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 내부마케팅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특급 P호텔을 중심으로-

        이상훈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An Analysis of the effects between Internal Marketi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for the Hotel Employees - Focusing on Deluxe Hotels Case in Seoul - Lee, Sanghoon Major in Tourism, Leisure & Aviation MBA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Cyber University Tourism and hotel business has developed upon expansion of leisure life and hosting big international events. Accordingly, the needs for internal customers’ satisfaction - resulting in external custormers’ satisfaction - of hotel employees increase. Internal marketing for internal customers satisfaction is also getting expand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hotel internal marketing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royalty. The participants were employees at P Hotel in Seoul. The results, in consider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hotel employees’ internal marketing showed five factors; executive support, internal communication, education & training, reward system, and empowerment. Seco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hotel employees’ job stress showed five factors; work intensity stress, workplace cultur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work capability stress, and work environment stress. Thir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showed five factors; task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y, satisfaction with the bos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workers. Fourth,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internal marketing on job stress was partially accepted. Reward system influenced negatively on work intensity stress, workplace cultur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while Empowerment influenced positively on workplace culture stress and negatively on work capability stress. Fifth,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accepted. Workplace culture stress, one of five sub-factors of job stress, influenced negatively on all job satisfaction factors, whereas work capability stress influenced positively on all job satisfaction factors. Also, work intensity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work environment stress are found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y. Sixth,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royalty was partially accepted. Among job stress factors, workplace cultur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influenced negatively on organizational royalty. Work capability stress influenced positively on organizational royalty. Other factors’ influence showed no significance. Seventh, all factors of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organizational royalty, which means that the more employee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e more they are getting royal to the organization.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there would be positive effects if the organization decreases job stresses of employees and implements facto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royalty. This also implicates that these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perhaps due to limitations of samples, weak representativeness because of limited questionnaires, and possible dishonesty of the answers. Future study should investigate more objective and in-depth exa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여가생활의 확대 및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 등으로 관광 및 호텔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호텔을 이용하는 외부고객 만족에 근원이 되고 있는 호텔 종사원들의 내부고객만족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위한 내부마케팅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호텔 내부마케팅,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충성도 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내 P호텔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에 따른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호텔 종업원의 내부마케팅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경영층지원, 내부 커뮤니케이션, 교육훈련, 보상시스템, 임파워먼트 등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호텔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업무강도스트레스, 직장문화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업무능력스트레스, 근무환경스트레스 등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호텔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직무자체만족, 경제적 만족, 승진기회만족, 상사만족, 동료만족 등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호텔 종업원의 내부마케팅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되었는데, 내부마케팅의 구성요인 중 보상시스템은 업무강도스트레스, 직장문화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임파워먼트는 직장문화스트레스와 업무능력스트레스에 각각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텔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되었는데, 직무스트레스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중 직장문화스트레스는 모든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에 업무능력스트레스는 모든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업무강도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및 근무환경스트레스는 승진기회 만족에 대하여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호텔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되었는데, 직무스트레스의 요인들 중 직장문화스트레스와 대인관계스트레스는 조직충성도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고, 업무능력스트레스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 다른 하위요인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호텔 종업원 직무만족의 각 요인들은 모두 조직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예상대로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충성도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호텔의 내부고객인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내부마케팅 요인들 중 종사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만족도와 조직 충성도를 높이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시행하면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 같은 요인의 내부마케팅 활동은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연구대상으로서 표본의 한정성으로 인해 호텔종사원 전체에 대해 일반화가 어려운 점, 제한된 설문문항으로 인해 내부마케팅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 충성도의 각 항목별 대표성이 미흡한 점, 그리고 내부직원 대상 조사로 인해 부정적 응답시 본인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는 염려 때문에 솔직하지 못하게 답변했을 가능성 등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심도있는 객관화된 연구가 요구된다.