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졸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남성 청년과 여성 청년의 비교

        임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nalyzes the job transi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to seek a better solution for the labor market of high school graduates facing long-term unemployment, permanent unstable careers, NEET, and etc. Especially, the research tri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the transitional status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parate life cycles to find out the better way for gender centered good job transition. First of all, the research figured out the difference in the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between genders as time pass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n, it cross examined the four main factors for the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 personal and family, job search, human capital, and labor market environment factors - to figure out which one would show the gender differences. This research used the 4th~10th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007~2013) for time series data on jobs for young people, and also ran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based on event history analysis. In result of the analysis of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as time passed after the high school graduation, two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urvival probability with male candidates recorded 45.4 months in average (median 56.0 months) while females showed only 27.9 months in average (median 7.0 months). The male graduates showed high chances of job transition in the first year after the graduation, or 4 to 6 years when they finish the military service duties. On the other hand, more than the half of the female candidates moved within the first year, but they had less and less job transition probability as time passed. The result predicts that the military duty is one of the main factors for lowering the job transition for male graduates, whereas females would face long-term job transition because they show negative duration dependence unless transit right after the grad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good job transition, both male and female candidates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with less unemployment rate showed higher transition probability, however, the other factors had a few differences. Women with good personalities and married had difficulties in job transition while the personal and family factor had no effect on males. Career counseling, one of the main external factors in job search, affected males, but career maturity, an internal factor, affected females in positive ways. For the human capital factor, male graduates experienced vocational training and part-time jobs, and the females who had worked full-time had difficulties in job transition.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only female graduates from metropolitan cities showed less job transition probability than those from other areas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male graduat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of vocational training in secondary education and labor market environment development for all genders, as well as personal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strategy, the job search factor for each gender. Overall, the factors and the length of job transition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are differ from those of the whole young people, and between the genders, so that targeted specialized job transition support and strategies are urgently required. Therefore,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considered to promote good job transition for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First, intensive transition time and strategies have to be directed differently for each gender. Since male graduates have higher job transition probabilities within one year after the graduation and after the military service, they need supply and public relations regarding the demand to maximize the job centered skill system and industrial skilled personnel system before the duty. Personalized job counseling is needed to train and to find good employment after the service for male graduates. Since female graduates mostly find jobs shortly after their high school graduation, and full-time work experiences hinder their job transition, they need career counseling during their school period or they have to be encouraged to go to the industry demand connected schools for their good job transition. Secondly, we need to reinforce the vocational training in secondary school since it had been proved effective for both genders. Meister Schools have to increase their possible studen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need to introduce market for apprenticeship and Work Based Learning Dual Systems. Particularly, Meister Schools have only few female students and they are mainly focused on male-centered occupations, so they have to find more female preferred and female aptitude focused jobs and related programs. On the other side, career counseling and training, or job placement plans are required for graduated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 Self-Regulatory High schoo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except for Meister Schools as there are almost no job transition programs in those schools. Third, various available jobs and quality positions are needed because a large percentage of high school graduates have started their work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s the limitation of available number of jobs prohibits self-development opportunity, and salary increase, private businesses have to provide different kinds of occupations and also need to link them with job opportunity programs for high school graduates.