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paring university students' mobile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Yng, Teresa Liew Bao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388

        Ubiquitous access to wireless technologies has motivated schools,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 institutes to use mobile technology to impro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Mobile learning allows users to learn on the go, and to exchange information outside the university (Lam, Mohan, Xu, & Lam, 2011). The rapid spread of mobile devices and wireless networks within university campuses makes higher education a particularly suitable venue for mobile learning integration (Cheon, Lee, Crooks, & Song, 2012).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mobile learning as a new technology to enhance learning and teaching in educational settings, it doe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small screen size, restricted input capabilities, and unstable connectivity, among others (Wang, Wu, & Wang, 2009). Furthermore, mobile learning acceptance literature has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cyber university students 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mobile learning experience (Bao, Xiong, Hu, & Kibelloh, 2013; Callum & Jeffrey, 2013; Chang, Yan, & Tsang, 2012; Suki & Suki, 2011),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is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required to use mobile learning as part of their daily learning processes. As suc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mpact traditional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the autho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dicting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PE), effort expectancy (EE), social influence (SI), facilitating conditions (FC), hedonic motivation (HM), price value (PV) and self-management of learning (SML) on behavioral intention (BI) to use mobile learning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To date, there have been no cross-country comparison studies on this topic. Therefore, a cross country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predict mobile learning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hich have many similarities in different aspects (e.g., cultural values and ICT development in education) and to se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bile learning acceptance predictors between both countries. Further, the differences in gender effects on all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and BI) were also investigated. This study, therefore,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BI)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BI) between males and females? 3. Are th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country (South Korea and Hong Kong) and gender (male and female) on variables (PE, EE, SI, FC, HM , PV, SML, BI)? 4. Is there a difference in predicting variables (PE, EE, SI, FC, HM, PV and SML) and their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The present study collected data from variou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South Korea, a total of 305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rly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4.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by three instructors from each university to their students after class. In Hong Kong, a total of 293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rly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4.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by four instructors from each university to their students during class. Before conducing the survey, each instructor was briefly introduc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by the researcher.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in variables (Pillai's Trace=.25,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in PE, F(1,594)=19.99, p<.05, EE, F(1,594)= 10.97, p<.05, SI, F(1,594)=33.24, p<.05, HM, F(1,594)=24.71, p<.05, PV, F(1,594) =170.85, p<.05 and SML, F(1,594)=7.08, p<.05 except FC, F(1,594) =.41, p>.05.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lower mean scores on all significant variables compared to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variables (Pillai's Trace =.03,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FC, F(1,594)=4.31, p<.05, and SML, F(1,594)=2.24, p<.05. 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both FC (M=3.75) and SML (M=3.53) compar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country (South Korea and Hong Kong) and gender (Male and Female) in variables (Pillai's Trace=.05,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EE, F(1,594)=7.40, p<.05, SI, F(1,594)=5.74, p<.05, FC, F(1,594)=4.69, p<.05 and PV, F(1,594)=6.32, p<.05. Disordinal interaction was shown for EE, SI, FC and PV for which gender effects differently according to countries. In South Korea,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on EE (M= 3.68), SI (M=2.96), FC (M=3.82) and PV (M=2.70) than female students. In Hong Kong,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on EE (M=3.86), SI (M =3.33), FC (M=3.76) and PV (M=3.54) than male students. Findings indicated that although gender did not affect EE, SI and PV in general, according to country, gender affected these three variables differently.