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환경인식이 지질공원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국가지질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김진현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 세계적으로 환경, 사회, 경제를 통합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관광 부문도 기존의 대중관광을 수용하기 위한 과도한 개발의 성장패러다임에서 지속가능한 환경패러다임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의 한 형태인 지오투어리즘과 같은 대안관광 형태에 대한 학술적인 고찰과 해당 관광지의 건전한 활성화 및 환경친화적 관광객 활동을 위한 효율적 관리 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환경인식이 지질공원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지인 부산국가지질공원 뿐만 아니라 국내지질공원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지질공원 운영 개선 방안 마련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효과적인 개발 보전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국가지질공원의 태종대, 송도, 오륙도 및 이기대 등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8년 08월 25일 부터 9월 16일까지 총 23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73부를 수집하였다. 측정 변수로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에 태도를 매개로 한 추가확장변수인 환경인식 등 5개 요인을 구성하였다. 환경인식은 자연중심, 인간중심으로 2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나머지는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 성별에서는 ‘남성’이 52.0%, ‘여성’이 48.0%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많았으며, 연령에서는 ‘40대’가 30.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0대(23.8%)’, ‘30대(19.0%)’, ‘50대(15.0%)’, ‘60대(8.8%)’, ‘70대 이상(2.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대학 졸업’이 42.9%, ‘고등학교 졸업 이하’ 18.3%, ‘대학생’ 16.1%, ‘전문대학 졸업’과 ‘대학원 이상’이 각각 11.4%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이 62.6%로 ‘미혼(37.4%)’보다 다소 많았다. 월평균 수입은 ‘200만원 미만’이 44.3%로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200-300만원 미만’이 24.2%, ‘300-500만원 미만’이 19.8%, ‘500-700만원 미만’이 7.3%, ‘700만원 이상’이 4.4%로 조사되었다. 직업에서는 ‘전문직/사무직’이 21.2%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력수준은 ‘학생’ 17.6%, ‘주부’ 15.4%, ‘서비스직’ 13.6%, ‘공무원/교직원’ 12.1%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가설1의 ‘지질공원 방문객의 환경인식(NEP)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인간중심을 제외한 자연중심에 한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2의 ‘지질공원 방문객의 주관적 규범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3의 ‘지질공원 방문객의 태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다섯째, 가설4의 ‘지질공원 방문객의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여섯째, 가설5의 ‘지질공원 방문객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정(+)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태도의 간접효과(indirect effect)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환경인식의 자연중심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 환경인식의 자연중심은 태도를 매개로 하여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음으로 주관적 규범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 주관적 규범은 태도를 매개로 하여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에 환경인식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으로서 간접효과도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지질공원 운영 관리와 건전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국가지질공원을 방문하는 방문객은 자연중심의 친환경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환경적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므로 국가적으로 또한 지방 국가지질공원 관리주체는 지질공원 일대에 환경보호 필요성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이고 광범위하게 펼치고 지오투어리즘과 연계하여 다양하고 실질적인 친환경관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가 지질・지형 등 지질공원 대상으로 다수 이루어지고 지질공원 방문객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관련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다만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부산국가지질공원에 한정되었으며 일정 기간 단기조사가 이루어 진 점, 기상상황과 계절적 기후 영향으로 일별 방문객 유입 빈도 편차가 컸으므로 이는 정기적 표본 수집에 미흡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인천국제공항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정보신뢰성,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방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주희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날 관광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해온 경제 분야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관광객의 활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한 세계 각국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힘쓰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관광산업에 많은 관심을 갖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에 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관광안내소 서비스 품질이 정보신뢰성,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 개선 방안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관련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 제고 및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관광안내소를 방문한 외래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8년 03월 10일부터 2018년 03월 31일까지 총 22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318부를 수집하였다. 각 변수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위하여 서비스 품질의 구성은 공감성,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및 반응성 등 5개 요인으로 하였다. 정보신뢰성은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만족도는 정서적 만족과 인지적 만족 등의 2개 요인으로, 행동의도는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 등의 2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항목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통한 내적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각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 성별구성은 남성이 147명(46.2%), 여성이 171명(53.8%)으로 성비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30대 126명(39.6%)과 20대 77명(24.2%)으로 20~30대가 많았다. 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189명(59.4%)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의 체류기간은 3~4일이 142명(44.7%), 5~6일이 75명(23.6%)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회사원 128명(40.3%), 학생 48명(15.1%), 전문직 43명(13.5%) 순으로 많았다. 