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odern statistical methods in credibility theory

        Luo, Yu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2000 해외박사(DDOD)

        RANK : 247375

        Frees, Young, and Luo (1999) developed links between credibility theory in actuarial science and mixed linear models in statistics. This dissertation extends the above work to (1) robust credibility ratemaking using mixed linear models; (2) the use of normal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blending national-level information into credibility formula; (3) the use of two-part panel data models in credibility theory for non-Gaussian response data. The them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monstrate the use of modern statistical methods in the context of credibility theory.

      •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애니메이션 활용 연구

        Luo, Yi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9

        경제의 글로벌화와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중국 예능 프로그램은 과거 TV 방송 채널에서 인터넷, 모바일 등 멀티미디어 채널로 확장하면서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큰 게 증가하고 있다. 다양하고 방대한 TV 프로그램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제작자로서도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과제를 주목하게 되었다. 오늘날 예능 프로그램에서 기법 효과 활용은 과거의 단순하고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넘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내용과 형식에 포괄적으로 디자인을 활용하고 있다.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미학적 수요가 높아지면서 예능 프로그램은 소재와 콘텐츠뿐만 아니라 시청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시각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애니메이션 활용을 분석하고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할 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서론에서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애니메이션 활용 배경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연구의 문제와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예능 프로그램의 정의와 방영 경로, 유형을 논의했다. 다음으로, 중국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애니메이션이 활용된 성공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예능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의 관련성과 프로그램 제작 과정에서 애니메이션 활용된 표현 형식, 예능 프로그램 화면 효과에 나타난 애니메이션 역할과 구현 세 가지 측면으로 선정하여 정리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특징을 바탕으로 예능 프로그램의 발전과정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도입기, 부흥기, 성장기, 황금기 네시기로 나누어 예능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의 공통적 특성들을 밝혔다. 예능 프로그램의 소재는 수요 증가로 다양해졌고 애니메이션은 시각적 표현을 통해 평면부터 입체화 효과까지 전통적인 시각 미화에서 전체적인 효과와 창작 기술의 성숙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예능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을 접목한 활용은 새로운 예술 응용 장르로 풍부한 콘텐츠 포맷이 상호 결합에 중요한 시각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스토리의 주제 전달, 화면구성의 표현방식과 예술의 미학성, 기능적 특징과 감정적 효과 활용 가치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파악한다. 한편 예능 프로그램과 시청자의 관점에서 따르면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애니메이션은 기능의 결합과 내용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도한 삽입과 동질화, 활용 연계성의 부족이라는 부정적 문제도 동시에 갖고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과 프로그램을 결합한 활용 전략인 애니메이션 혁신성, 이미지 분석, 애니메이션 요소의 상업적 가치 확장에 대하여 논의하고 애니메이션 요소를 활용한 예능 프로그램의 IP(Intellectual Property) 확장, 예능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의 가치연동 실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된 다양한 IP의 스핀오프가 기존 예능 프로그램의 IP 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는 애니메이션 효과는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에 부합하도록 활용하고 혁신적인 소재를 추구하며 차별성을 강조한다. 시각효과에서 애니메이션 기법의 활용은 수용자들의 미적 수요와 감정적 수요를 맞출 수 있다. 제작자들은 현존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특징을 융합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특징을 결합해 혁신적인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양질의 시각효과를 통해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브랜드에 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둘째, 현재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시청자의 심미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애니메이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산업의 인식 제고 및 디지털 전환의 현 상황에서 향후 애니메이션 기법의 새로운 발전 방향은 가상 IP와 미디어의 융합, 첨단기술을 통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가상 캐릭터와 사람들의 현실 세계의 연결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본 연구는 향후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미디어 융합 산업 발전 전략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Under the background of global economic development and media convergence, China's entertainment program market has experienced massive changes, with broadcasting forms of entertainment programs developing from previous TV transmission to multi-media transmission channels including Internet and mobile terminals, caus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rket demand for entertainment programs. The audience will find it difficult to make choices when facing programs of great variety and huge quantity. However, for producers, it has become a big problem to create entertainment programs favored by the audience in this era of excessive program content and scarcity of attention. Technologies applied i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evolved from single, partial requirements for decoration in the past to a comprehensive and functional set of design of program forms and content. With the enhancement of audience's personalized pursuit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aesthetic awareness, there have been certain improvement of entertainment programs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and external visual elements used to attract audien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nimation in Chinese entertainment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methods of attracting the engagement of audience. To start with, in the introduction par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re clarified and the research topic and methods are put forward.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an overview of entertainment programs is given from three aspects, namely the concept, communication channels and types of programs. In addition, in combination with successful animation application cases in Chinese entertainment programs, an analysis framework is set up from three aspects, including the relevance of animation in those cases, the application and expression of animation, and manifestation of the visual effect in entertainment programs. First, wit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as focus of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tertainment programs is sorted and divided into four periods of introduction period, renaissance period, growth period and golden period, followed by an analysis on the common features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cartoons. The subject of entertainment programs has become more diversified due to the growing demand and animation applications have show more abundant visual presentation, from traditional visual beautification to overall effects and creative technologies. The combined application of animation is a new form of artistic application and the rich content forms show an important visual effect based on mutual integration far from traditional entertainment programs. Meanwhile, a summary is made on the application and expression forms of animation, which further reflects the artistic aesthetics, functional role and emotion convey of anima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animation application in entertainment programs are explored from the aspect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 audience's audio-visual experience, whose results show that animation application in entertainment programs show positive advantages of feature fusion and content diversification. On the contrary, various problems have also emerged such as the excessive application of animation in entertainment programs, homogenization, and insufficient application continuity. In this regard, the strategy of combining animation application with entertainment programs is proposed and various problems are explored such as how to maximize the brand value and realize the value linkage between animation and entertainment programs through animation IP and proposes reasonable suggestions.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nimation techniques can be reasonably applied with themes of entertainment programs for innovative themes and highlight differences. As for visual effects, the application of animation techniques meets the audience's aesthetics and emotional needs. Facing existing problems, producers can integrate features of programs, and make innovation in animation techniques 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program features, diversify the content forms, improve production skills and focus o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nimation techniques. The research offers the following enlightenment. First, audiences can be attracted to program brands through high-quality visual effects. Second, it can be found from the current market demand that the audience have shown increasingly high demand for beauty and animation technologies have undergone rapid development.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e rise in awareness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status quo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future development trend of animation technologies is the integration of virtual IP and media to link virtual characters in entertainment programs with people in reality through cutting-edge technology.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helpful to the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media fusion in the field of animation.

