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간호사의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영화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목적: 임상간호사의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G도 소재 G시, I시, H시의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에서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임 상경 력 6개월 이상 간호사 14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15일부터 10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업무성과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공감능력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1±0.36점, 비판적 사고성향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2±0.41점, 간호업무성과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85±0.5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은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F=6.49, p=.002), 성별(t=-2.61, p=.010), 최종학력(t=-3.32, p=.001), 총 임상경력(F=5.48, p=.001), 근무부서(F=7.34, p<.001), 근무형태(t=2.81, p=.006), 직위(t=4.28, p=.01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13.24, p<.001), 결혼상태(t=-2.18, p=.031), 최종학(t=-3.01, p=.003), 총 임상경력(F=9.32, p<.001), 근무부서(F=6.78, p=.002), 근무형태(t=3.16, p=.002), 직위(t=8.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8, p<.001)를 보였고, 공감능력과 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6.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는 공감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점취하기(r=.36, p<.001)와 공감적 관심(r=.25, p=.002)과는 양 의 상관관계를, 개인적 고통(r=-.23, p=.00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간호업무 성과는 비판적 사고성향 의 하위영역 중 지적통합(r=.53, p<.001), 객관성(r=.39, p<.001), 탐구성(r=.38, p<.001), 도전성(r=.34, p<.001), 신중성(r=.32, p<.001), 진실추구(r=.31, p<.001), 개방성(r=.29, p<.001)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결과, 총 임상경력이 5-10년 미만 (β=.29, p=.017)인 경우,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경우(β=.28, p<.001), 근무부서는 응급실과 중환자실(β=.18, p=.020)인 경우, 최종학력이 대학교 졸 이상인 경우(β=.18, p=.01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총 설명력은 41.2%였다(F=6.96, p<.001).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 라서 병원 내에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전문직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상급 교육을 지원하는 등 장기적인 간호인력 관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to nursing work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44 nurses with more than 6 months of clinical career at the general hospital with more than 100 beds and less than 300 beds in G, I, and H city in G-do.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4, 2021,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empathic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8.0 program.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empathic ability of the subjects was averaged 3.31±0.36 out of 5 points, the degre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averaged 3.32±0.41 out of 5 points, and the degree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averaged 3.85±0.52 out of 5 points.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ll variables (p≥.05). 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ge (F=6.49, p=.002), gender (t=-2.61, p=.010), education level (t=-3.32, p=.001), total clinical career (F=5.48, p=.001), department (F=7.34, p<.001), duty type (t=2.81, p=.006), and position (t=4.28, p=.01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Nursing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ge (F=13.24, p<.001), marital status (t=-2.18, p=.031), education level (t=-3.01, p=.003), total clinical career (F=9.32, p<.001), department (F=6.78, p=.002), duty type (t=3.16, p=.002), and position (t=8.33,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48, p<.001),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empathic ability. 6.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 showed positive correlated with perspective taking (r=.36, p<.001) and empathic concern (r=.25, p=.002),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distress (r=-.23, p=.005)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s showed intellectual integrity (r=.53, p<.001), objectivity (r=.39, p< .001), inquisitiveness (r=.38, p<.001), challenge (r=.34, p<.001), prudence (r=.32, p<.001), truth-seeking (r=.31, p<.001), open-mindness (r=.29,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at order. 7. As result of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total clinical career was less than 5 to 10 years (β=.29, p=.017),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8, p<.001), the department was the emergency room and the intensive care unit (β=.18, p=.020), and that the education level was more than a the university graduate (β=.18, p=.017) in that or- de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on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41.2% (F=6.96, p<.001). Conclusion and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a major factor affecting nursing work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long-term nursing staff management, such as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to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hospitals, and supporting advanced education to develop professional careers.

      • 위스타트 대상 아동의 위기도 영향요인

        김채운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위스타트 대상 아동의 위기도 영향요인 Risk Factors Affecting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in We Start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위스타트는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과 가족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역량 강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동의 위기도를 파악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 아동의 위기도 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위기도 수준에 맞는 맞춤형 보건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위기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례관리 및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위기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위스타트원주마을 관할 지역 만13세 이하 아동 288명이며 조사 도구는 사단법인 위스타트에서 개발한 가구정보조사지와 보건복지부에서 개발한 위기도 사정도구이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가정방문 및 위스타트를 방문한 양육자 상담을 통해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으로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기도의 차이에서는 가구의 일반적 특성으로 건강보험 가입형태, 가정형태, 주변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교육수준, 질환 유무이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출생순위, 몸무게-키 성장발달곡선, 문제경험으로 나타났다. 위기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영유아 일반적 특성으로는 양육자의 연령, 아동 연령, 월수입이며 취학아동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키-성장발달곡선, 학교적응상태, 학업성취도, 교우관계로 나타났다. 위기도 영향요인으로는 영유아의 경우 양육자 교육수준(β=.32, t=3.11, p=.002), 양육자 질환(β=.34, t=3.26, p=.002), 양육형태(β=.27, t=2.59, p=.012), 아동성별(β=.24, t=2.39, p=.020)로 나타났으며, 40%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학아동의 경우 학업성취도(β=.47, t=7.47, p<.001), 학교적응상태(β=.23, t=3.41, p=.001), 주변환경소음(β=.19, t=3.20, p=.002), 아동출생순위(β=-.13, t=-2.29, p=.023), 집단 따돌림(β=.14, t=-2.27, p=.024)으로 4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결과 위기도 영향요인으로는 영유아는 양육자 교육수준, 건강상태, 양육형태, 아동의 성별 등 가족 관련 변수가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취학아동은 학교생활과 관련된 외부환경 관련 변수가 유의한 예측 요인들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와 취학아동의 위기도 영향 요인을 기초로 효율적인 사례관리 접근 및 아동발달의 연속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적용해야할 것이다.

