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무현 이명박 정부의 언론관, 홍보 방식 및 언론 정책에 관한 연구 : 언론인들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배성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제 1 절 연구결과와 해석 1. 두 정부의 언론관에 대한 평가 차이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론관과 관련된 6개의 변인(문항)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불신감과 피해의식, 통제성향, 적대성향 등 4개 변인 모두에서 평균 값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언론인들은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언론에 대한 불신감과 피해의식, 통제성향, 적대성향을 더 보였다고 평가한 것이다. 이명박 정부도 불신감을 제외하면 피해의식, 통제성향, 적대의식이 모두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왔지만, 노무현 정부가 4개 문항 모두에서 ‘상당히 그렇다’(약간과 매우의 중간)는 평가를 받은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이다. 언론에 대한 파트너 의식 측면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된 데 반해 노무현 정부는 ‘파트너 의식이 별로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또한 노무현 정부가 부정적 언론관을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위의 다섯 가지 변인을 종합하면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더 부정적 언론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가설 1>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언론을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성향에선 이명박 정부가 노무현 정부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한편 6개 변인 중 ‘부정적 언론관’ 관련이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이중 불신감과 피해의식, 통제성향, 적대성향, 불신감, 파트너 의식(리코드) 등 5개 문항이 하나의 요인(부정적 언론관)으로 묶였다. 이 요인을 기준으로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 대한 언론인들의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본 결과, 높은 유의도 수준(p<0.01)에서 두 정부의 언론관에 대한 평가는 차이가 있으며,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더 부정적인 언론관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기술적 통계 분석과 요인분석, t검증 등 결과에 따라 채택할 수 있다. 즉 언론인들은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 보다 더 부정적인 언론관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는 2장 이론·문헌적 고찰에서 살펴본 결과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노무현 정부는 출범 초부터 ‘언론과의 건강한 긴장관계’와 ‘언론개혁’을 중요한 국정과제로 내세웠고, 언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는 발언과 행동을 계속했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프레스 프렌들리’를 모토로 내세워 언론과 관계개선을 도모했다. 이와 함께 언론에 대한 시장경쟁원리 도입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등을 강조하는 등 경제적 측면을 중시하는 언론관을 보였다. 2. 두 정부의 홍보방식에 대한 평가 차이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홍보방식과 관련된 9개의 변인(문항)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비판·폄하, 감정호소, 낙인찍기, 편 가르기, 법적압박, 직접홍보, 전략홍보 등 7개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 보다 상대방을 비판·폄하하거나, 낙인찍기와 편 가르기 수법을 더 자주 쓰는 편이며, 법적인 압박수단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평가됐다는 의미다. 또 기존 언론매체 보다는 정부매체를 통해 직접 대국민 홍보를 하려 하며, 전략적 홍보에 나서는 성향이 더 강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이다. 한편 실적홍보와 경제압박 등 2개 변인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유의한 수준에서 노무현 정부에 비해 높았다. 이명박 정부는 정치·이념적 측면 보다는 실적과 정책을 앞세우는 포지티브 전략을 쓰거나, 경제적 압박수단을 사용하는 경향이 노무현 정부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다. 9개 변인 중 네거티브 홍보방식과 직접 관련이 있는 비판·폄하, 낙인찍기, 편 가르기 등 3개 변인에서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 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가 더 네거티브 홍보방식을 많이 쓴 것으로 평가된 것이다. 비판·폄하와 낙인찍기, 편가르기 변인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명박 정부도 비판·폄하와 낙인찍기, 편가르기 성향이 조금 있는 것으로 평가됐지만, 정도는 ‘보통’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다. 반면 포지티브 홍보방식과 관련이 있는 실적홍보 변인에서는 p<0.01 수준에서 이명박 정부가 노무현 정부에 비해 더 실적 중심의 홍보를 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거꾸로 노무현 정부가 포지티브 홍보를 덜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네거티브와 관련된 3개 변인과 포지티브 관련 1개 변인을 종합할 때 <가설 2>는 채택될 수 있다. 즉 언론인들은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에 비해 네거티브 홍보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는 제2장 문헌적 고찰에서 제시한 내용과 대부분 일치한다. 노무현 정부는 야당이나 언론 등 정치적 경쟁자에 대한 공격과 낙인찍기, 편 가르기 행태를 보였고, 정치적·이념적 이슈에 대한 논쟁을 정치적 동력으로 삼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네거티브 공방이나 정치적·이념적 논쟁 보다는 경제정책과 실적 등을 앞세우는

      • 기업홍보담당자들의 포털뉴스에 대한 인식 연구 : 위기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유주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analyzed how industry PR managers perceive portal news sites that have brought changes to the press and news consumer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functions of portal news sites or the formation of media and public opinion in respect to them,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perceptions of industry PR professionals at a practical level. Industry PR managers have primarily focused on press media, and so it was hypothesized that their preparations and responses to the recent shift to portal news sites would be weak. Furthermore, with the inclusion of portals to the 2009 revised press arbitration law,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s in current developments such as the responsibilities of newly-emerged portal news and the responses of the industries was thought to be a timely topic for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PR managers, while regarding the portal sites influencing the opinions of consumers as duly important, mostly held negative views of portals. It was revealed, for example, that in the case of misreporting of a story, it was feared that difficulties could stem from the negative public opinion generated by portal news sites while the story was being revised or rescinded. This is an area in which industries are in need of correction and directional development. Plans for dealing with portal news sites are now in the construction stages, and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at the practical level. While comparing different cases presented by the PR managers interviewed, the study noted the necessity for portal news sites to realize their social obligations and to institute measures for preventing the reoccurrence of problems. While other sites possess systems for easy identification by consumers of potential legal issues, such systems have yet to be fully adopted by portal news sites. Results also showed that PR managers damaged by the wrong information will likely have difficulty formulating measures in the future as a professional stratum. Many difficulties were noted by editors of portal news sites in terms of industry identity and brand management, and solutions to such problems are sorely needed. To sum up the above, consumers are prone to mistaken information that can impact company identity and stir up negative opinion, resulting in chaos among the press, news consumers and the industries. This has caused industry PR managers to hold dim views of news portal sites. Such needs to be a focus of attention and ideas for problem-solving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언론과 뉴스 소비자들의 생태계를 변화시킨 포털 뉴스에 대한 기업 홍보담당자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이는 그 동안 포털 뉴스의 기능, 미디어와 여론 형성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의 연장으로 기업 홍보담당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인식을 중심으로 진행한 것이다. 