      • 메타버스내 가상 패션아이템의 지속적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과 자아동기 개념들을 중심으로

        LUO JIAXI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59

        최근 몇 년간 늘어난 패션 브랜드와 메타버스 플랫폼의 협업은 주목할 만하다. 메타버스는 가상의 공간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션 브랜드가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따라, 패션 브랜드들은 메타버스에서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메타버스 내에서의 매출 증대와 브랜드 인지도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가상 패션아이템은 메타버스나 가상현실 등의 가상공간에서 착용할 수 있는 가상의 의상이나 액세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새로운 세계에 대한 몰입과 디지털 자아의 사회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에서의 가상 패션아이템 구매가 필수적이며, 이를 확장된 가상 아이템 행동 영역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통합기술수용모델(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s of Technology: UTAUT)을 이론 틀로 삼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 패션아이템을 소비가치가 있는 중요한 상품으로 보고 소비자들의 가상 패션아이템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결정 요인을 탐색해보자고 한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의 패션 트렌드, 아이템, 스타일 선호도가 자신의 정체성을 부여하고 가상 패션아이템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관련된 동일시 갈망, 자아현존감, 자기감시성 같은 자아 관련 개념들의 역할도 함께 탐색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메타버스내 가상 패션아이템에 대한 구매자의 인지된 동일시 갈망, 자아현존감, 자기감시성 및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습관, 가격가치 변인들이 긍정적인 마케팅 효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본 연구가 제시한 다른 독립 변인들의 지속적인 구매의도에 대한 자기감시성의 주효과를 탐색하여 영향력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독립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시도는 실세계와는 달리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서 가상 패션아이템에 대한 UTAUT 모형의 변인들과 자아동기와의 상호작용효과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 흐름에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향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소비자행동을 이해하는 학문적·실무적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brands and metaverse platforms, which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is noteworthy. Metaverse is very useful for fashion brands to promote and sell products because it allows a variety of interactions in a virtual space. Accordingly, fashion brands actively promote activities in the metaverse and aim to increase sales and brand awareness within the metaverse. A virtual fashion item may be defined as a virtual costume or accessory that may be worn in a virtual space such as a metaverse or virtual reality. In order to immerse in the new world and express the social meaning of the digital self, purchasing virtual fashion items in the metaverse is essential,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is from a new perspective as an expanded virtual item behavior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s of Technology (UTAUT) as a theoretical framework, virtual fashion item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re considered important products of consumption value and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addition, most users will explore the role of self-related concepts such as identity craving, self-existence, and self-monitoring, as fashion trends, items, and style preferences of their avatars can give them their identity and affect the purchase of virtual fashion items. The study found that buyers' perceived desire for identification, self-existence, self-monitoring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social impact, promotion conditions, entertainment motivation, habits, and price value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positive marketing effects. In addition, we tried to estimate the influence by exploring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on the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 in this study. Unlike the real world, this attemp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flow of existing prior research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UTAUT model and self-motivation on virtual fashion items in the metavers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in the other bus environment will be laid.