한국방문 횟수는 1회 104명(32.7%), 2회 75명(23.6%), 3회 74명(23.3%), 4회 10명(3.1%), 5회 이상이 55명(17.3%)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천국제공항 관광안내소 방문횟수는 1회가 228명(71.7%)으로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관광목적은 관광 188명(59.1%), 비즈니스 66명(20.8%), 친지방문 35명(11.0%), 기타 29명(9.1%)으로 나타났고, 국적은 총 28개국이며, 중국과 일본 관광객이 많았다. 둘째,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가설1의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정보신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서비스품질의 공감성, 신뢰성 및 유형성 등이 정보신뢰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검증 결과, 가설2의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서비스품질의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및 공감성 등이 만족도(정서적 만족과 인지적 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넷째, 검증 결과, 가설3의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이 외래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서비스품질의 공감성, 신뢰성, 확신성 등이 행동의도의 재방문의도에, 신뢰성, 유형성, 반응성 등이 추천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부분 채택되었다. 다섯째, 검증 결과, 가설4의 ‘정보신뢰성이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관광안내소 정보신뢰성의 영향이 클수록 외래 관광객의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채택되었다. 여섯째, 검증 결과, 가설5의 ‘정보신뢰성이 외래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관광안내소 정보신뢰성의 영향이 클수록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의도, 추천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채택되었다. 일곱째, 검증 결과, 가설6의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가 외래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 중에서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의 영향이 클수록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의도 및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6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 정보신뢰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만족을 단일차원이 아닌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영어, 일어, 중국어로 폭넓은 조사를 시도하여 특정 언어권으로 조사가 한정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관련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안내소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개선 방안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또한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 추천의도를 높이기 위해 관광안내소에 대한 시설 투자와 관광통역안내사의 직무능력 향상 및 관광객의 요구에 대한 이해와 배려, 관광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육여건 조성, 직무만족을 위한 복리후생제도 개선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관련 기관과 업체 및 관광안내소에 개선의 필요성을 알리고 전략 및 계획 수립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인천국제공항에 한정되었으며 단기조사가 이루어졌다. 또한 아시아, 유럽, 미주 등 대륙별 차이 또는 영어, 일어, 중국어 등 언어권에 따른 분석이 미흡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관광안내소 서비스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베트남의 종교관광자원 연구 : -호치민 시와 주변 지역의 종교경관을 중심으로-

        진선일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one city can be various, and the viewpoint of Ho Chi Minh city is mostly set as a destination of city tourism showing the heritage of colonial city or a destination of dark tourism promoting war heritage.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landscape of Ho Chi Minh region in that the city has excellent cultural resources as a religious tourism destination among cultural tourism destinations with various religious scenes. In order to analyze the religious landscape of Ho Chi Minh City and Ho Chi Minh City area, the name, location, history, religious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ourism resourc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landscape or facilities to be studied were identified through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study were verified with respect to the religious scen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such literature studies and field trip studies. First, I understood that the coexistence of various religious cultures in Vietnam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conditions of Vietnam through cultural exchanges between continents and the oceans. The distribution of diverse religious cultures in Vietnam is accompanied by a unique history of Vietnam, where the invasion and resistance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expansion and submission of the southern region to the outside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particular, Ho Chi Minh City has confirmed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of becoming the largest city in southern Vietnam that various religious influences and compromise between religions have become the roots of the current religious landscape. Secondly,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it was found that religious tourism and religious scenery are related to tourism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religion,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ilgrimage to pursue the sacredness of their religion in religion, Tourism 'is the center, which suggests that the movement of tourism to religious tourism is shifted by a comprehensive cultural motive. In addition, geography is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igious or religious scenery itself, but it has proved that it can provide various ideas on how to approach religious or religious landscape in terms of tourism utiliz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landscape, Catholic Cathedral is a religious landscape which colonists transplanted and propagated in Ho Chi Minh area. Buddhist temple and Taoist temple are the traditional religious scenery that has been loved by the public for the longest in Vietnamese history. Hindu and Islamic temples are religious landscapes that show the diversity of southern Vietnam. The mother or the great worshiper has long been a national religious faith landscape related to the national spirit of Vietnam. The Kao dai scenery is a religious landscape combining traditional religion with modernity. And the Vietnamese-Khmer temple is a religious landscape showing the unique fusion of the southern region. Fourth,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Ho