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의 巫俗的 宗敎心性에 관한 硏究 : 사목 방향 제시

        최장원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ntality of humans always has religious elements. 5,000 years ago, shamanism came to Korea with our Korean ancestor's settlement. Shamanism, a natural phenomenon of religion, was believed on the entire earth. But shamanism had a tendency to develop into a type of MU(巫) in Korea. Korean MU(巫) caused the religion-mentality of Koreans to develop into a type of civilian faith. A view of god, a view of the next world, a view of the soul, a view of humans and a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in civilian faith follow a type of shamanism as it is. Shamanism lies in the Korean culture. It is not easy to find a concept of the Christian God in Korean shamanism. Instead, there is only a concept of a god who supervises people's life and death, ill fortune and fortune. Because Ancient Koreans believed that life, death, fortune and ill fortune all depended on a holy, polytheistic existence. In the view of religious faith, which concentrates on fortune and this world, It it is understood that communication with god is necessary. Therefore, shamanism works on the formation of Korean religion-mentality, which is a problem. After the religion-mentality, which is formed 5,000 years ago,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materialism, the view of shamanistic faith appeared unconsciously. Also, even though Korean's level of education has risen higher, the views of Shamanism still appear in Korean's unique mentality. Korean's unconscious shamanistic thoughts is still a factor which occurs as a wrong act of faith. Without understanding Korean's religion-mentality and unconscious thought, it is im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This thesis tries to explain how shamanistic factors have affected to form a religion-mentality and a mindset of Koreans. This thesis also examines the studies of Professor Kim, Tae Gon, Professor Yoo, Dong Sik, and Professor Kim In Hoi in hope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Korean religion-mentality and to analyze the thoughts of shamanism. It will be stated how they explain the concept, ceremony, and thought of shamanism through such inspecting. Three professors are analyzing shamanism in unique directions. Professor Kim, Tae Gon analyzed the ceremony of shamanism with the concept of arche-pattern. Professor Yoo, Dong Sik considered a religion-mentality of Koreans while analyzing the mythology of Dangoon. Professor Kim, In Hoi analyzed the thoughts of Koreans through the principle of harmony of Yin and Yang. Consequently, this thesis will present the appropriate missionary direction of the church community by analyzing synthetically the religion-mentality of Koreans, which is found in the thought of shamanism. Also, this thesis will present a method of re-educating Catholics at the parish and directing their beliefs away from shamanistic religion-mentality in order to make the religion-mentality of Koreans indigenized into Christian faith through groping the pastoral direction.

      • 전해크로메이트 피막특성에 미치는 전해액 조성의 영향

        최장원 全北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fluences of bath composition and electrolysis condi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ic chromate film were investigated. The recommended conditions were given as follows to satisfy the throwing power, coating weight and surface appearance: currrent density 2A/dm^2, SO_4^2- concentration 0.6g/1, temperature 40˚C and Cr^3+ 0.5g/l. In case of metal ion additives (Co^2+ and Zn^2+), the coating weight and yellowness were irregular, while the addition of Ni^2+ ion improved coating weight, color and surface appearance. The coating weight and yellowness were stable when colloidal silica is added in the range of 15g/1 to 100g/l. The corrosion potential of electrolytic chromate film obtained from solution containing Co^2+ ion shows more noble value than the other additives.