      •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라 사회적지지, 문제해결력, 도움추구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LUO, XUNX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359

        The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since Korea-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has began to reduce recently. Although the reasons for this decline are the result of the quality improving of China domestic education as well as the weakening motivation to study abroad, what are the key factors for this decreasing may come from the problems of educational qualities and services offered in Korea. Of course, apart from the factors above, the problems of students’ individual adaptation of culture and college life are inseparable. Therefore, prior to the effort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to Korea, the better and more efficient management for the whole Chinese students in Korea is to help them realize their career goals in the future when they return to China. University authorities and institution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ssisting foreign students to overcome the cultural heterogeneity of the unfamiliar environment and encourage them to adapt to college life more quickly and better. During the process of studying in Korea, Chinese students will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fe and college studying, such as cultural adaptation ,culture identity ,culture value. The local residents will have their own differences distinguishing immigrants and immigrants' s cultural value. Missing their country, missing their families, some migrants will produce their hostility to the country they are staying in and the local residents’ discrimination. What’s more, the fear to contact with other cultures, the inconveniences encountering when living overseas at the early period of migrating, cultural conflict, social isolation, the sense of inferiority as well as all pressures from anxiety, depression, turmoil of identity identification and the values as well. All of these will cause some negative impacts on these newcomers. These psychological factors will bring about some studying obstacles to some extent. So it is advis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learn fast to accept new cultures and learn to release during the process. If not cope with these properly, they are likely to be at dangerous group with psychological problems. The process of cultural adaptation for Chinese students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Berry's bidimensional model of acculturation, "how to adapt to a new culture" and "what degree to maintain one’s own culture’s identity" depend on the two-dimension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cultural adaptation types. Integration type refers to embracing a new culture of the staying country and keeping the identity of its own culture, Assimilation type means accepting the culture from the retention to a large degree, and minimizing their own culture. Meanwhile separation type indicates low acceptance of new cultural from retention country, but high maintenance of their own national culture. Besides, marginalization belongs to the type of both low acceptance of new cultural from retention country and low maintenance of their own national culture identity. This study is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bidimensional model of Berry. It is based on the type of acculturation of Chinese students who are assumed to be influenced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fluctuation that affects college life. In this study,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are set to b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will influence. For Chinese students the support of peers and professors during studying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cculturation. Especially when the peers are assumed to hav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friends and Chinese friend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supporting. Separate them and explore the results. In addition, how to deal with various problems in the situations where they experience in Korea, for instance, problem solving ability, is assumed to be affected. Contrary to avoiding problems or dealing negatively, troubleshooting positively is assumed to have good result on the active adaptation.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in problem situations is also assumed to have good effect on their adaptation. Research problems discussed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 problem consciousness are as follows: 1. Of what types of acculturation are Chinese students oversea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based on the acculturation type of Chinese students overseas? 3. Will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make any difference on the college life drawing on the type of acculturation? In order to verify these problems researched, 429 university students from different universities distributing in Seoul region were interviewed as the research obj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acculturation. Analyze how their college life were influenced as far as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social support are concer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rief: Firstly, let’s take a look at the distribution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e type of integration reaches 38% of the whole, and then followed by marginalization type, it occupies 29.6%. The other two types are the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They take up 18.9%, and 13.5% respectively. Secondly,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ma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ulturation, integration group is lager than marginalization group. While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integration group and assimil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aration group and marginalization group with the help of Korean friends and professors support. Integration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marginalization group in college adjustment; In problem solving action, assimilation group is bigger than separation group and marginalization group. Thirdly, the results confirm the variables on college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cculturation, among all types of acculturation Korean teachers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ction are commonly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llege adjustment. However, in integration type Korean teachers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ction as well a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Korean friends support are found a lot of help in college adjustment. So,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authorities and counseling agencies take the following assisting strategies into consideration. First, the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of students Which has a vulnerability in the psychological aspects has been found up to half of all Chinese students. Therefore, to identify the degree of acculturation of these Chinese students, and it seems necessary gives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em through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Second, integration type witch maintaining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of the country and receiving the Korean culture is found to be the most positive features in cultural adaptation type.