그 동안 기업들의 홍보활동은 언론사가 중심이었으나 뉴스의 중심이 포털로 이동하면서 이에 대한 대처와 준비가 미약할 것이라는 가정을 했다. 또한 2009년 개정된 언론 중재법에 포털이 포함 되면서 여론 출발점인 된 포털 뉴스의 책임과 각 기업의 대응 등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할 때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홍보담당자들은 소비자 여론의 시작점이 되고 있는 포털 뉴스에 대한 중요도와 인식은 높은 편이었지만, 부정적인 시각이 대부분이었다. 잘못된 정보가 보도되면 해당 사안을 정정하는 사이 포털뉴스에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만들어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시정과 발전적인 방향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포털 뉴스에 대처하는 방안은 이제 기초단계에서 준비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진행 기간 동안 각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다른 사례와 비교하며 포털 뉴스의 사회적 책무와 재발방지책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다른 콘텐츠에는 소비자가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만 포털 뉴스에서는 이것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잘못된 정보로 피해를 입은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향후 조치의 어려움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포털뉴스의 편집이 기업 정체성과 브랜드 관리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포털뉴스에서 소비자들은 기업 정체성과 부정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언론과 뉴스 소비자, 기업 모두에게 혼란을 일으켜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과 노력이 필요하다.

      •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의 상충과 조화에 관한 연구 : 언론인과 미디어수용자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윤상호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올해 3월26일 서해상에서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건은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취재보도의 자유와 국가기밀 보호를 둘러싼 갈등과 조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됐다. 사건 발생 50여일 뒤 정부의 민군 합동조사단은 천안함이 북한잠수정의 어뢰 기습공격을 받고 침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정부와 군 당국이 사건 관련 정보를 최대한 공개해 국민의 알권리와 취재보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과 국가안보를 감안해 국가기밀이 포함된 자료는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했다. 한편에선 정부와 군 당국이 기밀주의로 일관해 사건에 대한 의혹과 유언비어를 부추기고 국민적 신뢰를 떨어뜨렸다는 비판이 제기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선 아군의 군사기밀이 언론 등에 무분별하게 공개돼 국가안보에 해가 됐다는 반박이 제기됐다.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취재보도의 자유와 국가기밀의 보호는 자유 민주주의 체제 유지와 국가존립에 필수적인 핵심 가치들이다. 때문에 이들 가치들의 바람직한 균형과 조화를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 뿐만 아니라 실증적 연구 작업은 국민의 기본권과 국가사회의 발전이라는 공익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본 논문은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국가안보와 국가기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국가기밀의 취재보도’, ‘국가기밀의 판단 주체’, ‘국가기밀의 위법성과 관리’ 등 주요 문제들에 대한 언론인과 미디어수용자의 인식을 조사한 뒤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접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전체 28개 변인(문항)에 대한 언론인과 미디어수용자의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드러난 변인은 22개였고, 나머지 6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내용은 언론인은 국가안보가 국민의 알권리를 제약하는 한편 현재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과도한 기밀보호와 관련 법규로 국민의 알권리와 취재보도의 자유를 제한하는 만큼 국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선 국가기밀도 보도를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는 인식이 많았다. 반면 미디어수용자는 국가안보를 고려한 국민의 알권리의 제약 필요성을 언론인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한편 국가기밀의 요건과 범위, 보호 문제에 있어서도 언론인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또 미디어수용자들은 언론이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국가기밀을 취재 보도할 경우 국가안보와 국익을 고려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관련법규도 준수해야 한다는 인식이 언론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태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언론인의 경우 근무경력에 따라 2개 변인(문항), 직급에 따라 5개 변인, 소속 매체에 따라 5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미디어수용자의 경우 성별에 따라 8개 변인, 연령에 따라 11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국가안보와 국가기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국가기밀의 취재보도와 관련된 21개 변인에 대해 조사대상자들의 인식이 어떤 공통 요인으로 묶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언론인은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기밀’, ‘국가기밀의 공개 및 보도와 규제’, ‘국가기밀의 보도 문제’, ‘기밀취재보도의 언론법제윤리’ 등 4개 요인이 추출됐다. 미디어수용자는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기밀‘, ’국가기밀의 공개 및 보도와 국익’, ‘국가기밀과 국가안보’, ‘기밀취재보도의 언론법제윤리’ 등 4개 요인이 추출됐다. 결론적으로 언론인은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의 상충과 조화와 관련된 제반 문제를 바라보는데 있어서 안보적 측면보다 정부의 비밀주의 극복과 취재보도의 자유의 보장 및 확대가 더 중요하고 시급하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그러나 미디어수용자들은 동일한 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남북 군사대치 등 한반도 안보상황에 바탕을 둔 국가안보적 요소를 언론인보다 더 깊이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취재보도의 자유와 국가기밀의 보호 는 기본적으로 충돌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국가의 존립번영 등 공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든 주체들은 상충되는 가치들의 조화와 균형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 해선 안될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 취재보도의 자유와 국가기밀의 보호에 대한 언론인과 미디어수용자의 인식의 간극을 좁히고 접점을 찾기 위한 토론과 연구가 앞으로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한다. The sinking of the South Korean Navy frigate Cheonan on 26, March in west sea was the momentum of thinking seriously on the collision and harmony between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freedom of press and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ret. 50 days after the sinking incident, the governmental joint research group made a public statement that Navy frigate Cheonan was sank by the torpedo attack of North Korea's submarine. In this process, there was conflicts between two controversial opinions. one is that the government and military authorities should open informations related with the incident as much as possible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freedom of the press. The other is that the information including national secrets should be protected for the national security. One side criticized that many suspicions and rumors of the incident were instigated by the cover up of the government and military authorities. However, the other side refuted that there were serious harm to the national security because of indiscreet release including news reporting on military secrets.