      •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갈등에 관한 목회적 연구

        최장원 전주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이탈주민 20,000명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정의화 의원이 2009년 10월 27일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북한이탈주민 국내 입국 현황'에 따르면 올 8월까지 총 입국자 수는 1만6천947명으로 1∼2년 내에 북한이탈주민 2만명 시대가 올 것으로 예측됐다. 이 상태로 간다면 북한이탈주민의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래서 향후 10년 내에 70,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는 보고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대량 탈북에 의한 남한 내 입국이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북한이탈주민들을 수용할 만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60년간의 문화적 단절과 북한의 고유한 주체사상적 사회체제를 감안한다면 북한이탈주민들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는 격차가 엄청나게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한 갈등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남한에 정착한 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미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들이 탈북을 후회하면서 미국 등 제3국으로의 이주를 희망하고 있고, 심지어는 북한으로 역탈북을 감행하여 탈북 방지를 교육하는 강연자로 활동하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분명 그만큼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갈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갈등과 그로인한 정신적인 갈등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를 방치할 경우에는 금명간에 심각한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문제는 우리들의 문제이고, 우리 시대의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부터인가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별로 큰 감흥도 없이 지나치게 되고 오히려 귀찮은 문제를 대하는 것 같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들의 이 같은 무관심은 사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부의 소극적 자세도 한몫 거들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들은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우리 사회에 편입되어져 오고 있음으로 하여 이러한 문제는 계속 쌓여가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는 불우한 동포들에 대한 단순한 자선행위가 아니라 통일된 민족의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시험대이자 열쇠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제반의 배려와 이를 위한 정책은 그리 만족할 만큼 정착되고 있지 못하다.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소극적 정책으로 인한 필연적인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모름지기 통일은 지리적 통합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마음의 통일, 심리적 통일, 사람의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 남한의 입장에서 북한을 알아야 하고, 북한 사람들의 심리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여건이 성숙되어 있지 못한 상태에서 그 대안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은 우리에게 많은 정보를 제시해 줄 수 있는 예비실험적인 집단이다. 북한이탈주민 이민복 씨는 이를 예비군이라고 표현한다. 더욱이 그들은 식량을 위하여 국경을 넘는 모험을 감행하였지만 신분의 제약으로 인하여 비참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져 있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인도주의적 당위이며, 기독인으로써 고통받는 이들을 향한 사랑의 의무라 할 수 있다. 특히 그들이 정착하는 과정에 직면하게 되는 정신적, 심리적 문제들은 상담자로써 지나칠 수 없는 역사적 과제이며, 상담자가 풀어야 할 시대적 소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리적 갈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목회적 대안을 추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North Korea started to face economic crisis from both out and inside of the country in 1990s. This crisis caused North Koreans to wander in neighboring countries like China and to become defectors These people are called North Korea defectors. The main reason of the defectors is very complicated and is based on internal contradiction of North Korea’s political structure. However, the prior reason is economic crises, which was occurred by depression of North Korean economy. The second cause is lost of market and stoppage of aid goods, following socialism collapse. And the third one is natural disaster. North Korea experienced cold weather damage in 1993, hail in 1994, and flood called ‘Big Water Damage’. Following these horrible disasters, drought troubled North Korea’s economy. Continued natural disasters gave North Korea a finishing stroke, driving its economy into an uncontrollable state. Those North Koreas defectors who left their home looking for food wander in China and Southeast Asia, and some of them are entering South Korea. However, the reason for extrication is distinguished from old days when North Koreans escaped North Korea for political reasons. The flow of North Korea extrication is continued by people escaping North Korea for better life and freedom. One example is planned North Korea extrication, which indicates that some North Koreans come to South Korea and help their family members to get safely to where they are. Many numbers of high class members that constituted North Korea’s political system had joined this flow, meaning that North Korea extrication is not a temporary flow, but a general trend of the time. It is very regrettable that after all those stormy careers of life or death, North Korea defectors feel hard to adap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Poverty and getting a job is an inevitable problem according to difference of economic system. North Korea defectors can overcome language difference after some time. Loneliness and identity problems should be fought by North Korea defectors themselves. However, all these problems should not make the difficult choices worthless. So, I focused on the reasons why North Korea defectors cannot fit into South Korean society, to prevent re-renunciations. This maladjustment occurs mainly because of the prejudice of North Korea defectors, discrepancy of values, an inferiority complex of North Korea defectors, and difference of cultures. These should be solved by understanding, tolerance, and guidance of all of us. Many of the North Korea defectors suffer from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s.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cause some psychological disorders, and the symptoms are mostly caused by extreme defense mechanism. Projection, denial, and displacement can severely harm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living in South Korea. Like this, many of North Korea defectors have entered South Korea with a big hope and South Korea had neglected them with barely any preparations. It makes two Koreas’ peoples to bear conflicts. And the whole process makes it hard for North Korea defectors to fit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To help North Korea defectors settlement and adaptation, a structural frame should be organized, which is supportive to them. This can be attained by empathy and a consultative attitude of careful listening. And the ‘cells’ of church should be the only frames of empathy and careful listening. Cells are the playground of Christians and the background of Christian beliefs, not just administrative structures. We have to grope for holistic and coordinated supports to make it happen in real world. Temporary, partial, and preventive levels of support would be sublated, because North Korea defectors are like babies learning everything all over again. For this, I have studied holistic and coordinated supports according to WHO and Howard John Clinbell’s criterion of holistic. Also, we should keep spiritual-caring attitude in spiritual aspect. A sprit means a wholly person as a corporate body of a flesh and a soul. So, taking care of the North Korea defectors need 6 stages of Healing, Sustaining, Guiding, Reconciling, Nurturing, Sanctification and the viewpoint of Christian way of spirit-caring. At last, I argued that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 in treating North Korea defectors as missionary targets. North and South Koreans are the same race. We just had not met each other for more than 60 years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herefore, those people are new targets of missionary and we should go and look for them. If we access North Korea defectors with this attitude, psychological unity would happen more easily and would bring up the unified model of unification with indicating a substitute plan for peace of the divided regions.

