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나님 의도로 본 죄인의 실상 : 요한복음 9:1-7을 중심으로

        최선국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한복음은 신학적이며 상징성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요한복음이 신학적 논문이 아니고 예수의 사역에 관한 내러티브이지만, 요한이 다른 복음서 기자들보다는 신학적인 문제에 대해 관심 정도가 크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요한복음은 초대교회의 폴리캅, 이레니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로부터 현재까지 많은 신학자에 의해 주요 연구 대상으로 회자되어 왔다. 요한복음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가장 명료하게 드러내는 책’이라는 루터의 견해와 같이 많은 상징성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망과 생명, 어두움과 빛, 거짓과 진리 등의 이원론적 용어를 사용하여 영적 세계에 대해 풍부하게 표현하고 있다. 요한복음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어떤 이는 헬라사상이나, 영지주의 사상이라 하고, 또 어떤 이는 요한공동체 사상, 유대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등 학자들 마다 견해가 매우 다양하다. 이것은 그만큼 요한복음을 해석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요한복음은 유대적 전승에 기초하여 기록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독교 발생 자체가 유대교로부터 기인하였고, 초대 기독교인들은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요한복음은 마태가 보여준 모세 오경의 패턴이나 형태처럼 출애굽 유형론, 신명기 유형론, 유월절 유형론 등 다양한 견해를 산출한다. 예수께서 행하신 여러 가지 이적과 표적은 모세가 행한 이적을 방불케 하기에 충분하므로 이러한 유형론을 뒷받침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요한복음의 구조와 형태가 어떠하든 요한복음의 기록 목적은 독자로 하여금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라”(요 20:31)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요한이 서언에서 인자로 오신 로고스가 참 빛이요 생명이라고 전제한 것은 유대적 전통을 배경으로 그리스도를 이해시키고자 한 의도라 할 수 있다. 그중 요한복음 7∼10장은 유대인의 삼대 명절 중의 하나인 초막절을 배경으로 하여 예수께서 표적과 강화(講話)를 행하시는 부분이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지키는 절기 의식은 그림자일 뿐 실제가 아니므로 유대종교의 의식은 결국 진리이신 예수로 대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예수의 표적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증거 하고자 했다. 요한복음 9:2∼3에서 제자들은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예수께 타진하지만 예수님은 아들을 통해 아버지의 하시는 일들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한다. 요한은 본문의 표적을 통해 첫 아담 이후 모든 인류가 어두움의 자식이 되었는데,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하늘에서 범죄 한 천사를 흑암에 가두고, 이제는 그를 합법적으로 심판하기 위해 하나님 아들이 음부에 임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인류 구원보다 우선하는 것이 인자의 마귀 진멸이다. 로고스가 인자로 오시는 일은 만물이 있기 전, 오직 하나님만이 홀로 계시던 그 태초에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그의 지혜로 계획된 일이다. 성부는 아들을 사랑하여 아들을 그의 후사로 정했고, 아들은 이러한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여 가장 낮은 곳(음부)에 가장 낮은 위치(육체)로 임했다. 그가 육체가 되심은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성부와 성자의 의(義)를 이루는 과정이다. 그는 하나님의 후사로서 보좌에 오르기 전에 이미 범죄한 마귀를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심은 아버지의 뜻으로 후사가 되는 길이며, 그 길은 마귀를 멸하는 길이고 인류를 구원하는 길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삼중 의도가 요한복음 9:1∼7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로고스가 인자되심을 인간 구원에 국한한다면 이는 인본주의적 편견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요한복음을 요한의 목적에 따라 이해하려면 신본주의적 입장에서 이해해야 한다. 인본주의적 입장에서만 이해한다면 요한복음의 본래의 의미를 세세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문의 1∼2절은 인자의 가는 길이 하나님의 후사의 길임을 나타내고, 3∼5절은 아들이 이 땅에서 하시는 일이 마귀의 일을 진멸하는 것임을 나타내며, 6∼7절은 인류 구원을 나타낸다. 이 짧은 일곱 구절을 통해 요한은 하나님의 뜻과 예수의 길과 죄인의 실상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모든 일이 성부와 성자의 사랑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며, 이 일을 하시는 이가 바로 하나님이 보내신 자 곧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초막절을 배경으로 증거하고 있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초막절에 ‘물 붓기 의식’과 ‘등불 밝히기 의식’을 통해서 그들의 신앙생활을 영위하지만, 참 생명과 참 빛은 인자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임을 나타낸다. 예수를 믿지 않는 유대인들은 그들의 명절을 지키며 실로암에서 물을 길러 와서 성전에 붓고, 성전 뜰에 등불을 밝히지만, 여전히 어두움 속에 있다는 것을 예수는 알려주고 있다. 오직 자신이 참 생명이며, 참 빛이라는 것을 날 때부터 소경된 자의 치유를 통해 증거 한다.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하여 제자들은 소경된 원인을 The Gospel of John is highly considered a dual-symbolism. Though it was not a theological thesis but a narrative about a ministry of Jesus, it is true that John was more interested in theological issues than the other authors of Gospels. Therefore, the Gospel of John was well-known to many theologians from Polycarp, Irenaeus and Philo of Alexandria to contemporary scholars. As Luther considered the Gospel of John as a book which expresses divinity of Christ clearly the most, it describes Jesus Christ with many symbols and explains a spiritual world fully as using terms of dualism such as death and life, darkness and light, false and truth, etc. Theologians interpret in different ways about an ideological background of John which includes dual-symbolism. Some says its background is Hellenism or Gnosticism and the other says an idea of the Johannine community or Judaism, so it tells that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of John is not an easy task.