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ret are key values for the liberal democracy and the existence of the nation. Therefore, not only the legal positive study but also the empirical positive study on the balance and harmony among those values have contributed to maximize the basic human righ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s part of that, this thesis researche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journalists and media consumers on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ecret, the news reporting of the national secret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 main agent of the judgement on the national secret, the illegality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secret. This thesis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ried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of those results. At first, through the survey consists of 28 questions(variables), there were 22 variables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between journalists and media consumers. The rest 6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Journalists tend to consider the national security as the constraint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y tend to think that the government restricted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freedom of the press by excessive secret's protection and related laws for the reason of the national security. They also tend to think that the national secrecy can be reported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However, The media consumers think much more positively than journalists on the need of restriction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considering the national security. And they showed discreet attitude on the requirement and limit of the national secret,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secret. They also think much more than journalists that the press should abide by related laws and consider the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 in the procedure on the news reporting of national secre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and media consumers by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case of journalist's percep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2 variables by their own length of service. There were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5 variables by their post, another 5 variables by the media which they were belonged. In case of media consumer's perceptions,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8 variables by the sex, in 11 variables by the age. This study performed Factor analysis to find common factor among the perceptions of 21 variables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ecret, the news reporting of national secret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In case of journalists, 4 common factors were found. These ar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ret, the open to the public and news reporting of the national secret and related regulation. the legal system and ethics of news reporting of national secret. There were also 4 common factors found in case of media consumers.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ret, the open to the public and news reporting of the national secret and the national interest, the national secret and national security, the legal system and ethics of news reporting of the national secret. In conclusion, journalists think more seriously than media consumers that the overcome of government secret policy, the guarantee of the freedom of the pres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national security to maximized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interests. However, media consumers think more seriously than journalists that the related factors with the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ecre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news reporting for the national interests. In democratic society, there has been the collision basically between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betwee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secret. But every agents of our society should try to find the harmony and balance among conflicting values to maximize the public interest including the guarantee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prosperity of the nation. As part of that, it's necessary to do more discussion and study actively to narrow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between journalists and media consumers on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ret.

      • 한국전쟁에 대한 언론담론 연구 : 중앙 5개 일간지 사설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장혜원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2017년은 한국전쟁 발발 67주년 되는 해다. 그 과정에서 전쟁을 경험이 아닌 지식으로 이해한 전쟁 미 체험 세대가 전체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게 됐다. 따라서 이들 세대에게 한국전쟁에 관한 언론의 시각이나 논조는 인식과 판단의 중요한 준거 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후 즉,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언론이 강조한 한국전쟁에 관한 관점과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한국 언론을 대표하는 5개 중앙일간지를 대상으로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언론은 어떤 주제를 통한 입장과 논조를 펼쳐왔는지를 사설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1980년부터 2016년까지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한국전쟁관련 197개 사설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설의 게제 건수를 비교한 결과, 조선일보 26.4%(52건), 중앙일보 19.8%(48건), 경향신문 21.3%(42건)과 한겨레신문의 15.2%(30건), 동아일보 12.7%(25건)의 순이었으며 집권정부가 보수정부냐 진보정부냐에 따라 보수지와 진보지 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한편 한국전쟁관련 사설에 동원된 언론의 주요 프레임은 총 7개로 나타났는데 진상규명 및 보상 프레임, 전후 세대 우려 프레임, 전쟁책임 프레임, 회고 및 통일지향 프레임, 정책비판 프레임, 보은프레임, 동맹 강화 프레임 등이며 등장 횟수를 기준할 때 진상규명 및 보상 프레임, 전후 세대 우려 프레임, 전쟁책임 프레임, 회고 및 통일지향 프레임이 전체의 79.7%(157건)을 차지해 이들 네 가지 프레임이 핵심 프레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June 25. 1950, The North Korean forces invaded South Korea. The Korean War started on this day. It has been 67 years since the Korean War. In the process, absolute majority of the whole population did not experience the war. They learn the war through knowledge. Therefore, perspectives or opinions of the press related to the Korean War may be an important frame for the recognition and judgment of those generation on the wa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the Korean War that Korean media have emphasized after the Korean War, that is, from 1980s to the present. With five daily newspapers that represent the media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 frame of the newspapers on their editorials to find out the opinions and perspectives of the media on a certain topic related to the Korean War. The subjects were 197 editorials related to the Korean War, written by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 Shinmun from 1980 to 2016.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frequency of posting in the editorial related to the Korean War, Chosun Ilbo (26.4%, 52 times), Joongang Ilbo (19.8%, 48 times), Kyunghyang Shinmun (21.3%, 42 times), Hankyore Shinmun (15.2%, 30 times), and DongA Ilbo (12.7%, 25 times) are ranked in that order. There was difference in posting frequency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gime is conservative or progressive. Meanwhile, major frames of media applied in editorials related to the Korean War were shown seven in total, which are the truth investigation and compensation; concerning on post-war generation; clarification of the attribution to the war; reflection & unification-orientation; policy criticism; repaying the gratitude; and strengthening alliance. In terms of frequency of mentioning the frame, truth investigation and compensation, concerning on post-war generation, and reflection & unification-orientation took 79.7%(157 cases) of the whole editorial, which means that the above four are the main frames.