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and Chinese culture" for Chinese students, such as to establish a liberal arts-related courses and programs that can easily help to understand the Chinese culture and the Korean culture, and to tell Chinese studen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s historical and cultural. Third, the impact of the Korean teachers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factors affecting college adjustmen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refore, In order to help Chinese students to adapt quickly to Korean university the wide range of support including mentoring to help them in college life through lecture teachers or professors seems to be necessary. In addition, in order to help Chinese students solve the problem actively, to promote various support activities proves to be effective. During adulthood and adolescency as well, which reinforces the great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to help them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ies. This study set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hope of Positive Psychology as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s affecting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analyze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한·중 수교 후부터 꾸준히 증가해 오던 재한 중국인 유학생 수가 최근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감소 추세의 원인에는 중국 국내 교육의 질이 향상되어 외국으로 유학하고자하는 동기가 약화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한국 내에서 제공되는 교육서비스의 질적 문제와 학생 개개인의 문화적응의 어려움으로 대학생활적응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학생 유치를 위한 노력에 앞서 한국에 온 중국유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그들이 귀국하여 각 자의 진로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대학당국이나 교육기관은 유학생들이 낯선 환경에서의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대학생활을 보람 있게 적응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중국유학생들이 한국유학 생활 중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은 다양하다. 지역주민들이 이주자 및 이주자의 문화가치를 구별할 때 느끼는 지각된 차별감, 모국 및 모국에 있는 사람들을 그리워하는 향수병, 이주한 개인이 거주하고 있는 나라에서 지역 사람들에게 배제되고 있다는 지각된 적대감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문화의 접촉에 대한 두려움, 개인이 해외 이주 초기에 겪게 되는 불편 사항들의 문화적 충격, 사회적 고립, 열등감 등의 스트레스는 우울, 불안, 정체성 및 가치관의 혼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위험요인이 된다.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여야 하는 유학생들은 그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할 경우 그들은 심리적 문제를 가진 위험집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중국유학생들의 문화적응 과정은 문화적응 유형의 관점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Berry의 문화적응 이차원 모델에 의하면, “새로운 문화에 얼마나 적응 하는가?”와 “자국문화의 정체성을 어느 정도 유지 하는가?”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문화적응 유형을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였다. 통합이란 체류국가의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자국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유형을 의미하며, 동화란 체류국가의 문화수용 정도가 높지만 자국문화의 정체성 유지 정도는 낮은 유형이다. 한편 분리는 체류국가의 새로운 문화수용 정도는 낮지만, 자국문화의 정체성 유지는 높은 유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주변화는 체류국가의 새로운 문화수용 정도와 자국문화의 정체성 유지 정도가 모두 낮은 유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정리한 Berry의 이차원 모델에 근거하여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으로 사회적지지, 문제해결력, 도움추구태도를 설정하였다. 중국유학생의 경우 한국에서 공부하는 동안 또래와 교수의 지원이 이들의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또래의 경우에는 한국인 친구와 중국인 친구의 지지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분리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여러 문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나타내는 문제해결력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문제를 회피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우 보다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경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도움을 추구할수록 역시 유학생들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은 어떠한가? 2.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도움추구태도, 문제해결력 및 사회적지지에 차이가 있는가? 3. 문화적응유형에 따라 도움추구태도, 문제해결력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재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유형, 도움추구태도, 문제해결력,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유형 분포를 살펴보면, 통합유형이 38%로 가장 많고, 그 뒤로 주변화 유형이 29.6%로 많았다. 반면 동화 유형은 18.9%이고 분리 유형은 13.5%로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주요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도움추구태도는 통합집단이 주변화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 한국인친구 지지는 한국교강사 지지와 마찬가지로 통합집단과 동화집단이 분리집단과 주변화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은 통합집단이 주변화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문제해결력에 있어서는 동화집단이 분리집단과 주변화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문화적응의 모든 유형에 있어 한국교강사지지와 문제해결력이 공통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통합유형에 있어서는 한국교강사지지와 문제해결력뿐만 아니라 도움추구태도나 한국친구의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연구를 토대로 중국유학생이 대학생활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당국이나 상담기관은 다음과 같은 지원책을 고려해 본다. 첫째, 심리적 측면에서 취약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분리유형과 주변화 유형의 학생이 전체 중국유학생의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상담이나 교육적 개입을 통해 이들에 대한 심리적, 교육적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화적응 유형중 자국의 고유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한국문화를 수용하는 통합유형이 가장 긍정적인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국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와 중국문화의 이해” 등 중국문화와 한국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양강좌 및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인 유사성과 차별성을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한국교강사의 지지와 문제해결력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국유학생이 한국대학에 빠르게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강의 담당 교강사나 지도교수를 통해 이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멘토링 등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유학생들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다양한 지원활동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한·중 한자어 술어명사의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LUO TING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59

