organize a support center of PKO. As for the military and oper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mpt dispatch system of PKF, organize a management system of PKO-related specialized manpower, and reinforce the activity of public relations with people. People must improve their recognition of Korea's world peacekeeping responsibility as a member country of UN. The government must examine the national profit of PKO participation and then enlarge Korea's PKO participation sphere from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profit increase and world peacekeeping.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한미 전략동맹 발전방향

        장규환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Generally, alliance means "A group that uses military powers together in a special environment to gain common interest and achieve objective, or secure nation from any threats", which can be rephrased as useful relationship based on calculated interest and objectives. In ROK-US relationship, at first, America was the first Western country that Korea ha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helped Korea's independence, participated in Korean War, and assisted Korea's great economic and democratic growth as a guardian and blood-tied alliance. ROK-US alliance needs creative development that matches with continuously changing strategical environment from 21st century to the next. Especially, Korea need to actively deal with North Korea and USFK issues for next decade and modern security threats with flexibility in legal and administrative way. Wartime OPCON transition and changes in ROK-US command relations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due to changes in security situation around Korean Peninsula, rise of China's power and China's expected counter measures, which triggers changes in UNCK and CFC's OPLAN is inevitable, and need new campaign plan for unidentified external threats. China, which expects these inevitable changes, will show sensitivity towards strengthened ROK-US Alliance and changes in command relations and USFK's flexibility in strategy, and China will try to look for various counter measures. Wartime OPCON transition and changes in ROK-US command relation will depend on progress in Korea's individual warfighting capability and ROK-US Alliance as lever in US-China Relations. Finally, ROK-US Alliance is ver important in ways that not only prevent and resist threats of North Korea, but also new security environment tha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powerful states in the area. From the circumstances above, guaranteeing USFK's strategical flexibility, relocation, and reduction, wartime OPCON transition and changes in command relations, role of UNCK and its status, and all other issue to be compromised are very important security pending affairs that needs to be executed. Korea and US have changed wartime OPCON transition date to December 1, 2015, which effect Korea's security environment dramatical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se strategical changes, first, ROK forces should prepare for deliberate surveillance capability that relies on US forces, strategical command - communication system, self precision strike capability, and ROK forces' individual warfighting capability skills. Second, combined defense system is needed through ROK-US security cooperation. Third, Korean Peninsula's security situation is need to be managed with stability. Forth, combined delegated authority during peace time OPCON need to be obtained to ensure individual warfighting capability. CODA, which is exercised by Combined Forces Commander, should be transferred before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to ensure ROK forces to have capabilities in warfighting system and manage risks. Fifth, as CFC breaks apart as part of wartime OPCON transition, UNCK's rolls need to be improved. Finally,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ransition by 2015 as ROK-US had agreed, but the transition needs flexibility due to security situation of 2015 checked by both parties' military authorities. Moreover, ROK-US Alliance needs to develop into strategical alliance that promote ROK force's individuality, efforts to discard North Korea's WMD, and continuity of combined operation's command relations. For last 50 years, ROK-US Alliance has been placed at absolute level for Korea, but we need to fulfill our duty and responsibility as our status in international society improved. Also, strengthened power and improved pride is to be executed when we can defend ourselves and make our own fate. In a same context, ROK-US alliance should be developed into matured type alliance that is able to visualize future and deal with issues in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society together. 일반적으로 동맹은 “특정한 환경에서 공동의 이익과 목표달성, 또한 위협으로부터 자국의 안전보장을 위해 군사력이라는 수단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동체“로서, 엄밀히 말하면 계산된 이익과 목표에 기초한 효용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한·미관계에 있어 미국은 처음으로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서양 국가로 한국의 해방과 건국에 일조했을 뿐만 아니라, 북한의 침략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에도 참전했으며, 그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한국의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민주주의국가로의 성장에 든든한 안보우산 역할을 해주었고, 경제적 지원 및 수출시장 역할도 하는 등 일종의 ‘후견인’, ‘혈맹’의 역할을 해주었다. 이러한 한․미동맹은 21세기를 넘어 다음 세기에도 변함없는 동맹으로 존속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략 환경에 맞추어 창조적 발전을 거듭해야 한다. 특히 특정한 정부가 아니라 2020년 이후에도 적용될 수 있는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10여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북한문제, 주한·미군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새로운 비전통적 안보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전작권 전환과 이에 따른 한·미 지휘관계의 변화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안보상황의 변화, 그리고 중국의 예상되는 대응이라는 맥락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현재의 유엔사 / 연합사 작계의 수정이 불가피하고, 북한 대신 불특정한 대한반도 위협세력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전역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불가피한 변화를 예상하고 있는 중국은 한반도가 통일되지 않은 상황 하에서 한·미간의 전략적 동맹 강화와 지휘관계의 변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다양한 대응책을 모색하려 할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전작권의 전환과 한·미 지휘관계의 변화는 한국의 독자적인 전쟁수행능력의 향상을 감안하여 대중관계에서 한·미동맹을 지렛대로 활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한·미동맹은 북한위협의 억제 및 예방뿐만 아니라 중국의 부상에 따른 지역 강대국들 간의 경쟁과 협력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새로운 21세기 안보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동맹으로 변환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향후에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보장,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과 지휘관계의 변화, 유엔사의 역할과 위상 변화 등에 대한 한·미 양국 간의 합의와 이행이 중대한 안보현안으로 남게 될 것이다. 특히, 한·미 양국이 2015년 12월 1일로 전작권을 전환함에 따라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전략적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국군이 전작권을 단독으로 수행하기 위해 대북 정밀감시능력, 전술지휘통신체계, 자체 정밀타격능력, 한국 해·공군의 독자적인 전쟁수행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둘째, 한·미 안보협력을 통하여 연합방위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한반도 안보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넷째, 평시 작전통제권 체제하의 연합권한위임사항(CODA)을 환수하여 독자적인 전쟁수행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전작권 전환으로 한·미연합사가 해체됨에 따라 유엔군사령부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 여섯째, 2015년 전환시점 당시 안보상황을 점검하여 한·미 국방당국은 후속협의 과정에서 전작권 전환 시기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미래 한·미동맹은 전략적 동맹관계로 발전을 추구하면서 한국스스로 자율성을 증진시키고 북한의 WMD 제거를 위한 노력과 연합작전 지휘체계의 영속성이 유지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미동맹관계는 한국에게 있어서는 그 자체가 목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으나, 이제는 국제적 지위향상에 따라 그에 걸 맞는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야 하는 현실이 되어있다. 또한 신장된 국력과 제고된 국민적 자긍심은 모름지기 상당부분 한반도의 안보상황을 스스로 관리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이때 비로소 한반도의 운명을 주도적으로 항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미동맹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시대처럼, 미래 비전을 구현해나가면서 한반도 및 국제사회의 문제에 공동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성숙한 형태의 동맹으로 변화되어 가야 할 것이다.