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or promotion chances within the existing job places can encourage business environment. Next, subsidies for job opportunity plans which change temporary employment to permanent one for high school graduates are required since job transition is harder for decreasing salaries in high employment status. Additional detailed programs are necessary for income support and budget to support the depreciation of human capital as the job transition would be getting harder. Plans that develop women-friendly industry or apply subsidies increasing the labor demand with keeping the current pay rate for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are specially advised to maintain female workforce in the current labor market in terms of their higher unemployment rate during depression. Finally, metropolitan cities have to consider the ways to connect high school graduates to the available job opportunities in other areas since transition for the better job in the metropolitan city is difficult. In particular, data base for local labor demand has to be prepared to offer local job openings to the high school graduates and support them to smoothly connect with the local job opportunities as well to prevent the mismatch of the supply and demand of labor market. 본 연구는 실업의 장기화, 불안정한 일자리 고착화, NEET화 등 고졸 청년 노동시장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고자 고졸 청년의 일자리 이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고졸 청년이라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이질적인 생애주기적 특성을 가진 남성 청년과 여성 청년의 이행 과정 차이를 규명함으로서 성별 맞춤화된 좋은 일자리 이행 촉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시간 경과에 따라 좋은 일자리 이행 확률이 성별 간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좋은 일자리 이행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개인가족 요인, 일자리탐색 요인, 인적자본 요인, 노동시장환경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일자리를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인 한국교육고용패널 4차~10차(2007~2013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건사 분석에 기반한 카플란-마이어 분석과 콕스 비례적 위험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 확률을 분석한 결과, 남성 청년은 평균 45.4개월(중위수 56.0개월), 여성 청년은 27.9개월(중위수 7.0개월)로 나타나 두 집단의 생존확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 청년은 졸업 이후 초기 1년과 군제대 전후인 4~6년차의 이행확률이 높고, 여성청년은 초기 1년 내 절반 이상이 이행하지만 이후부터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취업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남성 청년의 경우 군 입대가 이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여성 청년의 경우 졸업 직전 ․ 후에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음의 시간의존성을 보여 이행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녀 공통으로 전문계고 출신일수록, 실업률이 낮을수록 이행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외 다른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개인가족 요인의 경우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여성은 성격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이행이 어려웠고, 일자리 탐색 요인의 경우 남성은 외부 도움인 진로 상담이, 여성은 내적 동기인 진로성숙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적자본의 경우 남성은 졸업 후 직업훈련과 시간제 일 경험이 있을수록, 여성은 졸업 후 전일제 일 경험이 있을수록 이행이 어려웠고, 노동시장환경 요인은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시읍면에 비해 특별시 거주가 이행을 더 어렵게 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좋은 일자리 이행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중등교육 차원의 직업교육 전략과 노동시장 환경조성 전략을 펼치는 동시에 성별 간 차별화 된 개인 및 인적자본 축적 전략, 일자리 탐색 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졸 청년 남녀의 일자리 이행 기간 및 영향요인은 전체 청년과도 상이하며, 고졸 내에서도 성별 간 상이하므로 대상별 특화된 이행 지원시점과 전략 모색이 시급해 보인다. 따라서 고졸 남녀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먼저 성별 간 집중 이행 지원 시점과 전략을 달리 해야 한다. 남성 청년은 졸업 후 초기 1년과 군 제대 이후 이행이 밀집되어 있기에, 입대 이전에는 경력단절이 없도록 산업기능요원제, 취업 맞춤형 특기제도를 적극 활용 할 수 있도록 수요에 맞는 공급 및 홍보가 필요하며, 군 제대 이후에는 맞춤형 취업코스 설계를 통해 훈련과 좋은 일자리 취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할 필요가 있다. 여성 청년의 경우 졸업 직후에 이행이 밀집되어 있고, 전일제 일 경험이 이행 저해요인으로 지적되었기에 질이 좋지 않은 일자리 경험을 하기보다는 좋은 일자리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재학 중에 진로설계 및 취업알선을 지원받거나 산업수요 연계형 학교로의 진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녀 모두 이행에 있어 중등교육기관에서의 직업교육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는 마이스터고는 그 대상을 더욱 확대하고, 특성화고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일․병행학습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마이스터고의 경우 여학생 비중이 매우 낮고, 남성 중심 직종에 편중되어 있어 여학생의 적성 및 선호에 맞는 좋은 일자리 발굴 및 연계 방안이 모색 될 필요가 있다. 한편 직업교육을 선택한 학생들 외에 일반계고등학교 출신이나 자율계고등학교, 마이스터고를 제외한 특수목적고를 졸업한 청년들에 대한 일자리 이행대책이 거의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진로상담이나 훈련 및 취업 알선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좋은 일자리로 이행한 고졸 청년의 일자리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편중되었다는 분석에 착안하여 고졸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직종의 양질의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 직종의 한계 때문에 자기개발기회나 승진, 임금상승의 가능성이 배제되므로, 새로운 직종의 민간 기업이 고졸일자리 사업과 연계 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일자리 내에서도 자기개발기회나 승진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임금이 낮아지는 고실업상태에서 이행이 더욱 어려울 것을 감안하여 고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이 대한 기업보조금이나 단기적 대안으로 일자리 창출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행이 어려워짐에 따라 소득보전이 어려울 것을 감안하고, 인적자본의 감가상각에 대한 훈련지원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소득지원을 전제로 한 세부 프로그램과 재원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실업의 영향이 더 강하였음을 고려할 때 불경기일 경우 여성 인력이 노동시장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성 친화적인 산업을 개발하거나 현재 받고 있는 임금수준을 낮추지는 않으면서 노동수요를 높이는 보조금을 여성 고졸 청년에 대해 우선 적용하는 등의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이 많이 몰리는 특별시가 오히려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이 어렵다는 여성 청년의 결과는 서울특별시 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가 많으나 청년 동원이 어려운 시읍면지역의 일자리에 청년들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특히 노동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를 막기 위해 지역 노동수요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여 청년들에게 지역별 취업정보를 보다 면밀히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지역일자리와의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적극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 이현화 희곡 연구

