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간고용서비스사업자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박시연 경희대학교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1968년 우리나라에 민간직업소개제도가 도입된 이후, 1988년 근로자파견사업, 2001년 직업정보제공사업이 등장하여 민간고용서비스사업 영역이 확대 되었다. 1997년 IMF 이후 우리나라는 공공고용서비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고용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 민간위탁사업, 우수인증제도 등의 논의와 시행이 이어졌다. 민간위탁과 우수인증사업에 비해 2007년 이후 직업안정법에 의거하여 시행하고 있는 사업자 교육훈련은 매년 전국 사업자들 60% 이상의 참여률을 보이며 민간고용서비스 활성화의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고용노동부가 국회에 신규사업자 사전교육에 대한 직업안정법 개정안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7년간 시행해온 교육훈련을 분석 및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민간고용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함이다. 본 연구는 민간고용서비스와 교육훈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조사연구를 위한 교육훈련 만족도와 교육훈련 개선과목 수요의 틀을 만들고, 설문조사 결과를 해석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와 외국의 교육훈련을 참고하여 교육훈련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교육훈련의 만족도는 대부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4년 이하의 신규사업자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교육훈련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훈련에 대한 발전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이고, 신규사업자 사전교육 도입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본다. 노동관련법규, 사회복지개론, 직업심리, 취업기술, 인사·생산·노무관리, 개인정보보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등 새로운 교과목 추가 수요도 파악할 수 있었다. 민간고용서비스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행 교육훈련을 잘 유지하고, 심도 있게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본다. After being introduced private employment agencies(PREA) to Korea in 1968, temporary work agencies in 1988, service of furnishing employment information in 2001 appeared and private employment service business was expanded. After IMF in1997, Korea discussed and conducted education training, contracting-out of public employment service, Best Employment Service for activation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 to get over our maximum of public employment service(PES). Compared with contracting-out of PES and Certification for Best Employment Service, operator education training that has been conducted by Employment Security Act since 2007 is participated in over 60% national PREA operato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20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resented Employment Security Act revision bill for an advanced education of a new PREA operator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study education training conducted for 7 years and so makes a counterproposal for the activation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 . This study analyzes private employment service and leading research of education training, makes the framework of the demand about education training satisfaction for research studies and improvement courses of education training. And this researcher suggested development direction for education training and referr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ducation training of foreign employment service. Study results show the current education training satisfaction is most highly evaluated by under 4 years of new operators. In particular their frequency is very high comparatively. These results show the current education training is thought most positively, is expected progress of education training and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to new PREA operators will show a positive result.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grasp additional demand of a new subject, as for labo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occupational psychology, employment skills, personnel production labor management,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uman behaviour and social environment ets. For The activation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 The current education training must be maintained well, developed profoundly.

      •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 미국 대학의 초급 수업을 중심으로 -

        오미진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xamples of desig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learning Korean courses at T University in the U.S. based on service learning theory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learning. Judging from previous case studies combining servic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were insufficient, and mixed studies provided inadequate research. Based on data, the needs of learners, and community needs, classes were planned, opera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P.A.R.E and the discipline-based service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have a positive and mutually beneficial effect on teachers, local communities, and Korean learners. The instructor was abl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objectives through self-evaluation. Local cooperative organizations were satisfied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service activities of beginner Korean learners. As for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subject, the mean values ​​of all scales increased post-survey indicating meaningful results. Likewi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ers’ overall lecture experience, most of the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in the categories of linguistics, affect, and service. However,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d worry about trying new things were also described. The instructo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s in detail through self-reflection analysi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self-assessment of learners’ Korean abilities, pre-and post-video analysis of children’s book read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self-assessment on Korean proficiency,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Korea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In addition, the reading speed of Korean text was fast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s Korean pronunciation errors decreased, learners’ reading accuracy increased.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f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critical thinking’, ‘career and teamwork’,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student ‘satisfaction’. The mean values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critical thinking’,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pre-tested. It was found that servic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However, positive results could not be drawn because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leadership’ and ‘cooperation’ among ‘career and collaboration’ fel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ion efficacy’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ason that ‘reading poetry’ and ‘reading fairy tales’ were conducted as individual activities, so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to get along with others. In addition, although learners can adapt well to new environments in which they perform service learning activities, self-efficacy was lower in the post-test in terms of performing work using the information learned at the university or utilizing their talents or skills. When instructing service learn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e future, methods that can enhance learners’ ‘leadership’, ‘cooperation’, and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on. Fourth, A self-reflection pape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o study the changes in learners’ thinking regarding service learning.