        本論文在研究了韓語述語名詞的定義,判斷標準和特征之後再研究和它對應的漢語述語名詞的定義,判斷標準和特征。然後再整理出韓語和漢語述語名詞的目錄,最後再對照韓語和漢語述語名詞的論項構造以及和形式動詞的結合情況,找出他們之間的共同點和差異點。這樣可以讓中國學生以後在學習韓語述語名詞和漢語述語名詞的時候知道這兩者之間有什麼差異點,並且可以幫助他們在學習韓語述語名詞的時候減少錯誤發生的情況。 本論文遵循以上的目的,根據下面的步驟進行。 第一章,說明研究的目的和必要性并對先行研究以及研究的方法和範圍進行檢討。 第二章,先分別對韓語和漢語述語名詞的定義,判斷標準和特征進行研究,然後再以韓語教材為基準分別整理出韓語漢字詞述語名詞的目錄和漢語述語名詞的目錄。 第三章,對韓語和漢語述語名詞的論項構造以及和形式動詞的結合情況進行對照分析。韓語述語名詞因為自身的性格和意思導致它們所擁有的論項的數目都不同,所以在構成名詞句的時候有論項全部實現的情況,也有論項部分省略的情況。同時,韓語述語名詞根據論項自身的特點,後面可以接 ‘的’, ‘根據’,‘對於’ 等多種形態。漢語述語名詞也和韓語述語名詞一樣,根據它們自身的性格和特點導致各自所擁有的論項的數目都不同,所以在構成名詞句的時候有論項全部實現的情況,也有論項部分省略的情況。漢語述語名詞根據它們論項自身的特點,後面可以接‘的’, ‘關於…的’等多種形態。韓語述語名詞除了可以和形式動詞‘하다'結合之外還可以和其他的形式動詞結合。漢語述語名詞除了和形式動詞‘作’結合之外還也可以和其他的形式動詞相結合。同時,韓語形式動詞和漢語形式動詞之間也有相互對應的情況。 最後,對本論文的結論進行概括並且闡述其中的不足點,為後面的研究作鋪墊。 본 연구는 먼저 한국어 술어명사의 정의 및 판별 기준과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술어명사와 대응하는 중국어 술어명사의 정의 및 판별 기준과 특징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다음에 한·중 술어명사의 목록을 구축하고 한·중 술어명사의 논항 구조, 기능동사와 결합 양상을 대조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술어명사와 중국어 술어명사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고 한국어 술어명사를 학습하고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 술어명사의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한·중 술어명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한·중 술어명사의 정의 및 판별 기준과 특징을 살펴본 다음에 한국어 교재를 기반으로 한국어 한자어 술어명사의 목록과 중국어 술어명사의 목록을 구축하였다. 3장에서는 한·중 술어명사의 논항 구조, 기능동사와 결합 양상에 대해 대조하였다. 한국어 술어명사는 자체의 성격과 의미에 따라 논항 수가 다르고, 명사구를 구성할 때는 술어명사의 논항이 전부 다 실현될 경우가 있고 부분 논항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논항이 부여받는 기능에 따라 '의', '에 의한', '에 대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띤다. 중국어 술어명사도 한국어 술어명사와 같이 자체의 성격과 의미에 따라 논항 수가 다르고, 명사구를 구성할 때 술어명사의 논항이 모두 실현되는 경우가 있거나 부분 논항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중국어 술어명사의 논항들은 술어명사구 내에 실현될 때 부여받는 기능에 따라 '的', '關於᠁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띤다. 이밖에도 한국어 술어명사는 기능동사 '하다'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동사와도 결합할 수 있다. 중국어 술어명사도 기능동사 '作'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동사와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기능동사와 중국어 기능동사 중에서 서로 대응하는 것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힘으로써 후속 연구를 기약하였다.