      •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김치의 품질 특성

        오지연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다양한 맛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곤드레로 양념을 만든 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에 미치는 영향과 품질을 분석하여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생 곤드레와 삶은 곤드레로 김치 양념을 만든 배추김치의 일반성분은 대체로 모든 부분에서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고, 예외적으로 조회분이 생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는 50배로 희석했을 때, 삶은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는 10배로 희석했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생균수와 유산균수, 대장균(군), 곰팡이, 효모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 위생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에 대한 항균 작용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의 항균효과가 약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장암 세포인 CHT-116 세포와 위암 세포인 ASG세포에서 모두 항암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분석 결과 일반 배추김치가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보다 칼륨 (K)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칼슘 (Ca), 나트륨 (Na), 마그네슘 (Mg)은 더 낮게 나타났다. 곤드레 첨가량을 달리한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일반성분은 수분, 조지방, 조섬유는 모든 시료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조회분, 총당, 식염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 배추김치는 20배로 희석했을 때, 곤드레 20%(w/w) 첨가한 양념의 배추김치는 30배로 희석했을 때, 곤드레 40%(w/w) 첨가한 양념의 배추김치는 1배일 때, 곤드레 50%(w/w) 첨가한 양념의 배추김치는 1배일 때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는 색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차이가 있고, 맛과 조직감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실험 결과 pH는 모든 시료가 첫날 비슷하게 나타났고, 이후 급격하게 감소했다가 10일 후부터는 완만한 형태를 나타냈다. 산도는 모든 시료가 첫날 비슷하게 나타났고, 10일 후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30일 후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고, 생균수와 유산균수는 첫날 증가하다가 10일, 15일 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판단된다. 염도를 달리한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일반성분은 수분은 모든 시료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고, 조회분과 식염은 염도 16%(w/w)인 곤드레 양념을 첨가한 배추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모든 시료애서 차이가 있었지만, 향, 조직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실험 결과 pH와 환원당은 모든 시료가 10일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완만한 형태를 나타냈다. 산도는 모든 시료가 20일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완만한 형태를 나타냈다. 생균수와 유산균수는 10일, 5일 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tastes and qualities of Kimchi, seasoning with Gondre was prepared and added to Kimchi to analyze the effect and quality on Kimchi to manufacture Kimchi with Gondre seasoning. The general ingredients of Kimchi added seasoning with raw Gondre and added seasoning with blanched Gond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almost all area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that of the Kimchi added seasoning with raw Gondre was 47.2%(w/w), and that of the Kimchi added seasoning with blanched Gondre was 39.0%(w/w). The numbers of viable cell and lactic acid bacteria, coli-form, mold and yeast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so it was judged to be hygienic. It was found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in pathogenic bacterials not detec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either CHT-116 cells, which are colon cancer cells, nor ASG cells, which are gastric cancer cells, exhibited anticancer activity. As a result of mineral analysis, potassium (K) was higher in Kimchi not added seasoning with Gondre than Kimchi added seasoning with Gondre, while calcium (Ca), sodium (Na), and magnesium (Mg) were lower. As for the general ingredients of Kimchi added seasonings with different amounts of Gondre, moisture, crude fat, and crude fiber showed almost no difference in all samples,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crude ash, total sugar, and Nac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when Kimchi not added seasoning with Gondre was 46.2%(w/w), when Kimchi added seasoning with 20%(w/w) Gondre was 31.6%(w/w), and When the Kimchi added seasoning with Gondre 40%(w/w) was 28.9%(w/w), the Kimchi added seasoning with 50%(w/w) Gondr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when it was 42.2%(w/w).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samples in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at 5%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aste and texture. As a result of the storage test, the pH of all samples was similar on the first day, then decreased sharply, and showed a gentle decrease after 10 days. The acidity of all samples was similar on the first day, and showed a sharp increase after 10 days and gradually increased until after 30 days. Reducing sugar showed a decreasing during storage time, and the number of viable cell and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after 10 days and 15 days, and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so it is judged hygienic. As for the general composition of Kimchi with Gondre seasoning manufactured with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moisture in all samples, and Kimchi added seasoning with Gondre in Nacl concentration of 16% (w/w). was the highest in crude content ash and Nacl.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different at 5% level in all sampl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mell and texture. As a result of the storage test, pH and reducing sugar tended to decrease until 10 days in all samples, and then showed a gentle decrease after 10 days. The acidity of all sampl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ntil day 20, and then showed a gentle increase. The number of viable and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0 days and 5 days, and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so it is judged hygienic.