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through self-reflection reports after ‘reading poetry’, ‘reading children’s books’, and ‘teaching Korean’ as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report of the learner, the instructor came to understand the learner better, and it was helpful to know the process of students’ academic growth.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reading poetry’ activities. They said that reading and vocabulary in Korean were expanded, which help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Likewis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problems by going through the feedback process with the instructor during children’s book reading practice. The learner also became better at Korean speaking. Korean learners said that ‘reading a children's book’ was a very frightening and challenging activity emotionally, but it was a very helpful activity for learning Korean. In the ‘Teach Hangul’ activity, the learner did his/her best by focusing o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learners described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that they enjoy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improv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lso, in order to teach Korean well, learners ha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by reviewing and deepening what they had learned. The learner played the role of a service provider in the classroom, discovering a link between what he or she actually knows and the service experience. In the process from the 1st to the 4th teaching Korean sessions, Korean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as presenter, leader, and language learner. Korean learners gained confidence as they prepared more diligently in class to teach well. The Korean learners said that they were motivated by watching the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Hangul. The learners became aware of his/her own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nd as service recipients did their best to meet their needs, their awareness of service improved and their civic responsibility improved. Learners have grown a global awareness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through a foreign language. The learners said that the Hangul teaching experience was great and that they needed it to grow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anted to take more service learning courses in the future as a different approach to improve learning beyond what they had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is cause analysis provided data for future course improvement. Key word: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course, service, community service, Korean language, university, reflection, mixed methods research, case study, learning outcome, learning effects. 본 연구는 미국 T 대학 현장의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설계, 운영, 평가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서비스러닝과 한국어에 접목한 사례 연구가 미진하였으며 연구 방법 면에서 혼합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P.A.R.E 수업 모형과 학문 기반 수업 모델을 기초로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 평가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과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을 하였다. 학습자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사고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성찰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평가를 통해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운영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 지역사회, 학습자에게 상호 호혜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해 교육의 목표와 운영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지역기관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비스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만족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에 대한 학습자 평과 결과는 사후 평균값이 모두 상승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강의 전반에 대한 경험을 다빈도어로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학습자는 언어적, 정의적, 서비스 측면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 걱정 등의 부정적인 감정도 기술하였다. 교수자는 자기성찰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교과목 개선을 위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결과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학습자의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 결과 사전보다 사후에 텍스트 읽기 속도가 빨라졌고 발음 오류가 줄면서 읽기 정확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학습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는 서비스러닝은 소중한 경험이며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했으며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등록을 후회하지 않았다. 다양한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믿으며 성취감을 느꼈다. 한국어 공부와 서비스러닝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좋아하고 계속하고 싶어 하였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서비스러닝 교과목 수강을 권하겠다고 하였다. 한편,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비스러닝의 변인인 ‘경력과 협동’과 개인 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은 하락하였는데 ‘경력과 협동’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에 기여하고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의 척도 평균 척도 값의 결과는 사전 4.09, 사후 4.19로 상승하여 ‘경력’에는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리더십이 강하다.’(사전 3.52, 사후 3.45), ‘조원과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사전 4.30, 사후 4.15)라는 문항에서 서비스러닝이 ‘리더십’, ‘협동적인 태도’의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 읽기’, ‘동화 읽기’가 개인 활동으로 진행되어 타인과 어울릴 기회가 적은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협동 학습을 신장할 수 있는 서비스러닝 활동을 고려하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러닝 활동을 수행하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문항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라는 문항은 사전 4.30에서 사후 4.17로 척도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라는 문항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 4.20에서 사후 4.17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는 대학에서 배운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신의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자기 효능감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시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서비스러닝 활동에 반영하여야 할 부분이다. 넷째, 학습자는 서비스러닝 활동으로 ‘시 읽기’, ‘동화책 읽기’, ‘한글 지도’ 활동 후 자기성찰을 통하여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 성찰지를 분석하며 학습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학업적 성장 과정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는 ‘시 읽기’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읽기 능력과 어휘가 확장되어 한국어 능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연습 과정 중 교수자와의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발음 오류, 문제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말하기를 더욱 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동화책 읽기 경험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떨린다’, ‘두렵고 겁이 난다’라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은 정서적으로 ‘동화책 읽기’가 매우 두렵고 도전적인 활동이었지만 학습에는 매우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활동 후 ‘만족감’,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동기’가 생겼고 서비스러닝의 의도를 이해한다고 하였다. ‘한글 지도’ 활동에서 학습자는 교수-학습 상황에 집중하며 최선을 다했는데 학습자는 한글 지도 활동은 기쁘고 즐거웠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한글 지도 활동을 통해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글을 잘 가르치기 위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심화하면서 한국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기술하였다. 