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predicting variables (PE, EE, SI, FC, HM, PV and SML)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PE (β=.22), SI (β=.18), HM (β=.27) and SML (β=.20) predi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50%, F(7,297)=40.11, p<.05, variance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can be explained by four predictors in this study. For Hong Kong,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indicated that five predictors explained 51% of the variance, F(7,285) = 41.33, p<.05,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PE (β = .21, p<.05), EE (β=.13), SI (β=.21), HM (β=.31) and SML (β=.12) predi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gression coefficients between countries on HM (t=2.56, p<.05) for which South Korea (B=.37) showed a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than Hong Kong (B=.28). Howeve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ression coefficient between countries on PE (t=-1.76, p>.05), SI (t=-0.12, p>.05) and SML (t= -0.19, p>.05).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 for future endeavors to refine existing theory and provide strategies to promote mobile learning acceptance. First, with regard to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this study has assessed the predicting factors (PE, EE, SI, FC, HM and PV)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based on UTAUT2 with an added predicting factor (SML). The results showed that PV and FC did not predict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The findings added to the theory of mobile learning acceptance. Second,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 into what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for designing a mobile learning system in higher education. To effectively implement and promot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HM, PE, SI and SML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sought evidence for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mobile learning from two different countries with similar backgrou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strategic plans and provide guidelines considering students' mobile learning acceptance to include al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sustainable deployment of mobile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of interest of educators and mobile learning practitioners concerned with the acceptance and deployment of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최근 발전된 무선 통신기술은 교수-학습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초ㆍ중등학교와 대학교 뿐만 아니라 그 외 교육 기관들에서 모바일 기술사용을 장려한다.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학습은 사용자들이 학교를 벗어나서도 계속해서 학습하고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Lam, Mohan, Xu, & Lam, 2011). 특히 고등교육에서 대학 캠퍼스 내에서 모바일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빠른 보급률은 모바일 학습의 통합에 있어 최적의 장소로 손꼽히게 한다(Cheon, Lee, Crooks, & Song, 2012). 교육상황에서 교수-학습을 중진시키는 새로운 기술로써 제안되는 모바일 학습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작은 스크린 화면, 불편한 정보 입력 방법, 불안정한 모바일 네트워크 등과 같은 제한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Wang, Wu, & Wang, 2009). 더욱이 모바일 학습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모바일 학습 경험이 있는 성인 학습자, 사이버대학교 학생들 또는 대학교 학생들에 집중되어 있고(Bao, Xiong, Hu, & Kibelloh, 2013; Callum & Jeffrey, 2013; Chang, Yan, & Tsang, 2012; Suki & Suki, 2011), 일상적인 학습 과정에서 모바일 학습이 요구되지 않는 전통적인 대학교 학생들에 대해서는 매우 드물게 연구가 수행되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대학교 학생들의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위 주제에 대해 수행된 연구 중 국가 간 비교분석 연구가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국가 간 비교분석 연구도 요구된다. 한국과 홍콩은 동양의 문화권이나 교육에서의 ICT 발달과 같이 여러 면들에서 유사점이 있기 때문에 이 두 국가에서 모바일 학습 채택에서 차이가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측변인들인 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에서 한국의 대학생과 홍콩의 대학생들이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모든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 대한 성별의 효과 차이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홍콩의 대학생들은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2.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3. 대학생들은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국가와 성별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4. 한국과 홍콩의 대학생들은 모바일학습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과 그 예측력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한국과 홍콩의 대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한국에서는 2014년 1학기 초에 세 곳의 대학에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총 305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홍콩에서는 2014년 1학기, 네 곳의 대학에서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총 293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먼저 실시하고, 국가간 그리고 성별 비교 분석을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홍콩 대학생들 간에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illai's Trace=.25, p<.05). 