      • 경관조명의 특성과 일반인 인식 : 서울시 강남역 가로를 중심으로

        송두석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With the increase in night activities in the city, interest in the night landscape is growing. Even if the law was enacted for the artificial lighting in Korea, problems about standards for legal regulation have been raised. In addition, when standards for regulation of artificial lighting were set, the users’ perception was not reflected. There are limitations in regulation for artificial lighting which we meet in the real world based on simply legal luminance. Thus, physical characteristic and general people’s perception of artificial lighting should be reflected for appropriate regula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lighting which is a major factor of night landscape. In this study, the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are measured from visual point of the pedestrian and general public perception includ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s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eople’s perception. A study site is located in Yeoksam-dong, Gangnam-gu Gangnam station around street. Gangnam station is a representatively commercial area in Seoul. It is a place in which various lighting conditions are made and the daily average floating population is the highest.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uminance, area and number of light source are measured on site with LMK Mobile device using fish-eye lens. For general public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users,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artificial lighting, landscape image preference are examined by using questionnaires. Extracted data and survey data are analyzed by using Excel and statistical program. Comparative analysis including average analysis in each group, cross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analyzed results are performed and structure of night landscape perception i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analysis on physical quantities of lighting, a total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are the highest in sections 2 and 5 and the lowest in sections 1 and 4 in Gangnam roa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 and number of light source between section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are analyzed with indoor lighting and outdoor lighting. Second, for analysis o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ighting, 10s people, male, students, meeting, 1~2 times a month and 18~20 o’clock have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in 50s people, female, sales/service workers, passage, everyday and after 24 o’clock, respectively. Third, a regression model is deriv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quantities and use satisfaction of lighting. A total amount of luminance gives the bigg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Area of light source and a total amount of luminance are followed. With increase in total amount of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the satisfaction is lowered. With increase in area of light source, the satisfaction is increased. Fourth, in the proces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landscape images and lighting satisfaction and derive factors, comfort and aesthetic factors are derived and a regression model is derived through it. Landscape satisfaction of artificial lighting gets higher with increasing comfort and aesthetics. Comfort factors give more effects than aesthetics. In the time when the study on Public Percep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 of artificial lighting is insuffici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lighting and the correlation with general public perception.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lighting environment plan for night landscape and artificial lighting. 도시 내 야간활동의 증가와 함께 야간경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인공조명에 대한 법이 제정되었지만 법적 규제의 기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또한 인공조명 규제의 기준 설정 시 이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실생활에서 접하는 인공조명을 단순히 법적 휘도를 기준으로 한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야간경관의 주요 요소인 인공조명의 적절한 규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인공조명의 물리적 특성과 함께 일반인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시점에서의 시지각 특성을 반영한 인공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선호도, 만족도를 포함한 일반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특성과 일반인 인식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강남역 주변 가로이다. 강남역은 서울시의 대표적인 상업지역으로 다양한 조명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일평균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다. 광원의 휘도 및 면적, 갯수 등 물리적 특성은 어안렌즈를 사용한 LMK Mobile 장비로 현장에서 계측하였다. 일반인의 인식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와 인공조명의 만족도, 경관이미지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추출된 자료와 조사 자료들은 엑셀 및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결과들간의 집단별 평균 분석, 교차 분석, 상관관계 등의 비교분석과 야간경관인식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명 물리량 분석에 있어 강남가로는 총량휘도, 평균휘도가 2구간과 5구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구간과 4구간에서 낮게 나타났다. 광원의 면적과 광원 갯수는 구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요인들 영향은 실내등과 외부조명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일반인 인식에 남성, 10대, 학생, 월 1~2회 이용자, 18시~20시 이용자, 모임목적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명 물리량과 이용 만족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공조명물리량 만족도에는 총량휘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광원면적과 총량휘도 등의 순이었다. 