      • 한국의 국가안보를 위한 식량확보 방안 연구

        김덕곤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쌀을 비롯하여 밀, 콩, 옥수수 등 국제 곡물 값이 천정부지로 뛰면서 세계적으로 ‘식량위기론’이 각종 언론매체를 통하여 논의되고 있으며, 석유에 이어 곡물이 글로벌 자원전쟁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곡물수급 상황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불안정 요인을 내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소비 증가로 인해 곡물 재고가 점차 감소하고, 이에 곡물 가격은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바이오 연료용 곡물 수요와 중국 등 신흥 시장의 곡물 소비 증가 등으로 2007/08년 세계 곡물재고율은 사상 최저인 14.9%로 하락하였다. 식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식량 안보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이러한 국제곡물시장의 변화를 주시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곡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에 따라 식료품, 사료 등의 가격이 동반 상승하여 일반 물가까지 덩달아 오르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 확산되면서 이제 우리도 국가 차원에서 식량 산업을 보호ㆍ육성해야 한다는 식량 안보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곡물을 주원료로 한 배합사료 가격이 상승하여 축산물 생산 비용이 높아져 축산농가의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육류, 달걀, 유제품 등 축산제품의 가격 상승을 압박하고 있다. 국제 곡물교역의 특징은 수출이 일부국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수입은 다수 국가에 분산되어 있는 과점적 시장 형태라는 점이다. 또한, 그 동안 세계 곡물 시세를 주도해 온 주요 곡물 메이저들이 통합되고 있어 일부 공급자의 시장지배력이 높아지고, 가격도 쉽게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 곡물시장의 구조로 독점적 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식량의 무기화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식량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국민에 대한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은 국가의 기본적인 의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세계적으로 식량을 비롯해 인구, 환경 문제 등 농업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2007년도 전망치가 27.8%에 지나지 않고, 그마저 쌀을 제외하면 4.6% 정도로 OECD 회원국중 식량자급률 최하위의 식량안보 취약국이 되어있다. 이는 급속한 국내 농업의 개방화, 국제화를 거치면서 식량자급률은 하락하는 반면 세계 농산물 수급변화에 더 민감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국제 곡물수급이 만성적인 공급부족 구조로 전환됐고, 에너지 문제가 식량 문제와 직결돼 있다면 식량의 안정적인 확보는 국가 전략과제로 다뤄져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식량의 안정적인 확보를 국가 전략과제로 다루고 있지 않다. 더욱이 장기적으로 통일 한국을 대비한다면 식량 자원의 안정적 확보는 더욱 중요한 국가 전략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식량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어떻게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확보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연구 목적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곡물시장의 수급 여건의 변화와 수급 및 가격 동향과 향후 단기·중장기 전망을 파악하고, 이에 연계하여 우리나라의 곡물 수급동향, 가격 동향 및 향후 방향을 전망해 본다. 또한 식량 안보의 개념과 중요성을 인식하며, 다른 국가들이 정책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식량 안보 확보 정책들을 살펴보고, 식량 안보 확보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향후 대응 과제와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국가 안보 차원에서 식량 안보 확보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국가의 실체를 보전하고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한다는 전통적인 의미의 국가 안보 개념도 국가 자생력을 보장하기 위한 식량안보의 뒷받침이 없으면 현실적인 의미를 부여받을 수 없기 때문에 국가안보의 선결조건으로 식량안보를 연구하고자 한다. 과거 소련연방이 미사일이나 핵탄두가 부족해서가 아니고 식품점의 식빵이 부족하여 연방 자체가 해체되고 지금의 러시아로 변한 사실에서 국가 자체를 보전하기 위하여 식량안보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과거 서구 유럽 국가들은 식량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외 식민지 쟁탈을 위한 제국주의 정책을 채택하여 전쟁을 정책 도구로 활용해온 점 역시 식량 및 자원의 확보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 가를 보여준 실례가 아닐 수 없다. 3. 식량안보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 현재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27%를 밑보는 수준이며 이 자급률도 쌀을 제외하면 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식량의 수입이 불가능한 조건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없기 때문에 자주독립국가의 기본조건을 준수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인구 4,000만 이상의 선진국 가운데에는 식량자급률이 20%대의 나라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렇게 자급률이 떨어지게된 이유는 60년대 이후 공산품 위주의 수출주도형 경제정책으로 인해 농업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면서 공급력에 한계가 왔고 식량의 소비구조가 육류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사료곡물을 중심으로 곡물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자급률은 한 나라의 소비량에 대해 얼마만큼 국내생산으로 충당하느냐의 공급능력을 표시한다. 식량위기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급률은 식량안보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식량자급률 목표달성을 위한 이행방안으로 2012년부터 보리 수매가 중단될 예정이므로 기존의 보리 생산 농가들이 밀 생산에 참여할 유인이 존재한다. 최근 국제 밀 가격 상승으로 국내외 가격차가 줄어들어 가격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다. 우리밀의 주생산 예정지에는 우리밀 전문도정소를 설치하여 우리밀을 안정적으로 상품화하고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유통 및 판매 전략을 통해 소비와 생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쌀 편중적인 농업지원 정책의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농업 보조금의 90% 이상이 쌀에 집중되어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수입에 의존하는 곡물(옥수수, 밀, 대두 등)생산을 위해 쌀에 편중된 국고 보조금을 대폭 감액하여 국내 곡물 생산을 늘리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과잉생산에 따른 쌀값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 중 희망하는 농가에 대해 적극적인 농지변경과 저리 영농자금 대출, 정부나 민간 기업이 주도하여 생산 곡물에 대한 전량 수매 등을 보장해 줌으로써 국내 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열량 기준 식량자급률은 44.3%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열량기준 자급률은 ‘1인 1일당 국산 공급열량’을 ‘1인 1일당 전체 공급열량’으로 나눈 수치이다. 하지만 먹지 않고 버리는 식량을 제외하고 실제 섭취한 식량의 열량만을 넣어 계산하면 열량 기준 식량자급률은 55%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말하는 공급 열량은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섭취’한 식량의 열량이 아니라 시장에서 상품으로서 ‘소비’된 식량의 열량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조리되지 않고 폐기되거나 먹지 않고 버려진 잔반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여 비만을 초래한 식품과 고칼로리 사치식품도 포함되어 있다. 사치와 낭비의 식생활을 전제하고 있는 열량 기준 식량 자급률의 계산은 문제가 있다. 우리는 식량안보를 이야기할 때 사치삼매의 식생활을 보장하라고 해서는 안된다. 현재 수입하고 있는 식량을 국내에서 생산하기 위해서는 국토가 3배 이상 더 필요하다. 따라서, 전통적인 식생활을 지키고 식품 폐기물을 줄이면 그 만큼 열량 기준 식량 자급률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최근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역 특산미 및 브랜드 쌀 알리기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식류품 업계에서도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올해 신종플루의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고양되면서 건강한 생활을 위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잘 맞아 떨어져 밀가루로 만들어진 제품보다 쌀 성분을 함유한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으로 100% 철원 오대쌀로 만든 쌀국수 “포포면”과 떡에 소스만을 부어 간편히 전자레인지에 데워먹는 쌀 떡볶기, 우리쌀호떡(식빵)믹스, 임실 자연치즈와 이천쌀을 넣어 만든 유아전용 건강과자, 우리쌀로 만든 찰고추장, 쌀머루주(알코올 13도) 등이 출시되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많은 인원이 급식하는 군 부대나 회사 직영 식당 등에서도 우리쌀 애용운동이 활발이 전개되고 있다. 