촉진조건(F(1,594)=.41, p>.05)을 제외하고, 수행기대(F(1,594)=19.99, p<.05), 기대되는 노력정도(F(1,594)=10.97, p< .05), 사회적 영향(F(1,594)=33.24, p<.05), 오락적 동기(F(1,594)= 24.71, p<.05), 가격가치(F(1,594)=170.85, p<.05), 자기학습관리(F(1,594)= 7.08, p<.05)에서 한국 대학생이 홍콩 대학생보다 더 낮은 평균을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변인의 응답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illai's Trace=.03, p<.05). 연구결과에 따르면 촉진조건(F(1,594)=4.31, p <.05)과 자기학습관리(F(1,594)=2.24,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촉진조건(M=3.75)과 자기학습관리(M=3.53) 두 변인 모두에서 여자 대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국가(한국과 홍콩)와 남녀성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illai's Trace=.05, p<.05), 이는 기대되는 노력정도(F(1,594)=7.40, p<.05), 사회적 영향(F(1,594)=5.74, p<.05), 촉진조건(F(1,594)=4.69, p<.05) 그리고 가격가치(F(1,594)=6.32, p<.05)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국가에 따라 성별에서 역순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한국 남자 대학생은 여자 대학생에 비해 기대되는 노력정도(M=3.68), 사회적 영향(M= 2.96), 촉진조건(M=3.82), 가격가치(M=2.70)에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이는 반면, 홍콩은 여자 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기대되는 노력정도(M= 3.86), 사회적 영향(M=3.33), 촉진조건(M=3.76), 가격가치(M=3.54)의 평균이 더 높았다. 이 같은 결과들은 비록 연구문제 2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가격가치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국가에 따라서 이 세 변인들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에서 한국과 홍콩 대학생들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의 수행기대(β=.22), 사회적 영향(β=.18), 오락적 동기(β=.27), 자기학습관리(β=.20)가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네 개의 예측변인은 행동의도의 변량을 5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297)= 40.11, p<.05). 홍콩 대학생의 경우에는, 다중회귀모델에서 5개의 독립변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의 5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285)= 41.33, p<.05)으며 수행기대(β=.21), 기대되는 노력정도(β=.13), 사회적 영향(β= .21), 오락적 동기(β=.31), 자기학습관리(β=.12)가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에 따라 각 변인의 회귀계수를 비교했을 때, 한국의 대학생(B=.37)이 홍콩의 대학생(B=.28)보다 더 높은 오락적 동기(t=2.56)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수행기대(t=-1.76), 사회적 영향(t=-0.12), 자기학습관리(t=-0.19)에 대해서는 국가 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의 정제 작업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자 모바일 학습의 수용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첫째, 이론적인 면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학습을 사용하는데 있어 행동의도에 대한 예측변인들로 UTAUT2 모델을 토대로 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와 자기학습관리를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서 가격가치와 촉진조건은 대학생들의 모바일 학습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모바일 학습 수용이론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 모바일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 어떤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모바일 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오락적 동기, 수행기대, 사회적 영향, 자기학습관리가 고려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모바일 학습 수용을 위한 두 국가의 대학생들의 행동의도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는데, 고등교육기관에서 성공적인 모바일 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모바일 학습 수용 핵심 변인을 고려하여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포함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Antibody mimicking peptides from phage display: Potential applications in immuno separation

        THAI BAO DIEU HIEN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74

        Abstract Antibody mimicking peptides from phage display: Potential applications in immuno separation Thai Bao Dieu Hien Advised by Prof. Eun Kyu Lee Dept. Of Bionan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Phage display is a technology which can display the foreign peptides on the surface of the phages interacting with exterior molecules/materials. Such kind of peptides could demonstrate the same recognition and interac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eir native antibody molecules and yet possessing reduced sensitivity and improved stability characteristics. Phage display technique has been used to screen and identify the antibody mimicking peptides. In our study, the ‘biopanning’ was carried out by incubating a library of phage-displayed 12-mer peptides sequence (ca. 109 clones expressed as fusions on M13 pIII protein) on a solid surface coated with the target antigen (human IgG), washing away the unbound phages, and eluting the specifically bound phages. The eluted phages were taken through additional binding cycles to enrich the pool in favor of binding sequences. Our preliminary experiments resulted in 4 clones (F9, D1, G5, A10) showing specific binding to human IgG through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mong them, F9 showed the highest affinity (Kd = 6.2 nM), only one order of magnitude lower than the native anti-human IgG (0.66 nM). Four 12-mer peptides having the specific amino acid sequences of the selected phages were chemically synthesized. Binding affinities of the synthesized peptides to hIgG were monitored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The peptide D1 had a higher binding affinity against hIgG than the rest. This peptide was attached onto streptavidin –coated magnetic bead to determine the hIgG capturing ability and later to compare with immobilized anti- hIgG-bead. The result suggested that identified mimicking peptide from phage display was capable of capturing hIgG and showed the potential for immuno-magnetic separation.  