총량휘도와 평균휘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는 낮아지고 광원면적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넷째, 경관이미지와 조명 만족도의 상관분석과 요인도출 과정에서 쾌적성과 심미성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를 통하여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공조명 경관만족도는 쾌적성과 심미성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며 심미성보다는 쾌적성 요인이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조명의 일반인 인식과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시기에 본 연구는 인공조명의 물리적 특성과 일반인 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결과는 야간경관 및 인공조명에서 조명환경관리계획의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요양보호사의 돌봄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아란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the intention to use care robots among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a specific reg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April 1, 2023, to April 30, 2023, targeting 141 caregivers, and a total of 138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instruments regard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intention to use, individual innovativeness, and digital literacy were utili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softwar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the mean age was 57.8±7.17, with 8 males (5.8%) and 130 females (94.2%), indicating a higher proportion of females. The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that 22 individuals (15.9%) had completed middle school, 87 (63.0%) had completed high school, 20 (14.5%) had completed vocational college, and 9 (6.6%) ha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e employment status revealed that 72 participants (52.2%) were regular employees, 58 (42.0%) were contract workers, and 8 (5.8%) were part-time employees. The work settings included 9 participants (6.5%) from home care facilities, 90 (65.2%) from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39 (28.3%) from hospitals. When asked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64 individuals (46.4%) reported having received education, while 74 (53.6%) reported no education. 2.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digital literacy is 2.63±0.57. Among the subdomains, computer skills had a score of 2.37±0.65, smartphone skills had a score of 2.89±0.82, and internet skills had a score of 2.66±0.69. 3.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of care robots were measured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for perceived usefulness was 3.20±1.03, for perceived ease of use was 2.98±0.98, and for intention toe use was 3.26±1.06.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F=10.00, p<0.001), employment status (t=2.86, p<0.001), work settings (t=2.40, p=0.018), and the prese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2.68, p<0.001).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are robot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prese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3.95, p<0.001).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care robot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prese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3.58, p<0.001).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use of the care robot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employment status (t=2.01, p=0.046) and the prese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3.74, p<0.001). 8.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perceived usefulness , perceived ease of use of , and intention to use of care robots,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igital literacy competence (r=.45, p<.001),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are robot (r=.76, p<.001),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carerobot (r=.84, p<.001). 9.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β=.195, p<.001), perceived usefulness (β=.229, p=.003), and perceived ease of use (β=.583,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caregiving robots. These variables explained 75.5% of the variance in the intention to use caregiving robots (F=85.43, p<.001).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typ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dicating that they played a role in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increase and activate the intention to use care robo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digital literacy of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provis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viding education related to care robots can help foster a positive attitude towards care robots. This implie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participants' digital skills and provide them with relevant education regarding care robots to enhance their acceptance and intention to use care robots.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요양보호사의 돌봄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보호사 자격을 갖고 현재 근무중인 141명을 대상으로 2023년 4월1일부터 2023년 4월3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13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사용의도, 디지털 정보화 역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 t 검정, χ2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령 57.8±7.17, 성별의 경우 남자는 8명(5.8%), 여자는 130명 (94.2%)로 여자의 비율이 높았다. 최종학력은 중졸이 22명(15.9%), 고졸이 87명(63.0%), 전문대졸이 20명(14.5%), 4년제대졸 이상이 9명(6.6%)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72명(52.2%), 계약직이 58명(42.0%), 시간제 고용이 8명(5.8%)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은 재가요양시설이 9명(6.5%), 노인복지시설이 90명(65.2%), 병원 39명(28.3%)로 조사되었다. 과거 디지털 정보화 교육 경험을 묻는 질문에 ‘교육받은 경험이 있다’ 64명(46.4%), ‘없다’가 74명(53.6%)로 조사되었다. 2. 디지털 정보화 역량은 전체평균 2.63±0.57이었으며 하위 영역인 컴퓨터 사용능력, 스마트폰 사용능력, 인터넷 사용능력은 각각 컴퓨터사용능력 2.37±0.65, 스마트폰사용능력 2.89±0.82, 인터넷 사용능력은 2.66±0.69이었다. 3. 기술 수용 모델의 돌봄로봇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사용의도의 측정결과이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사용의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지각된 유용성의 평균은 3.20±1.03, 지각된 용이성은 2.98±0.98, 사용의도는 3.26±1.06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 정보화 역량의 차이는 최종학력(F=10.00, p<0.001), 고용형태(t=2.86, p<.001), 근무기관(t=2.40, p=.018), 디지털 정보화 교육 경험(t=2.6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로봇의 지각된 유용성의 차이는 디지털 정보화 교육 경험(t=3.95,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로봇의 지각된 용이성의 차이는 디지털 정보화 교육 경험(t=3.5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로봇의 사용의도 차이는 고용형태(t=2.01, p=.046)와 디지털 정보화 교육 경험(t=3.7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8. 디지털 정보화 역량, 돌보몰봇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사용의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사용의도는 디지털 정보화 역량(r=.45, p<.001), 돌봄로봇의 지각된 유용성(r=.76, p<.001), 돌봄로봇의 지각된 용이성(r=.8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9.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고용형태와 본 연구의 주요 관심 변수인 디지털 정보화 역량을 회귀분석한 결과 디지털 정보화 역량(β=.195, p<.001), 지각된 유용성(β=.229, p=.003), 지각된 용이성(β=.58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은 돌봄로봇의 사용의도를 75.5% 설명하였다(F=85.43,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돌봄로봇에 대한 사용의도를 높이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정보화교육 제공을 통해 디지털 정보화 역량을 강화하고 돌봄로봇과 관련된 교육을 제공하여 돌봄로봇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간호사의 간호근무 환경과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