        임유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70년대 한국 희곡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희곡 작가 이현화의 희곡을 연구한 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격적인 실험성이 돋보이는 이현화의 희곡 텍스트를 관통하는 형성원리를 찾고, 현대에 대두되고 있는 포스트 드라마 연극과 그의 텍스트가 일치하는 지점을 알아보며 아울러 그의 텍스트를 자크 랑시에르의 ‘해방된 관객’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이현화의 글쓰기가 가진 정치성을 밝히는 데 있다. 이현화의 희곡 텍스트에서 사용된 낯설고 신선한 기법들은 기존의 한국희곡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들이었고 그만큼 파급 효과가 컸으며, 그의 작법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이현화가 그런 기법들을 사용하여 작품을 만든 이유에 집중하였다. 가장 중요한 핵심어는 ‘관객’이다. 이현화는 새롭고 실험적인 기법들을 사용하여 관객과 긴밀한 호흡으로 소통을 시도하였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식의 카타르시스를 중요하게 생각하던 기존의 연극들과 방향이 대별(大別)되는 지점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시학에 입각한 연극이나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관객이 구경꾼으로 수동적인 입장에서 관람만 하지만, 이현화는 관객을 가만두지 않고 그런 수동성을 저해(沮害)한다. 이현화가 한국희곡이나 연극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관객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했다는 데 있다. 본고는 이현화의 첫 작품인, 「요한을 찾습니다」(1969)부터 「협종망치」(2000)까지 그의 희곡 13편을 분석하였다. 작품은 관객과의 소통 정도에 의해 모두 3기로 나누었다. 전기에 해당하는 작품은 「요한을 찾습니다」, 「라마 사박다니」, 「누구세요?」, 「쉬-쉬-쉬-잇」 4편이다. 이 시기 작품들은 사실주의 기법에서 점차 탈사실주의로 나아가는 단계에 있으며, 관객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아직은 프로시니엄 무대와 관객석의 경계를 지킨다고 할 수 있다. 중기의 작품은 「카덴자」, 「우리들끼리만의 한번」, 「오스트라키스모스」, 「0.917」, 「산씻김」, 「불가불가」까지 총 6편이다. 전기와 중기를 나누는 계기가 되는 작품은 「카덴자」인데 무대와 객석을 가르는 제4의 벽을 없애버린 첫 작품이고, 초기의 작품들에서 조금씩 사용되었던 낯선 기법들이 폭발하는 작품이어서 경계를 가르는 작품으로 합당하다. 중기의 작품들은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발표된 작품들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후기는 「넋씨」, 「키리에」, 「협종망치」 3편이다. 시기적으로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나온 작품들이고, 관객에게 파토스 대신 로고스적 각성을 주려고 하는 이현화의 의도가 충실하게 반영된 작품들로서 이현화의 작품 세계가 마무리지어지는 단계에 있는 텍스트들이다. 이현화는 새롭고 낯선 기법을 사용하여 극작을 했고, 그가 그런 방법들로 관객의 지각을 끌어낸 것은 정치성이 강한 글쓰기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랑시에르가 말하는 ‘정치적인 것’의 영역이다. 소음으로밖에 지각되지 않던 것을 담론으로 들리게 만드는 것이 랑시에르가 말하는 ‘정치적인 것’이다. 이현화의 희곡들은 당시 한국 희곡과 연극계에서 보기 드문 실험성과 주제 의식으로 독자(관객)에게 낯선 경험과 지각의 세계를 선사했으며, 이것이 가지는 특별한 의의는 현재까지도 진행형이라 하겠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plays by playwright Lee Hyun-hwa, who holds an outstanding position in Korean play history in the 1970s. It aims to examine the principle of formation that penetrates the texts of Lee's plays, discover where his texts match the modern post-drama play, and reveal the political nature of Lee's writing by analysing his works with the concept, ‘liberated audience’ used in The Emancipated Spectator by Jacques Lancier. The techniques used in Lee's plays are highly experimental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Korean play history.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at the reason why he used such techniques in his plays. The most important key word is 'audience'. Using new experimental techniques, Lee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close breathing,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plays that valued Aristotle-style catharsis. In plays based on Aristotle's poetry or realistic plays, the audience are spectators or passive observers, simply seeing plays, but Lee does not leave the audience alone and undermines such passivity. The reason why Lee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plays and dramas can be found in the technique in which he has established a new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In this study, 13 of Lee’s plays, including the first work Finding John (1969) and Hyubjong Mangchi (2000), were studied. Lee’s 13 work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n terms of th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first period includes four works, Finding John, Rama Sabakdani, Who are you? and Shh-Sh-Sh-It. The works of this period show gradual movement from realism techniques to over-realism, but still maintain the boundaries between the proscenium stage and the audience. The second period involves six works such as Cadenza, Once Between Us, Ostrakismos, 0.917, Sanssitgim, and Bulgabulga. Particularly, Cadenza, which distinguished the first period from the second one, is the first work that eliminates the fourth wall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In this play, the unfamiliar techniques that were used little by little in the early works were exploded. The works of the second period were all published from the late 1970s to the early 1980s. The last period includes three plays, The Soul, The Kierre, and Hyubjong Mangchi. These works came out in the 1990s and 2000s, and the world of Lee's works, which w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s nearing the end. Lee used new and unfamiliar techniques in his plays. The way he drew the audience's perception with such techniques can be viewed as a political writing act. This is what Lancier calls the 'political thing'. In Lancier’s term, "political" makes what was only perceived as noise sound like discourse. Lee's plays provided readers with a world of unfamiliar experience and perception, showing the experimental spirit and sense of subject that were unique in Korean plays and dramas at the time. His distinctive techniques are still relevant and significant in today’s ages.

      •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2005년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 및 교육 과정 개선 중심

        임유진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금번 정부에서 발표한 직업교육체제 방안을 중심으로 문헌조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업사회의 변화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의 계열을 재편성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업계열은 기계계열, 전기·전자계열, 화공계열, 섬유계열, 건설계열 등으로 세분화하고, 상업계열은 정보통신계열, 금융계열, 사회가사·실업계열, 서비스계열 등으로, 농업계열은 원예계열, 바이오계열 등으로 전문화하고, 특히,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보건, 복지, 간호와 관련된 계열의 추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통교과-전문교과 최저이수단위를 현행 82단위에서 국민공통기본교과 이수 단위 정도인 56단위 이상으로 제시하여야 하며, 아울러 그와 연결되어 있는 입시기준도 함께 완화하여야 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등이 학습 될 수 있도록 보통 교과 및 전문교과의 내용이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통합학교의 확산에 따라 학생의 성적보다는 흥미나 적성, 능력에 맞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코스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실업고-전문대·대학-산업체 협약학과 제도 운영 시 학과별로 1대1의 결합이 바람직하며, 교원의 교류, 상호 학점 인정 및 산업체 취업 확정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n vocational high schools curriculum. To solve the purpose of the study ,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reviewed through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materials, and '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 plan' which was issued in may 2005 by Presidential Committee on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jointl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Restructuring of departm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industrial society, 2) Relieving the minimum credit restriction of taking general subject - professional subject course, 3) Designing a curriculum for vocational basic ability development, 4) Development of the diversified curriculum by course, 5) Introducing a 'vacational high school-college-industry' partnership program system.