      •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의 한국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Tran, Thi Bao Yen 배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73

        Effects of Korean Wave on Korea’s Country Image, Product Imag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Korean Cosmetics Consumers in Vietnam - TRAN THI BAO YE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Won-Kyum Kim) In recent years, the Korean Wave has been rapidly spreading worldwide to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Hong Kong, Taiwan, Thailand, Indonesia, and Vietnam. Since the 1990s, Korean pop culture has gained great popularity. In 1999, Korean actors who appeared in Korean dramas became popular with Vietnamese people. Currently, Korean Wave included by music, drama, sports, social media, fashion, games, and popular culture content in Korea have focused on young people who are gaining great popularity around the world. Korean Wave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since 2017. Due to the global economic exchange and the increasing income level of Vietnamese consumers, the trend of foreign cosmetics‘ favor is expanding. Therefore, due to the growth of Vietnam's cosmetics market and the Korean wave, Korean cosmetics companies are increasing their recognition as a luxury brand and expanding into the Vietnamese cosmetics market based on technology and product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opularization of the Korean Wave, the more favorable it is to Korea‘s country and positive effects on Korea's national image and Korean product image. However, among the Korean Wave’s cultural cont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nalyzed mainly on Korean Pop Music (K-Pop) and Korean Drama (K-Drama), and there are insufficient prior studies on other Korean Wave’s content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Korean Sport (K-Sport) and Korean Social Media (K-SNS) are added to analyzed.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Country Image, cosmetics image, attitude towar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for Vietnamese consumers using Korean cosmetic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Overall,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 Vietnamese consumers using Korean cosmetics, and the final 302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al packag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of Korean Wave’s contents, namely K-Pop, K-Drama, K-Sport, and K-S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Korea's national image. Among them, K-Pop was analyz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national image of Korea. Therefore, to improve Korea's country image for Vietnamese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Korea's economic, political,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through various contents. Second, it was tested that all four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product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image through Korean Wave stars (actors, singers, music bands) and to utilize the popular Korean Wave stars in Vietnam as a Korean cosmetic advertising model so that Korean cosmetic images can be evaluated well. Third, Korea's national image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Vietnamese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nhance the country’s image of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consumer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osmetics. Fourth, the Korean product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or especially Korean cosmetics to increa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urchase decisions through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cosmetics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consumers, such as good quality, high cost-effectiveness, various types, the climate in Vietnam, and skin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Fifth,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cosmetics was tes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f the country's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improves,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cosmetics will be improved,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consumer purchase. Keywords: Korean Wave, Country Image, Product Image,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한국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 TRAN THI BAO YEN 지도교수 김 원 겸 배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최근 몇 년 동안, 한류는 중국, 홍콩,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990년 이후 한국의 대중문화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한류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1999년 한국 드라마와 출연했던 배우들이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면서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이했다. 현재 한류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음악, 드라마, 스포츠, 소셜미디어, 패션, 게임, 대중문화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베트남의 경우 2017년부터 한류가 사회, 경제, 문화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 세계적 경제교류와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외국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베트남 화장품 시장 성장과 한류의 열풍으로 인하여 한국화장품 기업들은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상승과 기술 및 상품을 바탕으로 베트남 화장품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한류 대중화 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며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한국산 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가 많다. 하지만 한류 문화콘텐츠 중 한국 대중음악(K-Pop)과 한국 드라마(K-Drama)를 중심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며, 다른 한류의 콘텐츠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국 스포츠(K-Sport)와 한국 소셜미디어(K-SNS) 요인을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베트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화장품이미지, 화장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는 한국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베트남 소비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02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및 AMOS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의 네 가지 요인, 즉 K-Pop, K-Drama, K-Sport, K-SNS는 모두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K-Pop이 한국 국가이미지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베트남 소비자들에 대한 한국의 국가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통하여 한국의 경제, 정치, 문화,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류 콘텐츠 네 가지 요인 모두 한국의 제품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한국화장품이미지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류 스타(배우, 가수, 뮤직 밴드)를 통한 이미지제고와, 베트남에서 인기가 높은 한류 스타를 한국화장품 광고 모델로 활용하는 촉진전략이 중요하다. 셋째,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베트남 소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한국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나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한국의 제품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생기거나 구매의도를 통한 구매결정 가능성이 높이기 위하여 한국 제품이미지나 특히 한국화장품의 이미지를 증대시켜야 한다. 즉, 좋은 품질, 높은 가성비, 다양한 종류, 베트남 기후와 소비자의 피부 특성 등에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화장품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소비자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좋아지면 소비자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태도가 좋아져서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이다.