군 부대는 금년부터 떡 급식을 실시하여 전 부대원이 한달에 한번씩 우리쌀로 만든 떡을 급식하고 있으며 각종 운동경기나 행사 간 부상품으로 쌀을 구매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는 군 부대 뿐만 아니라 정부 및 민간 기업이나 각종 단체의 여러 행사에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연말연시 불우시설이나 사회복지시설에 우리쌀 보내기 운동 확대와 결식아동에 대한 쌀 기부문화 확대 등도 우리쌀의 소비 촉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처럼 쌀 소비를 촉진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수한 쌀을 소비자에게 잘 알리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 전략도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언론매체를 이용한 광고, 지역별 농산물 축제의 대중화와 전국적·세계적 농특산물 축제 개발 등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대도시 소비자들에 대한 홍보를 위해 터미널, 차량, 빌딩 등에 광고물 설치와 쌀 소비자를 생산현장에 초대하는 지속적인 도농교류, 어린이와 학생 등 미래의 고객을 확보하는 노력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고품질 및 안전성에 대한 정보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품질인증도 중요하지만 생산이력 추적 시스템의 도입도 중요하다. 생산이력제 도입을 위해서는 생산단계에서부터 품종, 토양환경, 적기이양, 시비, 방제, 수확, 건조, 저장, 도정 등 쌀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보들이 기록, 관리되어야 한다. 시스템 도입 시 발생되는 비용은 원칙적으로 편익을 얻는 주체가 담당해야 하지만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비 및 국민건강과 소비자 보호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지원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안정적인 곡물 수급을 위해 선물거래를 활용하는 방법도 식량안보 과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선물거래는 곡물이나 광물 등의 원자재를 미래의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에 매매하기로 약속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선물거래의 경우 작황에 따른 가격 급등락 폭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제 곡물시장에서 선물거래에 참여하는 국내 기업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등의 각종 세제혜택을 늘려야 하고 관련 전문가 양성도 민간에 맡기기 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각종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세미나 참석,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적극적인 예산지원 등에도 관심을 기울려야 한다. 선물거래 활성화와 더불어 국내 업체나 공공기업이 현지의 곡물 메이저의 도움을 얻어국제 곡물 유통에 진출하는 데에는 소위 “Versus Trade"라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Versus Trade"란 일종의 교환거래로 곡물의 경우에는 선물과 현물을 일정한 베이시스 가격으로 맞바꾸는 거래를 말한다. 즉,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신생 업체가 곡물 선물이나 선박 등을 경매시장에서 미리 잡아놓고 그 나머지 것은 모두 계약된 곡물 메이저에게 일임함으로써 제3자와는 그 곡물 메이저 대리점의 지위가 아닌 독립적인 곡물 유통업자로 거래를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저장, 보관, 운송, 설비 등에 관한 인프라를 완벽하게 구비하지 못해도 사업을 영위하기에는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다. 안정적 곡물 수급을 위한 방안으로 세계 유수의 곡물 메이저에 비견될 수 있는 “식량공사”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로 하여금 국제 교역 대상 곡물을 장기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저장시설을 국내에 건설, 운영하게 해야 한다. 곡물 수급상황이 아무리 급박해도 어떤 국가든지 일단 자국의 국경선을 통과한 곡물을 다시 자국 내로 환입시킬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또, 곡물의 물류, 조작비가 매우 비싸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한번 이동된 곡물이 다시 타국으로 환적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면 막대한 액수의 부가가치(저장 보관료 등)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더더욱 중요한 것은 품대와 선박운임이 가장 쌀 때에 곡물을 국경선 내로 반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경제적으로 곡물을 도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식량공사가 국내의 한 보세항구에 곡물 전용부두를 신설하고 대규모 엘리베이터를 건설한 후 연간 수십만 톤 규모의 곡물을 보관한다고 가정하면 우리나라를 주 교역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 여타 유수의 국제 곡물 메이저들도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이를 따르게 될 가능성이 아주 크다. 그렇게 되면 자연 우리나라가 연간 도입해야 할 곡물 대부분을 우리 국토 내에서 미리 확보하는 셈이 된다. 이 경우 우리가 가장 먼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선·현물 간의 베이시스 차이가 가장 큰 시점에 곡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물의 베이시스는 크게 보관료와 금융비용, 그리고 저장 감모손실 등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므로 통상 수확 직후가 제일 크고 인도일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작아진다. 그것이 곧 우리나라가 얻게 될 부가가치인 동시에 무역수지상의 수익이기도 한 것이다 국제 곡물가격 변동에 대한 조기 경보시스템 구축은 안정적인 곡물 수급과 가격 변동에 대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여 식량안보 위기사태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식량안보에 관한 정보교류를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공개포럼을 통해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야 하고 국제기구에서 발행하는 각국 정부기관들의 동향보고서를 포함한 간행물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FAO의 상품무역부 소속 품목전문가들의 다양한 품목에 대한 분석자료를 활용하고 지역별·국가별 조기경보 및 식량정보시스템을 계획하고 지원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식량안보·농업사업분석국과의 교류도 중요하다. 또한 조기 경보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국제적인 협력기구와의 정보 교류사항으로 국제연합 난민 고등판무관에서 난민 관련 데이터를, 세계기상기구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지원받아야 하며, 국제노동기구로부터 실업과 빈곤수준에 관한 정보와 국제국물이사회에서 국제시장, 수출가격, 운임률에 관한 데이터 정보를 상호 교류해야 한다. 아울러, 전세계 식량 작물에 대해 위성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는 식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와 과거의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가뭄과 강우량이 적은 지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곡물의 대차대조표, 지도식 도표와 위성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정보제공이 가능한 통합정보시스템의 개발도 늦추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국제 곡물 유통업계는 아직도 철저히 얼굴로 장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거래방식은 이미 오래전에 시스템화 · 디지털화 하였지만, 인간관계는 지극히 보수적인 아날로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회사를 중심으로 복수의 곡물 메이저와 신뢰할 수 있는 은행, 선물 중개사, 투자 자문사, 정보 제공사, 운송회사 및 선사, 생산자 및 로컬 딜러, 관련 공공기관, 협회와 단체 등 무수한 외부 조직과 그 관계자가 포진해 있는데 그들 모두와 하나같이 돈독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단 일분이 멀다 하고 변동되는 시장 상황 하에서 그에 맞게 신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는 하루라도 빨리 현지 국제 곡물 유통업계 종사자들에게 얼굴이 친숙한 한국인들을 보다 많이 양성해 인맥을 통한 국제 곡물 수급상황에 대한 조기 경보도 가능하도록 국제적 관계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량위기를 해외 농업개발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폭등과 급속한 수급 불안정으로 일부 곡물 수출국들이 수출을 금지하면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식량위기 대처방안의 하나로 해외식량기지 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은 물론이고 몽골과 러시아, 남미지역까지 식량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들이 계획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외 농업개발의 실패사례를 분석해 보면 자연조건, 현지 법과 제도, 정치·사회·문화·관습, 현지노동자의 질적 수준, 현지 조방농업과 관련 기술수준, 지역과 생산 인프라 및 사회간접 인프라 등 사전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또 전문 경영인 및 현지 전문가 확보 실패와 판로 확보 실패, 시범사업 이후에 관련 사업들에 대한 사후관리 미흡, 정책자금 및 기술·자재 지원 전무, 명확한 비전과 전략 부재 등도 주요 실패 사례로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해외진출 전략을 수립할 때는 이같은 요인들에 대해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우선 진출 지역을 선정할 때는 기후와 자연조건, 농지의 규모와 질, 수자원 이용수준, 사회간접시설 구조, 경제성, 투자유치 조건, 해당국의 식량사정, 유통 판매조건, 운송거리, 정치·경제·사회적인 안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전략 품목을 결정할 때는 해외 의존율 비중과 수입규모가 높은 품목인지 여부와 관련 산업에서 비중이 높은지 여부, 상대국이 대량 보존하고 있는 품목인지 여부, 경쟁력이 약화되는 품목인지 여부, 바이오 연료 대상 품목인지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이 같은 요소를 종합해 보면 옥수수, 콩, 밀, 사탕수수 등이 대표적인 전략 품목으로 꼽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외진출 방식에는 수출방식과 계약생산 방식, 해외직접투자 등이 있다. 이 중 해외직접투자는 가장 적극적인 진출방식이지만 위험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 소유지분에 따라 단독투자, 합작투자가 있고 설립형태에 따라 기업신설, 인수 합병이 있으며 위험도는 단독투자, 합작투자, 자사를 통한 수출, 대리상·유통업자를 통한 수출, 간접수출 순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해외진출을 계획할 때는 이같이 다양한 방식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 되어야 하며. 해외 농업개발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가 주도하면 통상마찰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주도할 수는 없지만 자금 지원 및 제도 개선 등의 지원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우선 전략 곡물에 대한 해외 확보 계획을 수립하고, 민간기업에 기술·자금·정보 등을 지원해야 한다. 또 사전 타당성 조사, 시범사업 실시, 인프라 조성단계, 경영단계 등 각 단계에 맞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곡물은 자원이고 안보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한국군의 국제 평화유지활동의 바람직한 방향