      • 국산무기 홍보방안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 : T-50 수출 활성화를 위한 호가도 증진 방안을 중심으로

        남정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산화 무기체계 수출 활성화를 위한 홍보증진 방안을 알아보고 홍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을 분석하여 방위산업 분야의 현실과 기존연구를 정리하였다. 이제는 세계적인 주요 무기수출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술과 능력에 대한 범국가적인 홍보와, 대내·외 호감도 증진과 홍보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다. 특히 T-50 고등 군사 훈련기는 국내에서 개발한 많은 무기체계 중 첨단의 기술력과 높은 경제적 효과가 나타나며, 우리나라 정부 부처와 개발업체에서 가장 수출에 힘을 쏟고 는 명품 무기체계로서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집중 분석하였다. 연구의 신뢰성 확보와 객관성 있는 홍보전략 수립을 위하여 국방과 방위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을 선정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6명의 전문가는 방위사업청과 T-50 제작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 근무하는 전투기 조종사, 국외무기 구매 경험자, 무기체계 후속군수지원 경험자, 수출과 홍보, 마케팅 분야 경험자 중 10년 이상 근무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산무기의 홍보증진 방안에 대하여 사전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10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장기적인 홍보 방안보다는 당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부 고위관계자 방한, 에어쇼 개최 등 직접적인 홍보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또한 국산무기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은 그룹별 다소 차이가 있었다. 조종사, 항공기 도입․정비 사업관리, 항공기 개발업체별 근무 경험에 따른 인식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국산무기 홍보에 대한 인식은 좋아지고 있다는 의견이다. T-50 고등 군사 훈련기의 수출 성과는 고가, 첨단 방산 제품의 수출을 위해 정부 간의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정부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를 새삼 느끼게 해준 사례였다. 그리고 장기적인 홍보를 위해서 T-50 고등 군사훈련기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금번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실시한 국산무기 홍보방안에 대한 전문가인식 연구가 향후 학술적 연구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s for the Publicity of Domestically Produce Weapon Systems - Enhancing the perception to revitalize T-50 export - This paper is a compilation of existing research in the defense industry field concerning efforts to revitalize exports of domestically produced weapons systems. With the Republic of Korea's rise as a key weapons exporter, it has become necessary to actively publicize Korea's technology and capability, creating an increasing interest in enhanc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ception as well as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efforts. I have chosen and focused my analysis on the T-50 Advanced Trainer as a test case, as it is a domestic weapons system that represents massive technological prowess and economic benefit, and is also the system that the government and developer are expending the most resources in order to export. I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the defense and defense industry field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this paper and develop a objective plan for publicity. The 12 experts included fighter pilots, individuals experienced in weapons systems introduction projects, individuals experienced in weapons systems maintenance projects, defense personnel working in public relations, and other individual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Administration, or the individual services. Although I used the expert opinions as a referenc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perception through phased action plans for weapons systems development, most were more favorable towards public relations initiatives with more immediate results, such as high-level government visits and Air Shows, rather than more long-term plans. The progression of the T-50 export project has confirmed that inter-governmental trus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xport of high-cost, cutting-edge defense industry products, and displayed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role in these projects.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for long-term plans to enhance perception, and I hope that this case study will be a basis for further academic research.