Chi Minh City's religious landscape reveals that the core areas of Ho Chi Minh City have varied in their origins from Ho Chi Minh City's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Ho Chi Minh City, In order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each other, various kinds of religious landscapes are mixed and distributed. Cho lon area is a region where Chinese have been pioneered for a long time since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y the Chinese people from southern China. It has a Chinese religious landscape such as color, decoration and use of Chinese characters. Outskirts are the Buddhist scenes and the scenery of the great worshiper with long history associated with the people of the Vietnamese and others, In Tây Ninh area, there is a strong resistance from the landowners and peasants who were taken away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es the emerging religions of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religions and the Religious view of the Virgin Mary. In Mito City area, historically the Chinese and the Vietnamese have entered the Khmer lands, the distribution of Vietnamese-Khmer complex Buddhist landscape was analyz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religious tourism resources among the various tourism resources existing in specific countries or specific cities are subject to conservation to ensure sustainability rather than being a target of new tourism development.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take long-term conservation measures and strategies for conservation measure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In particular, historically declining religious landscapes are being neglected or destroyed because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m, so it was necessary for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to recognize that they are important historical heritages and to take measures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first.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y are mainly focused on farming and fishing tourism, tourism resources of Ha Long Bay, tourism of minority tribes, historical remains of colonial cities, dark tourism, veterans tour, coffee cultivation and coffee theme parks, however this study mad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Vietnam and Ho Chi Minh City in terms of religious culture, religious scenery, and religious tourism,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new tourism resources. In future research, we expect qualitative research on tourism resources such as religious landscape for Vietnam or Ho Chi Minh,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behavior of tourists visiting religious landscapes. 하나의 도시를 이해하는 관점은 여러 가지일 수 있으며, 호치민 시의 관점은 대부분 식민도시의 유산을 보여주는 도시 관광의 목적지 또는 전쟁 유산을 홍보하는 다크투어리즘 관광의 목적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호치민 시가 다양한 종교경관이 어우러진 문화관광 목적지 중에서 종교관광 목적지로서 우수한 문화자원들이 분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호치민 권역의 종교경관 특성과 지역성을 밝히고자 했다. 호치민 시 권역과 호치민 시 주변 지역의 종교경관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대상 종교경관 또는 시설의 명칭과 위치, 역사, 종교경관 특성, 관광자원 특성 등을 파악하였고, 직접적인 현지답사를 통하여 연구대상 종교경관에 대하여 문헌연구의 기술내용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연구 및 현지답사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베트남의 다양한 종교문화가 공존하는 것은 대륙과 해양사이에서 문화 교류에 의해온 베트남의 자연지리 및 인문지리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이해하였다. 베트남의 다양한 종교문화의 분포는 중국, 프랑스, 미국 등 외세에 의한 침략과 그에 대한 저항, 그리고 남부지역이라는 외부지역으로의 팽창과 복속이 동시에 존재한 베트남 특유의 역사 흐름과 궤를 함께 하고 있다. 특히 호치민 시는 남부 베트남의 최대 도시가 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종교경관의 뿌리가 되는 다양한 종교의 유입과 종교 간의 타협, 융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종교관광 및 종교경관에 대하여 관광학적 측면에서는 각 종교인들의 전통적인 의미에서 자신의 종교에 대한 신성함을 추구하는 순례여행에 세속적인 지식을 관광에 접목시킨 신앙과 세속이 어우러진 ‘종교관광’이 중심이 되며, 이는 종교관광에 대한 관광의 이동이 포괄적인 문화적 동기에 의해 이동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리학적 측면에서는 지리학이 종교 또는 종교경관 자체를 이해하는데도 유용한 틀이지만, 종교 또는 종교경관을 관광활용 측면에서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종교경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천주교 성당은 식민주의자들이 호치민 권역에 이식·전파시킨 종교경관이고, 불교 사원 및 도교 사당은 베트남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 온 전통적 종교경관이고, 힌두교 사원과 이슬람교 사원은 남부 베트남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종교경관이고, 모신 또는 위인 숭배 사당은 오래전부터 베트남의 민족정신과 관련된 민족 신앙 종교경관이고, 까오다이교 성실은 전통종교와 근대성이 결합한 종교경관이며, 베트남-크메르 복합사원은 남부지방 특유의 융합성을 보여주는 종교경관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호치민 시의 종교경관의 지역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호치민 시 핵심지역에는 호치민 시의 역사 전개에서 호치민 시를 거쳐 갔거나 현재도 거주 중인 이 지역 개척자들의 출신이 다양했고 그들의 다양한 문화가 지금도 서로 조화롭게 공존하기에 다양한 종류의 종교경관이 복합적으로 분포하고, 쩌런 지역은 이곳이 17~18세기 이후 중국 남부 출신의 화교들이 오랜 시간 개척해온 지역으로 색감, 장식, 한자의 사용 등 중국풍의 종교경관이 분포하고, 외곽지역은 비엣족을 비롯한 서민들과 연관된 오랜 역사를 가진 불교경관 및 위인사당 경관이 분포하고, 떠이닌성 지역에는 이 지역이 식민지 시절 수탈당했던 지주와 농민들이 저항하는 과정에서 전통종교와 서양종교가 융합된 신흥종교와 성모(聖母) 종교경관이 분포함을, 미토시 지역에는 역사적으로 크메르인의 땅에 화교와 비엣족들이 들어와 베트남-크메르 복합양식 불교경관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는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특정 국가 또는 특정 도시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광자원 중에서 종교관광자원은 새로운 관광개발의 대상이기 보다는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전의 대상이다. 따라서 베트남의 호치민 시 권역에서 그동안 지나치게 관광대상화한 종교경관은 보전 대책을 위하여 장기적인 보전 방안과 전략을 강구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며, 특히 역사적으로 쇠퇴한 종교경관의 경우 오히려 관심을 받지 못해서 방치되거나 파괴되고 있기 때문에 국가 또는 지방정부는 역사적 유물로서 중요한 유산임을 인식하고 문화유산 보전 방안을 우선적으로 강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학술적인 시사점으로는 선행연구들이 주로 농어촌관광, 하롱만 관광자원, 소수종족 관광, 식민도시의 역사유적, 다크투어리즘, 참전용사 전적지 관광, 커피재배 및 커피 테마파크 등에 관심을 두었지만 본 연구가 베트남과 호치민 시에 대한 이해를 종교문화, 종교경관, 및 종교관광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하여 새로운 관광자원에 대한 이해를 고양시키는 학술적인 기여를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베트남 또는 호치민에 대한 종교경관이라는 관광자원에 대한 정성적 연구와 더불어 종교경관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행태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기대한다.

