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의 온라인 상담 선호도 예측요인 : Andersen의 행동모델을 이용하여

        염미래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2735

        In this study, Anderesen's behavioral model was appl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unseling service methods preferred by young people and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onlin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among 430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9 and 34 living in Korea based on Article 3 of the Framework Act on Youth. To measure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tigma, the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SSRPH)' developed by Komiya, Good & Sherrod(2000) and adapted by Lee & Son(2007)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xposure, the 'Distress Disclosure Index (DDI)' developed by Kahn & Hessling(2001) and adapted by Shin & Ahn(2005)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ability to utilize Internet mental health information, ‘e-Health literacy(EHL)’ developed by Lee(2018) was used. To measure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s, the 'e-therapy attitudes measure(ETAM)' of Apolinário-Hagen, Harrer, Kählke, Fritsche, Salewski & Ebert (2018) was used as an adaptation.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rough Others Scale-8 (PSO-8)’ developed by Kim, Kang & Kim (2021)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tress level, ‘DASS-21 Korean Version’ modified by Lee, Moon, Cho, Park, Kim, Han & Choi (2019)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groups according to the antecedent factors, possible factors, and desir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cial stigma and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s. The level of social stigma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ho did not wish to receive counseling services, followed by the video counseling preference group and the web and mobile counseling preference group in terms of social stigma perception. The social stigma perception level of the face-to-face counseling preference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Regarding the attitude of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group that preferred video counseling and the group that preferred web and mobile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 group that preferred face-to-face counseling. As for possibl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and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In both cases with and without 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the rate of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was high. Those who had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and those without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showed a higher rate of preference for face-to-face counseling than web and mobile counsel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unseling service preference groups according to desire factors (stress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predictors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tigma,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online counseling,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referring online counseling.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decreased when there was experience in face-to-face counseling, and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online counseling increased when there was experience of online counseling. Third,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predictors of video counseling preference among online counseling methods,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more likely it is to prefer video counseling. Fourth, among the online counseling method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edictors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 the more likely to prefer web and mobile counseling.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decreased in the case of face-to-face counseling, and the likelihood of preference for web and mobile counseling increased in the case of web and mobile counsel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social stigma, Internet-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titude, and presence or absence of counseling experience were major variables related to online counseling. For effective online counseling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stigma level of young people, the level of awarenes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e Internet, and past experiences. Online counseling can be a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to young people with high social stigma, and for this purpose, online counseling is provided through active publicity and guidance on online counseling so that you can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ceiv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e Internet. Efforts are needed to activ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help to vitalize online counseling in Korea and increase access to psychological counseling by predict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eference of young people for online counseling. It also suggests that for young people with high social stigma, online counseling intervention can increase access to counseling than face-to-face counseling. 본 연구에서 Anderesen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청년들이 선호하는 상담 서비스 방식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고 온라인 상담 서비스의 선호 예측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기본법 제3조에 근거한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국내 거주 중인 청년 4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담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 지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Komiya, Good과 Sherrod(2000)가 개발하고 이민지와 손은정(2007)이 번안한 ‘지각된 사회적 낙인 척도(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 SSRPH)’를 사용하였다. 자기노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Kahn과 Hessling(2001)가 개발하고 신연희와 안현의(2005)가 번안한 ‘심리적 불편감 노출척도(Distress Disclosure Index; DDI)’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정신건강정보 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상록(2018)이 개발한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 EHL)’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polinário-Hagen, Harrer, Kählke, Fritsche, Salewski와 Ebert(2018)의 ‘전자 치료 태도 척도(e-therapy attitudes measure : ETAM)’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하람, 강재원과 김나래(2021)가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 단축형(Perceived Social Support through Others Scale-8: PSO-8)’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현, 문승희, 조명선, 박은숙, 김순영, 한진실과 최정희(2019)가 수정한 ‘DASS-21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따른 상담 서비스 선호집단 간에 비교를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 test)과 일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에서 사회적 낙인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를 희망하지 않는 집단의 사회적 낙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상상담 선호집단과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집단의 사회적 낙인 지각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대면상담 선호집단의 사회적 낙인 지각 수준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는 화상상담 선호집단과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집단이 대면상담 선호집단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가능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대면상담 경험,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대면상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대면상담 선호의 비율이 높았다.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웹 및 모바일 상담보다 대면상담 선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요인(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상담 서비스 선호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 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낙인 수준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온라인 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온라인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온라인 상담 방식 중 화상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화상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상담 방식 중 웹 및 모바일 상담 선호 예측요인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낙인 수준이 증가할수록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며,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웹 및 모바일 상담 경험이 있을 경우에 웹 및 모바일 상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사회적 낙인과 인터넷 기반 심리상담 태도, 상담경험 유무는 온라인 상담 관련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효과적인 온라인 상담의 개입을 위해서는 청년들의 사회적 낙인 수준과 인터넷을 통한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수준, 과거 경험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적 낙인이 높은 청년들에 대한 대안으로 온라인 상담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심리상담을 받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상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를 통해 온라인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들의 온라인 상담의 선호 결정 요인들을 예측해봄으로서 국내 온라인 상담의 활성화와 심리상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회적 낙인이 높은 청년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상담 개입 방식이 대면상담을 통한 개입 방식보다 상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김려원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35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관련 근무 경력이 3년 이하인 초심상담자 232명에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자기자비, 정서조절곤란,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측정을 위해 Freeston 등(1994)이 개발하고, 이슬(2016)이 한국판으로 타당화한 척도(K-IUS-14)를 사용하였다. 자기자비는 Neff(2003b)가 개발하고 김경의 등(2008)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조절곤란은 Gratz와 Roemer(2004)가 개발하고 조용래(2007)가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소진은 Lee 등(2007)이 개발하고 Yu(2007)가 한국판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상담자 소진 척도(K-C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곤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자비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조절곤란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여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자기자비가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초심상담자가 불확실한 상황을 경험할 때,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비난하지 않고 부정적인 정서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돌보는 것이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ounselor.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elf-compass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with 232 novice counselors whose career was three years or less in counseling-related jobs across the n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measured with th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K-IUS-14) developed by Freeston et al(1994)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Lee Seul(2016). Self-compassion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S) developed by Neff(2003b) and translated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Kim Gyeong-ui et al(2008). Emotional dysregulation was measured with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DERS) developed by Gratz and Roemer(2004) and translated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Jo Yong-rae(2007). Psychological burnou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Counselor Burnout Inventory(K-CBI) developed by Lee et al(2007) and validated as a Korean version by Yu(2007).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elf-compassion, which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i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novice counselors with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in Hayes(2020) and found that self-compass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via self-compassion. Thirdly, the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ounselor and found tha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suggests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burnout via emotional dysregulation.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with model 6 of SPSS PROCESS Macro in Hayes(2020).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finding indicates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but has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by mediating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equential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elf-compassion can be used as a method of regulating emotions to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in novice counselors that are intolerant of uncertainty. That is, the findings imply that novice counselors in an uncertain situation can lower their psychological burnout by taking care of themselves to avoid self-criticism of their shortcomings and regulate their negative emotions in an adaptive manner.