      • 특 1급 호텔 종사원의 SOP(표준운영절차)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에 따른 고객응대역량 차이 분석

        최장원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 1급 호텔 종사원의 SOP(표준운영절차)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에 따른 고객응대역량 차이분석 관광이란 일상 생활에서 느끼지 못하는 경험을 다른 지역을 여행하며 자신의 여가를 즐기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 관광에 대한 사람들의 개인욕구는 각기 다르지만 그 개인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을 관광자원 이라 하며, 이러한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사람들의 관광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관광 산업이라 한다. 관광 산업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역’, ‘사막에 오아시스’라고 불릴 만큼 외화를 벌어 들 일 수 있는 전략 산업으로 발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관광 산업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호텔 산업은 현재 신규 호텔 및 유명 브랜드 특급 호텔의 과잉공급, 사회 전반적인 경기 침체, 고객들의 차별화 된 니즈 및 안목 등 호텔 기업들의 차별화된 마켓팅이 없다면 글로벌 체인호텔과 국내 로컬 호텔이 과잉 공급되는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이다. 호텔은 환대산업 중에서도 고객 서비스 품질이 중요시되며, 다른 자원보다는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서비스업이다. 이에 따라 브랜드별 포지셔닝에 따라 타 호텔과는 다른 좀 더 색다르며, 차별화된 서비스 이미지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호텔의 성공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호텔 브랜드 별 포지셔닝에 따라 서비스 기준(Service Standards), 브랜드 기준(Brand Standards), 표준운영절차가 명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직원들의 서비스의 품질을 표준화시켜 일관성 있고 표준화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호텔의 종사원들은 SOP를 기준으로 업무를 진행하지만, 일부 종사원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각한 서비스 스킬을 잘못된 방향으로 브랜드 서비스 이미지와 다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 고객이 브랜드 서비스 이미지를 지각하지 못하는 오류가 생긴다. 또한, 고정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으로 객실, 식음, 연회, 휘트니스 등 외부 업체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각기 다른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 품질의 편차가 증가하며, 그것은 곧 고객 불만으로 발전되어 결과적으로 호텔의 매출 감소에 궁극적인 이유가 된다. 이런 상황이지만 국내에서는 호텔 SOP 지각 수준이 고객응대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 변수인 SOP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응대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SOP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 고객응대역량에 미치는 그룹 간 차이분석 통해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SOP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고객응대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실무지식 기술개발 습득역량, 우호적 친밀한 고객관계 유지역량, 커뮤니케이션 및 감정스트레스 역량이 높게 보고되었다. SOP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보다 고객응대역량이 높게 나타나 어느 하나의 요인이 중요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SOP 체계에 대한 지각 수준, SOP 개념에 대한 지각 수준, SOP 구성에 대한 지각 수준, SOP 내용숙지에 대한 지각 수준, SOP 기초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 중에서 SOP 체계에 대한 지각 수준과 SOP 기초 활용에 대한 지각 수준이 가장 고객응대역량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 기업에서는 고객응대역량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호텔 부서별 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명확한 업무 기준을 확립하여, 하나의 브랜드의 호텔이 표준화된 브랜드 서비스 기준을 통한 종사원들의 서비스 평준화를 통해 고객 감동, 만족 및 충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매출과 고객응대역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 가상현실(VR)을 통한 자연환경 체험이 재실자의 인지와 회복에 미치는 영향

        최장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상현실(VR)을 통한 자연환경 체험이 재실자의 인지와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인간은 자연을 접할 때 안정감을 느끼고 피로를 회복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은 자연환경을 접하기 어려운 도시에 밀집해 살아간다. 따라서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실내에 있으면서도 자연을 접하고 회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자연과의 간접적인 접촉이 인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자연과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는 바이오필리아 이론이다. 다음으로 도시환경과 비교하여 자연환경에 있을 때 인간의 주의 능력이 더 향상된다고 주장하는 주의회복이론이 있다. 마지막으로 인간이 자연 속에 있거나 자연을 감상할 때 신체적, 심리적으로 스트레스가 감소한다고 보는 스트레스 완화 이론이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자연환경을 시각, 청각 등의 감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청각적 자극등의 공감각적 자극은 온열감 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열감은 재실자의 온열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을 의미하는데, 촉각의 범주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열감을 감각을 통해 인지하는 것을 온열인지(Thermal perception)이라 한다. 온열인지는 물리적 온열환경 외에 다양한 감각 정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각, 청각 등의 공감각적 자극이 온열감을 완화할 수 있는 기대를 해볼 수 있다. 이러한 시,청각적 자극이 회복효과 및 온열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는 수단으로 VR (가상현실) 기술이 있다. 