      • 저비용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자원 모형 중심으로

        강영지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저비용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자원 모형 중심으로 강영지 관광레저항공MBA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본 연구는 고객 최접점 근무 직원인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직무요구-자원 이론을 바탕으로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의 잠재적인 선행요인 및 결과 요인을 탐구하고, 이직의도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과정을 통합하는 것을 탐색하고자 저비용항공사의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8년 10월 2일부터 10월 25일까지 구글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총 2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18부의 유효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요구의 역할갈등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하여 그리고 역할모호성은 직무소진의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 저하에 대하여, 직무열의의 헌신과 몰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원의 직무자율성은 직무소진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하여 그리고 피드백이 개인성취감 저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열의의 활력은 상사지원과 자기개발기회에 대하여, 헌신은 상사지원과 직무자율성에 대하여 그리고 몰두는 피드백과 직무자율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의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 저하가 직무열의의 모든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결과, 직무소진의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 저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무열의의 헌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직무요구-자원 이론을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항공서비스분야에 적용시킴으로써,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을 탐색하였으며, 결과요인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심리와 긍정적 심리를 통하여 이직의도의 원인을 규명하고 동시에 완화시키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를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항공사의 조직측면에서 많은 교육비용을 통하여 확보된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직무소진을 증가시키는 직무요구를 감소시키고, 직무소진을 완화시키는 직무열의와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이직의도 또는 이직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전략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객실승무원이 담당해야하는 역할에 대한 모호성과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직무자원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의료관광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 중국인 의료관광 전문가를 중심으로

        이희경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중국은 최근 5년 동안 방한 의료관광객 수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진료과목은 미용성형 부문으로 현재 중국의 미용성형 수요의 증가 추세와 우리나라의 미용성형 의료관광 시장에서의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해 볼 때, 중국인 미용성형 관광객의 이해와 분석은 실효성 있는 마케팅 전략 도출과 새로운 상품개발을 위해서 필수적이며, 의료관광객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의료관광 전문가를 중심으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의료관광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한국 미용성형 의료관광의 특징과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관광 동기 및 미용성형 관광 상품을 선택할 경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의료관광에서 현존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중국인의 한국 방문 방안을 모색하여, 의료관광의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케팅 기회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 현지의 의료관광 전문가 35명을 선정하여 1차 델파이 조사(2020년 9월 1일~9월 7일), 2차 델파이 조사(2020년 9월 11일~9월 17일), 3차 델파이 조사(2020년 9월 21일~9월 27일)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전문가들이 가진 직관을 이끌어내고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고자 비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을 통해 미용성형 의료관광 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2차 설문에서는 응답자들과의 개별 인터뷰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첩되는 항목을 제외하고, 유효한 항목을 분석 정리한 후 폐쇄형 설문지를 구성하고 5점 Likert 척도를 적용하였다. 3차 설문은 앞서 진행한 설문의 항목별 평균값을 제시하여 전문가 패널들이 신중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의료관광 선택속성으로써 가치가 판단되는 34개의 세부적인 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한국 미용성형 특성 요인은 완전한 의료체계 및 의료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높은 의료기술 및 수술에 대한 효과, 최첨단 의료시설과 의료장비, 뛰어난 미적 감각, 성형수술의 대중화로 나타났다. 의료 인프라 요인 선택속성은 의료기술, 수술의 안전성, 의료의 차별화와 경쟁력, 의료진에 대한 신뢰, 병원의 명성과 인지도 순으로 조사되었다. 관광 인프라 요인 선택속성은 쇼핑시설, 관광시설, 합리적인 관광비용, 원활한 의사소통, 이동(교통)의 편리성 순으로 도출되었다. 의료관광 지원서비스 요인 선택속성은 진료상의 원활한 소통, 의료사고 및 분쟁에 대한 대응책, 사전‧사후 원스톱 서비스, 비자취득과 입구절차의 용이성, 의료관광 종사자의 서비스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 이미지 요인 선택속성은 미용성형 강국으로서의 국가 인지도, 안전한 국가 이미지, 한류열풍, 높은 의료기술을 가진 국가 이미지, 국민의 친절도 순으로 중요성이 평가되었다. 의료관광 저해 요인은 병원 간 경쟁으로 인한 마케팅 혼재가 가장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의료사고 및 분쟁에 대한 대응책 미비, 관광자원 및 관광 상품의 부족, 불투명한 의료비용, 국가별 특성에 맞는 의료관광 상품 부족 순으로 도출되었다. 의료관광 활성화 요인으로는 사전‧사후 원스톱 서비스의 선진화, 플랫폼을 주축으로 하는 마케팅 활동, 의료사고 및 분쟁에 대한 대응책 강화, 의료기관 및 의료기술의 전문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 의료관광 전문가를 통한 중국인의 한국 미용성형 선택속성 연구는 의료관광을 추진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의료기관 및 유치업체의 실효성 있는 마케팅 기회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차별화된 프리미엄 의료관광 서비스 구현, 전반적인 의료산업 및 우수한 의료 시스템의 해외 진출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China has adhered to the top position in the number of medical tourists visiting Korea over the past five years. Chinese people's most preferred medical treatment is cosmetic surgery, and considering the growing demand for cosmetic surgery in China and the importance of Chinese tourists having in the Korean cosmetic surgery marke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and analyze Chinese tourists visiting for cosmetic surgery for finding realistic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also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medical tourists. Thus,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Chinese people's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al tourism for Korean cosmetic surgery focusing on Chinese medical tourism experts making use of the Delphi technique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tourism for Korean cosmetic surgery, Chinese people's motivation of the tourism for Korean cosmetic surgery, and the attribute factors giving considerable thought to the case when Chinese people choose tourism products for Korean cosmetic surgery. Also, this study intended to derive marketing opportunities for providing practical help to the revitalization of medical tourism by figuring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Chinese people's medical tourism for Korean cosmetic surgery and seeking the solutions for Chinese people's continuous visits to Korea. After selected 35 China-based medical tourism experts, this study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September 1 to 7, 2020), the second Delphi survey (September 11 to 17, 2020), and the third Delphi survey (September 21 to 27, 2020). In the first survey, it derive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al tourism for cosmetic surgery through a nonstructural open-type survey to draw the experts' intuitions and gather their broad opinions. In the second survey, it prepared a closed-type questionnaire applying the 5-point Likert scale after analyzed and organized valid items except for overlapping items based on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pilot study with the respondents. In the third survey, it presented the average value by each item obtained from the previous surveys so that the expert panel could respond carefully. Finally, it derived 34 detailed selective attribut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the value a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hinese people's medical tourism