      • (The) role of hedgehog signaling in carcinogenesis and its regulation by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Bao, Chen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359

        암은 여전히 전세계의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암세포의 분자표적이 규명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의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Hedgehog (Hh) 신호 전달 경로는 세포 성장, 생존 및 조직 패터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경로의 조절 장애는 유방암과 교모세포종 (glioblastoma)의 종양 발생과 관련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설포라핀 (sulforaphene)과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e)의 Hh/Gli 신호 조절을 통한 유방암과 교모세포종에서의 암화과정 조절 효능을 분석하였다.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은 Gli1 단백질의 발현량 및 세포 내 위치의 조절을 통해 유방암 세포인 SUM159와 MCF10DCIS.com 세포의 침윤를 유의하게 억제했다. Hh/Gli 신호의 하위 조절자로서 MMP-2 및 MMP-9 발현 및 활성 또한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이 유방암 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UM159 세포를 맘모스피어 배양 배지에서 배양 후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을 처리한 결과, SUM159 세포의 맘모스피어 수를 줄였고, 유방암 줄기 세포 마커인 CD44, CD24, 및 ALDH1의 발현을 억제했다. 또한, Gli1의 주요 표적 유전자인 Nanog의 발현도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에 의해 억제되었다.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U251 세포에서는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은 G0/G1 세포주기 억제를 통해 세포 증식을 유의하게 억제 하였다. 이에 대한 상위 신호 전달 경로로서,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이 Hh/Gli1 신호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배양된 U251 암 줄기세포에서,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은 신경구의 수, 줄기 세포 마커인 CD133과 ALDH1의 발현, 그리고 Gli1의 표적 단백질인 Nanog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은 유방암 세포의 세포 침윤 저해, 교모세포종 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 암 줄기세포에 대한 조절 효능을 보였으며, Hh/Gli 신호가 주요 상위 조절 메커니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설포라핀과 아멘토플라본이 유방암 및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억제를 위한 유효한 식이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cancer still remains to be a leading cause of death around the world, the advance of target-based drug development improves cancer patients’ cares. 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umorigenesis, and dietary phytochemicals have emerged as key modulators of the cellular signaling pathways. Hedgehog (Hh) signaling pathway is crucial for the cell growth, survival, and tissue patterning, and its dysregulation has been implicated in tumorigenesis including breast cancer and glioblastoma as well as cancer stem cell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potential effects of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on Hh/Gli1 signaling mediated breast cancer and glioblastoma.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ellular invasiveness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SUM159 and MCF10DCIS.com via regulation of Gli1 expression and its cellular localization. As a down-stream mediator, MMPs especially MMP-2 and/or MMP-9 activities were strongly suppressed by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on stemness of breast cancer cells, SUM159 cells were cultured in sphere forming culture media.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not only reduced the number of mammospheres, but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breast cancer stem cell markers CD44, CD24, and ALDH1.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Gli1 and its direct target Nanog, a transcription factor playing critical roles in stem cell maintenance, was inhibited by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In U251 glioblastoma cells,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ellular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U251 cells via the arrest at G0/G1 phase. Cyclin D1, a cell cycle marker at G0/G1 phase, was also inhibited. The regulation of Hh signaling by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was at least in part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cell growth in U251 cel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on stemness of glioblastoma U251 cells, they were cultured in sphere forming culture media.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not only reduced the number of neurospheres, but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brain cancer stem cell markers CD133 and ALDH1,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Gli1 and its direct target protein, Nanog. Taken together, it was demonstrated that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possess suppressive effect on the cellular invasiveness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inhibitory activity on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cells, and regulatory efficacy on cancer stemness of both cells at least in part through modulating Hh/Gli signal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sulforaphene and amentoflavone can be considered as potential agents for prevention and/or inhibition of breast cancer and/or glioblastoma.