        김인애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여러 국가에서 간호 인력 비율과 간호근무 환경이 빠뜨린 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빠뜨린 간호에 대한 연구는 초기 상태이다. 본 연구는 빠뜨린 간호의 빈도와 유형을 설명하고 간호근무 환경이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5월 26일부터 2022년 5월 31일까지 W 지역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간호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과 간호근무 환경, 빠뜨린 간호, 간호서비스 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 환경, 빠뜨린 간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빠뜨린 간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 환경의 평균 점수는 2.55±0.37이며 간호근무 환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t=-3.95, p<.001), 연봉(F=3.33, p=0.039), 근무부서(t=2.04, p= 0.043)로 나타났다. 2. 빠뜨린 간호에 대한 평균 점수는 2.39±0.72였고 빠뜨린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t=-2.03, p=0.045)과 교육 수준(t=2.46, p=0.015)으로 나타났다. 빠뜨린 간호의 빈도는 '다학제 모임 참여', '구강관리', '목욕·피부관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빠뜨린 간호의 원인에 대한 하위 영역의 평균 점수는 '물질적 자원'과 '의사소통'보다 '인적 자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자원' 항목 중에서는 ' 예상치 못한 환자 수 및/또는 중증도 증가'와 '간호 인력 부족'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평균 점수는 3.79±0.35으로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수준(t=2.13, p=0.035)으로 나타났다. 5.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근무 환경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빠뜨린 간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병원관리자는 간호근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빠뜨린 간호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적 자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예상치 못한 간호업무량의 감소 및 적정 간호 인력의 확보가 필수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빠뜨린 간호의 유형과 빈도를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는 한국간호사의 사회문화적 요인, 근무부서와 빠뜨린 간호의 측정방법 차이로 기인하는 잠재적 편향을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in South Korea about missed nursing care, de- spite there being a growing body of knowledge in different countries proving that staffing ratio and work environment affects missed nursing.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describe the frequency and type of missed nursing car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ser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in nursing.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6, 2022 to May 31, 2022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115 staff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who each had more than six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related to nursing work environment, missed nursing car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 used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o test the differences among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missed nursing ca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 employed a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and the effect that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has on nursing service qu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55±0.37.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ere gender (t=-3.95, p<.001), annual salary (F=3.33, p=.039), and working unit (t=2.04, p=.043). 2. The mean score for missed nursing care was 2.39±0.72.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missed nursing care were gender (t=-2.03, p=.045) and educational level (t=2.46, p=.015). Activities in missed nursing care were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participation in multidisciplinary meetings,” “oral care,” and “bathing and skin care.” 3. When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subscales for the reasons of missing nursing care, “labor resourc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material re- source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items on “labor resources,” the mean score of “unexpected rise in patient volume and/or acuity on the unit” and “inadequate number of staff” were the highest. 4. The mean score for nursing service quality was 3.79±0.35. The factor that affected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education level (t=2.13, p= .035) 5. As a result of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s influence on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missed nursing care on the nursing service quality was not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hospital managers should take a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work environment. To reduce the missed nursing care, support for human resources must be strengthened, particularly when unexpected rise in workloads occur and when securing appropriate nursing personnel are essential. To accurately investigate the type and frequency of missed nursing, future research should carefully consider potential bias resulting from the socio-cultural factors of Korean nurses, different working units, and methods to measure missed nursing care.

      •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이차자료 분석

        전은주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 평생 한 번 이상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은 성인 6명중 1명으로 2006년 12.6%에서 14.4%로 증가하였다. 현대인들은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에서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 도박․인터넷․알코올 중독 등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과 더불어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실정에 맞는 근거 기반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진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통해 향후 지역 정신건강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 이용절차에 따라 사용 승인을 받은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고 강릉원주대학교의 IRB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강릉시에 거주하는 표본 추출된 만 19세 이상의 성인 901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수준은 교차분석, t-test,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의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하였다. 