for Korean cosmetic surgery,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by the experts. For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Korean cosmetic surgery, it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the complete medical system and the expertise of medical treatment, followed by the high level of medical technologies and highly effective surgery, the most advanced medical facilities and equipment, excellent aesthetic sense, and the popularization of cosmetic surgery. For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al infrastructure factor, the results of the surveys showed in the order of medical technologies, the safety of surgery, the differentiation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treatment, the trust in medical staffs, and the level of reputation and recognition of hospitals. For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infrastructure factors, it was derived in the order of shopping facilities, tourism facilities, reasonable tourism costs, good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in (traffic) movement. For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al tourism support service factors, it showed in the order of good communication in medical treatment, countermeasures against medical accidents and disputes, pre-and post- one-stop services, ease in obtaining visa and entry process, and service attitudes of medical tourism workers. For the selection attributes of national image factors, the importance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the national recognition as an advanced country of cosmetic surgery, the image as a safe country, the Korean Wave, the image as a country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and the kindness of the people. As the hindrance factors to medical tourism, it showed the mixed marketing due to the competitions among hospitals as the biggest problem, followed by the lack of countermeasures against medical accidents and disputes, the shortage of tourism resources and products, unclear medical costs, and the shortage of medical tourism products suitable for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s the revitalization factors of medical tou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n the order of the advancement in the pre-and post- one-stop services, market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platforms, strengthened countermeasures against medical accidents and disputes, and the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technologi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on Chinese people's selection attitudes of Korean cosmetic surgery through Chinese medical tourism experts can be used as a means to derive effective marketing opportunities for local governments, medical institutions, and attracting companies that want to promote medical tourism.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premium medical tourism services and overseas expansion of the overall medical industry and excellent medical systems of Korea. Keywords: Medical Tourism, Cosmetic Surgery Tourism, Selection Attributes, Delphi technique, Chinese medical tourism

      • 관광목적지 이미지가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강원도 철원군 방문객을 중심으로

        이윤희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관광객들은 관광의 기회가 많아지고 다양해질수록 차별화되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관광목적지를 선택하게 되며,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광목적지는 관광객들에게 어떤 관광목적지 이미지로 인식될 것인가가 관광산업 성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의 패러다임은 대중관광에서 대안관광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COVID-19 이후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관광 활동에도 많은 변화가 나태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더불어 강원도 철원군은 기존 전쟁과 분단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연, 생태, 평화의 이미지로 변화하고, 50만년의 시간이 빚은 지질자원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148호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탄강과 화산지대의 차별성을 부각한 자연관광자원 개발을 통해 다목적, 다계절, 다기능의 종합적인 복합 관광목적지로서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목적지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를 ‘만족-행동의도’의 패러다임에 포함시켜 관광 소비모델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연구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강원도 철원군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296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균, 표준편차, 응답자 통계학적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와 같다. 첫째, 철원군의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영향이 클수록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정서적 가치와 인식적 가치가 높아지며, 정서적 이미지가 인식적 이미지보다 지각된 가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철원군의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영향이 클수록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정서적 이미지가 인식적 이미지보다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셋째,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영향이 클수록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인식적 가치가 정서적 가치보다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넷째,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영향이 클수록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행동의도가 높아지며, 인식적 가치가 정서적 가치보다 행동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의 영향이 클수록 철원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행동의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되고 있는 관광 형태에서 강원도 철원이 관광목적지로서 역사, 자연, 문화, 안보, 농촌체험, 레져 등 다양한 이미지 특성과 사계절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특성을 지닌 철원의 종합적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관광목적지 이미지, 지각된 가치, 만족도, 행동의도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Behavioral Intention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Focusing on Visitors to Cheorwon-gun, Gangwon-do Youn Hee Lee Major in Tourism, Leisure & Aviation MBA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tourism consumption model by including the destination image and the perceived value in the paradigm of ‘satisfaction-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of Cheolwon-gun, the higher the emotional value and the cognitive value of the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and the emotional image has a greater impact on the perceived value than the cognitive image. Second,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of Cheolwon-gu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and the emotional image has a great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than the cognitive image. Third, the greater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and the more the perceived value affects the satisfaction than the emotional value. Fourth, the greater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the higher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and the more cognitive value has an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an emotional value. Fifth,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the higher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visiting Cheolwon-gun. Finally,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leads to destination image,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s 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Cheolwon-gun, which has various image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ry, nature, culture, security, rural experience, leisure, and four seasons tourism image characteristics, as a tourist destination in Cheolwon-gun, Gangwon Province in the changing tourism form.