      • 단어 읽기 과제를 통한 초등 2학년과 5학년 아동의 음운 규칙 적용 능력 비교 연구

        임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gard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in reading Korean Hangul, letter-to-sound mapping shows irregular phonological chan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angul based on syllabic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phonological changes in reading Korean through 8 phonological rules; tensification after obstruent, tensification after /d, s, and j/ after /l/, liaison, nasalization of obstruent, nasalization of liquid, nasalization of obstruent + nasalization of liquid, aspiration, and lateralization and to explore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and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grades. 41 elementary students in 2nd grades and 41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 reading exercises consisted of the lists of 2 syllables nouns applied to 8 phonological rules and the lists had meaningful words and non-meaningful words. The lis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eaningful words followed by non-meaningful words and non-meaningful words followed by meaningful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orders of meaningful words in the lists for the reading assignment, (2) compare the differences in each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3) compare the differences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4)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nc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2nd grade students according to the orders of meaningful words on the lists, carry-over effect appear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5th grade students.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students in all grades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in each rule.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grades,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in aspiration rules among 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5th grade students than in 2nd grade students.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in the rules of aspiration, fortis after /d, s, and j/ after /l/, tensification after obstruen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f liquid among non-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5th grade students than in 2nd grade students. Thirdly, the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of non-meaningful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th grade students than 2nd grade students in reading assignment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of meaningful word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grades.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meaningful words showed a higher level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than non-meaningful words. Lastly, a significant low level of applicability in 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lateralization rules in comparison with other rules. A low level of applicability in non-meaningful words was observed in lateralization rules. A low level of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 in lateralization observed in both 2nd and 5th grade stud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phonological rules and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was seen in the rules of nasalization of obstru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orders of phonological rules that should be learned according to grades and the types of phonological rules that distinguish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while conducting the assessment of word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in reading Korea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although they are same phonological rules. Furthermore, since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level of phonological rules in the same grades and meanings of word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llows to consider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phonological rules when establishing intervention plans. 읽기는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과 읽기 이해(comprehension)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읽기 발달에서 단어 재인과 읽기 이해에 시간적인 위계가 있다면 단어 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은 읽기 이해에도 필연적으로 어려움을 갖게 되므로, 단어 재인은 읽기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단어 재인에 관한 선행 연구는 음운 인식에 대한 연구와 음운 변동에 대한 연구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다. 음운 인식은 철자와 소리와의 대응 관계에 대한 지식이므로 초기 단어 재인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으며(Catts & Kamhi, 2005)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한글의 단어 재인에서는 음절 문자로 기능하는 한글의 특성상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불규칙적인 음변화가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한글 단어 재인에서는 음운 인식에 관한 지식과 더불어 음운 변동에 대한 지식이 또한 요구된다. 한글의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발화에서의 변동에 대한 것이었으며 음운 규칙이 아닌 오류 유형(생략, 대치, 반복, 삽입 등)으로서의 음운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연구의 대상은 학령 전기 아동에 집중되었으므로 읽기 발달이 학습에 중요한 과업이 되는 학령기 아동의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글 단어 읽기에서의 음운 변동을,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한국어 음운 규칙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단어의 의미 여부와 학년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학령기 아동 중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을 대표하는 2학년과 5학년 아동을 각각 41명을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단어 읽기 과제는 8개 음운 규칙(장애음 뒤 경음화, ㄹ 뒤의 ㄷ,ㅅ,ㅈ 경음화, 연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유음의 비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 유음의 비음화, 격음화, 유음화)이 적용되는 2음절 명사형 단어 목록이었다. 단어 목록은 유의미 단어 목록과 무의미 단어 목록으로 나뉘며 8개의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단어를 의미 여부별로 6개씩 선정하였으므로 총 96개의 단어가 제시되었다.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는 선(先) 무의미-후(後) 유의미 목록 순서와 선(先) 유의미-후(後) 무의미 목록 순서로 양분되었다. 이 연구의 질문은, (1) 단어 읽기 과제에서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2)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3)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 총 적용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4) 동일 학년과 단어의 동일 의미 여부에서 음운 규칙 간 적용도에 차이를 보이는 지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 비교 단어 목록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는 2학년 아동에게서 유의미하였으나 5학년에게서는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2학년 아동은 먼저 제시한 단어의 목록이 유의미일 경우 후에 읽은 무의미 단어의 음운 규칙 적용도가 높아졌으며 먼저 제시한 단어의 목록이 무의미일 경우는 후에 읽은 유의미 단어의 음운 규칙 적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2. 학년과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의 차이 비교 학년 내에서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별 적용도는 모든 학년에서 음운 규칙별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는 유의미 단어에서 격음화의 규칙만 5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음운 규칙 적용도를 보이는 차이가 나타났다. 