        조범식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국군의 국제평화유지활동의 바람직한 방향 2차 세계대전을 통해 국제사회는 세계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기구인 국제연합을 창설하여 국제사회의 분쟁을 조정하고 평화를 유지 하였다. 국제연합은 창설 직후인 1948년부터 평화유지활동을 전개해오면서 분쟁의 해결사 역할을 수행해 왔다. 냉전기인 미․소 양극체제속에서는 UN의 활동이 제한적이었으나, 탈 냉전기에 들어 중․소규모의 분쟁증가로 UN의 PKO 수요 또한 증대되면서 그 대응 능력의 한계에 봉착했다. 이에 UN은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참여유도로 새로운 PKO 발전을 모색하고 있으며 UN 상비체제의 참여국 위주로 참여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한국도 1993년부터 소말리아 평화유지활동에 유엔 평화유지군(PKF)으로 공병대대 파병을 최초로 하였고, 현재는 레바논 평화유지단,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 그루지아 정전감시단, 라이베리아 임무단, 아프칸 지원단, 수단 임무단, 동맹군 협 단 등에서 17 개국에서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8년여 동안 국제사회의 많은 분쟁 속에 실시된 한국 평화유지활동(PKO) 파병 역사에서 우리는 많은 성과를 이루었으나, 아직도 법적․제도적, 군사 운용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평화유지 활동에 대한 이해 부족 및 파병에 대한 일부의 부정적인 여론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한국 및 한국군의 위상에 부합되는 평화유지활동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대한민국이 적극적으로 UN PKO에 참여하여 국제사회에서 국가위상을 제고하고 미래작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 PKO체제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군의 평화유지활동 발전방향을 연구하기 위해 관련사항을 심층 검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접근 방법은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한 접근방법을 택하여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활용자료는 평화유지 활동과 관련된 각종 단행본, 논문, 학술지, 보고서, 세미나 자료, 정기 간행물 등을 참고로 수집 분석하였다. 한국 평화유지활동은 세계평화 이바지라는 근본 취지에는 부합하고 있으나 적극적 참여를 통해 국가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정책수립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이는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한국정부와 국민의 인식이 미흡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여 진다. 한편으로는 현재 나타나고 있는 지역 블록화에도 대처가 없는 상황이다. 또한 변화하는 국제 평화유지활동의 변화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관련법 또한 제정은 되었으나 UN주도 평화유지활동에만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현실은 UN이 지향하는 변화추세와도 걸음을 같이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화유지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감안하였을 때 보완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외파병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공감대 형성, 평화유지활동 파견 대상 및 규모의 확대, 해외파병 기반체계 구축 등 앞으로 한국군이 추구해 나가야 하는 평화유지방향을 제시하였다. 모든 평화유지 활동들도 모두 자국의 이익과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우리도 평화유지 활동의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평화 애호 국가로서의 위상을 드높임은 물론 국익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A Desired Direction for Korea's UN Peace-Keeping Operation After World War Ⅱ, the international society established a new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resolve disputes and maintain world peace and security. Since UN's establishment in 1948, UN has been acting a an middle man through continuously initiating PKO actinities. UN's power was limited under the bipolar structure of US and the Soviet Union in Cold War, however as it gets into post Cold War period, increase of minor disputes made increased demand for UN's PKO action and for that, it is vow facing a situation of reaching the limit of confrontation. Therefore, UN is seeking new developments in PKO activity through conducting active participations between UN's member countries. Also, UN is now giving first participation opportunity to nations keeping reserved structure actively. From 1993, Rok dispatched battalion level of military-engineers into UN Peace Keeping Force in Somalia PKO by first and has been vigorously dispatching into 17 countries such as Lebanon PKOgroup, India-Pakistan cease-fire supervision group, Republic of Georgia cease-fire supervision group, Liberia mission group, Afghanistan support group, Sudan mission group and allied forces cooperation group at the present. However, through ROK's 18 tears of PKO dispatchment history, which operated under many international crisis, ROK achieved many beneficial results. Yet, it is still requiring legal, systematic and military operational growth. The lack of understanding in PKO activity and some of the negative public opinions are limiting Korea's PKO activity in the interantional society Korea needs to vigorously participate in PKO activity to promote its state image and prepare for its future operation. For this purpose, current PKO system should be complemented Having wished to examine the related criteria, this research is to study ROK's PKO development direction. I approached this research through services of literature surveys and case studies, and analyzed various books related to PKO, treatises, reports, and seminar data for the reference of data collection. The basic purpose of the Korea's PKO is based on the peace keeping of the world. However, Korea lacks the necessary participation in the policy making of those that can stimulate the national interest. The lack of recognition for PKO by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people contributes to this limitation. Additional issue to note is the newly rising problem of regional block situation, which lacks any solution to this day. Korea is unable to follow up with the international PKO mainstream activities, but also lacks the participation in the UN-led PKO activities even with its enforcement in other related laws and policies. In order to solve problems mentioned above, I have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aim to the apprehend the public attitude on foreign dispatchments, expand the PKO troops, and establish a structured foreign dispatchment system. It is a known fact that all PKO activities are directly related to our national interest. I believe that Korea must promote potential solution to the problems we face in the PKO, so that it may secure a better international reputation as well as its national interest.