학습자는 교실 내 학습의 수혜자에서 실행자의 역할을 하며 실제로 아는 지식과 봉사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해 나갔다. 1 차시 수업에서 4 차시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발표자, 지도자, 학습자의 관점에서 여러모로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는 잘 가르치기 위해 수업을 더 열심히 준비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는 고등학생이 한글을 습득하는 과정을 보며 동기가 부여되었다고 하였다. 학습자 자신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자신의 영향력을 인지하게 되었고 서비스 수혜자가 필요한 부분을 충족하려고 최선을 다하면서 시민의식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한국어’라는 외국어를 매개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글로벌 의식이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글 지도 경험은 미래의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훌륭한 경험이었고 기존에 해 왔던 학습의 고정 관념을 벗어나 학습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접근의 시도로 앞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더 수강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상 본 연구에서 미국 대학 현장의 한국어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설계와 운영, 평가의 방법과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서비스러닝 한국어는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학습 효과 중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력과 협동’과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이 하락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개선 방안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서비스러닝 활동 후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 성찰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서비스러닝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디지털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가 무용예술에 미치는 영향

        유희주 경희대학교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15

        It is 1960s when media,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rminology was fully incorporated as art. This is the time art and science technology intersected actively and Herbert Marshall Mcluhan announced "Media is Message", media-centred thought in his book, "Understanding Media" in 1962 and caused controversy. Therefore, this paper set critical mind on how the change of cyber environment in dance art influences communication channels,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f dance and audience and their understanding process proceeds. Dance art as performance art is based on audience. The audience in dance art is the independent factor which enables performance as well as objective factor accepting works of dance. Transform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late 20 century has totally changed relation with audience in the performance, and the possibility inherent in new web environment, artists and audiences has provided challenges beyond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e paper is as below. First, to consider the aspect of dance cre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nged in digital era, Second, to consider change structure in the objective aspect of aud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rtists and audience, Third, to provide composition about change of educational aspect of dance, Fourth, to provide diagnosis and the device influence of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digital era on dance market activation. The methodology of the paper is as below. First, I studied documents based on the study of media aesthetics related with environmental change of communication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 of internet and the theoretical study on communication process which have studied path of production and reception of art. Second, through this document study, I considered change of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social change as well as theoretical basis recognition about internet environment, also I studied theoretical concept about identity and method of online communication. In order to analyze present condition of art environment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 of internet, the research of the paper was conducted as below. First, I analyzed the status that consumers participate in TV drama through internet environment. Second, I analyzed the status that consumers participate in movies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Third, I analyzed various cases consumers participate in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these analyses. Through this analysis, I deduc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audience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online. First, I presente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omposition of dance and audience. Second, I present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ach generation of dance artists on online communication. Third, I presented characteristics that artists, critics and audiences could perform discussion process in community based on anonym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per presents future direction of dance in digital era as below. First, I present how artist should proceed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creation through alte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I present criteria for dance interpretation and attitude of audience necessary for discussion and so on. Third, I present required factors in artist attitude and creation education of art through environmental change of online communication. Based on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bout environmental change of online communication, the paper presents future direction of dance. First, circular creation direction to induce artistic activities reflecting developed public cod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consumers need to have remove prejudice and exclusive communication and have positive attitudes participating active understanding. Third, instructional design centred in dance enjoyer, activation of in-service training and co-writer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re needed. Fourth, systemic construction for activation of dance market, public relations for publicity and methodology to induce understanding are required. Changed environments are needed in order to induce positive results that art in digital era proceed for future direction. First, dance performers should approach audiences, that is consumers, in communication with open mind. Second, dance performers need to have active understanding toward digital media. Third, artists(producers) and audiences(consumers) need to meet in online environment in the onl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digital era. Fourth, audiences have to participate in affirmative and development- oriented dance communication through accurate understanding so that right dance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ra will be fostered.