      •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본 언론의 공정성 연구 : 기독교 윤리학자 라인홀드 니버를 중심으로

        김규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언론공정성 개념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이다. 그 언론공정성에 대한 기준은 기독교 윤리이며, 라인홀드 니버의 신학적 내용을 중심으로 비평한 것이다 이것을 위해 언론의 공정성 논의에 대한 학문적 기초 개념을 파악하였다. 철학적 논의에서 중용의 의미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모든 경쟁적인 관점을 유효하게 처리하는 것이고, 사건과 일에 나타난 각 대상들의 주장과 내용을 적절하고 공평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또 동등한 것은 동등한 것으로, 차등한 것은 차등한 정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차등 취급하며, 그 모두를 편파성이 없이 처리하는 것이다. 또 현재 많은 논의가 되는 언론의 공정성 개념은 객관성, 사실성, 불편부당성이 중심이다. 그것은 객관적 편견 없이 사실을 왜곡하지 않고 존재하는 그대로의 사실을 정확하게 보도한다는 것이며, 사실성은 진실성과 적합성(적절성)으로 구분하고, 불편부당성은 중립성과 균형성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공정성에 대한 기독교적 내용에서 먼저, 성서에 나타난 공정성은 다음과 같다. 공정성의 근원은 하나님과 계약(율법)이다. 공정성 방해 원인은 인간의 죄와 타락이고 사회적은 불공정 현장에서 선지자들은 공정성 회복 촉구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공정성 실현이 나타났다. 이것을 배경으로 라인홀드 니버의 공정성 개념은 다음과 같다. 라인홀드 니버는 사랑과 정의를 도덕적 개념으로 적용시킨다. 사랑은 하나님의 본질이다. 기독교의 사랑은 십자가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하며, 희생적이며 무조건적이고 자기를 내어 주는 철저한 사랑이다. 라인홀드 니버의 윤리적 구조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아가페 사랑은 역사 안에서 다시 실현될 수 없다. 그러나 역사 안에서 상대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는 변증법적 관계에 있다. 라인홀드 니버는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 사랑을 ‘정의’라고 말하며,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서 어느 정도 실현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곧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 현실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 정의이고 공정성이다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언론공정성 개념을 분석하고 파악하기 위해 언론공정성과 관련된 31개의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의 주요내용은 언론 공정성의 개념 정의, 언론 공정성 비례 관계, 언론 공정성에 대한 영향력, 언론 공정성에 대한 방해에 관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된 설문을 분석하기 위해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유의도 검증을 위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인구사회학적 변인 가운데 집단별로의 평균분석, 언론공정성과 비례하는 변인과 언론공정성에 끼치는 영향력의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 공정성 개념의 데이터 축소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공정성의 다과(多寡)에 비례하는 변인을 통해 공정성 개념의 관계와 영향력, 그리고 공정성을 방해하는 변인과 공정성개념의 관계 및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독교인들이 소유한 언론 공정성 개념의 특성은 객관적, 중립적, 합리적인 자세를 언론의 공정성에 대한 주요 개념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약자보호’, ‘최대다수의 이익보호’에 대한 것과 ‘개인 이익추구’, ‘이익집단이익 추구’, ‘지역사회 이익추구’, ‘국가이익추구’를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며, 성서와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윤리에 나타난 공정성 판단의 중심인 약자에 대한 사랑과 보호는 공정성에 판단에 있어서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산업과 기술의 발달, 교육여건의 변화, 종교적인 활동 정도, 언론인· 언론매체의 수적인 증가가 언론의 공정성에 긍정인 영향을 주지 않는 다고 판단을 하였다. 이것은 정의 실현에 정치와 조정이 필요하고, 자율성과 진보의 개념은 정의의 근원이 되지 못한다는 라인홀드 니버의 견해와 유사한 것이다.

      •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최윤정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역축제 즉,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고용 창출은 물론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그 지역만의 특별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효과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 사회·경제·문화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들 문화관광축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온라인 홍보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급격한 발달로 온라인 미디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용자가 증가하는 환경 아래서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발전 방안은 무엇인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난 10년간 최우수내지 우수축제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36개이며, 이들 축제의 공식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의 운영 실태가 1차 분석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온라인 홍보 실태 조사를 위해 각 온라인 홍보채널을 직접 방문 조사하고, 홈페이지의 운용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 유목을 적용하여 양적인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모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홈페이지를 온라인 홍보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홈페이지의 운용 정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한 결과, 먼저 타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축제 공식 홈페이지로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보는 접근성은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중 50% 이상이 타 기관 홈페이지 4곳 이상에서 접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즉 정보의 양, 최신성, 필수·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분석한 결과,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보의 양은 축제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 이미지(사진)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최신 정보와 필수·부가 정보 제공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홍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상호작용성의 경우 단순 상호작용 공간 구축은 잘 되어 있었으나 실제 답변이 요구되는 게시판과 Q&A/FAQ 공간은 분석 대상의 50%만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게시판과 Q&A/FAQ 모두 그 공간에 게재된 모든 글에 답변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요약하면 모든 축제가 형태상으로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온라인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실제 운용성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상호작용성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새로운 온라인 홍보 통로로 많이 논의되는 SNS의 경우에는 분석 대상 축제 36개 중 14개 즉, 39%가 활용 중이었으며, SNS 유형 중 페이스북 활용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트위터의 순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이용자 수가 적어 아직 축제의 SNS를 활용한 홍보는 초기 단계의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실제 축제의 온라인 홍보를 담당하거나 이와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한 결과, 그 문제점으로 오프라인 시대의 홍보시스템 존속, 온라인 홍보를 위한 전문 인력 부재, 그리고 SNS 특성과 기능에 대한 담당자들의 낮은 이해 등을 들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맞는 홍보시스템 도입 및 구축, 온라인 홍보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 홍보 기간 재설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온라인 홍보에 적극적인 축제들을 사례 분석한 결과에서도 다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앞으로 디지털 환경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 변화를 반영하는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는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홈페이지 중심의 단순한 온라인 홍보보다는 SNS까지 홍보의 범위를 넓히되, 형식상 도입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 온라인 매체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홍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 전환과 투자가 요구된다.

