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現代的 意味의 國民主權

        오충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constitution, Democracy is a major principle and an ideology through the whole constitution. And by a nation sovereignty principle, The nation(people) is the owner of sovereignty and the spring of all powers. Democracy united with Demos(people) and Kratos(rule) expresses the rule of the majority. Therefore Democracy is another expression of a nation sovereignty. This study surveyed six meaningful thinkers establishing a nation sovereignty. For the rest and peace of a nation, Jean Bodin stressed the shape of a nation and the role of sovereignty. He is called an advocate of sovereignty. Johannes Althusius insisted a nation sovereignty that the whole nation has sovereignty. But his nation sovereignty is an imperfect nation sovereignty that lord has the right of resistance. Thomas Hobbes wrote Leviathan insisting a strong nation based on the agreement of an individual. Leviathan is a monster and it means a nation. A nation gives the safety and peace instead of removing fear and unrest. John Locke did not express a nation sovereignty directly. But his fundamental thought is freedom and equality coming from endowed human right. His thought is the bed rock of American independence and France revolution realizing a nation sovereignty. Through the social contract theory, Jean-Jacques Rousseau established a substantial nation sovereignty as an essential ideology of France revolution. His ideology of freedom and equality appearing in the social contract theory is a core thought of democracy. Emmanuel-Joseph Siey?s insisted a nation representative theory substituted representatives for a nation(people). His theory is a worthy system for the interest of a nation. But his act in a France revolution process made his insistence vacant and faded. This study analyzes and criticizes various nation sovereignty theories at present. Nation sovereignty theories are divided by the fundamental knowledge about a nation(people). A nation sovereignty theory(in the narrow meaning) and a people sovereignty theory are the basic opposite structure of sovereignty theories. A justification principle theory(the developed shape of a nation sovereignty theory) and a substantial nation sovereignty theory(the developed shape of a people sovereignty theory) are the developed shape of these. In the nation sovereignty theory and the justification principle theory, a nation(people) is an ideologic and abstract existence that can not have a mind. In the people sovereignty theory and the substantial nation sovereignty theory, a nation(people) is a concrete existence deciding the mind of a nation. Through this study, I define a nation sovereignty like the next. A nation sovereignty is the highest decisive power of the nation mind that a nation(people) organized with individuals has. Following to this definition, A nation sovereignty in the present times has several significant meanings. First, The owner of sovereignty is a whole nation(people) and the actor of sovereignty is a major nation(people) participating in a mind decision. Second, A nation(people) is a juridical person having a concrete mind. A representative represents a nation(people) and have to be obliged to the mind of a nation(people). Third, A nation has the highest decisive power of a nation management. Last, The purpose of a nation sovereignty is the human right of an individual. The value of this study is establishing a nation sovereignty suitable in this period, helping the control of a nation on the policy decision of representatives, developing human rights through a nation sovereignty, and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substantial democracy. The nation sovereignty through this study shall be fundamental knowledge to maintain and the value to follow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nation.

      • 과급 및 EGR이 DME/n-Butane 혼합연료를 사용한 HCCI엔진 연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오충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HCCI(예혼합압축자기착화) 기관은 예혼합기를 실린더 내부로 공급하고, 피스톤 압축을 통해 실린더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예혼합기를 자기착화 시키는 기관이다. HCCI엔진 은 연소방식의 차이 때문에 기존의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과 달리 희박한 조건에서 운전이 가능하고 낮은 연소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높은 효율과 낮은 배기가스 배출량을 갖는 차세대 엔진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HCCI엔진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고부하 영역에서 실런더 내의 급격한 압력상승으로 인한 노킹과 이에 따른 운전영역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도성층화, 농도성층화, EGR 및 혼합연료를 이용하여 연소를 제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급과 EGR이 DME/LPG 혼합연료를 사용한 HCCI엔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운전영역 확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연소시기에 따른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연소시기를 CA50=5CA aTDC로 일정하게 설정하였고, 연료 차이와 과급, EGR 영향에 따른 투입발열량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투입열량은 898J로 일정하게 설정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EGR율이 증가함에 따라 연소기간은 길어지고 압력상승률은 EGR율이 γ=0 일때 38MPa/deg에서 γ=0.5일 때 21MPa/deg로 감소하고, IMEP또한 EGR율이 γ=0 일때 0.078MPa에서 γ=0.5일 때 0.073MPa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출력은 소폭 감소하지만 연소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압력상승률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EGR율이 증가함에 따라 연소기간은 길어지고 압력상승률은 EGR율이 γ=0.5 일때 21MPa/deg에서 과급조건에서 EGR율 γ=0.5을 적용하면 1.6MPa/deg로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MEP또한 EGR율이 γ=0.5 일때 0.073MPa에서 과급조건에서 EGR율 γ=0.5을 적용하면 0.065MPa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인간의 죽음상태에 관한 바울의 이해와 E.G.White의 이해 비교연구