정신건강, 삶의 질 및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정신건강과 삶의 질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 하위 영역중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평균은 2.91±0.73으로 연령(F=18.38, p<.001), 거주지(t=3.36, p=.001), 가구 월소득(t=2..89, p=.021), 결혼 여부(t=2.79, p=.005), 교육수준(F=5.13, p<.001), 직업(F=8.9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감 경험에서는 성별(χ²=7.54, p=.006), 가구 월소득(χ²=10.02, p=.004), 교육수준(χ²=12.06, p=.017), 주관적 건강수준(χ²=28.9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인 EQindex 평균은 0.91±0.11으로 성별(t=3.38, p=.001), 연령(F=61.00, p<.001), 거주지(t=2.51, p=.013), 가구 월소득(F=17.82, p<.001), 결혼여부(t=-3.97, p<.001), 교육수준(F=29.54, p<.001), 직업분류(F=20.04, p<.001), 주관적 건강수준(F=220.4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EQVAS 평균은 74.70±16.07으로 성별(t=3.38, p=.001), 연령(F=27.17, p<.001), 거주지(t=2.37, p=.018), 가구 월소득(F=9.02, p<.001), 교육수준(F=14.27, p<.001), 직업분류(F=11.46, p<.001), 주관적 건강수준(F=59.7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건강 영역인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은 삶의 질 영역인 EQVAS와 나이와는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질 영역인 EQindex와 EQVAS는 주관적 건강수준과 나이와는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건강(F=10.73, p<.001)과 삶의 질(F=28.90, p<.001) 예측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정신건강에서 우울감 경험(β=-.23, p<.001), 삶의 질에서 주관적 건강수준(β=-.36, p<.001)이었다. 결론: 정신건강은 우울감 경험,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수준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파악된 바, 확인된 대상자에게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정신건강이 취약하고 삶의 질이 낮은 지역주민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연구 측면에서는 정신건강의 가장 큰 영향요인이 우울감 경험인 만큼 우울감 경험이 있는 대상군을 확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건강의 중요한 요인인 정신건강관련 문항이 소수이기 때문에 정신건강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 정신건강 관련 문항과 우울 관련 문항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A 2011 epidemiologic survey on actual mental illness reported that 1 out of 6 adults has experienced mental illness more than once in their lives. It also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of such adults increased from 12.6% in 2006 to 14.4% in 2011.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ccompany modern people’s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anxiety disorder, suicide, and addictions to gambling, Internet and alcoh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ill suggest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through basic materials for progressing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ares which are suitable to local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population’s mental health and qualities of life.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approved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and following the procedure sugges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it is approved b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IRB. A random sample of 901 people aged 19 years or more and live in Gangneung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To assess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ers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analysi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Crosstabs, t-test, and ANOVA. Scheffe test is used for post-hoc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Pearson Correlationis used to correlate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variabl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is prefor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mean subjective stress level as a subcategory of the subjects’ mental health is 2.91±0.73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F=18.38, p<.001), residence (t=3.36, p=.001), family monthly income (t=2.89, p=.021), marital status (t=2.79, p=.005), education level (F=5.13, p<.001), and occupation (F=8.97, p<.001). Based on self-reported depress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χ²=7.54, p=.006), family monthly income (χ²=10.02, p=.004), education level (χ²=12.06, p=.017), and subjective health level (χ²=28.96, p=<.001). EQindex, quality of life state, mean is 0.91±0.11.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3.38, p=.001), age (F=61.00, p<.001), residence (t=2.51, p=.013), family monthly income (F=17.82, p<.001), marital status (t=-3.97, p<.001), education level (F=29.54, p<.001),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F=20.04,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220.44, p<.001).The mean of EQVAS, quality of life state, is 74.70±16.07,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3.38, p=.001), ages (F=27.17, p<.001), residence (t=2.37, p=.018), family monthly income (F=9.02, p<.001), education level (F=14.27, p<.001),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F=11.46, p<.001), and subjective health level (F=59.73, p<.001). Subjective stress levels positively correlate with EQVAS and age. EQindex and EQVAS, negatively correlate with subjective health level and age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ental health (F=10.73, p<.001), quality of life (F=28.90, p<.001) with a Predictive Regression Model.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mental health is self-reported depression (β=-.23, p<.001), and subjective health level for quality of life (β=-.36, p<.001). Conclusion: Self-reported depression appears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a subjective level of health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development of programs promoting good mental health is necessary for susceptible subjects. As an aspect of nursing servi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ntal health programs are necessary for community populations who are vulnerable for mental health problems, or where the quality of life is low. Further research including a follow-up study for expending subject groups who have self-reported depression is necessary because depression has the strongest effect on mental health. It is difficult to assess mental health because community health surveys currently ask few questions about it. In the future, more question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depression should be added. Keywords: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secondary data