가상현실(VR) 기술은 사용자가 느끼기에 실제와 같거나, 또는 보통 일반인이 얻기 힘든 시각, 청각, 촉각, 힘의 감각, 전정 감각 등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 놓은 현실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내재실시간이 늘어난 현대인에게 가상현실(VR)을 통한 간접적 자연환경 체험이 스트레스 완화와 주의회복, 그리고 온열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20대 남녀 65명(남:32명, 여:33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극 이후 두 가지 VR 영상 조건(자연, 도시)에 노출 되었을 때 생리적 반응과 심리적 반응 및 인지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생리적 반응으로는 타액 알파 아밀라아제와 피부전도도(EDA)를 측정하였으며 심리적 반응으로는 긍정정서부정정서평가(PANAS)와 온열환경 평가를 측정하였고 인지 수행 능력 검사로는 숫자 똑바로 외우기(DFS), 숫자 거꾸로 외우기(DBS), 스트룹 검사(Stroop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 체험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심리적 반응인 PANAS의 경우 자연 VR 조건에서 부정적 정서(Negative Affect)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그 변화량이 도시 VR 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생리적 반응의 경우 VR을 시청하는 5분 간 피부전도도(EDA) 감소 효과가 자연 VR 조건이 도시 VR 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타액 알파 아밀라아제의 경우 두 조건 모두 유의한 전 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VR 체험의 주의회복 효과를 관찰한 결과, 자연 VR 조건에서 DBS 점수, 스트룹 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DFS 소요시간, DBS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도시 VR 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DBS 점수의 증가량이 유의하게 컸다. 셋째,VR 체험이 온열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약간 더운 방 (실내온도 26도, 상대습도 40%)에서 자연 VR 조건을 체험한 그룹이 동일한 환경조건에서 도시 VR 조건을 체험한 그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원하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VR을 통해 자연환경을 체험하는 것은 재실자의 온열감 인지와 주의회복 및 스트레스 완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정한 온열 환경 조건에서 VR 실험을 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자연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이를 통해 시각, 청각등 공감각적 자극이 온열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연환경이 온열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두 요인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VR 기술 및 실감 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회복환경 및 에너지 절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humans encounter nature, they feel secure and recover from fatigue. However, most people live in cities where natural environment is difficult to access in these days. Therefore, people living in the city need an alternative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xperience and recover from nature while staying indoors. Virtual Reality(VR) is a technology that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natur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nature environment through virtual reality(VR) on stress reduction, attention restoration, and thermal perception for people with increased indoor living hou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5 subjects in climate chamber(air temperature 26°C, relative humidity 40%) under two condition of VR video(nature, urban) using Head Mounted Display(HMD).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when subjects watched VR for five minute after being exposed to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ho watched VR nature had a greater effect on recovery and thermal comfort than the VR urban group. In physiological responses, saliva alpha amylase and skin conductivity(EDA) were measured, in psychological response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nd thermal environment evaluation were measured, and cognitive performance tests were performed by Digit Forward Span(DFS), Digit Backward Span(DBS), and Stroop 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psychological response, the PAN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Negative Affect under nature VR conditions was significant, and the change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urban VR conditions. In the case of physiological reactions, the effect of reducing skin conductivity (EDA) during 5 minutes watching V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urban VR conditions. For saliva alpha amylase, both condi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2) DBS score and stroop test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nature VR conditions, and DFS time and DBS time were significantly reduced, showing positive effect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DBS scores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urban VR conditions. 3) The group experiencing natural VR conditions in a slightly hot room (26 degrees indoor temperature, 40% relative humidity) was evaluated to be relatively cooler than the group experiencing urban VR conditions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experiencing the VR nature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rmal comfort and recovery. This study differs from prior studies that studied the positive effects of nature on human body in that VR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certain therm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healing environments and energy saving environment by utilizing VR technologies.