무의미 단어에서는 격음화 , ㄹ뒤의 ㄷ,ㅅ,ㅈ 경음화, 장애음 뒤의 경음화, 유음화, 연음화, 장애음의 비음화의 규칙 모두에서 5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음운 규칙 적용도를 보였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 유음의 비음화에서는 학년 간 적용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3.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른 총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 비교 단어 읽기 과제에서 무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는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의미 단어를 읽을 때 5학년 아동이 2학년 아동보다 음운 규칙을 더 높게 적용하였다. 반면 유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는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라 2, 5학년 모두에서 총 음운 규칙 적용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학년, 5학년 모두에서 유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가 무의미 단어의 총 음운 규칙 적용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4. 음운 규칙간 적용도의 차이 비교 유의미 단어에서는 2학년 아동과 5학년 아동 모두 유음화 규칙이 다른 규칙들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은 적용도를 보였다. 무의미 단어에서는 2학년 아동과 5학년 아동 모두 다른 음운 규칙들과 비교해 유음화 규칙의 적용정도가 낮았으며 장애음의 비음화 규칙은 높은 적용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운 규칙의 적용도에 있어서 단어의 의미 제시 순서에 따라 저학년 아동과 고학년 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학년과 단어의 의미 여부에 따라서도 음운 규칙 적용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일 학년과 동일 단어의 의미 여부 내에서도 음운 규칙들 간에 적용도의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읽기에서 단어 재인의 평가 및 중재 시, 학년에 따라 우선되어야 하는 음운 규칙의 순서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음운 규칙 적용도에 있어서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별해주는 음운 규칙의 종류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음운 규칙이라 하더라도 의미 여부를 달리하여 단어 조건 자극을 만들 때, 의미 여부에 따른 음운 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고려해야함을 밝히고 있다. 또한 동일 학년과 동일 단어의 의미 내에서도 음운 규칙간 적용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학습 및 중재 계획을 수립할 때 적용 정도가 높은 음운 규칙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의 공간 연계 수법으로서의 「열림」을 적용한 주거복합공간 디자인

        임유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housing and apartments of today have developed into an enclosed, standardized than ever before. Moreover, in most cases, common houses, regular houses also fail to offer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due to small, narrow lots.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increase of air pollution, yellow dust and especially the COVID-19 pandemic led to the increase in people’s preference of establishing ‘Residence + programs’, such as home-office, home-cafe and home-gym, and green spaces (yards, terrace, etc.) within their residential spaces.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Hole」, presented by Alberto Campo Baeza, as the spatial connecting technique in designing houses. Incorporating complex residential spaces with such ‘Residence + program’. The concept of 「Hole」 makes use of continuous light illuminated through openings on ceiling or fanlights to indicate spatial connection. Diagonal spatial planning generates sense of expansion and cohesiveness in space. Lastly, by connecting outdoor-indoor-outdoor spaces, and by establishing penetrating relationships deliver the experience of spatial connec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designed a complex residential space with 3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the spatial connection technique of 「Hole」 of Alberto Campo Baeza. Penetrative connection with outdoor environment was used to overcome the enclosed nature of Korean residences in order to incorporate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into the project. The use transparent penetrative mass granted holes to outdoor environment, and by positioning a terrace between a private and semi-private spaces, the line of sight was connected and spaces were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environment. Furthermore, the master bedroom and office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utilizing the concept of the penetrative connection. While they appear to be independent spaces on drawings, the spaces themselves offer a sense of space of three spaces connected as one. Between the living room and the family room positioned below is a void that establish spatial connection through connecting lines of sight, and a sunken garden is positioned on the underground floor to add a sense of expansion within the space. The gallery was designed to consist of 3 skip floors on the first, middle and underground floors to overcome the narrowness of the land through connecting the line of sight with continuous light from the ceiling window and sunken garden on the middle floor. This study presented a mixed used residential space design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 of 「Hole」 positioning private and public spaces facing each other to create a new space program and allows communication among users. The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orporate more plus program combinations while maintaining privacy of residence users. 오늘 날 주거시설은 급변하는 사회상에 발맞춰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형태의 공동주택으로 발전하여 왔다. 호화 단독주택을 제외하고는 단독주택들도 협소한 필지 구획으로 인하여 거주환경이 쾌적하지는 못 한 상황이다. 초미세먼지, 황사 발생 등의 환경 변화와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사람들은 거주공간에 홈-오피스, 홈-카페, 홈-짐 등 다양한 주거 플러스 프로그램들과 내 공간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자연 공간(마당, 테라스 등)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플러스 프로그램의 주거복합공간, 자연을 가까이할 수 있는 주택을 협소하지 않게 설계함에 있어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의 「열림(Hole)」을 통한 공간 연계의 수법을 연구하였다. 그의 프로젝트에서 보여지는 「열림」은 천창이나 고창에서 들어오는 빛이 연속되어 공간의 연계를 인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선 공간 계획으로 시선이 연결되어 공간의 확장감, 연계감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나란히 외부-실내-외부의 공간을 연결, 실내외의 디자인 요소를 연결한 실내외부의 관통적 관계를 통한 공간 연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공간 연계 수법으로서의 「열림」에 대해 3가지의 특징을 도출하여 주거복합공간을 설계하였다. 도출한 특징을 프로젝트에 적용함에 있어 국내 주거의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과의 관통적 연계 수법을 사용하였다. 관통적 매스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외부로의 개방감을 주고 사성 공간과 준사성 공간 사이에 테라스를 두어 공간 내에서 시선은 연결하고 공간 구획은 하여 답답하지 않으면서 외부와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거공간인 마스터 침실과 오피스가 마주보게 계획하여 외부와의 관통적 관계를 이용한 것으로 평면 상으로는 각각의 공간처럼 보이지만 그 공간감은 세 개의 공간이 하나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주거의 거실과 그 하부 패밀리룸 사이에 층간 보이드를 두어 시선의 연결을 통한 공간 연계를 두고 지하층에 선큰 가든을 두어 지하의 침실까지 빛이 도달하도록 하여 공간의 확장감을 주었다. 갤러리는 지상 1층, 중층, 지하층 3개의 스킵 플로어로 구성하여 시선의 연결을 통한 공간 연계를 천창과 중층의 선큰 가든을 통한 빛의 연속으로 공간 연계를 두어 좁은 대지의 협소함을 극복할 수 있었다. 공간 연계 수법으로서의 「열림」을 적용하여 한 건물에서 사성과 공성 프로그램이 마주하여 새로운 공간 프로그램을 만들어내 지역과 소통하고 사용자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주거복합공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주거의 사성을 유지하면서 더 다양한 플러스 프로그램의 조합으로 활용이 가능하리라고 기대한다.