      •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희진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충북 소재 J시와 강원도 소재 W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총 260명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부터 8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학적 특성, 디지털 기기 특성과 변수에 대해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분석을 하였고 변수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는 2.83±0.81점,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는 3.28±0.75점, e-헬스 리터러시 정도는 3.19±0.78점,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2.32±0.44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연령(F=13.92, p<.001), 배우자 유무(t=-3.45, p=.001), 지각된 사회경제적 수준(F= 6.33, p=.002), 평소 음주 횟수(F=6.75, p=.001), 흡연경험(F=6.68, p=.001), 운동 횟수(F=14.34, p<.001), 주관적 건강상태(F=20.03, p<.001), 과거 진단받은 질병(t=-2.15,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대상자의 디지털 기기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디지털 리터러시(r=.22, p<.001),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r=.22, p<.001), e-헬스 리터러시(r=.2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연령(β=.28, p<.001)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β=.26, p<.001)가 좋을수록, 주당 운동량이 ‘주 3회 이상’(β=.24, p<.001), 주당 운동량이 ‘주 1∼2회’(β=.21, p=.001)인 경우, 디지털 리터러시(β=.19, p=.022)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경험(β=.17, p=.011)이 없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37.3%의 설명력을 예측하였다. 그 중 연령이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와 e-헬스 리터러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성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의 대상자와 평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거나 흡연자들을 중심으로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성인의 연령대별로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맞춤형의 다양한 전략을 고려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성인,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태도, e-헬스 리터러시, 건강증진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ults. Method: A total of 260 adults aged 19 and older who lived in J city in Chungbuk and W city in Gangwon-do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July to August 202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and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health promotion progress. Results: Participants scored 2.83±0.81 points for digital literacy, 3.28±0.75 points for attitudes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3.19±0.78 points for e-health literacy, and 2.32±0.44 point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age (F=13.92, p<.001), marital status (t=-3.45, p=.001), self-recognized socio- economic status (F=6.33, p=.002), alcohol drinking frequency (F=6.75, p=.001), smoking history (F=6.68, p=.001), frequency of exercise (F=14.34, p<.001), self-recognized health status (F=20.03, p<.001) and diagnosed diseases (t=-2.15, p=.03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gital devic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digital literacy (r=.22, p<.001),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22, p<.001), and e-health literacy (r=.25,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health promotion progress of the subjects. Older age (β=.28, p<.001), better subjective health (β=.26, p<.001), frequency of exercise (3≥week)(β=.24, p<.001), frequency of exercise (1-2/week)(β=.21, p=.001), higher digital literacy score (β=.19, p=.022) and no smoking history (β=.17, p=.011) led to a higher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37.3% of explanatory power was predicted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adults. Among them, ag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ult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people of a younger age and those who do not exercise regularly or are smokers. In particular, as digital literacy i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ad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strategies that are tailored towards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for adults from all age groups and also conduct a systematic education of digital devices. Key words: Adult, Digital Literacy, Internet, Attitude, e-Health Literacy, Health Promotion

      •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 -역사고고학적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김진한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nature of ruined temples in Gangreung area. Jin Han, Kim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ummary This article has been intended to find some Buddhist remai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and its collapse in Gangreung area. Based on the purpose, we have tried to reveal the culture and thoughts of Buddhism, the foundation and transition of temples, the mutual relationship, and the approximate period of destruction, as well as the reason for it. To do so, we have comprehensively researched and analyzed bibliographies, archeological data, some of Buddhist remains and a variety of relics. In the middle of nine century of Gangreung area, a powerful family regarded as Gulsanmoon is Kim Ju won series, one of Gusansunmoon, supported to roughly estimate by overflow to build many temples. Since then, many stone works and the other remains showing the excellence of Buddist culture have been in existence throughout the history. It is estimated to be thirty seven places where the temples have been ruined in Gangreung area. One identified temple arrangement includes one tower and one temple ceremony, and no tower and producer of four-sided construction. The former one has been simplified by omitting inner gate and hallways. The latter one has been identified on the original place and is assumed to be the small one. Most of coalition formation of stone works in Gangreung area have been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period of Koryeo dynasty and some other remains through investigation have been excavated, and most of them have been also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K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the most active time to build temples in Gangreung area in the former and middle of Koryeo Dynasty. It has also been identified to be more than two attached map and tower and monument as we found Stupa material, the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and piece of memorial stone through our archeological achievement. We assume that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or burnt down by the invasion of the Kitan in the thirteenth century as we tried to find the main reason for the temples to be ruined through our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Since then, we have yet to find any evidence of rebuilding but merely maintaining the Buddhist in a way of small hermitage. Gulsansa temple is assumed to b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second or third quarter of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 other ones have been estimated to be done so betwee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as well. Throughout many bibliographies, stone works, and archeological data, it appears