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John was recorded based on Jewish traditions. Because, Christianity was originated Judaism and early Christians were Jews. In fact, as Matthew shows patterns or types of Pentateuch, the Gospel of John shows Christology which concerns Moses and derives various typologies of Exodus, Deuteronomy, etc. This is persuasive because miracles and signs of Jesus reminds of Moses’. No matter how a structure and a type of John is, its purpose was illustrated clearly as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Christ,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John premised that Logos who came as a son of man is a true light and life, therefore he tried to let people understand Christ in the Jewish tradition. In John chapter 7 to 10, Jesus showed signs and gave lectures with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which is one of main three feasts of Jews. John appealed to readers that feast is not a reality but a shadow and it should be replaced into Jesus who is truth by his signs. In John 9:2-3, Disciples tells their opinions about actual sin of human but Jesus said the sick is for indicating works of God through the Son. Through their discussion, John wants to connect humans’ sin with the Devil and he focuses on destroying the Devil. By the sign in the verses, John clarifies that all human beings became sons of darkness but the Son of God came to destroy Devils’ work. God confined a corrupted angel in Hades and the Son of God came to judge the angel fairly. Thus, his destroying the Devil is prior to salvation of human being. An event that Logos comes as the Son of God was planned in God’s love and wisdom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when he solely existed. The Father designated the Son as an heir, because he loved his son. The Son came to the lowest place(the Hades) as the lowest position(a body) for submitting himself to the will of the Father. Being a body is a process to accomplish the righteousness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God’s love. Before going up to heavenly throne as the heir of God, he has to judge the Devil who already committed sin. Therefore, revelation of the Son of God is the way of being the heir under the will of God, destroying the Devil and saving humans. Those triple will of God are reflected in John 9:1-7. If we limit the fact that Logos became the Son of God only for salvation of human, it is likely to be biased toward humanism. Understanding the Gospel of John by author’s purpose, we should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centrism.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catch essential meanings of John. In John chapter 9, verse 1 to 2 describes that a way of the Son of God is the one of God's heir. Verse 3 to 5 shows that a work of the Son is destroying the Devil and verse 6-7 explains salvation of human being. Through this short paragraph, John illustrates that what is a will of God, a way of Jesus and a reality of sinner. He explains those are operated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one accomplishes all works is Jesus Christ who was sent by God under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Although Jews run their faith life by rituals of ‘pouring out water’ and ‘lightening’ in the Feast of Tabernacles, John proves that true life is Jesus and true light is the Son of Man. Jesus let them know that many Jews are still in a darkness even though they keep Jewish feasts, get water from Siloam, pour it out to the tabernacle and light a court. He testifies that he is true life and true light with healing of the one who was born as the blind. Disciples try to find a cause of his disease from actual sin, however, Jesus focuses to work of God and John does to beginning of original sin of human. In consequence, human beings are sinners under the darkness in Adam and sinners can know that God the Father through Jesus, a true light, and become children of light when they receive the true l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