      • 직업군인의 관광동기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광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king hours in Korea is divided into social issues to shift from the five - day workweek system to four - day workweek system, and the 'war label' which emphasizes work and life balanc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Yoolo' of young people who do not spare their investment to themselves, the cultural lifestyle of the younger class is changing into an era where the leisure life is emphasized unlike the past. In the army, major areas of soldiers were expanded or abolis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professional soldier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of tourists on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m motivation in detail. And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ourism motivation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lf -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set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 set up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setting organizational loyalty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occupational soldiers who are more than Non-Commission Offic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 2019 to March 20, 2019 for a total of 30 days. And 236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re 94.1% for males and 5.9% for females. Actuality the proportion of female soldiers among professional soldiers is 5.5%. In terms of age, 30.1% in their 20s, 47.9% in their 30s, 18.6% in their 40s and 3.4% in their 50s are similar to those of professional soldi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ample suitable for the study of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rough the tourism motiva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ourist motives of professional soldiers a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tourists, but only differences among professional soldiers. In particular, because the professional soldiers are also people, they could be divided into push factors, which are internal factors, and pull factors, which are external factors.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a professional soldier, I live outside and move to other places due to frequent personnel movements. Therefore, the motivation to leave sightseeing is a factor that leaves to experience everyday and other space because it always experiences the same space or similar environment. General tourists regarded accessibility and experience as important for tourism, but professional soldiers had no effect at all. In addition, when we examine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we feel sense of belonging through tourism and positively influence self – realization. As a result, active use of tourism in military units resulted in high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s a result of developing tourism product,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research by obtaining the result that the professional soldier should develop the product which emphasizes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ifferent from daily life rather than the same product as general tourist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cover all occupational soldiers, and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 and the air force are not reflected because the questionnaires were executed for navy and marine unit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future research will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and continue the study of the tourism field for the occupational soldier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의 개념이 주 5일 근무제에서 주 4일 근무제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이슈와 문화체육관광부(2018)에서 발표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워라벨’,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며 자신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젊은 층의 ‘욜로족’까지 젊은 계층의 문화 라이프스타일이 과거와 달리 여가생활을 중요시 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으며 군대에서도 군인들의 위수지역이 확대 또는 폐지됨에 따라 20~30대의 젊은 계층이 다수인 직업군인에게도 관광을 하게 되는 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 조직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관광동기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충성도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관광동기를 독립변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로, 조직충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사관 이상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019년 2월 20일부터 동년 3월 20일까지 총 30일 동안 설문을 SNS와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고 유효표본 236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조사통계 패키지인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94.1%, 여성이 5.9%로 남성의 비율이 높은데, 이는 현재 직업군인 중 여군의 비율이 5.5%에 비하면 유사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연령도 20대 30.1%, 30대 47.9%, 40대 18.6%, 50대 3.4%로 직업군인의 항아리 모형의 분포도와 유사하며, 계급 역시 하사 15.3%, 중사 38.1%, 상/원사 20.3%, 준위 0.8%, 위관장교 19.9%, 소령 5.1%, 중령 0.4%로 직업군인의 분포도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직업군인의 관광동기를 통하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 조직충성도에 관한 연구에 적합한 표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직업군인의 관광동기는 일반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유사하면서도 직업군인만의 독특한 차이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직업군인 역시 사람이기 때문에 내적요인인 Push 요인과 외적요인인 Pull 요인으로 구분 할 수 있었으며, 직업군인 특성상 외부에서 생활하고,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타지생활 및 이사를 함에 따라 항상 같은 공간 또는 유사한 환경을 경험하기 때문에 관광을 떠나게 되는 동기가 일상과 다른 공간을 경험하기 위하여 떠나는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관광객은 관광지에 대한 접근성과 체험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직업군인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군인의 관광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에는 관광을 함을 통하여 소속감을 느끼고, 자기실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군부대에서는 관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에 따라 직업군인의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도 직업군인을 일반관광객과 동일한 상품보다는 일상생활과 다르면서 주변환경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상품으로 개발을 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하겠다. 다만 본 연구는 직업군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으며, 해군과 해병대의 부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기에 육군과 공군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분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스마트관광 정보기술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여