      • 언론 보도로 인한 개인의 명예훼손 판례 분석 : '공인(公人)'에 대한 보도의 한계는 어디인가?

        임유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언론의 자유와 관련하여 '공인' 개념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한국 사회에서 언론이 누리는 '공인'에 대한 취재와 보도 범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래 '공인' 개념은 명예훼손 소송 판결에서 미국 법원이 언론의 정치적 사안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을 보장하기 위해 기준으로 사용해 온 용어이다. 따라서 판결에서 법원이 '공인' 개념을 적용하였다는 것은 정치적 토론에 대한 언론의 기능을 법적으로 인정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공인' 개념이 이와 같은 중요성을 가지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이들에 대한 언론 보도의 자유가 법적으로 확보되고 있는지 알기 위해 현실적으로 집행력을 갖는 법원의 판결을 역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제시대부터 1996년도까지 언론 보도로 인한 개인의 명예훼손 소송 판례들로 하였으며, 소송 현황에 대한 계량적 분석과 법원의 '공인' 개념 수용에 대한 통시적 판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소송의 현황에 대한 계량적 분석은 판결 형식의 흐름에 따라 소송, 원고, 보도 매체의 성격, 제소된 언론사 보도 내용, 언론사의 승소 여부 등을 파악하였다. 한국 법원의 '공인' 개념 수용에 대한 통시적 판례 분석은 명예훼손 죄의 면책 요건 가운데 '공공의 이익' 원칙과 '공인' 개념에만 초점을 두어 두 개념이 판결에 도입된 시기, 적용의 일관성, 판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시대별로 분석하였다. 소송의 전반적 상황을 분석한 결과 일제시대 이후 1983년까지는 대부분 형사소송으로 해결이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재판에 있어 국가의 개입은 강하게 작용했을 뿐 아니라, 정치적 압력 또한 컸음을 암시한다. 원고의 지위를 분석한 결과 공무원이나 연예인, 언론인 등이 주된 보도 대상이 되어왔으며, 특히 초기에는 공무원, 정치인 등 주로 권력을 가진 사람들만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었지만, 90년대 들어 다양한 사회계층의 사람들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기준에 따라 언론사의 승소여부를 분석한 결과, 언론사의 평균 승소율은 그다지 높지 않은 수치를 나타냈다. 원고의 성격에 따른 승소율을 통해서는 한국 언론이 연예인, 언론인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는 자유롭지만, 공무원 및 정치인의 친인척, 정치인들과 같이 힘있는 인물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는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소된 언론사 보도 내용을 볼 때도 공무원, 정치인 및 그들의 친인척의 전력, 불법, 비리의혹에 대한 보도의 경우 언론사가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결과는 한국 법원이 보호하는 언론 자유가 정치적 사안에 대한 다양하고 활발한 토론, 비판과는 거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법원의 '공인' 개념 수용에 대한 통시적 판례 분석 결과, 한국에서는 1950년대 이미 '공공의 이익' 원칙을 법으로 제정하여 판결에 적용해 오고 있었으며, '공인' 개념은 이보다 훨씬 늦은 1989년도부터 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 법원의 '공인' 개념이 '공공의 이익'으로 발전했다가 다시 '공인' 개념으로 축소되어 오고 있는 흐름에 비추어 한국 법원의 개념 수용 방향은 차이를 나타낸다. 1950년대 '공공의 이익' 원칙의 도입은 일제시대 언론 탄압을 목적으로 한 법원의 판결 흐름에서 벗어나 한국 법원이 독립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 원칙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 들어서이며, 원칙의 적용에 있어서도 공무원 및 정치인, 그들의 친인척에 대한 전력, 불법, 비리의혹에 대한 보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공인' 개념은 1989년도부터 판결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지만 아직까지 이 개념은 '공공의 이익' 원칙의 일부 요건으로만 사용될 뿐 법으로써의 효력은 거의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법원이 '공인'으로 인정한 원고의 지위를 살펴본 결과, 연예인이 가장 많았으며, 공무원 및 정치인, 그들의 친인척에 대해서는 '공인' 여부를 거의 심리하지 않았다. 원래 '공인' 개념이 보호하는 대상이 정치적 권력을 가진 공무원, 정치인임에 비추어 볼 때, 한국 법원은 오히려 힘없는 연예인과 관련된 소송에서 '공인' 개념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결국 두 개념이 판결에 도입되어 사용되고는 있지만 원래 개념이 갖는 이론적 힘은 발휘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적용에 있어서도 일관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인' 개념의 본래 의미와 취지가 제대로 살려지지 못한 채, 무비판적으로 판결에 도입된 결과, 한국 법원의 판결은 '공인'에 대한 언론의 취재와 보도에 명확한 지침이 되지 못하고 있다. This thesis treats two important concepts in libel litigation, the 'public figure' and the freedom of the press. It intend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reporting of 'public figures' in Korea over the period, 1919-1996. The study was motivated by the U.S. legal convention of 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plaintiff in libel cases to ensure the maximum press coverage of significant political issues. Therefore, the central task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Korean courts have treated the notion of 'public figure' in considering libel cases over time, and also to learn how the court's legal position has changed. Cases of personal defamation against the pres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up to 1996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In a stark contrast with the U.S. experi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notion of the 'public interest' had been introduced into the Korean libel consideration as early as the late 1950s.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public figure' began to be used in Korea only in 1989. The introduction of 'public interest' by the Korean court in the 1950s had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tried to advocate freedom of the press that had been repressed inexorably by the court during the colonial period. However, such a principle was not fully enforced until the late 1980s. It was in 1989 that the notion of the 'public figure' was first cited in libel rulings, but it was used only as a minor requisite. More interesting was that many cases in which the plaintiff's status was considered the 'public figure' were mainly referring to entertainers with an exemption of such powerful elites as public officials and politicians.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und that although the two notions, 'public figure' and 'public interest',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Korean libel proceedings, the court's consideration of them has not been consistent enough to be treated as an established legal convention. This finding in turn translates into the lack of dependable criteria for the press in reporting issues involving influential 'public figures'.