      • 국가와 세포 배양육 기술 개발의 정치경제 : 미국, 싱가포르, 대한민국 비교를 중심으로

        최장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ell-based meat is in the spotligh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livestock industry. Currently, cell-based meat is emerging as a new industry, away from the laboratory stage. Existing studies on cell-based meat have focused on evaluating cell culture technology and public awareness of cell-based meat. However, cell-based meat contains many political issues in it, and as technology advances, variety types of political issues will also emerge. This article, among the political issues related to cell-based meat, focus on states’ factors - government's policy make cell-based meat technology development different. Specifically,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cell-based meat companies varies depend on institutional (legal) - support to producing cell-based meat and food certification – and financial support to raise funds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see if actually the governments’ policies make the cell-based meat companies develop technology differently, this article selected U.S., Singapore, and South Korea where the cell-based meats support policy relatively clear and different. It was selected and reconfirm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what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cusing on cell-based meat companies in the “Alternative Protein Company Database” of Good Food Institute, and reorganized what support policies influenced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mentions of related personnel of the industry.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uld be confirmed in this paper. First, the more sufficient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untry's cell-based meat, the more likely cell-based meat companies will likely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he aim of mass production. This was founded in cases of companies in United States and Singapore. Second, the more insufficient the support, the more likely it is to develop the technology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companies’ value rather than developing the technology for mass production. This was founded in case of South Korea. As such, the fact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cell-based meat companies varies depend on the countries' policies to support cell-based meat suggest that state’s support important for the rise of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cluding cell-based meat. 세포 배양육은 기존 축산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세포 배양육은 실험실 단계에서 벗어나, 각 국에서 식품으로 인증 받고,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세포 배양육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세포 배양육 기술에 대한 평가, 그리고 세포 배양육에 대한 대중 인식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세포 배양육은 많은 정치적으로 문제를 내재하고 있고 기술이 발전할수록 연계되는 정치적 문제 또한 대두될 것이다. 본 논문은 세포 배양육과 관련된 정치적 문제 중, 국가적 요소 - 정부의 정책에 따라 국가별로 세포 배양육 기술 개발의 양상이 달라지는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세부적으로 세포 배양육을 개발과 식품 인증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적(법적) 지원과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재정적 지원에 따라 국가 별로 세포 배양육 기업의 기술 개발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세포 배양육 기업들이 기술 개발 방향이 지원 정책에 따라 다르게 진행하도록 작용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세포 배양육 지원 정책 차이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는 미국, 싱가포르, 대한민국을 선정하였으며 Good Food Institute의 Alternative Protein Company Database내의 세포 배양육 기업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기술들이 무엇인지 질적 조사를 통해 재확인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어떤 지원 정책이 기술 개발에 영향을 미쳤는지 해당 업종 종사자들의 발언을 종합해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국가의 세포 배양육에 대한 제도적, 재정적으로 지원이 충분할수록, 세포 배양육 기업들은 대량 생산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과 싱가포르의 기업들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둘째, 지원이 미흡할수록,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이 아닌 자사의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의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이처럼, 국가들의 세포 배양육 지원 정책에 따라 세포 배양육 기업들의 기술 개발의 양상이 달라진다는 점은, 세포 배양육을 비롯한 신기술과 산업의 부상에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허생전」의 현대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 : 「허생의 처」와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최장원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허생전」은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 국어(하)에 전문이 실려있다. ‘정보의 조직과 활용’이라는 단원명 아래 소개되는데, 학생들이 고전소설을 통해서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사회 · 문화적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자료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문학작품과 현실의 관계를 생각해봄으로써 작품에 반영된 당대 사회화 문화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고전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뿐만 아니라, 현재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이를 통한 문학작품의 역할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내용만을 다루어서는 앞의 교육적 목적에 도달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허생전」에는 당시 풍속이나 사회상을 자세하게 묘사하지 않았고, 이인(異人) 허생의 행적을 통해서 당시 지배층 및 사회 구조에 대한 풍자적 비판을 하기 때문이다. 