      • 한국 언론의 신뢰도 향상 요인에 대한 연구 : AHP 분석을 중심으로

        문준식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언론을 신뢰하지 않고, 뉴스도 믿지 않는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의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발표한 언론 신뢰도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매년 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언론의 신뢰도 위기는 이미 1990년부터 시작되어 장기적으로 진행된 매우 역사적이고 구조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언론 신뢰도 회복은 단순히 언론이 극복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과제이자 시대적 과제다. 본 연구는 먼저 언론 문헌연구를 통해 신뢰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 신뢰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매핑 작업을 통해 신뢰도 향상 요인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언론 신뢰도 향상을 위한 주 기준요인 5개와 하부기준 23개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언론 신뢰도 향상 모델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 기준요인은 균형, 품질, 정직, 시기, 사회 등 5개 요인이며 이들 요인의 하부기준 요소는 균형의 경우 공정성, 편향성, 완결성, 사실과의 의견 분리, 객관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언론 신뢰도 향상의 주 요인인 정직과 시기의 하부기준은 정확성, 신빙성, 정직성, 사실성, 도덕성과 최신성, 현재성, 적시성 등으로 구성되었다. 사회 요인의 하부기준은 청중의 생각, 공익성, 수용자의 흥미 등이었고, 품질 요인의 하부기준은 기자의 전문성, 인격성, 개방성, 명확성, 선정성 등이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AHP(분석적 계층화 과정)기법을 활용한 심층설문 조사를 통해 모델 구성 요인들에 대한 현실 적합성과 중요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HP는 복수의 대안 중에서 가장 적합한 대안을 찾기 위해 개발된 분석방법으로 의사결정을 위해서 계층적으로 요인들을 모아두고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한다. 분석 결과, 언론인과 일반인 두 집단 모두 주 기준 요인으로 정직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언론인 집단에 비해 일반인들이 정직을 신뢰도 향상 요인으로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언론인의 경우 정직을 당연한 가치로 여기지만 일반인은 언론의 사명을 여기에 두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한편 하부기준에서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인들은 도덕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사실성, 적시성, 공익성, 정직성, 정확성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는 달리 일반인들은 뉴스의 사실성을 가장 중히 여기는 것으로 평가됐다. 그 다음은 정확성, 정직성, 공익성, 적시성, 도덕성 순으로 꼽았다. 요약하면 우선순위는 각각 달랐지만 두 집단 모두 정직의 하부기준인 사실성, 도덕성, 정확성을 언론 신뢰도 향상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일반인이 언론인들에 비해 뉴스의 사실성과 정확성, 정직성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역으로 현장의 언론인들에게는 이들 요인이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 좀 더 중점을 둬야 할 요소임을 의미한다. 나아가 허위 정보의 홍수 속에 사실 및 정확성을 뒤로한 채 단순히 선정적이고 수용자의 흥미만을 내세우는 뉴스들은 신뢰도 획복에 도움이 되지 못함을 말해준다. 아울러 기자들은 뉴스의 명확성을 가장 낮게 평가한 데 비해 일반인들은 기자의 전문성을 꼽아 대조를 이뤘다. There is a tendency to not trust the media and not trust the news throughout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media reliability index released by the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at Oxford University, Korea is not out of the lower level every year. This crisis in the credibility of the Korean media has already become a very historical and structural phenomenon that began in 1990 and has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Therefore, restoring media credibility is not simply a problem for the media to overcome, but a social task and a task of the times. This study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edia reliability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reliability improvement and to build a reliability improvement factor model through mapping work. As a result, five main factors and 23 sub-factors for improving media reliability were derived, and these were named as a media reliability improvement model. Specifically, the main factors are five factors: balance, quality, honesty, currency, and society, and the sub-factors of these factors were found to be fairness, bias, completeness, separation of opinions from facts, and objectivity in the case of balance.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honesty and currency, which are the main factors in improving media reliability, consisted of accuracy, credibility, honesty, reality, morality and up-to-date, presentness, and timeliness. The sub-factors of society factors were the audience's thoughts, public interest, and the audience's interest, and the sub-factors of quality factors are the journalist's professionalism, personality, openness, clarity, and selectivity. Furthermore, based on this,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reality suit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model components. AHP is an analysis method developed to find the most suitable alternative among multiple alternatives, and hierarchically collects factors for decision-making and prioritizes them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both the journalist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d honesty as the main facto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public evaluated honesty higher than journalists as a factor for improving reliability. This difference shows that journalists consider honesty a natural value, but the general public puts the mission of the media he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journalists who produce news at the sub-standard perceive morality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realism, timeliness, public interest, honesty, and accuracy in that order. On the contrary, it was evaluated that the general public places the most importance on the truthfulness of the news. It was followed by accuracy, honesty, public interest, timeliness, and morality in that order. In summary, although the priorities were different, both groups recognized reality, morality, and accuracy, which are the sub-standards of honesty, as key factors in improving media reliability.