      • Isoflavone profiles of soybean by lactobacilli bioconversion and its sprouts grown under periodical UV irradiation

        임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두 (Glycine max L.)는 신선작물, 가공식품, 발효식품 등 식품 뿐만 아니라 단백질이나 오일 및 기능성 물질을 분리하여 기능성 산업소재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두는 다양한 종류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어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감소, 유방암 예방, 심장병 예방, 골다공증 예방의 건강 기능성 효능이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은 이용목적에 따라 특정 종류의 이소플라본이 요구되는데, 대두 내 이소플라본의 조성과 함량은 품종, 재배환경조건, 가공공정 등에 의해 상당히 가변적이기 때문에, 요구되는 특정 이소플라본을 전환시키거나, 기능성 물질인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생물 전환 기술을 이용한 대두 내 개별 이소플라본의 전환 양상 연구와, 자외선 (UV) 광 환경의 제어를 통한 이소플라본 함량 증가 및 부위별 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물전환 기술을 이용한 대두 내 개별 이소플라본의 전환 양상 연구를 위해 효소 활성이 다른 두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K2-12와 L. curvatus JD0-31을 이용하여 대두 추출물에 접종 및 배양하여 이소플라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소플라본 종류에 따라 두 균에 의한 전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종류 중 daidzein과 genistein의 각 배당체에서 비배당체로의 전환은 효소 활성이 높은 L. plantarum종에 의해 빠르게 진행되었다. 반면, glycitein은 특이적으로 효소 활성이 낮은 L. curvatus종에 의해 빠르게 축적이 되었고, 그 배당체인 glycitin 역시 L. curvatus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었다. 그러나 접종 9일차에는 glycitin외 모든 이소플라본 함량은 두 균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소플라본 전환에 있어서 미생물 선발 뿐만 아니라 배양 기간의 선정도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이소플라본 함량 증가 연구를 위해 UV-B (314nm)의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대두 새싹 재배 후, 전체 새싹 내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UV-B에 의해 6가지의 이소플라본이 증가했으며, 특히 malonyl genistin 함량은 UV-B 36시간 노출 시 종자에 비해 2.4배, 암조건 새싹에 비해 1.6 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소플라본 합성 관여 유전자 발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유전자 발현이24시간과 36시간동안 UV-B 노출 시 증가하였으며, 특히 GmCHS6, GmCHS7, 그리고 GmCHS8 유전자가 UV-B에 의해 크게 상향 조절되었다. UV-B에 의한 자엽의 세포 손상을 줄이기 위해 UV-A (370nm)를 이용하여 대두 새싹 재배 후, 새싹의 부위별 이소플라본 및 플라보놀 집적 양상 변화를 조사하였다. UV-A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플라보놀인 캠페롤 배당체의 집적은 다른 조직 특이적 양상을 보였다. 캠페롤 배당체 함량은 자엽 및 하배축 조직 특이적으로 증가한 반면, 이소플라본 함량은 뿌리 특이적으로 증가하였다. 캠페롤 배당체는 종류에 따라 자엽과 하배축 내 축적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6가지 캠페롤 배당체 중 kaempferol-3-O-glycosyl-rhamnosyl-galactoside와 kaempferol-3-O-digalactoside는 하배축보다 자엽에 더 많이 축적되었고, kaempferol-3-O-(2,6-dirhamnosyl)-galactoside와 kaempferol-3-O-rutinoside는 하배축에 더 많이 축적되었다. 뿌리에서는 UV-A조사에도 캠페롤 배당체는 축적되지 않은 반면, 4가지 genistein 종류와 malonyl daidzin이 UV-A조사에 의해 증가했으며, 특히 암조건 새싹에 미량 존재했던 malonyl genistein은 UV-A 120시간 조사 시 6.6배 가량 크게 증가하였다. UV-A 조사 시 뿌리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한 GmUGT9 유전자가 뿌리 내 이소플라본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대두 식물체가 각 조직에 서로 다른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축적함으로써 UV에 대응하는 방어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생물 전환 기술에 의해 특정 이소플라본을 획득하는데 미생물의 선발과 배양기간이 중요하며, 대두 재배 시 특정 광의 조사는 이소플라본 물질의 대량생산 획득에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생물 전환 기술 및 광 환경 제어는 이소플라본 만이 아닌 다양한 식물 내 기능성 성분의 물질 전환 및 함량 증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ybean (Glycine max L.) is a widely used crop for not only foods, including fresh, processed, and fermented foods, but also for its components as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proteins, oils, and phytochemicals. In particular, soybean contains various types of isoflavones with functional health benefits, including reducing the symptoms of postmenopausal syndrome and preventing breast cancer,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isoflavones in soybean are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cultivars, growth condition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specific isoflavones or to increase the isoflavone content to maximize these benefit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bioconversion patterns of isoflavones in soybean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potential of ultraviolet (UV) irradiation to increase the isoflavone content and tissue-specific accumulation patterns. Soybean extracts inoculated with two enzymatically different strains of Lactobacillus species, L. plantarum K2-12 and L. curvatus JD0-31, showed distinct conver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s of isoflavones detected. The conversion from daidzin and genistin to their respective aglycones was promoted by L. plantarum, which had higher enzymatic activity than L. curvatus. By contrast, glycitein was rapidly accumulated by L. curvatus with lower enzyme activity, resulting in the rapid degradation of glyciti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he isoflavones other than glycitin between the two lactobacilli groups at day 9 of incubation. In the bioconversion of isoflavone, both the se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 incubation period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UV irradiation for increasing the isoflavone content, the accumulation of 12 isoflavones and metabolic gene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in whole soybean sprouts grown under periodical UV-B (314 nm) irrad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ix isoflavones were increased by UV-B. In particular, malonyl genistin levels in the sprouts exposed to UV-B for 36 h increased by 2.4- and 1.6-fold compared with the levels observed in the seeds and sprouts grown in the dark, respectively.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majority of metabolic genes investigated increased after UV-B exposure for 24 h and 36 h.