풍자란 어떤 대상을 우스꽝스럽게 만들거나, 거기에 대한 재미 · 멸시 · 분노 · 냉소 등의 태도를 환기시킴으로써 그것을 격하시키는 문학적 기법이다. M. H. Abrams, 최상규 역, 「문학용어사전」, 보성출판사, 1998. 풍자 대상과 풍자의 이유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면 작품의 이해는 어렵다. 즉 「허생전」만으로는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사회 · 문화에 대한 이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자(作者)가 풍자하고자했던 대상과 그 배경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허생전」의 현대적 가치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작품을 분석하고 창작된 동기나 당시의 시대상황을 아는 것만으로 고전문학교육은 완성되기 어렵다. 현재의 학습자가 고전작품이 가지는 현대적 가치를 알고 이를 이해해서,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허생전」의 가치는 이 작품이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비판이 현재에 독자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고 흥미를 유발하는 이유는 주인공 허생이라는 인물의 특성과 작품의 열린 구조 때문이다. 「허생전」은 여타 다른 고전소설들에 비해서 좀 더 자주 패러디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허생전」은 패러디 되고 있다. 한 작품이 계속해서 패러디 된다는 것은 그 작품이 시대를 초월하는 문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許生傳」을 개작한 작품으로는 이광수의 「허생전」 (1923.12.1-1924.3.21), 채만식의 「허생전」(1946), 오영진(吳泳鎭)의 장막 희곡 「허생전」(1970)이 있으며, 패러디한 소설로는 오효진의 「張씨녀전」(1982) 이남희의 「허생의 처」(1989),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1992)이 있다. 이처럼 허생전은 계속해서 패러디되어 왔으며, 비록 정식 작가의 작품은 아니지만, 현재에도 인터넷상에서 「허생전」은 여전히 패러디 대상이다. 패러디는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영향과 모방의 관계’ 이미란, 『한국현대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간에 관계는 친화적일 수도 있고, 반대로 원텍스트에서 은폐된 점이나 모순된 점을 드러내거나 비판하는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는 원텍스트를 바탕으로 확장된 의미를 생산해내는 경우도 있다. 「허생전」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패러디 되었으며, 원텍스트의 친화적인 경우로는 이광수와 채만식의 「허생전」처럼 원본을 개작한 경우라 할 수 있고, 원텍스트의 은폐되거나 모순된 점을 패러디 한 경우로는 이남희의 「허생의 처」라 할 수 있으며, 원텍스트를 바탕으로 의미를 확장시킨 경우로는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이라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대의 교육적 가치에 초점에 맞추어 「허생전」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후 「허생전」을 패러디한 작품인 이남희의 「허생의 처」 이남희의 「허생의 처」는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평민사, 1987) 3호, ‘여성해방의 문화’에 발표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내가 훔친 소설』(갑인출판사, 1991)에 수록된 것을 텍스트로 사용했다. 와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은 『문예중앙』 1992, 가을호에 발표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소설문학대계 -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애기똥풀, 허공에 걸린 길 外』(동아출판사, 1995)에 수록된 것을 텍스트로 사용했다. 을 분석하여, 「허생전」이 가지는 문학적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의 학생들에게 고전한문단편소설인 「허생전」이 어떤 현대적 교육가치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 요약 앞에서 언급했듯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작품 「허생전」의 현대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는 일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허생전」과 이 작품을 패러디한 현대 소설 「허생의 처」와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세 작품을 비교하여 「허생전」이 현대 고전 교육 작품으로 어떤 가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는 어떤 고전작품이 현대 작가들에 의해 패러디되는 이유에는 그 작품이 현대에도 여전히 가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허생전」은 일제시대 이광수에 의해 최초로 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작가들에 의해서 계속되어 패러디 되어 왔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허생전」은 시대를 초월하는 어떤 문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그 가치를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였다. 「허생전」의 내용 및 구조를 분석하여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작자 연암 박지원은 「허생전」의 주인공 허생의 인물 형성에 집중하였다. 작자는 다른 등장인물과는 다르게 허생의 겉모습과 생활환경을 상세히 묘사하였고, 다른 인물과의 대화 장면을 통해서 허생의 목소리를 드러내었다. 이를 통해 독자는 허생이라는 인물을 머리 속에 쉽게 그려낼 수 있다. 작자가 이러한 노력을 하였던 이유는 허생이 작자 연암 박지원의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둘째, 허생전의 서술구조는 단순하고 느슨한 형태의 열린 구조를 취하고 있다. 작자는 자신의 사상을 작품 속에 담고자 노력하였고, 그것을 중심으로 사건을 표현하고자 구성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사건이 가지는 긴밀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 사건은 세부묘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서, 독자는 허생의 활동에 대해 자세한 과정은 알 수 없다. 이렇듯 「허생전」이 가지는 작품의 특징은 이후 다음 세대의 작가들이 「허생전」을 패러디하는 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고에서는 가장 최근에 「허생전」을 패러디 하였고, 원작을 좀 더 확장된 의미로 재구성한 「허생의 처」와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을 분석하여, 이 두 작품이 고전인 「허생전」을 어떻게 패러디 하였으며, 어떤 새로운 의미를 재구성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이남희의 「허생의 처」는 1989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원작 「허생전」에서 주변인물로 다루어진 허생의 처를 주인공으로 작품을 재구성하였다. 「허생의 처」는 원작 「허생전」에서 은폐되고 모순된 점을 드러내어 패러디한 작품으로, 원작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허생의 처」는 20세기 후반에 시작된 패미니즘 문학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작자는 작품을 통해 허생의 시대를 지배했던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를 비판하여, 현대의 독자들에게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였다. 