      •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홍보 콘텐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해외 대학과 국내 대학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주승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SNS 확산과 모바일 환경 변화로 대학홍보 커뮤니케이션은 새로운 국면으로 진화하고 있다. 대학들은 구성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소통하기 위해 SNS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공유와 소통, 개방성의 특성이 있는 SNS를 통해 기존의 홍보 방식을 벗어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SNS는 구성원들의 캠퍼스 공동체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전략적인 활용이 중요하다. 수험생 홍보뿐만 아니라 재학생의 애교심과 응집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끈끈한 졸업생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SNS 중에서도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는 인스타그램에 주목해 대학들의 인스타그램 채널 운영 현황과 콘텐츠의 특성, 메시지 전략을 분석했다. 기업과는 달리 대학의 SNS 활용에 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대학이라는 특수한 기관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 인스타그램 콘텐츠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국내 대학뿐만 아니라 해외 대학평가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대학들의 활용현황과 특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대학들이 글로벌 시대에서 인스타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평가 상위 7개 대학과 해외 대학 평가 상위 7개 대학을 선정해 대학별로 업로드된 20개의 콘텐츠를 추려 총 280개의 콘텐츠를 내용 분석했다. 연구결과 국내 대학들의 경우 텍스트 결합이 없는 순수한 사진/그림보다는 텍스트를 합친 이미지가 많아 주로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해외 대학의 경우 사진과 텍스트가 결합한 이미지보다는 대부분 포토그래퍼들이 전문적으로 촬영한 사진만으로 구성된 게시물이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포스팅된 게시글의 형태는 국내 대학이 해외 대학보다 비공식적인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의 주제적 측면에서 국내 대학은 학교의 새로운 소식이나 행사 프로그램 안내 등 정보전달과 관련한 콘텐츠가 가장 많은 반면 해외 대학은 전반적인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더 많았다. 셋째, 메시지 전략 측면에서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 모두 이성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 메시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해외 대학의 사회적 영역 메시지 사용 비율이 국내 대학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용자 반응 측면에서 국내 대학의 경우 텍스트와 사진이 결합한 정보전달용 이미지보다는 텍스트가 없는 사진 자체의 이미지가 제시됐을 때 이용자들의 반응이 좀 더 활동적이었다. 게시물 텍스트 형식은 비공식적인 언어를 사용할 경우 더 반응이 좋았으며, 캠퍼스이벤트와 애교심과 관련한 주제에서 활발한 댓글 활동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시지 전략의 경우 이성적 영역보다는 감성적, 사회적 영역 등 의례적 관점일 경우 더 많은 좋아요와 댓글을 받았다. 반면 해외 대학은 캠퍼스이벤트, 학생성과, 학생단체 등 내용적 측면에서만 유의미하게 이용자들의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미지 형식, 게시글 형식, 메시지 전략의 차별화에 따라 이용자의 반응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콘텐츠의 내용분석뿐만 아니라 좋아요와 댓글 등 이용자의 반응 지표까지 함께 알아냈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이 어떠한 콘텐츠에 활동적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 콘텐츠에 따른 이용자의 반응을 구분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추후 진행될 실증연구에서 국내 및 해외별로 더 적합한 변인들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용자들의 반응을 높게 나타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미지의 경우 텍스트가 없는 사진 혹은 그림을 사용하고, 게시글의 형태는 비공식적 언어를 사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국내 많은 대학에서는 직접적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텍스트가 결합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용자들의 반응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는 텍스트를 입히지 않은 좋은 퀄리티의 사진/그림과 함게 비공식적 언어를 사용한 경우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단순히 학교의 공지사항이나 행사 등을 알리는 정보전달 콘텐츠보다는 인스타그램 운영 채널 자체를 브랜딩 한다는 개념으로 학교 전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주제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경우 이용자들의 반응을 끌어내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또 메시지 전략 측면에서도 정보전달적 관점의 이성적 영역 메시지 전략을 활용하는 것 보다는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주제를 구성할 경우 더 높은 반응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국가기관의 정정보도․ 반론보도 등 중재신청 청구와 언론자유에 관한 연구 : 현직 언론인들의 태도를 중심으로

        정충신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revious Roh Moo-hyun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Press Arbitration Law in 2005, which includes a clause on the government's authority to file a request for corrections or counterarguments on media reports. The liberal government, however, was subsequentlyaccused of overusing or abusing the authority as the clause actually allows alleged "victims" to submit a request for corrections even if media firms concerned neither have faults nor violate the laws. The media and academic circles expressed concern that the clause would seriouslyundermine the roles of the media as a watchdog on government affairs. It turned out to be the case. In a National Assembly audit in September 2008,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revealed that the Roh government had filed a request of arbitration on media reports 752 times. The figure represented about six times higher than 118 by the predecessor government of Kim Dae-jung, according to the commission. Critics said the Roh government was in such a big hurry to "reform" the media environment, so it pushed for the unsuccessfulmedia policy aimed at closing down most of the pressrooms at the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ccording