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GmCHS6, GmCHS7, and GmCHS8 genes among the eight known genes encoding chalcone synthase were specifically upregulated in response to UV-B irradiation. Prolonged UV-B irradiation caused some damage to the cotyledons of 7-day-old soybean sprouts. Thus, the tissue-specific accumulation of isoflavone and flavonol in the soybean seedlings grown under UV-A (370 nm) irradiation was also determined. The accumulation of isoflavones and flavonol kaempferol glycosides in response to UV-A showed different tissue-specific patterns. UV-A irradiation enhanced shoot-specific accumulation of six kaempferol glycosides, whereas it triggered the accumulation of only five root-specific isoflavones among the soybean tissues. Kaempferol glycosides showed different accumulation patterns in the cotyledons and hypocotyls. Kaempferol-3-O-glycosyl-rhamnosyl-galactoside and kaempferol-3-O-digalactoside were accumulated in higher amounts in the cotyledons than in the hypocotyls, whereas kaempferol-3-O-(2,6-dirhamnosyl)-galactoside and kaempferol-3-O-rutinoside were accumulated in higher amounts in the hypocotyls. In roots, kaempferol glycosides were not detected even in the UV-A irradiated seedlings. However, the four genistein types and malonyl daidzin in the roots were increased by UV-A irradiation. In particular, malonyl genistein, which was present in trace amounts in the roots of seedlings grown in the dark, increased by 6.6 times after 120 h of UV-A irradiation. High GmUGT9 expression in the roots clearly indicates the UV-A-induced isoflavone accumul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oybean plants have a defense mechanism against UV by accumulating different flavonoids in the shoot and root tissu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lection and incubation period of microorganism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obtaining specific isoflavones by bioconversion, and that the irradiation of specific wavelengths of light in soybean cultivation can be standardized for achieving the mass production of isoflavones and flavonols. In addition, the bioconversion techniques and light environmental condi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can also be used to convert and enhance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in various plants.

      • 아나운서의 표면행위가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유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나운서는 뉴스 뿐 아니라 모든 방송 프로그램을 이끄는 진행자로서 시청률을 만들어내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방송 경영에 있어 프로그램의 높은 시청률은 광고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곧 이익 창출 및 흑자경영의 성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방송사와 아나운서는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있다. 서비스업에서 감정노동은 일찍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 조직 측면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관리하고 방지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어왔지만 최근에는 감정노동의 문제가 학계를 넘어 사회 주체들의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아나운서를 특정 대상으로 하여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나운서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를 ‘아나운서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신의 실제 감정을 숨기고 요구되는 감정을 의도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아나운서의 감정표현전략 중 표면행위 수행이 다른 직군들과 비교했을 때 상위권에 속하고 있다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아나운서의 표면행위가 감정부조화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은 아나운서의 표면행위가 높아질수록 감정부조화도 높아지고 감정부조화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도 높아질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표면행위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고 표면행위는 감정부조화를 매개로 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검증 결과 연구 모형은 지지되었다. 요약하자면 아나운서가 방송을 진행함에 있어 실제 감정과 다른 감정을 표현하는 표면행위의 수행은 실제 감정과 표현하는 감정 사이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감정부조화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아직 감정노동 직업으로 인식되지 못한 아나운서라는 직업에 주목했다는 점에 차별성을 둘 수 있다. 연구 결과들은 방송 제작 구성원들과 경영진들에게 아나운서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감정부조화를 유발하여 나타나는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대응 조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가 있다.

      •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 이론과 함수 지도 : 중학교 수학1 함수 영역 중심으로

        임유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 중학교 수학1에서 다루는 함수단원을 분석하고 함수 개념을 Freudenthal의 수학화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수학화 이론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학습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함수 학습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고 교실 내에서의 학습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고 수학 학습의 실용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part of the texts dealing with the function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1 of the 7th amended national curriculum to propose the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in order to shar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concept by mathematization of Freudenthal. Therefore we look into the learning theory of mathematization of Freudenthal and indicate learning guide reflecting mathematization theory efficiently. Based on the result, we try to make students realize the necessity of function, apply function to student's life. The ultimate object for this study is to foster a mor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and let the students be conscious of the practical use of mathematics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