그 의미는 현대의 여성들을 향한 것으로, 작자는 여성이 스스로의 존재를 자각하고 자신의 현재의 삶과 미래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은 1992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은 주인공이 자신의 평소 생각과 학교 수업 중 국어시간에 있었던 일을 일기로 쓴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인공은 가치관이 혼란스럽고 내면이 불안정한 상태의 인물이다. 그런 주인공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상은 국어수업시간에 접하게 된 「허생전」의 허생과 전교조 활동으로 인해 학교와 마찰을 겪는 국어선생이다. 이 작품은 원작 「허생전」의 내용을 수용하면서, 국어선생과 허생을 연결지어 이에 대한 주인공의 감정과 생각을 나타내면서 원작의 의미를 확장한다. 이 소설의 작자는 작품을 통해 내적으로 불안정하고 미성숙상태인 주인공이 허생과 국어선생이라는 두 인물을 통해 내적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작자는 허생과 국어선생의 모습을 통해, 기존 지배세력의 가치에 저항하는 개인의 모습에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그 행동의 한계를 소설을 통해 보여주었다. 위에서「허생전」을 패러디한 두 현대소설의 내용을 분석하여 문학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허생전」의 현대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허생전」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 중 하나는 주인공인 허생이 가지는 인물의 매력이다. 허생은 자기모순성을 내포하고 있으면서, 당대 지배계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거침없이 행동하는 인물로 현대에도 여전히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 이유는 지배세력으로부터 소외된 가난한 선비인 허생은 하위계층으로 비춰지며, 그러한 인물이 가진 비판정신이 현대의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허생전」에서 허생을 통해 표현되는 비판 정신은 현대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다. 두 번째로, 「허생전」의 열린 구조와 풍자성이다. 모호한 결말과, 자세하게 묘사되지 않은 큰 사건들의 느슨한 결합, 그리고 작품 전반에 걸쳐 담고 있는 풍자성은 시대와 작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허생전」은 새로운 의미를 담고, 재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대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허생전」과 이 작품을 패러디한 두 현대소설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얻은 「허생전」의 현대적 의미를 통해, 「허생전」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어떤 고전작품이 교육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그 작품이 시대를 뛰어 넘어 현대의 독자들에게도 흥미와 감동을 주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가 새로운 가치물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재생산성을 가져야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허생전」을 살펴보았을 때, 앞에서 살펴본 이 작품의 현대적 의미는 교육적 가치도 내포하고 있다는 결론은 얻게 되었다. 허생의 비판정신과 행동은 현대의 학생에게도 흥미롭게 받아들여지며, 작품의 열린 구조와 풍자성은 학생들이 작품을 재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전 「허생전」은 교육적 자료로 가치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 기술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SL program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s ; TSL-JSM) 을 중심으로

        최장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기술과 직무스트레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를 위해 기존의 TSL 가족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한 TSL - JSM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적용이후 나타나는 결과를 사회과학적방법과 의생명사회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2015년 2월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연세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Institute Review Board, IRB)로부터 연구승인을 획득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과정은 경남소재 사회복지법인 산하 생활시설 3개소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약 90명에게 연구의 취지 및 목적 등에 대해 오리엔테이션과 설명회를 한 후,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7명, 비교집단 7명, 통제집단에 7명을 배정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2회기로 구성된 TSL-JSM 프로그램, 비교집단에는 12회기의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향상 및 대인관계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추가적인 개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사는 사전, 사후, 추후 3회에 걸쳐 우울, 대인관계기술,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직장-가정관계, 심박변이도(HRV), 코티졸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윌콕슨 순위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들을 위한 TSL-JSM 프로그램 개입이 실험집단 참여자의 대인관계기술과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무몰입과 관련이 있는 사회과학적 변수인 우울, 대인관계갈등,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갈등 등을 감소시키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TSL-JSM 프로그램이 신체적 스트레스 지표인 코티졸 수치를 감소시키고, 또한 심박변이도 수치를 높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TSL-JSM 프로그램으로 개입한 실험집단에 대해 윌콕슨 순위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 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기술 향상과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직무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 참여자의 개별 사례분석 결과 TSL-JSM 프로그램에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참여한 종사자의 대인관계기술 향상과 직무스트레스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SL-JSM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몰입을 도울 수 있는 종합적인 개입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TSL-JSM 프로그램이 삶의 영역을 포괄하고 근본적으로 긍정적 관점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회복지생활시설에서 종사자들의 교육프로그램으로 도입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들을 위한 TSL-JSM 개입이 참여자의 신체적 스트레스 지표인 코티졸 수치를 감소시키고, SDNN 수치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사회과학적 측정 외에 의생명과학적 측정을 도입함으로써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와 관련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과학성과 객관성의 수준을 향상 시켰다. 