      • 지역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독립서점과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 연구 : 2018~2019년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북큐레이션《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를 중심으로

        최연실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alization of regional publicness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through a case study of book curation in public librarie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independent bookstore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case of cooperation with Jeju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called <Recommended by Neighborhood Bookstore>, which was held at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there is an active discourse on book curation, which selects and displays books after giving them a value. In this thesis, the concept and publicness of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book culture ecosystem was investigated. And the concept and cases of book curation were reviewed. After that,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our independent bookstores that participated in the <Neighborhood Bookstore Recommended> book curation case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ness theory. First, in terms of ‘region and relationship’,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independent bookstores, and users were discussed. And the independent bookstore hosts various gatherings and shows that it realizes publicness in that it functions as a community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Second, in terms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book curation is not just a book exhibition, but a public forum where people can discuss and participate in topics and engage in more discourse.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the book curation of an independent bookstore into the library is that it can acquire diversity and can show publicness as a window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ird, in terms of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I examined the reasons why bookstore representatives start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choice of customers who use independent bookstores. For a book culture ecosystem where publishers, bookstores, libraries, and readers coexist, solidarity among members of society is necessary. In addition, as policy support in the public domain,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t the full price for the case of library supply by bookstores. This will help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bookstores and serve as a basis for realizing publicness that is not dominated in economic logic. In this thesis, we focused on the cooperative book curation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Recommended by Neighborhood Bookstore> and discuss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limited to cases in the Jeju area,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a material for book cur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s exchange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re increasing.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서점과 협력하여 진행된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지역적 공공성의 실현을 논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에서 2019년에 걸쳐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된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라는 제주 지역 독립서점과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정보 과잉의 시대 속에서 가치를 부여한 뒤 도서를 선별하여 전시하는 북큐레이션에 대한 담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독립서점의 개념과 공공성에 대해 살펴보고,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와 책문화생태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북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됐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의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북큐레이션 사례를 공공성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관계’의 측면에서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네트워크 구축과 도서관·독립서점·이용자들의 관계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독립서점이 다양한 모임을 주최하며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공공성을 실현함을 보였다. 둘째, ‘공감과 소통’ 측면에서는 북큐레이션은 단순한 도서 전시가 아닌,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참여하며, 더 많은 담론으로 나갈 수 있는 공론장이라고 보았다. 독립서점의 북큐레이션을 도서관 내에 도입하는 것의 장점은 다양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공감과 소통의 창구로서 공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연대와 책임’ 측면에서 서점의 대표들이 독립서점을 시작하는 이유와 독립서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선택을 살펴보았다. 출판사와 서점, 도서관, 독자가 공존하는 책문화생태계가 지속되려면, 사회구성원들의 연대가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서점의 도서관 납품 건에 대해 정가로 구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독립서점의 존속을 돕고, 경제적 논리에 함몰되지 않는 공공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협력 북큐레이션에 주목하여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에서의 연계하는 것의 의미를 공공성의 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례로 제한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나, 공공도서관과 독립서점의 교류가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북큐레이션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