      • Sliding Perturbation Observer Based Compliance Control of Robotic Manipulator

        Bao, Yulong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In human-robot interaction (HRI), compliance control is required to regulate interactive forces between human and robot. The manipulator must be able to cooperate with uncertainties in the dynamic environment. Thus, the ability to know about external force is crucial in HRI. Generally, the external force could be measured by a force/torque sensor. Considering force/torque sensors have inherent limitations such as narrow bandwidth, sensitivity under a sensing noise, and high cost, a sliding perturbation observer (SPO) based external torque estimation method for compliance control is proposed and applied in a robotic manipulator. SPO is used to estimate the external torque from the environment and modeling uncertainties. In compliance control, sliding mode control with sliding perturbation observer is applied as an inner loop position controller, and the impedance model is designed as an outer loop. Simulation in MATLAB/Simulink and implementation on a real robot manipulator verified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 proposed SPO based compliance control. 사람-로봇 상호작용(HRI)에서는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 힘을 조절하기 위해 컴플라이언스 제어 (compliance control)가 요구된다. 이 때 매니퓰레이터는 동적 환경에서의 불확실성에 대해 사람과 협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HRI에서는 외력에 대해 알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외력은 힘/토크 센서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힘/토크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대역폭이 좁고, 센서 노이즈의 영향에 민감하고, 높은 비용과 같은 내재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섭동 관측기(SPO)를 사용하여 외력을 추정하는 새로운 컴플라이언스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SPO는 컨트롤러 설계에 있어 외란과 불확실한 모델링에 의한 성분 등을 추정기로 추정하여 사람이 가하는 힘을 추정하는데 이용한다. 컴플라이언스 제어에서는 내부 루프 위치 제어기로 슬라이딩 모드 제어가 적용되며, 임피던스 모델은 외부 루프로 설계된다. 위치제어 루프와 임피던스 제어 루프를 병합하여 실제 로봇에 직접교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하여, 그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의어 교육 방안 연구 : '입(口,嘴)'을 중심으로

        Bao, Yuqi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다의어 '입' 교육 방안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설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한국어의 대표적인 신체 어휘 ‘입’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신체어 어휘 '口' 혹은 '嘴'를 중심으로 다의어의 의미를 살펴본다. 둘째로 '입'이 한국어교육 표준 말뭉치에 나타난 출현 빈도를 확인한다. 셋째로 주요 대학교에서 출판된 한국어 학습교재를 분석한다. 각 장에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 대상 및 방법,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신체 관련 언어의 다의성에 대한 연구, 한⦁중 다의어 대조 분석 연구 및 다의어 교육방안 연구에 대해 살펴보면서 각각의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점들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 2장은 다의어의 개념과 의미 구조 및 판정기준을 정의하고, 기존 한국어 다의어 '입'과 중국어 다의어 ‘口,嘴’ 분석 연구를 살펴보고 한국어 '입'과 중국어 '입' 대조 방법을 모색하였다. 3장은 한국어 '입'의 다양한 의미를 더 잘 알기 위해서 사전을 사용했다. 한국어 사전으로는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한국어기초사전>을 참조하고, 중국어 사전은 <新華字典신화사전>,<現代漢語詞典현대중국어사전>,<現代韓中中韓詞典현대한⦁중/중⦁한 사전>을 참고하여 한국어 '입'과 중국어 '口', '嘴'의 사전적인 의미를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사전 및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입'의 대표적인 예문, 그리고 중국어 말뭉치사전 BCC에서 나온 중국어 '口', '嘴‘에 관한 예문을 차용하여 2장에서 제시된 '개념적 환유와 은유', '범주적 은유', '문법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한⦁중 다의어 '입'을 대조하고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교육방안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다의어 '입' 교육상황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먼저 서상규(2014)의 <한국어 교육 기본어휘 의미빈도사전>를 참고하기 통해서 '입'의 의미별 빈도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는 한국에서 주로 대학교에서 출판된 교재를 분석하였다. '입'의 의미별 빈도수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통해서 중국인 한국어 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의어 '입'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5장은 기존의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안 연구를 살펴보고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수업 모형을 살펴보고 한국어 능력 수준에 대한 요구, 다의어의 난이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고 한국어 다의어 '입'의 교육 대상을 중국인 한국어 4급 학습자로 설정하였다. 또한 3장에서 한⦁중 다의어 '입'의 대조 결과를 보면 한국어 '입'은 주로 '개념적 환유'를 수단으로 의미 확장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입'의 의미망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의미망 구성을 교육 방법으로 '도입-제시-연습-활용-마무리' 다섯 단계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다의어 '입'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liberate the educational guidelines about Korean polysemy 'mouth' for Chinese learners. The desig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multisense words is examined focusing on the body vocabulary of Korean 'mouth(입)'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body vocabulary 'mouth(口,嘴)'. Seco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mouth' is examin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corpus. Third, Korean language learning textbooks published in major Korean universities are analyzed. The results discussed in each chapter are summarized as below.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and related prior literatures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each study were reviewed, examining the study on the multiplicity of language related to the body of the Korean language, the study on the contrast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the study of multisense education methods. In the Chapter 2,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meaning structure, and criteria of polyunism, examines the existing literatures on the Korean multisense word 'mouth' and the ones on the Chinese words '口,嘴', and explores a method of contrasting Korean word 'mouth' and Chinese words 'mouth'. Chapter 3 uses a dictionary to better understand the various meanings of Korean 'mou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Korea University Korean Ambassadors>, and <Korean Basic Dictionary> are referred to Korean dictionaries. <Xinhua Dictionary>,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and <Modern Korean-Chinese Dictionary> are referred to Chinese dictionaries. The meanings of Korean '입', Chinese '口,嘴' are summarized referring to the dictionaries. This chapter also compares Korean multisense word '입' and Chinese '口,嘴' in the perspectives 'conceptual metonymy and metaphors', 'Categorical metaphor', and 'Grammarization' which