기존에 사회과학적인 측정만으로 담보하기 힘들었던 객관성을 높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으로서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의 책임성 강화에도 기여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들이 필드에서 경험하거나 경험했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SL-JSM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연구의의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and job stress on job involvement among employees in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ies, to apply TSL-JSM program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previous TSL family program), and to examine the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using methods of social science and biomedical social science. In order to secure the ethical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it was approved by Institute Review Board (IRB) of Yonsei University, in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to, in February 2015.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about 90 employees working for 3 residential facilities under the umbrella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were invited to the research. The researcher held an orientation and presentation session to explain the participants about the purpose and objec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program was conducted targeting voluntary participants and assigned them to experiment group (7 participants), comparison group (7 participants), and control group (7 participant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SL-JSM program comprised of 12 sessions,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a different program for improving job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skills of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additional intervention. The researcher measured depression, interpersonal skills, job stress, job involvement, work-family relati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cortisol level of the participants for 3 times (in pre-, post- and follow-up surveys). For the analytic methods, the study use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SL-JSM program intervention for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decreased participants’ depression, interpersonal conflict,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which are social scientific variables related to interpersonal skills,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Second, it showed that TSL-JSM program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the index for physical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HRV level increased to prove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Third, the result of conduct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of the subjects with TSL-JSM program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SL-JSM program actively and sincerely experienced more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skills and more positive change in job stres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SL-JSM program can be effective as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job involvement of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As this TSL-JSM program covers the domain of daily life and fundamentally enhances positive viewpoints,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applied as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in the long term. Second, it showed that TSL-JSM intervention to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the physical stress index), and increased their SDNN value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tress reduction. Third, apart from the social scientific method of measurement and by adopting biomedical scientific method, the study enhanced the level of objectivity and scientific research in measuring effectiveness of programs related to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By increasing reliability of program effectiveness test through improvement of objectivity, which was difficult to secure with previous methods of using social scientific measures solely, the study also contributed to enhanced responsibility of practical intervention in social welfare areas.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 empirical evidence of apply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Based on the findings, TSL-JSM program may more extensively applied to address various and complicated problems experienced in the field by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The study suggested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