      • 강문예(Chiang Wen-Yeh)의 《북경 만화집》 Op. 22와 《향토 절기 시》 Op. 53에서 발견되는 민족적 요소와 서양 작곡 기법의 결합

        LUO WANSHU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359

        민족적 요소와 서양 작곡 기법을 결합하여 그만의 독창적 예술세계를 펼쳐낸 중국 작곡가 강문예 (Chiang Wen-Yeh, 1910-1983)는 중국 근·현 대음악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북경의 명승고적과 풍경을 소재로 한 10개의 소품으로 이루어진 《북경 만화집》 Op. 22는 강문예가 일본에 서 중국으로 이주하면서 창작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한 1938년에 작곡한 작 품이고, 중급 수준의 학생들이 피아노 연주를 통해 중국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작곡되어 교육용으로도 활용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그리고 중국의 1년 12달의 풍경을 담아 작곡된 《향토 절기 시》 Op. 53은 그가 작곡가로 서 정점에 달한 시기인 1950년에 작곡한 작품으로 중국의 사계절과 절기 및 전통적 풍습을 소재로 작곡되었고, 높은 테크닉을 요구하는 고급 수준 의 작품이다. 12년의 간격을 두고 작곡된 두 작품은 중국의 민족적 요소와 서양 작곡 기법을 융합하기 위해 평생 노력을 기울였던 강문예의 작곡 기 법이 어떻게 발전되고 무르익어갔는지 비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들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경 만화집》 Op. 22와 《향토 절기 시》 Op. 53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로서의 강문예를 조명할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하고, ‘강문예가 난이도가 다른 두 곡에서 어떻게 차별되게 민족적 요소를 구사하였는지?’ 그리고 ‘민족적 요소가 어떻게 서양 작곡 기법 속에 녹아들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민족적 요소를 적용한 강문예의 특징적 작곡기법은 1) 명승고적, 자연경관, 절기 및 전통적 풍습, 그리고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사용, 2) 중국과 일본의 전통 음계 적용, 3) 중국 전통 악기의 음향 모방, 그리고 4) 중국 민 요 선율 및 전통 기악곡의 선율 차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족적 요소들 은 서양 작곡 기법과의 결합을 통해 동양적 색채를 지닌 동시에 현대적 음 향을 가진 작품으로 탄생되었다. 이를 위해 그가 적용한 두드러진 작곡 기 법은 1) 서양 음악의 전조 기법을 전통 음계의 전조 과정에 적용, 2) 전통 과 현대를 아우르는 음향 창출을 위한 음계, 음정 및 화음의 사용, 3) 전통 적 선율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한 박자와 리듬의 적용, 4) 대립적이면서 상 호보완적 관계를 가진 셈여림, 템포, 음역, 그리고 아티큘레이션의 적용, 5) 한 악장 내에서 주제 선율을 변형시켜 발전시키는 주제 변형 기법의 적용, 6) 서양 음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식의 적용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새로운 레퍼토리를 탐색하는 연주자 및 학생들뿐만 아니라, 민족적 요소와 서양 작곡 기법의 융합을 통한 작품 창작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한다. Chiang, Wen-Yeh(1910-1983) was a Chinese composer that unfolded his original world of arts based on the fusion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both of which had huge impacts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music. He wrote <Beijing Myriorama> Op. 22, which is a collection of ten works about scenic spots, places of historic interest, and landscapes in Beijing. In 1938, he moved from Japan to China and had a turning point in his creative life. He composed in a way that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could play his piece on the piano and experience the Chinese culture. For this reason, <Beijing Myriorama> Op. 22 is considered to be of high educational value. In 1950, at the peak of his career, Chiang wrote <Twelve Poems on Folk Festival> Op. 53, which depicts the landscapes of China throughout 12 months of the year. It is about the four seasons and traditional customs of China and a high-level work requiring advanced techniques. The 12-year interval between these two works is meaningful in that their comparison helps to understand how his composition techniques developed and matured as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fusion of China's national elements and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This study thus sets out to analyze <Beijing Myriorama> Op. 22 and <Twelve Poems On Folk Festival> Op. 53 by of feringa chance to shed light on Chiang as a composer and examining the following factors: how differentiated he was in the command of n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works of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and how Chinese characteristics melted into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The findings show that he used his own characteristic composition techniques by applying the following national elements: 1) he found his materials in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 interest, the four seasons, traditional customs, and daily lives of Chinese people; 2) he used the traditional scales of China and Japan; 3) he mimicked the sound of traditional Chinese instruments; and 4) he borrowed melodies from Chinese folk songs and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he harmonious application of thes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gave birth to his works of modern sound as well as East Asian colors. For this purpose, he applied many composition techniques, which include the following prominent ones: 1) he applied the modulation technique of Western music to the modulation process of traditional scales; 2) he used scales, tunes, and chords to create sound encompass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3) he applied beats and rhythms for the effective expression of traditional melodies; 4) he applied dynamics, tempo, range, and articulation with confronting and complementing relations; 5) he applied the technique of theme change to alter and develop the theme melodies within a movement; and 6) he applied various forms used in Western music.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useful materials for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creation of works based on the fusion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as well as players in search of a new repertoire.