      • 공군 부사관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박수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에서는 공군 부사관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에 소재한 공군 부대에서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66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공군 부사관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Van Dyne Pierce(2004)와 Avey 등(2009)이 사용한 척도를 장진우(2016)가 변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공동체 의식 척도는 McMilan과 Chavis(1986)의 공동체 의식 연구를 토대로 Chavis 등(1986)이 개발한 공동체 의식 척도(Sense of Community Index: SCI)를 조은영과 김완일(2016)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 척도는 Smith, Kendall 및 Hulin(1969)의 직무기술지표(Job Description Index: JDI)와 Weiss, Dawis, England 및 Lofquist(1967)의 미네소타 만족 설문(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을 활용하여 최현묵(2011)이 설문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과 공동체 의식은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주인의식이 공군 부사관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매개하여 공군 부사관의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공군 부사관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심리적 주인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함께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Force noncommissioned officials’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and finding out whether use their community spirits mediates in relationship between their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80 military officers in Gangwon-do and the combined data of 266 were used to perform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are analysis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psychological consciousness of Air Force noncommissioned officials in this study was used the scale deformed by Jang Jin-woo which was used by Van Dyne Pierce(2004), Avey et al(2009).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spirits was used the scale, which developed such as Chavis(1986) on the basis of McMilan and Chavis’ community spirits research, adapted from Cho Eun-young and Kim Wan-ill and the measurement of military life satisfaction was used the scale, which utilized from Job Description Index of Smith, Kendall and Hulin(1969) and Minnes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of Weiss, Dawis, England and Lofquist(1967), reorganized by Choi Hyun-moo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key variables, military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community spirits and was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Second, an results of mediated effects verification of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verification to find out community spirit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community spirits turned out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This indicates that their psychological consciousness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ir military life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Air Force noncommissioned officials’ military life satisfaction by the community spiri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Air Force noncommissioned officials’ military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community spirits.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s have been presented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희정 상지대학교 평화안보ㆍ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2719