are presented in Chapter 2 with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of korean '입' provided by the Korean Dictionary and the Corpus Sharing Center for Learner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ome examples of Chinese '口,嘴' from the Chinese corpus dictionary BCC. In Chapter 4, in order to make a educational guideline for Chinese students, I first looked at the Multisense mouth's educational situation. Therefore, first, by referring to the meaning frequency dictionary of Korean education basic vocabulary by Seo Sang-gyu (2014), the frequency of each meaning of Korean 'mouth' was identified. Next, textbooks mainly published in universitie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and textbook analysis results, a multisense word 'mouth' educational guideline was proposed for Chinese Korean level 4 learners. The last Chapter 5 examines the existing Korean multisense educational guideline researches and explore the educational metho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model was reviewed, and various factors such as demand fo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difficulty of multilingual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target of education for the Korean multisense word 'mouth' was set as a 4th level learner. In addition, in Chapter 3,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Korean/Chinese multisense word 'mouth' shows that Korean 'mouth' has been expanded mainly by means of 'conceptual metonymy', so the meaning network of 'mouth'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Therefore,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constructing a semantic network, a five-step education model was designed for 'introduction - presentation - practice - use - finish'.

      •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BAO WENHUA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more and more companies use virtual characters as models in advertisements. A virtual character is a virtual persona expressed in a simulated way by using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to integrate with reality. These virtual characters are visually indistinguishable from real characters. Although they do not exist in reality, they still receive a lot of attention on the Internet. Discussions about the use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marketing communicatio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companies are also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market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The advantage of using virtual character models is that the company does not need to take the risk of a possible scandal caused by the actual celebrity or artist, especially if there is a relationship dispute between a celebrity and a partner enterprise.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show very strong stability of business cooperation (the design agency can fully have the management authority of the virtual character, so there will be no disputes due to itself). In addi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Meta-verse" and the improvement of graphic modeling technology. Compared with real celebrities, virtual character models have comparative advantag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economies of scale of industrial value. But there is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is context, it will be meaningful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dvertis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is study. This article is a study of virtual character models through the "flow theory". The definition of immersion is different for each scholar. This study mainly uses 'flow' as the meaning of immersion for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dvertising by examining the physical presence, social presence, charisma, and familiarity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and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mage consistency and flow. One advertisement featuring a virtual character as a mode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received questionnaires through the Chinese professional statistics website (http://www.wjx.cn). Finally, 298 avail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or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time is from October 22, 2022, to October 27, 2022, a total of 6 da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in the following aspects: ①frequency, ②common method biases, ③Reliability, ④Validity, ⑤confirmatory factor, ⑥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⑦structural equation model, ⑧path, ⑨mediation effect Bootstrap 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 that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charisma, and familiarity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self-image consistency.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which consumers can hardly distinguish, the higher the degree of charisma and familiarity, the more positively the self-image consistency. 2.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and charisma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the flow effect of the advertisement, but the impact of familiarity is not significant. 3.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s, but familiarity i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Uncanny Valley theory, The concept suggests that humanoid objects that perfectly resemble actual human beings provoke uncanny or strangely familiar feelings of uneasiness and revulsion in observers. 4.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flow. Self-image consistency is not only related to satisfaction but also closely related to flow in maintaining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self-image consistency, the more positive impact on flow. 5.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6. flow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s. When consumers watch advertisements,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will become more positive as the degree of flow increases. 7. Advertis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8. According to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and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s. Self-image consistency has a mediating effect, indicating that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mediating effect. 