      • 탈냉전기 중국의 對한반도 정책변화에 대한 연구

        홍기준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중국은 탈냉전 후 개혁개방 정책에 의해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고 국력도 강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 영향력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 안보문제에 대한 영향력, 그중 북한에 대한 유일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로 성장했다. 2020년경 중국은 대내외적으로 ‘안정과 성장’ 위주의 국가전략으로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 지위와, 아시아지역 내 군사적 우위 유지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준(準) 초강대국으로서 미국에 도전세력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은 탈냉전 후 한반도 안보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특히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한반도 안보관련 북한에 대한 영향력 행사이다. 이는 북한의 핵개발과 남한에 대한 무력도발(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국제적 제제조치에 대한 중국의 북한에 대한 우호적 태도에서도 볼 수 있다. 중국이 북한에 대한 우호적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과거 혈맹으로 맺어진 역사와 동일 이념을 가진 국가로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은 군사, 경제, 정치 측면에서 중국에 상당히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그 관계를 계속유지 하려하며 중국 또한 북한의 자원과 유사시 한반도 진출을 위한 구심점 역할을 위해 북한과의 관계를 끊을 수 없는 입장이다. 한중관계는 수교 18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양국관계는 2008년 5월의 정상회담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로 격상하였으며, 이미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 최대 수출시장, 최대 무역 흑자국, 최대 해외투자 대상국이 되었다. 또 한국은 중국의 3위 교역 대상국, 2위 수입대상국, 4위 수출대상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현상유지’와 ‘영향력 확대’에 비중을 두고 있다. 즉 한반도의 조기 통일보다는 분단 상황의 안정적 관리와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지속을 희망하고 있으며, 북 핵 6자회담 등에서의 주도적 역할을 통해 한반도, 나아가서는 관련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영향력을 키워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부상은 한반도 안보에 긍정 및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초래할 것이다. 긍정적인 점은 중국이 지역안보에 동참하고 책임을 강화하면서 정치, 경제적인 이익을 공유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북한에 대한 지배력이 강화되고, 해양 분쟁의 요인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중국 중심의 새로운 안보협력기구에의 동참 요구 등이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경쟁 및 갈등하는 상황에서는 한국의 입지가 상당히 어려워지는 점도 큰 부담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런 점들을 미루어 볼 때, 미래의 한중관계는 지금보다 한층 더 밀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양국 간에는 경제적인 필요와 안보상의 안정적인 환경 조성 측면에서 기회요인이 있는 반면, 대륙붕 개발, 한반도 통일 등 한중 양자 간의 문제와 중미관계에서 오는 삼자 또는 다자간의 갈등요인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이를 예방 및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도 절실하다 하겠다. 중국의 부상에 따른 우리의 대비방향으로서, 중국의 강점은 대비하고, 취약점은 이용하는 측면에서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중국에 대한 전략적 취약성을 제거해야 한다. 또 군사력의 질적인 우위 유지 및 최소한의 억제능력을 확보하고, 특히 해상 수송로의 보호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예상되는 중국과의 갈등에 대비해야 한다. 또 주변국과의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지역 내 다자안보기구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미국, 일본, 러시아와의 안보협력은 물론이고,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인도, 베트남, 몽골 등과도 관계를 개선하여 사안별로 중국을 견제 또는 경쟁하는 구도를 만드는 것도 우리의 입지를 강화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지역 내 다자안보기구는 우리가 추진하는 전략과 정책을 좀 더 확고한 제도적 틀 속에 묶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중국의 부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국가 간에 협력안보의 필요성을 공동으로 인식한 가운데 다층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인정하면서 중국의 對북한 영향력을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한국의 안보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한국은 과거 북중 관계에 대한 구태의연한 자세를 버리고 새로운 對중국 정책전략을 발휘하여 북한의 도발행위 및 핵개발을 막고 한반도 평화유지에 및 통일 새로운 국익창출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한국이 준비가 필요한 부분은 단순히 안보, 국방의 영역뿐 아니라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친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한국 안보

        유영상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관계의 시대적 변화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건설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한중관계에 대해 시대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중국과 주변국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중국이 한반도에 대해 어떤 정책을 펼칠 것이며 전략적 가치는 무엇인지 연구하고,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군 현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군사력 증강의 핵심은 첫째, 군의 정보화 추진이다. ‘정보화 군대 건설, 정보화 전쟁승리’라는 목표 하에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C4I와 정보 보안기술,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능력을 높여 지휘자동화를 중심으로 군사정보시스템을 건설하고 있다. 둘째, 과감한 병력 감축으로 군의 소수 정예화를 구축하고 있다. 육군은 200만 명에 육박하던 병력을 140만 명 규모로 축소하고 대학교육을 받은 전문성을 지닌 인력으로 충원 시키는 등 육군의 소수 정예화를 추진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육군 중심주의에서 탈피를 추진하고 있다. 해·공군 및 전략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으로 무게중심을 전환하였으며, 이런 모습은 육군병력은 감소된 반면에 해·공군 병력은 증가된 사항과 각종 첨단무기 도입 및 개발하고 있다. 중국이 이러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동북아에서 지배적 영향력 행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군사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중국이 그들이 계획한 바대로 2050년까지 첨단 기술 군으로서 군사변혁을 이룩하게 된다면 동북아 군사력에 우위를 선점함과 동시에 미국의 동북아 군사력보다 상대적으로 우위를 달성함으로써 중국의 권익을 위한 군사력 투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른 한반도의 영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은 물리적 위협과 정신 심리적 위협 요소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물리적 영향요소로 이어도 분쟁에서 양군 해군력의 충돌이 긴장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간접적인 영향으로는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관련하여 중국과 미국의 협력 관계가 악화 된다면 남ㆍ북간의 갈등 관계도 악화되어 한국 안보의 위협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안보의 위협을 최소화하고 안정과 평화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국제적 동맹체계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거부적 억제 전력 확보와 국민적 안보태세를 확립하여 다양한 경제교류를 확대해 나가는 것에 대해 공감함으로써 앞으로의 경제 교류분야 뿐만 아니라 정치·사회·문화 전 분야에 더욱 폭넓게 확대해야 될 것으로 본다.