        국문초록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김 희 정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킬 것인가? 둘째,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불안을 감소시킬 것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Bowen(1982)의 자아분화 개념을 바탕으로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24명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는 Kovacs와 Beck(1977)이 개발한 아동 및 청소년용 우울척도(CDI)와 Watson과 Friend(1969)가 제작한 불안척도(SADS)를 이정윤과 최정훈(1997)이 번안한 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1년 10월 9일 부터 11월 27일 까지 주 1회(120분), 총 8회기 동안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서 사전사후검사간의 우울점수와 불안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유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앞으로 자아분화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적응 증상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분화의 수준을 높여주어 독립된 자아로서 목표 지향적이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타인과의 관계도 잘 맺고 확고한 자아정체감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자아분화, 청소년, 우울, 불안 Abstract Effects of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Hee-Jeong Kim Dep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eace & Security and Counseling Psychology Sangji University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To do that,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are established. First, does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reduce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Second, does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reduce the anxiety of adolescents? In order to test the said topics,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self-differentiation set up by Bowen (1982). Then, a research was conducted into 24 high school students: a experimented group of 12 students and a controlled group of 12.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ed group while it was not to the controlled group. Research tools include depression measures (CDI)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are developed by Kovacs and Beck (1977) and anxiety measures (SADS) produced by Watson and Friend (1969) and adapted by Jeong-yun Lee and Jeong-hun Choi (1997).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was executed a total of 8 times between October 9 and November 27, 2011. A prior test was conducted of each of the two groups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n ex post facto test was conducted of the groups. Statistical processing was made using SPSS WIN 18.0 program. In order to know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ior test and the post test o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depression points and anxiety points for the groups,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had an effec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Second, had an effect to reduce the anxiety of adolescents.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 self-differentiation counseling program will reduce maladjustments and problematic behaviors like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program will enhanc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so that they as an independent self may be goal-oriented and emotionally stable,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maintain an well established self-identity. Key words: self-differentiation , adolescents, depression, anxiety

      •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표현력의 매개효과

        지해경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자기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표현력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표현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에 자기표현력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상호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자기표현을 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x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ed if the self-expression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conformed that self-expre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consulting college students with l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y can increase the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helping them get a lot of social support in their relationships and express themselves well.

      • 군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전경학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19

        군무원들이 지각한 자신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는 W시와 D시에 소재한 군부대 군무원 36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해 Luthan, Youssef과 Avolio(2007)가 개발한 척도(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Scale: PCQ)를 임태홍(2014)이 번안 및 수정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최은숙과 김완일(2016)이 개발하여 타당화한 의사소통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Allen과 Meyer(1984)의 연구에 번안한 조직몰입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 및 의사소통능력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긍정심리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수준이 높아지며, 조직몰입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긍정심리자본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조직몰입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군무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군대 내에서 긍정심리 자본을 확대시켜주는 동시에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이은미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19