        석윤지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관광레저항공MBA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and in particular, the paradigm of the tourism industry is changing to smart tourism with rapid technology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and dailyization of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s a result, tourists today can get the information they need anytime, anywhere they want,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way of relying heavily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efore arriving at their tourist destination. Smart tourism is developing by integrating various smar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computing, IOT, and mobile communication, and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equipped with advanced technologies and various functions of smart devices, it greatly helps enrich tourists' tourism experiences and keep memories of the tourism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on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n attitude, using Davis(1985)'s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model (TAM) as variables.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how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MTE) affects attitud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attributes of information technology underlying the importance of smart tourism,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MTE on tourists' continued use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re-visit. Based on these significances and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who use smart devic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77 valid samples were adopted and used for researc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ccessibility, information, and personalization, the attribute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addi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attitudes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s, and among the elements of MTE, pleasant experiences, unique and exotic experiences, and self-discovery experiences had a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As an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first, it reaffirmed the composition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such as accessibility, information,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vity, and the results. Second, by applying the TAM model, the intention of tourists to continue to use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was identified, and additional studies were presented by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MTE on attitudes. Third, by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hat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nd MTE, it differentiated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related to smart tourism and tourism experienc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en tourism providers build a smart tourism environment, they should develop applications and platforms that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needed by users, and secondly, they should develop convenient and useful content to increase word of mouth effect. Fourth, it is necessary to apply and expand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are developing in the tourism field, and finally, it will be necessary to lay a policy foundation for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to divide their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smart tourism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is a study on smart tourism in terms of further enhancing the memorable experience of tourist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관광산업은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일상화에 따라 스마트관광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오늘날의 관광객들은 관광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수집한 정보에 크게 의존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원할 때 본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관광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IOT, 모바일통신 등의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통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의 발전하는 기술과 여러 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광객의 관광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그 관광의 기억을 오래 남게 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객의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해 알아보고자, Davis(1985)의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을 변수로 활용하여,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태도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이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대에 그 기반이 되는 정보기술의 속성에 대해 탐구하고, 관광객의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에 MTE가 어떠한 영향관계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실증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사용을 통해 여행의 편리를 더하고, 그 기억을 풍부하게 하며, 그러한 기술의 지속적 사용을 통해 추천,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콘텐츠 구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의의와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유효표본 277부를 채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인 접근성, 정보성, 개인화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MTE의 요소 중 즐거운 경험,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 자아발견 경험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 첫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인 접근성, 정보성, 개인화, 상호작용성 등의 구성 여부와 그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둘째, TAM모델을 적용하여 관광객의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파악하고, MTE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 추가적인 연구를 제시하였다. 셋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MTE 간 영향관계를 살펴 기존의 스마트관광과 관광경험 관련 연구와 차별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관광공급자들이 스마트관광 환경을 구축할 때,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구성요인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을 개발하여야 하며, 둘째, 관광객의 이용빈도를 높이고 구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기 편리하고 유용한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관광객이 관광경험을 통해 다양한 재미와 즐거움을 얻음으로서 기억에 남는 경험을 높일 수 있도록 마케팅 측면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발달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기술의 관광분야에 대한 적용과 확대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개발 및 사용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이 역할을 나누는 정책적 기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경험을 한층 높이는 측면에서 스마트관광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 광양항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태겸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크루즈 산업은 고성장성과 막대한 부가가치로 인해 21세기 가장 주목받고 있는 미래형 관광산업으로 연평균 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은 중국시장의 성장과 한·중·일 간의 연계 가능성으로 인해 크루즈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큰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광양은 중국, 일본과의 연계 크루즈 코스 및 다양한 천연·문화 자원을 갖추고 있어 크루즈 항으로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아직 크루즈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요한 조건들이 남아 있다. 크루즈선 대형화에 따른 크루즈 전용시설의 건립 문제, 터미널과 그와 연계된 복합 관광 시설의 확충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 크루즈 산업의 지속성과 안정화를 위해서 다양한 마케팅과 차별화된 크루즈 상품 개발을 통한 관광객 유치,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과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의 크루즈 산업의 활성화 및 발전 전략을 위해서 일반 적인 크루즈 산업의 특징과 국내외 크루즈 산업의 현황을 조사하면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광양항 크루즈 관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를 진행하는 기본과정은 다양한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기본 바탕으로 하되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25명의 크루즈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총 2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광양항 크루즈 관광은 현재 태동기 수준으로 항만인프라 시설 부족, 연계 관광상품 부족, 기반시설 및 수용태세 부족, 크루즈 상품에 대한 홍보 부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2차 조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제도 및 정책 수립, 기반시설 구축, 마케팅 강화, 관광상품 개발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크루즈 산업은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여가시간의 향상에 따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관광산업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크루즈 관광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관심과 후원, 그리고 연구와 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크루즈 관광 활성화방안에 있어서 좀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하는 데에 본 연구가 출발점이 되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