      • 북한의 핵개발과 美 행정부의 대응실태 연구

        전명호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spite of international sanctions, North Korea launched nuclear test on september 3, 2017 which was the 4th during Kim Jong Eun regime. This is for overcoming the regime's weakness and the domestic instability, strengthening the political base, obtaining the status of nuclear country which could has the leverage of the negotiations among global societies including US and South Korea. Specifically while beginning with US Trump government, US and North Korea both side loudly voiced their positions, North Korea openly performed nuclear tests and moreover tried to minimize the size of the Nuclear warhead and enrich the uranium. North Korea has run its nuclear program more than 20 years and recently launched the 6th test. Therefore the Non nuclear mutual agre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omes meaningless, and the opinion that "South Korea must be armed with nuclear" is arising. The six-party talk and US's "Pressure and Engagement" policy has turned out to be meaningless. Especially Obama government's "Strategic Endurance" policy made North Korea earn the time to conduct the nuclear tests. Thus, this thesis suggests the proposals focusing on Trump government's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the direction of global level sanction and diplomatic strategy to force the North Korea give up the nuclear program. And also suggests "th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as the military respons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attack. The direction of "pressure and engagement" for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 through talks suggested by Trump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keep the CVID(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policy maintained by US and the objective of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insula must be kept. Second, considering North Korea's reliance on China for economy and political position, we should put our effort on urging China actively participate in North Korean sanction. It seems that now North Korea has enough capabilities to threat South Korea using nuclear bomb, and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would never give up nuclear program. In terms on that South Korea currently is not in peace time but in armistice status. So it should be said as one of the critical threats on our national security. Until now, Korea has not yet prepared enough to respons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s. One of the reasons is the overwhelming wishness on the peaceful solution so calle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other reasons includes that too many "trial and errors" on South Korea's internal conflicts and its North Korean policy. Threats against South Korea's diplomacy and national security pose serious challenge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must focus on diplomatic efforts and prepare for the worst situation, and must prepare for realistic military options. In spite of international sanctions, North Korea launched nuclear test on september 3, 2017 which was the 4th during Kim Jong Eun regime. This is for overcoming the regime's weakness and the domestic instability, strengthening the political base, obtaining the status of nuclear country which could has the leverage of the negotiations among global societies including US and South Korea. Specifically while beginning with US Trump government, US and North Korea both side loudly voiced their positions, North Korea openly performed nuclear tests and moreover tried to minimize the size of the Nuclear warhead and enrich the uranium. North Korea has run its nuclear program more than 20 years and recently launched the 6th test. Therefore the Non nuclear mutual agre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omes meaningless, and the opinion that "South Korea must be armed with nuclear" is arising. The six-party talk and US's "Pressure and Engagement" policy has turned out to be meaningless. Especially Obama government's "Strategic Endurance" policy made North Korea earn the time to conduct the nuclear tests. Thus, this thesis suggests the proposals focusing on Trump government's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the direction of global level sanction and diplomatic strategy to force the North Korea give up the nuclear program. And also suggests "th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as the military respons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attack. The direction of "pressure and engagement" for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 through talks suggested by Trump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keep the CVID(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policy maintained by US and the objective of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insula must be kept. Second, considering North Korea's reliance on China for economy and political position, we should put our effort on urging China actively participate in North Korean sanction. It seems that now North Korea has enough capabilities to threat South Korea using nuclear bomb, and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would never give up nuclear program. In terms on that South Korea currently is not in peace time but in armistice status. So it should be said as one of the critical threats on our national security. Until now, Korea has not yet prepared enough to respons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s. One of the reasons is the overwhelming wishness on the peaceful solution so calle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other reasons includes that too many "trial and errors" on South Korea's internal conflicts and its North Korean policy. Threats against South Korea's diplomacy and national security pose serious challenge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must focus on diplomatic efforts and prepare for the worst situation, and must prepare for realistic military options. 북한 정권은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2017년 9월 3일 제6차 핵실험으로,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4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이는 취약한 권력기반 및 내부정세 불안을 극복하고, 강력한 통치 수단을 구축하며,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사실상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아 외교적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양국 정부의 강경발언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속되는 북한의 미사일발사 시험과 핵기술의 소형화, 경량화 그리고 고농축우랴늄(HEU) 프로그램이 상당 부분 발전하는 측면에서 북핵 위협이 국제사회의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북한 핵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뜨거운 감자가 된 제1차 핵 위기로부터 20여년이 훌쩍 넘는 시점에서 1990년대 남북이 공동으로 발표한 '한반도 비핵화 선언'은 북한의 제6차 핵실험으로 이제는 그 의미가 퇴색되고, 핵무장론 마저 논의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또한 그간 진행되어 온 6자회담과 미국의 과거 정부들이 추진해 온 북핵 해결을 위한 대북 관여정책과 강압정책도 그 목적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심지어 전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는 북한의 핵개발을 위한 시간을 보장해주는 정책이었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관여"라는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한 정치⋅외교적 차원의 국제적 제재 및 외교전략의 방향을 분석하여 미국의 신 행정부에 부합되는 한국의 효율적 북핵 대응방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와 함께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적 차원의 방안으로 핵무장 및 예방공격과 '맞춤형 억제전략'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대화적 해결방안을 위한 "압박과 관여"의 지향방향은 첫째, 지금까지 미 행정부가 주지해 온 '전면적 핵폐기'라는 CVID 목표를 확고히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비핵화' 목표가 협상과정에서 '비확산' 또는 '제한적 핵폐기'로 변화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중국에 대한 북한의 경제⋅정치적 의존도를 고려하여 중국이 대북제재 협력에 적극 참여토록 외교적 활동이 수반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야만 국제적 제재와 미국의 강압의 효과성과 대화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북한에 대한 압박의 수단을 경제⋅외교적 수단에만 국한하지 않고 군사적 제재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최악(最惡)의 사태에 대한 위기관리 방안도 병행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외교⋅안보적 정책추진에 있어 국가적 차원의 합일성과 장기적 안목의 지속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제 북한은 핵⋅미사일을 발사하여 우리를 위협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고, 체제의 유지를 위해서 지금까지 개발해 온 핵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한반도가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휴전상태라는 점에서 국가안보의 심각한 위협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한국은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전략을 구비하지 못했다. 