        이 연구에서는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상담사 266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역할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송영미(2006)의 역할갈등 척도를 연구자가 직업상담현장의 상황에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 은 Luthans, Youssef와 Avolio(2006)가 개발한 긍정심리자본(PCQ :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척도를 정주영(2016)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연구자가 직업상담현장의 상황에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Mobly(1982)와 Iverson(1992)이 개발하고 오재동(2015)이 재구성한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역할갈등 및 이직의도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과 긍정심리자본, 이직의도 변인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직업상담사의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직업상담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역할갈등을 낮추고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박지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2719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finding out whether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this end, a survey involving 253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W City, Gangwon-do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scales.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the FRS-A which was developed by Jurkovic & Thirkield(1999), adapted by Shin(2003) and Jo(200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un(2006) was used. As for the measure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which Lee & Kim(2008) produced by validating the scale developed by Ryan & Deci(2002, 2004), was used. Finally, in order to measure interpersonal problems, the short form of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KIIP-CS), which Hong Sang-hwang et al. standardized based on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IIP) which was developed by Horowitz et al.(1988) and reorganized by Alden et al.(1990), was employ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simple correlation of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the SPSS/WIN 19.0 program was used. Furthermore,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by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test were analyzed. Moreover,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scales of the each item in the survey, Cronbach’α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the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addi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whether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played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and relatedness turned out to play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This indicates that parentification experience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by the medi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especially autonomy and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when a university student who has parentification experience complains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problems can be reduced by raising the level of autonomy and relatednes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Finally, discussion and sugges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기본심리욕구,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의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화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 Jurkovic과 Thirkield(1999)가 개발한 FRS-A를 신주연(2003)과 조은영(2004)이 번안한 내용을 토대로 문비(2006)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기본심리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Ryan과 Deci(2002, 2004)가 개발하고 이명희와 김아영(2008)이 타당화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문제는 Horowitz 등(1988)이 개발하고 Alden 등(1990)이 재구성한 대인관계문제검사(IIP)를 토대로 홍상황 등(2002)이 표준화한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KIIP-S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하였다. 또한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내적합치도(Cronbach’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와 대인관계문제도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기본심리욕구가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요소 중에 자율성과 관계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반면, 유능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기본심리욕구 특히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화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할 때, 기본심리욕구 중에서도 자율성과 관계성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군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 매개효과

        이상록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2719

        군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 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 상 록 본 연구는 군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매개를 할 것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정하기 위하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기개념 명확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경기도 지역에서 육군 현역으로 근무하는 47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신세대 병사가 군 생활 중 겪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현철(2001)의 군 생활 스트레스 요인 척도와 Beck의 자살생각 척도(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Beck, Kovacs, & Weissman, 1979), Campbell 등(1996)의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총 47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7부와 결측자료 48부를 제외시키고 415부를 분석 하였다. 먼저, 주요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 모형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결과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Win(Ver 18.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는 정적인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는 유의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군 복무중인 병사들 중에서 자살생각으로 인해 상담을 받는 경우, 군 생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방법에 대한 도움 뿐 아니라 자기개념을 명확하게 하는 도움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주요어 : 자살생각, 군 생활 스트레스, 자기 개념 명확성

      • 농촌 노인의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Successful Aging of the Rural Elderly

        안효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2703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신체활동,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양평군, 충청북도 단양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지역의 농촌 노인 13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의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신체활동과 성공적 노화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신체활동은 기본심리욕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는 성공적 노화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노인이 긍정적 신체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자율적 행동, 심리적 지지, 자기 통제, 자기실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성공적 노화의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년기의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농촌 노인 내담자를 상담할 때 기본심리욕구의 영향력에 초점을 두고 농촌 노인들의 신체활동의 양과 질이 충분히 충족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성공적 노화 수준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ccessful aging of the rural elderly. For this purpose, 133 rural elderly people from Yangpyeong-gu in Gyeonggi-do, Danyang-gun in Chungcheongbuk-do, and Ganghwa-gun in Incheon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Second, it was foun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hysical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physical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ccessful ag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ulfillmen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process of positive physical activity helps to improv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Therefore, when counseling rural elderly cli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old age,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pporting them to mana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hysical activities can help improve their level of successful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