9. According to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and charisma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s. flow plays a mediating role, indicating that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has an impact on advertising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ttitude, flow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mediating effect, but in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is not significant. 10.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charisma, familiarity, and advertising attitude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in turn. This means that the more congruent consumers are with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actual self-imag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flow themselves in the ad favorably. As the degree of flow increases, the effect of advertisement increa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virtual characters as advertising models and hopes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diverse and specific discussions will be made in the field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e future.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act of different attributes of virtual character models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when enterprises use virtual characters as models to make advertisements, and hopes to provide a reference for enterprises to choose advertising strategies in the future.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많은 기업들이 광고에서 가상인물들을 모델로 활용하고 있다. 가상인물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여 현실과 융합함으로써 아주 진실적인 방식으로 표현되는 가상인물이다. 실제 사람과 거의 구분할 수 없는 가상인물 모델은 현실 세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상인물 모델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들도 가상인물 모델의 마케팅 효과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가상인물 모델을 사용함에 따라 이점은 실제 유명인 혹은 연예인이 야기할 수 있는 스캔들과 같은 위험을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가상인물 모델은 협력업체에 안정성을 보장한다(창작자가 계정 관리 권한까지 충분히 가지고 있어 모델자신의 원인으로 인해 나쁜 영향을 줄 염려가 없다). 또한, 메타버스의 유행과 그래픽 모델링 기술의 성장하면서 가상인물 모델이 실제인물 모델보다 산업가치 효율성과 산업 가치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었다. 그러나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는 것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몰입이론(Flow Theory)을 도입하여 가상인물 모델을 연구하였으며, 몰입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본 연구는 주로 flow를 몰입의 의미로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물리적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의 매개효과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인물을 모델로 한 광고를 선정하여 중국 전문 통계 사이트인 问卷星(https:www.wjx.cn/)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시간은 2022년 10월 22일부터 2022년 10월 27일까지 총 6일이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확실한 데이터 등을 제거하고 총 298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동일방법편의,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관련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 매개효과의 Bootstrap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실제 사람과 거의 구분할 수 없는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과 매력성, 친숙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인물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과 매력성은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친숙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인물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과 매력성은 광고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친숙성은 광고 태도에 유의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의 로봇학자 모리 마사히로(Mori Masahiro)가 주창한 ‘불쾌한 골짜기’ 이론과 관련이 있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로봇 등이 인간을 닮을수록 좋아하지만 닮은 정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오히려 정서적 불쾌감 또는 비호감을 가진다고 한다. 넷째,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 이미지 일치성은 만족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몰입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자아 이미지 일치성 정도가 높아지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몰입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비자가 광고를 봤을 때 몰입의 정도가 높을수록 광고태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곱째,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매개할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몰입이 매개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이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 자들이 가상인물 모델과 실제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높을수록 호감을 가지고 광고에 몰입할 가능성이 크며 몰입의 정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광고모델로서의 가상인물의 의미를 밝히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보다 정교화된 가상인물 모델에 대한 논의가 향후 도전되어지길 기원한다. 향후 가상인물을 모델로서 한 광고를 제작할 때 어떠한 가상인물 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큰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실무자들이 참고할 만한 전략적 제안을 제공하였다.

      • Exploring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and motivation on student satisfaction regarding entrance exams for higher education : the case of Vietnam in 2020

        BAO, Nguyen Van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For many Vietnamese students, the national high school graduation examin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ams in their lives, transitioning from upper-secondary education to tertiary education. While the importance of the exam is significant in the country where a degree is inevitable for a stable job in the future, policies on the national examination have significantly changed since 2015. By using the concept of justice and motivation,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justice dimensions and motivation on student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a conceptual model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test relevant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found that procedural, distributive justice, and intrinsic motivation affected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More broadly,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policymakers to make more informed choices and also suggest further programs and projects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aiming to develop the system of university admiss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