      • 직무스트레스평가와 작업능력지수에 기반한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 평가

        Luo Meiling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59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are known to be a compositive output from work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industrial fields, most muscular works can easily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cyclic works and atypical works. Though, there might exist not a few differences between cyclic works and atypical works, many researchers have applied the same assessment techniques for both categories of works. This thesis aimed to confirm whether WMSDs have been affected by psychosocial factors,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psychosocial factors distributed over lots of work and personal attributes, and to validate usuability of Work ability index(WAI) as an representative index for psychosocial factors. For analysis, 4 kinds of different work sites - an automobile assembly line, an automobile part manufacturing company, an automobile repair shop, and a general hospital - and about 1,100 workers were sele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terview study were carried out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well as psychosocial factors, and ergonomic assessment were also carried out. Multivariate analyses including The 3rd Quantification Technique a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WMSDs are affected by psychosocial factors, especially for cyclic work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whole workers into 2 clusters, under which 7 sub clusters came out representing work characteristics, individually. Furtermore, MANOVA showed that WAI h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veral factors in job stress assessment, but failed to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MSD complaint rates. To summarize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between cyclic works and atypical works with respect to WMSD's, and that differentiated approach should be adopted for assessment as well as solution of WMSDs.

      • Molecular Rearrangement of Short-chain Glucans from Natural Starch : Growth mechanism, Synthesis, and Applications

        LUO K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359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고분자 중에서 아밀로오스는 아밀로펙틴과 함께 식물의 전분을 이루는 구성요서이다. 특이, 아밀로펙틴의 단기 사슬은 나선형(helix) 구조를 이루는 특징이로 식물의 영양요소인 전분 고분자를 이화학적으로 안정한 결정체 합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활을한다. 나선형 단기사슬 글로칸 분자의 자기조립과정은 열역학적 기반인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등 비공유반응(non-covalent interactions)을 통해 지향성 음집(oriented aggregation)되며, 열역학적 키네틱 요소(kinetic factors)들을 조정하여 단기사슬 글로칸 응집체의 형상 및 크기 조절할수 있음. 이에, 본 연구진은 아밀로스 분자의 자기조립현상의 메커니즘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균일한 전분자성입자 합성 및 기능성물질의 전달체로의 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자기조립에 적합한 단기사슬 글로칸 분자를 제작함에 있어 전분을 가수분해하는 기술을 구축하였으며, 자기조립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음. 입자의 크기는 growth species(단기사슬 글로칸 분자)의 농도와 입자 생성의 초기단계에 만들어지는 핵(nucleus)의 수와 깊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0.2um 부터 5um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균일한 전분기반 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으며, 아밀로스 입자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크기뿐 아니라 만들어지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해야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입자 생성 및 성장 동역학을 연구하였고, 핵형성(nucleation)과 성장(growth) 단계의 조절이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음. 이를 조절하기 위해 핵형성물질 및 charge를 가지고 있는 분자를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균일하고 원하는 크기의 아밀로스 입자를 제작할 수 있었음. 또한 수용성 guest molecule를 단기사슬 글로칸 분자의 자기조립과정 중 효과적으로 내부에 포집이 된다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식품소재 기반의 전달체 개발이 가능하였음. 아밀로스 입자에 포집된 기능성 물질은 광분해 및 화학적 산화조건에서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며, 소장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방출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분기반 나노/마이크로 입자는 향후 약물질 및 기능성물질의 보존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섭취 시 소장이나 대장에서 선택적으로 방출 특성을 가지는 식품소재 기반의 우수한 전달체로 널리 활용될 것임. 또한, 단기사슬 글로칸 분자와 유사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dextran(덱스트란)이 코팅되여있는 자철나노입자를 자기조립과정에서 핵(nucleus)으로 homogeneous nucleation과정을 유도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자철입자을 고효율로 포집하여 는 자성민감도가 높고 균일한 크기의 전분기반 자성입자를 성공적으로 제작 하였며. 양전하를 띄는 고분자(키토산, 폴리라이신) 및 융합단백질(MBP-SPG)을 이용한 전분자성입자 표면 고배향성 리간드 기능화를 통하여 복잡한 식품 매트릭스 내 선택적 혹은 넓은 스팩트럼(Gram-negative 및 Gram-positive)의 균들을 고휴율로 분리·농축 하였음. 이는 식품내 생물학적 위해요소인 식중독균의 분리·농축 소재로 활용가능함을 입증함.