to my recent survey of 154 journalists on service, most of the respondents attribute some journalists'poor qualifications to incorrect news reports. Many of those surveyed also believe poor media environment, such as low access to government officials and information; limitationsof time and space in news coverage; and an editing practice that focuses more on outlines than details are mainly attributable to false news reports, the written survey showed. This means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media environment regarding freer access to government information, editing practices and others should be made, along with efforts by journalists themselves to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and collect accurate information. The survey also suggested most journalists share the view that the Roh government overused its authority to file a request for counterarguments against media reports, which led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requests for arbitration. Besides journalists, most people in the media circle also think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quests for arbitration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Roh government's abuse of the Press Arbitration Law. Those surveyed said the main reason for the increase is the Roh administration's biased view toward the media and frequent troubles with media firms. Roh declared a "war with the media." Journalists think the Roh government's frequent requests for press arbitration restricted the media's roles of supervising and reporting irregularitiesof government agencies and those in power to an extent, as journalists felt burdensome with the government's harsh reac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In conclusion, journalists believe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should seek changes in its roles and status given the contradiction that the agency is funded by the governmentbut serves as a regulatory organization against private firms. The bottom line is that press freedom should be guaranteed to meet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help the media play its basic role as a watchdog against power as well. Media's roles of supervising and reporting irregularities of those in power have nothing to do with government changes. Keyword: the Press Arbitration Law,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press freedom, government power. 언론 취재현장을 뛰어다니면서 언론중재법상 정정보도 · 반론보도에 의한 언론 자유 침해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 계기가 있었다. 국방부를 출입하던 필자는 2007년 1월 육군 비무기체계사업단의 중대급 마일즈(MILES · 다중통합레이저교전장비) 사업 부실 의혹을 보도하면서 육군과 한바탕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육군 사업단은 국방일보라는 막강한 자체 홍보매체를 통해 필자의 보도를 반박하는 기사를 몇 일째 연재한 데 이어 언론중재위원회에 의한 정정보도와 형사고발을 하며 필자를 압박했다. 당시 기자생활의 최대 위기를 맞은 필자는 육군이라는 거대 조직과 맨몸으로 맞서야 하는 상황에 부딪혔다. 기자직을 내걸고 밤을 새며 국회와 업계, 각계 전문가들을 찾아다니며 사업 부실 의혹을 파헤쳤다. 결국 마일즈장비들이 국산 개발사업임에도 관련 업체가 국방부를 속인 채 미국의 도태 장비들을 들여오는 과정에서 원가를 부풀린 사실등이 드러났다. 필자는 이 탐사보도로 1년 남짓 소송에 시달리며 언론중재위와 검찰청을 드나들었다. 결과는 ‘무혐의’로 끝났다. 육군 사업단 관계자들은 국방부 감찰에 의해 각종 징계를 받았다. 이쯤에서 끝날 것 같던 사건의 파장이 더 커진 계기가 생겼다.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또다른 방산비리 제보를 받고 수사하던중 관련 업체가 60억원대의 원가 부풀리기 방식으로 부실 마일즈 장비를 육군에 공급했으며 해당 업체 책임자가 해외도피하는 사건으로 발전됐다. 공급장비 부실 의혹에서 더 나아가 국민 혈세가 낭비된 것이다. 하마터면 탈세를 통해 부실장비를 불법으로 공급한 업체가 중대급 마일즈 사업마저 맡아 또다시 수백억원의 국고가 축이 나고 국가안보에도 큰 구멍이 뚫릴 뻔한 아찔한 사건이었다. 개인적 탐사고발 기사경험을 길게 늘어놓은 것은 이것이 비단 필자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언론계 전체가 구조적으로 겪고있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싶었다. 필자가 탐사기획 취재로 인한 각종 소송으로 시달림을 받게 된 시기는 한국 언론사상 국가기관에 의한 중재신청 청구 건수가 최고조에 이르던 시기와 일치한다. 노무현정부 때인 2005년 언론중재법이 제정된뒤 ‘정정보도청구권’을 무기로 정정보도 반론보도가 국가기관에 의해 남발하게 된다. 이 정정보도청구권은 언론사의 고의 과실이나 위법성이 없더라도 피해자의 정정보도청구권을 인정해줘 피해자, 특히 국가기관이 반론권을 남발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다. 헌법재판소는 이 조항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언론학계에서는 이 정정보도청구권으로 인해 반론권이 남발되면서 의혹보도 제기등 정부에 대한 감시 고발 기능이 심각하게 제한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했다. 이같은 우려는 현실로 드러났다. 2008년 9월 국정감사에서 언론중재위는 노무현정부시절 정정보도 중재청구건수는 752건으로 김대중정부 시절의 118건에 비해 6배이상 늘어난 사실을 국회 국정감사 자료로 공개했다. 노무현정부 언론개혁과 언론정책에 대해서는 차분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여하튼 노무현정부 언론개혁이 추구한 합목적성이 무엇이든간에 언론자유를 침해하면서까지 그 목적을 성취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언론의 역사가 증언하고 있다. 한마디로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재임기간 언론개혁의 과업을 성취하려던 조급성은 결국 기자들이 원하지도 않은 ‘취재지원 선진화시스템’이라는 악수를 자초해 진보와 보수 언론 전체로부터 외면받게 된다. 앞서 언급한 ‘마일즈사업’ 수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노무현정부때 터진 이 방산비리 사건으로 이명박정부가 곤혹을 치르고 있다. 민주당에서 부실 마일즈를 공급한 업체 실제 소유주가 대통령의 사돈 기업인과 인척관계라는 이유로, 업체봐주기 수사라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알권리와 권력에 대한 감시, 고발이라는 언론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언론의 자유는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언론의 권력에 대한 감시 고발 기능은 정권의 교체와 무관하며 어떤 이유에서든 훼손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논문이 제대로 체계가 잡히도록 지도 편달을 아끼지 않으신 유일상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