        오충환 삼육대학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parison Study of Paul's and E.G. White's Understanding of the State of the Dea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man by exploring the Biblical definition of the state of the dead. Problem 1. What are the O T, Pauline and E.G. White Concepts regarding the state of the dead? 2. are these above-mentioned concepts inter-related? 3. Do these interrelationships differ or are they the same? Method This research uses a systemic the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an. Exegesis of major OT/NT passages has been done in this regard. And E.G. White's writing have been explored in their historical context. Result Paul's terminology, although expansive, coincides with OT terminology. This has led the researcher to conclude that Paul is in harmony with the OT. E.G. White upholds Paul's view about the state of the dead by specifying the following points: The character of God, the authority of the Bibld and the danger of spiritualism for last-day Christians. Conclusion OT, Pauline and E.G. White's writings agree with and complement each other in regard to the state of the dead.

      • 루터이해 : 우찌무라 간조와 김교신의 '루터의 하나님과 신앙이해'를 중심으로

        오충환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루터와 김교신의 하나님과 신앙에 대한 이해는 근본적으로 일치한다. 루터가 이해하고 믿은 하나님을 우찌무라 간조와 김교신도 믿었으며, 수많은 종교인들이 굴복, 아부, 야합을 하였지만, 우찌무라 간조는 외국의 선교사들에 의해 전해진 기독교가 아니라, 일본과 그리스도를 직접 만날 수 있도록 한 성서를 근본으로 한 ‘일본적 기독교’를 주장하였고, 김교신은 일본 제국주의의 잔인한 박해 속에서도 신앙의 지조를 지켰다. 루터가 종교개혁 정신으로 보름스 국회에서 용기 있는 선언을 한 것, 우찌무라 간조가 선교사들에 의해서 제국주의적으로 전해진 기독교를 일본의 기독교를 찾아 신앙을 찾은 것, 김교신이 일제와 대결하며 애국과 신앙의 길을 끝까지 걸은 것은 모두가 하나님에 대한 신앙에서 그 원동력을 찾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루터의 종교개혁 신앙과 우찌무라 간조의 무교회주의, 김교신의 무교회 신앙에 비추어 볼 때, 현대의 기독교는 기독교의 본질에서 이미 많이 일탈하고 말았음을 볼 수 있으며, 이 점에서 종교와 관련된 많은 문제점의 근본 원인도 찾아 볼 수 있다. 사도 바울이 데살로니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지도할 때의 제1조는 참으로 ‘정숙하며 침묵(靜默)하라’는 것이었다. 신앙이 적다고 걱정 말고, 성령을 받았노라고 날뛰지 말고, 사업이 부진하다고 비탄하지 말고, 시대가 초고속도로 변해 달라진다고 놀라지 말고, 우선 “정숙하며 침묵”하여 앙망(仰望)하라. 그리하면 구원이 이슬같이 임함을 볼 것이요, 강성(强盛)의 능력이 샘같이 솟아오름을 깨달을 것이다. 이것이 일제가 폐간시킨 『성서조선』 1942년 3월호에서 김교신이 주장한 ‘강성해 지는 길(强盛之道)’이었다. 이러한 김교신과 루터의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미국과 같은 서방 선진국에서 어느 정도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정책에 영향을 줄 정도는 되지 못해 온 것 같다. 그들은 하나님의 진리 안에서 강해지기보다는 자신의 무력과 돈과 세력에 의해 강해지기 위해 다른 나라를 침략하고 다른 인간을 노예로 부릴 정도로 착취했지만, 하나님 앞의 정의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제기되거나 정치가를 제약할 정도가 된 경우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오히려 국민들의 환호와 지지 속에서 선진국의 기독교인 정치가는 기독교 국가의 제국주의적 정책을 지구촌 형제들의 희생 위에서 시행해 나갈 수가 있었다. 이러는 가운데 인류는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공멸의 위기를 논하고 있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하나님과 성서에 돌아감으로써 중세 유럽의 종교적, 정치적 위기를 돌파할 수 있었다. 루터의 종교개혁 정신을 오늘에 되살린 우찌무라 간조와 김교신은 중세 유럽인과 동일한 인간 실존의 문제를 갖고 있는 현대 인류의 위기를 돌파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루터, 일본의 우찌무라 간조, 조선의 김교신은 각자 자신들의 시대 속에서 그 시대에 필요한, 기독교의 참된 진리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소극적으로, 때로는 적극적이고 과격하게 했다. 그들의 노력을 통해서 기독교가 참된 진리로부터 더 많이 벗어나지 않고 지금의 자리에 있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종교개혁자들은 기독교의 진리를 회복하기 위해서 성서를 올바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비록 자신들이 처한 시대와 상황이 달랐지만 기독교의 참된 진리를 찾기 위한 노력을 했던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의 종교개혁은 철저하게 성서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 이 시대에도 분명히 종교개혁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루터, 우찌무라 간조가 시도했던 성서를 통한 기독교의 참된 진리를 회복을 위한 노력을 우리가 인식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기독교의 참된 진리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는 우리들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스스로 정화해야 한다. 또한 실천적인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기독교의 참된 진리로 완전한 회복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 진리로부터 더 벗어나는 것을 막고, 한 걸음씩이라도 차근차근 기독교의 참된 진리로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은 ‘기독교’라고 하는 종교를 믿는 것이 아니다. 기독교의 진리를 믿는 것이다. ‘기독교’라고 하는 종교가 아니라 우리를 구원하신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종교개력을 일으켰던 루터, 루터의 사상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해석하며 하나님을 이해하고 그렇게 이해한 하나님을 만나기 위한 신앙을 찾았던 일본의 우찌무라 간조와 조선의 김교신의 모습을 지금 우리도 찾아야 한다. 루터, 우찌무라 간조, 김교신이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 말씀을 통해서 직접 하나님과 우리가 만나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 세속화되어 있는 교회, 교리적으로 위장하고 있는 교회, 본래의 모습을 잊어버리고 세상의 일에만 전념하고 있는 교회는 본래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 이것이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루터를 이해하는 것이다. 일본의 우찌무라 간조와 조