that Gangreung area has its Buddhism based on Zen Buddhism, Huayan School, and the myth of Ode mountain. The estimated period of Buddhism to spread out all over Gangreung area appears to be the former period of Goryo dynasty. However, as we have found some stone stupa and evidence of lack of stone pagoda excavated in Ok chun dong, we assume the end of united Shilla Dynasty to be the most active age to build many temples. Unfortunately, we have yet to find any similar remains which are related to the assumption. This article may leave a lot of holes for critics since we have limited our research on bibliographies and some of remains which scientific studies had been already made. For this reason, it may be essential to continuously make thorough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more often to find out more information that this article may remain open to questions. If then, we assume that it will give a lot of support for mor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culture of Budhism in the eastern coast area including Gangreung.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金 鎭 韓 江陵原州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考古學專攻 본고는 우리나라로 유입된 불교가 강릉지역으로 전래됨으로써 조성되었던 사찰이 몰락하여 현재 전해지는 불교유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강릉지역의 불교문화와 사상, 사찰의 창건과 변천, 상호관계, 그리고 폐사시기와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특성을 고찰하여 그 역사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와 고고자료, 현재 남아있는 불교유적과 다양한 유물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강릉지역은 9세기 중엽에 구산선문 중 하나인 굴산문이 김주원계로 생각되는 강릉지역 호족들의 도움으로 범일에 의해서 개산되었고 이후 많은 사찰이 형성되었으며, 당시 다채로운 불교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석조물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현존하고 있다. 문헌과 학술조사를 통해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 및 폐사지는 총 37개소로 추정된다. 강릉지역 폐사지에서 확인되는 가람배치는 1탑1금당식과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두 가지 형식이 확인되며, 1탑1금당식 가람은 입지에 따라 중문과 강당이 생략된 간소화한 방법으로 조성하였다.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입지는 모두 산지에서 확인되며, 규모가 비교적 작은 암자 형식의 사찰로 보인다.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석조물의 조성연대는 대부분 고려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의 중심연대 역시 고려 전기에서 중기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서 강릉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불사가 진행된 시점은 고려전기에서 중기로 파악된다. 굴산사지에서는 고고학 성과로 부도재와 귀부, 비신편이 확인되어 각각 2기 이상의 부도와 탑비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찰들이 폐사된 원인과 시기는 문헌자료와 고고자료로 미루어 볼 때 13세기 전반 거란의 침입으로 강릉지역 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당시 대부분의 사찰도 함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중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작은 암자 형식으로 그 법맥을 유지하다가 굴산사는 15세기 2/4분기 또는 3/4분기에 완전히 폐사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사찰들 역시 조선전기에서 중기에 폐사된 것으로 확인된다. 강릉지역은 선종과 화엄종, 오대산신앙이 어우러진 불교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이 문헌과 석조물, 고고자료 등을 통해서 확인된다. 불교가 강릉 전 지역으로 확산된 시점은 고려전기부터지만 굴산사지에 남아있는 석조부도와 옥천동에서 수습된 석탑부재의 양식으로 보았을 때 통일신라시대 말기부터 활발한 불사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유구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본고는 현재 확인되는 문헌과 학술조사가 진행된 유적에 한하여 검토하였기 때문에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철저한 문헌조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고고학적 조사가 병행되어 본고에서 밝히지 못한 문제들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강릉지역을 비롯한 동해안일대의 불교문화와 유적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대설사례를 대상으로 한 WRF Simulation의 Nudging 기법에 따른 민감도 연구

        최지원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너징 기법에 따른 WRF 수치모의의 결과에 대한 강수량 및 바람 예측에 있어,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실험(CNTL 실험)보다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고, 얼마나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너징 기법은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각각 적용하여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사례 A)와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사례 B)에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각각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사례에 대해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적용하기에 앞서, 각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선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후, 선정된 옵션을 적용한 관측 너징 실험과 분석 너징 실험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 A(영동 해안지역에 약 10 mm)의 경우, CNTL 실험은 주 강수지역인 북강릉과 강릉의 강수량을 과대모의 하였고, 북강릉의 강수 집중시간대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으며, 영동지역뿐만 아니라 그 이남지역의 앞바다로 강수를 과대모의 하여, 이러한 결과를 개선시키고자 너징을 적용하였다.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설정하는 민감도 실험의 결과에 따라, 영향반경을 15 km로, 너징계수를 6.0×10⁻⁴s⁻¹로 설정한 관측 너징 실험(ONG 실험)과, D1과 D2에만 너징을 적용하며 너징계수를 6.0×10⁻⁴s⁻¹로 설정한 분석 너징 실험(ANG 실험)을 CNTL 실험과 비교・분석하였다. A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과대모의한 북강릉과 강릉의 강수량을 개선하였고, 북강릉의 강수 시간대도 잘 모의하였다. 그리고 3시간 누적강수량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ANG 실험은 CNTL 실험보다 개선되었고, O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ONG 실험의 경우, 시간당 바람성분의 통계적 검증 결과, CNTL 실험보다 개선되었고, ANG 실험과 함께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ANG 실험에 비해 강수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또한, CNTL 실험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 B(영동 해안지역에 약 50 mm)의 경우, CNTL 실험은 북강릉의 풍향과 두 번째 강수 집중시간대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으며,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설정하는 민감도 실험의 결과에 따라, 영향반경을 20 km로, 너징계수를 4.0×10⁻⁴s⁻¹로 설정한 관측 너징 실험(ONG 실험)과 D1에만 너징을 적용하며 너징계수를 4.0×10⁻⁴s⁻¹로 설정한 분석 너징 실험(ANG 실험)을 CNTL 실험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너징 실험 모두 CNTL 실험의 결과보다 관측과 유사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보였다. O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관측과 유사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보이며, 3시간 누적강수량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ONG 실험은 CNTL 실험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고 A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CNTL 실험보다 북강릉의 시간당 풍향을 잘 모의하였고, 시간당 바람성분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ONG 실험이 CNTL 실험과 A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A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ONG 실험과 마찬가지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잘 모의하였으나, ONG 실험에 비해 바람을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즉,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는 강수에 대해서 ANG 실험이, 그리고 바람에 대해서 ONG 실험이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는 강수와 바람 모두 ONG 실험이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