이는 화해와 협력이라는 지나친 평화적 염원에 대한 희망이 큰 탓도 있지만, 대북 대응전략 및 정책결정에 있어 너무 많은 시행착오와 내부갈등도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외교⋅안보의 위협은 피하고 싶다고 쉽게 거부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우리는 북핵 문제에 있어 외교적 노력뿐만 아니라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인 군사적 대비책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북한 정권은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2017년 9월 3일 제6차 핵실험으로,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4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이는 취약한 권력기반 및 내부정세 불안을 극복하고, 강력한 통치 수단을 구축하며,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사실상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아 외교적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양국 정부의 강경발언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속되는 북한의 미사일발사 시험과 핵기술의 소형화, 경량화 그리고 고농축우랴늄(HEU) 프로그램이 상당 부분 발전하는 측면에서 북핵 위협이 국제사회의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북한 핵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뜨거운 감자가 된 제1차 핵 위기로부터 20여년이 훌쩍 넘는 시점에서 1990년대 남북이 공동으로 발표한 '한반도 비핵화 선언'은 북한의 제6차 핵실험으로 이제는 그 의미가 퇴색되고, 핵무장론 마저 논의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또한 그간 진행되어 온 6자회담과 미국의 과거 정부들이 추진해 온 북핵 해결을 위한 대북 관여정책과 강압정책도 그 목적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심지어 전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는 북한의 핵개발을 위한 시간을 보장해주는 정책이었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관여"라는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한 정치⋅외교적 차원의 국제적 제재 및 외교전략의 방향을 분석하여 미국의 신 행정부에 부합되는 한국의 효율적 북핵 대응방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와 함께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적 차원의 방안으로 핵무장 및 예방공격과 '맞춤형 억제전략'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대화적 해결방안을 위한 "압박과 관여"의 지향방향은 첫째, 지금까지 미 행정부가 주지해 온 '전면적 핵폐기'라는 CVID 목표를 확고히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비핵화' 목표가 협상과정에서 '비확산' 또는 '제한적 핵폐기'로 변화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중국에 대한 북한의 경제⋅정치적 의존도를 고려하여 중국이 대북제재 협력에 적극 참여토록 외교적 활동이 수반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야만 국제적 제재와 미국의 강압의 효과성과 대화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북한에 대한 압박의 수단을 경제⋅외교적 수단에만 국한하지 않고 군사적 제재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최악(最惡)의 사태에 대한 위기관리 방안도 병행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외교⋅안보적 정책추진에 있어 국가적 차원의 합일성과 장기적 안목의 지속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제 북한은 핵⋅미사일을 발사하여 우리를 위협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고, 체제의 유지를 위해서 지금까지 개발해 온 핵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한반도가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휴전상태라는 점에서 국가안보의 심각한 위협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한국은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전략을 구비하지 못했다. 이는 화해와 협력이라는 지나친 평화적 염원에 대한 희망이 큰 탓도 있지만, 대북 대응전략 및 정책결정에 있어 너무 많은 시행착오와 내부갈등도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외교⋅안보의 위협은 피하고 싶다고 쉽게 거부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우리는 북핵 문제에 있어 외교적 노력뿐만 아니라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인 군사적 대비책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 미국과 중국의 관계변화가 한국의 안보정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상순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미중관계는 국제질서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의 핵심 변수로서 매우 중요하다.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는 중국의 부상에 따라 새로운 도전과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 미중관계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향후 안보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국가전략과 국제질서에 대처하는 행동양상을 분석하고 미중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을 파악하여 한국의 국익을 위한 전략적 선택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미중관계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력 성장에 따라 과거와는 다른 강대국 간 경쟁이라는 새로운 관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및 세계질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미중관계는 당분간 서로의 필요에 따라 상호협력을 추진하면서도 가치와 이념 그리고 국가이익의 상대성에 따라 갈등적 관계가 표출되기도 하고 때로는 협력 및 대립 관계가 전개되기도 하는 등 불안정한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중국은 대내외적으로 ‘안정과 성장’ 위주의 국가전략을 채택하여 세계 제1위의 경제대국 지위와, 아시아지역 내 군사적 우위 유지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준(準) 초강대국으로서 미국과 영향력 경쟁을 시도되면서 상호간 힘의 경쟁관계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대(對)한반도 정책 목표는 대북억지를 통한 안정과 평화 유지에서 대량살상무기의 비확산, 지역안보구도의 형상유지와 조정 등 상황에 따라 유연성 있게 대처할 것이며, 미국의 세계 전략과 부합되는 방향으로 변화될 것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한․미관계는 대북문제를 넘어서 지역안보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리 잡고 있고, 중국문제 또한 한․미 양국의 중요한 전략적 이슈로 부각될 것이다. 아울러 중국이 한반도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전략목표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정치․사회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정과 평화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한반도 문제가 중국의 이익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해결되도록 유도하고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발언권을 확대하여 ‘책임대국’의 면모를 과시하고, 국가위상 제고 및 국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것은 천안함 사태에서 보듯 명약관화하다. 중국의 대외정책 전망은 기존 외교정책의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한국을 자국의 경제발전 및 동북아의 평화․안정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전략적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으며, 집단지도체제로 정책을 결정하는 국가 시스템의 성격상 對한반도 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방향은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체제와 중국 중심의 경제협력체제 발전이라는 복합적 안보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향후 장기간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가 유지된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안보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한미동맹은 새로운 안보여건과 한국의 위상에 맞게 변화와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한국은 중국과 경제 및 사회 중심의 협력체제를 보다 강화하여 상호간 협력을 공고히 하고 불신을 제거하는데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호 협력 관계에 걸맞게 정치, 군사적 협력관계도 적극 발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미중관계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발전되는 양자 및 다자관계, 잠재적 강대국 간의 관계를 중시하여야 한다. 강대국 관계의 변화와 새로운 다자협력체제 등을 활용하여 영토 및 해양 관할권 획정문제 그리고 북한문제 같은 안보현안을 순기능적으로 해결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21세기 미중관계의 변화에 따른 지역 및 국제질서는 한국의 안보에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부여할 것이기 때문에, 한국은 이에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가 미중관계변화가 한국의 안보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인식하고 한국의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전시키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is very important for international order and a critical factor in Korea's security. Americanized international order is facing critical changes due to rise of China's power. Therefore Korea should clearly understand distinctiveness of US-China relationship and prepare for security policy hereafter. This paper analyzed US and China's strategy and actions, figured out factors that effect US-China relationship, and present Korea's strategic decision based on method of assay. Due to China's fast economic growth, US-China Relationship has evolved to competition between two super powers and it leads the changes internationally and locally.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assume the relationship will show both mutual cooperation and conflicts based on differences in interests. From now on, China has set national strategy based on 'Stability and Growth' to obtain the strongest economy and military advantage in Asia and will compete between two countries as a sub-super power. America's policies toward Korean Peninsula has been carried out for stabilizing peace through deterring North Korea to anti-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and stabilizing local security state and the policies have effected on America's international strategy. In America's stance, ROK-US relationship is a critical variable on local security state rather than just a North Korea issue, so China issue can be a critical factor in ROK-US Relationship. Also, China's strategy on Korean Peninsula is to stable political and social issue and deter from any hindering their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power, China will actively intervene in issues of Korean Peninsula and lead them in the way that outcomes are to be positive to China, increase their impacts on Korean Peninsula as a 'Responsible Big Brother', improve national status in the world, and maximize national interest. China's international strategy is expected to be same aspect, which is recognizing Korea as a necessary partner for economy and stabilizing peace in North East Asia. Also, radical changes in strategy on Korea is not expected since group of leaders decides the policies regarding Korean peninsular. Therefore, Korea needs to construct the integrated security cooperation system that contains security cooperation with US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able to apply the system with flexibility. For next few decades, Korea must realize that US is still in charge of international orders and needs to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America. However, ROK-US Alliance should be changed and developed to the next level by the new security environment. Korea and China should strengthen economic relationship in order to discard any mistrust between two countries. Also, they need to solidify political and military cooperations too. Korea should utilize US-China relationship, and have multiple relationship among countries that have national interests in North East seriously because they effect Korea's territory, on land and sea, and security issues like nuclear problem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security of Korea's opportunity and challenge that depends on changes in US-China relationship and international order in 21st century, and stresses that Korea needs to confront the issues with flexibility and aggressiveness.