      • High-density mapping reveals a tight linkage of QTL for grain weight and spikelets per panicle in rice

        Luo, Xiao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359

        In our previous study, we reported a QTL for grain weight, qTGW5 , between RM18003 and INDEL3 in introgression lines from a cross between Hwayeongbyeo (Oryza sativa) and CR6. CR6 is a BC3F4 line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wayeongbyeo and W1944 (O. rufipogon). A total of 5 QTLs for plant height (qPH5), culm length (qCL5), secondary branch (qSB5), spikelets per panicle (qSPP5), ratooning ability (RAT5) were also been detected very near from qTGW5. To confirm the result and to investigate the matter further, a line CR6 from BC3F4 was selected and backcrossed to Hwayeong to produce BC4F3, BC5F2, BC5F3 and BC5F4 populations. In Hwayeongbyeo background, rufipogon allele increased spikelets per panicle but decreased grain weight. qSPP5 was mapped to a 833kb interval between INDEL3 to RM18076 while qTGW5 was mapped to a 526kb interval between RM194 and INDEL3. This result points to a conclusion that qSPP5 and qTGW5 are different genes. The isolation of qSPP5 gene may exert an influence on increasing the grain yield. 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작물이며 모델식물(단자엽식물)로 대표적인 연구대상이며, 또한 벼의 진화가 다른 종 즉, 옥수수, 보리, 밀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벼의 진화를 연구할 때, 야생종과 재배종간의 교배를 통해 유래된 후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특정 유전자좌, 예를들면 수량성을 증가시키는 유전자좌 또는 내재해성과 관련된 유전자좌를 야생벼로부터 유망계통 또는 품종으로 도입시키기 위하여 고세대여교잡 방법을 통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화영벼/W1944 조합에서 유래된 염색체 이입단편을 이용하여 천립중에 관한 유전자 qtgw5가 5 번 염색체에서 탐지되었다. qtgw5 유전자의 의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영벼와 W1944 간의 교배로부터 얻어진 BC3F4 세대의 qgw5 위치에 W1944 단편을 이입된 CR6를 수여친으로 화영벼를 반복친으로 사용하여 BC4F3, BC5F2, BC5F3, BC5F4 계통을 육성하였다. 초장(qph5), 수장(qcl5), 2차지경(qsb5)과 수당립수(qspp5) 총 4 개 QTL도 qgw5 주변 위치에 탐지하게 되였습니다. 동일한 지역에 독립적인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탐지가 되었기 때문에, 목표유전자좌에서 유전자재조합이 일어난 계통을 이용하여 substitution mapping을 실시한 결과, 수당립수 유전자(qSPP5) 는 5 번 염색체의 RM18058과 RM18076 사이의 377-kb, qTGW5는 RM194과 INDEL3 사이의 165-k,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각각의 유전자좌에 야생벼의 단편이 이입되면 천립중은 감소되고 수당립수는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수당립수와 천립중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서로 따른 유전자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각각의 유전자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자표지는 수량성 품종육성에 있어서 선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벼의 수량성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중국 D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조직문화 유형,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LUO RUIQ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9

        학교조직문화 유형,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도는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을 관리하는 방법은 조직에 좋은 영향을 주고 조직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주목되어왔다. 특히 중국은 최근 사교육에 대한 제한 조치를 강화하는‘쌍감소(双减)’ 정책을 발표했기 때문에, 공교육의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교원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조직의 문화를 매개로 하여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학교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배경에 근거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D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조직문화의 유형별 수준을 확인하고, 학교조직문화 유형이 중국 D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교조직문화 유형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의 관계는 효율성과 관련된 학교의 목표와 결합하여 조직문화를 조절함으로써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D초등학교의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Person 상관관계 분석, T-test, One-way ANOVA,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중국 D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조직문화 유형 중 합의문화와 개발문화가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조직문화 유형의 하위요인인 합의문화와 개발문화가 직무 만족도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국 D초등학교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 만족도를 높일 것을 권고한다. 첫째, 학교의 핵심 가치관을 육성하여 교사의 정신적 추구를 유도한다. 둘째, 민주적 관리 방식을 통해 교사의 참여 의식을 높인다. 셋째, 학교의 창의성을 기르고, 교사의 근무평가 비중을 높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