      • 중국의 부상이 한국의 안보전략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향

        강동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민족은 과거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왔고 제2차 세계대전이후부터는 중국과 미국의 영향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최근 경제발전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제질서에 영향력을 넓혀가며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부상은 머지않아 국제질서의 새로운 변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중국은 동북아 일대에서 미국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안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한․미동맹체제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우리에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양면성의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안보전략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중국은 개혁개방이후 놀랄 만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계무대에서 그들의 역할을 꾀하며 목소리를 높여 가고 있다. 또한 미국 다음으로 국방비를 지출하며, 항공모함의 실전배치 등 해군력 증강과 첨단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는 동북아 지역에 군비경쟁을 유발하면서 우리에게는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중국은 국제관계에 있어서도 수동적인 자세의 외교정책에서 적극적이며 공세적인 자세의 외교정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의 이익에 반할 경우 “不” 라고 과감히 말하고 있다. 이렇듯 중국은 세계 속에서 패권을 추구하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에서는 맹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하며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중국이 생각하는 한반도는 미국의 패권을 견제하며 美․中간의 완충지대 역할을 하는 지역으로서 중국의 주권과 안전보장을 위해 중국의 영향력 아래 두어야 하는 핵심지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한반도를 미국 및 일본의 전략적 지레대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의 조기 통일 보다는 분단 상황 속에서 안정 유지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 유지가 지속되는 가운데 여타의 국가보다 영향력의 우위를 유지하길 희망한다. 중국의 부상은 경제발전을 위한 협력대상으로서 한국에게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북한에 대한 군사적 지원 및 유사시 개입 가능성이 많으며 한국의 경제적 의존도를 정치․안보적 영향력의 행사로 이용할 가능성과 美․中 경쟁의 심화에 따른 우리의 선택 요구 등 안보적 관점에서 부정적 요인이 더 많이 나타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상한 중국은 미국과의 패권경쟁을 지속하며 미국을 추월하진 못하겠지만 적어도 동아시아 지역에선 미국과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한반도의 양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하면 부상하는 중국과 미국의 패권경쟁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높이고, 한국이 양국 국익에 크게 고려되어야 할 국가임을 인식시킬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및 일본과의 역학적 관계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어떻게 최상의 국익을 도모할 것인가에 대한 대응전략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과는 聯而不待(연계는 하되 너무 기대지 마라)하고, 중국과는 親而不同(친하게 지내되 너무 함께 하려고 하지 마라)하며, 일본과는 協而不親(협력은 하되 너무 친하지 마라)하며, 러시아와는 交而不疎(교류는 하되 너무 소원하게 하지 마라) 하여야겠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부상하는 중국의 영향력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전시키는데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rom the past China has been influencing Korean race, but from the world war Ⅱ the United States and the China have been influencing Korea simultaneously. But the outcome of China's recent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their skills helps to expand their influencing power in the international order. Emerging China will be the variable factor for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near future. At the same time emerging China will impact ROK and US alliance system because China is competing power game with US in the Northeast Asia. These aspects will require new security strategy to Korea because this impact will give Korea the du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affairs. Their role on the world stage, China has made remarkable economic growth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y are trying to seek their role with a very loud voice in the world. In addition, the navy and the state-of-the-art in the development of weapons such as aircraft and defense expenditure following the United States in the world can lead arms race in Northeast Asia and causing a direct threat to Korea upcoming future. China's passive foreign policy is changing to aggressive, and strongly say NO(不 in Chinese) to the contrary of their interest. China seek hegemony in the world and is committed to its role as the leading power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expanding their influence to the world. It seems that China regards the Korean peninsula has to be a buffer zone between US and China, and the core area for their national interest as well as for their safety. Therefore they want to keep Korean peninsula under their influence and utilize Korean peninsula for a strategic leverag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China also does not hope the early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because North Korea's socialist system is more useful for China. The rise of China could be the positive factors for Korean economic cooperation partner, but it may increase Korea's economic dependence to China on and can influence Korean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fields. Their increased power can impact to North Korea and make intervention to the new regime. If the Korean peninsula is unified under the US influence, China must think they will become a strategic looser. Those kinds of factors could be negative to South Korea as well as Korea and US alliance from the view of security perspective. Thus, this paper explicated how the Korea would enhance the strategic value among major state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and how to raise national interest considering to keep good relationship with the two countries, US and China.

      • 중국의 군사 대국화에 따른 실효성있는 한국의 안보정책

        송창용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금까지 한중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의 경제 및 외교활동에 대해 적지않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중국의 군사 및 안보분야의 경우는 연구자료가 적을 뿐만 아니라 자료획득의 어려움, 언어의 문제, 그리고 군사용어 및 개념의 난이성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로 인해 연구가 매우 취약하다. 중국의 군사력은 중국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변수일뿐만 아니라 한국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안보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 요인으로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최근의 동북아 전략상황을 고려하여 중국의 군사력에 대한 평가와 한반도에 대해 어떤 전략과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안보환경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안보와 군사분야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었다. 안보는 전통적 개념의 안보와 비전통적 안보로 다시 나누어지는데 전통적 안보는 군사적 안보 위주가 되고 비전통적 안보는 테러, 환경, 마약 등 새로이 대두된 위협을 대상으로한 안보 개념이다. 냉전체제가 종식되면서 냉전체제가 시작되었던 유럽에서는 냉전체제가 종식되었지만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북아에서는 냉전체제의 그늘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고 비전통적 안보보다는 전통적 개념의 안보 위주로 더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안보 위주로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