      • 예술작품에서의 도덕적 가치와 미적 가치의 관계 연구

        오충환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Works of art can be evaluat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and from a moral one as well. I discuss how moral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within a work of art are surfaced and how they are related to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within it, in its creation, deliverance, and appreciation. Questions like "if one were to morally evaluate a work of art, what would his/her evaluation amount to" is to answered in this dissertation. More specially, I discuss how aesthetic value that is found within a work of art is intrinsically related to its moral value, and various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and moral values that are found within a work of art. It is to be discussed as follows. Chapter 2 investigates the interrelated nature between life and arts in an ever-changing media and art forms. It is to be assumed that ar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environment, and new media is one such environment.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especially in the direction particular to 21st century as interactive art, certainly give new modes of perception to the artists themselves and their audiences/appreciators provided the assumption. Volatile nature of human identity and life ensued by these new modes of perceiving works of art certainly allows for discussions of various topics in the tradition of humanities. Chapter 3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in art criticisms, especially within the context of creating works of art and appreciating them. I first note that those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riticisms. I then report the research results, with their limitations, o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Chapter 4 seeks out an alternative view to the views that I found wanting. My criticism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especially the ones found domestically, forces a new direction that is proposed by Gaut. His proposal, it is argued, allows for a more reasonable classification of different views on the issue. Chapter 5 concludes the dissertation, and it furthers the discussion by considering recent development: immoralism that seems fashionable in the circle of art criticism, and Gaut's contextualism. In the end, I am sympathetic to moralism that is similar to that of Gaut's.

      • 북미 한인 재림교회 내의 세대간 이해와 협력을 통한 수평적 세대교회 수립 방안: 로마린다 한인 재림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오충환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로마린다 한인 재림교회의 사역 및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북미 한인 재림교회 내에서 다양한 세대가 함께 공존하며 성장하는 교회를 수립할 수 있는 목회 및 선교적 방안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북미 한인교회 이민자의 세대별 정체성 형성과정과 교회유형을 분석하였다. 둘째, 북미 한인재림교회 차세대 사역에 대한 논의를 시대별로 정리하고 미래 세대의 정체성 인식 및 선교적 필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한 대안으로 수평적 세대교회 개념 즉, 각급 교회의 지도자들이 담임목사와 동역하는 지도력을 인정받고 통합적인 행정 공유 아래 독립적인 운영을 공유하는 교회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셋째, 로마린다 한인교회 이민자의 세대별 정체성 및 주요 시기별 교회의 운영 변화에 나타난 수평적 세대교회 개념은 새 성전 건축을 중심으로 더욱 구체화 되고 시각화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2017년과 2021년 로마린다 교회에서 실시한 통합설문을 분석하여 수평적 세대교회 수립과 관련한 함의를 도출하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마린다 한인교회의 전체적인 운영 방향과 각급 교회(국어부, 엘다솜, 영어교회)의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수평적 세대교회의 수립을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첫째, 1세대의 배려와 헌신, 리더십의 과감한 이양이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젊은 세대를 양육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동의 사명진술문의 개발과 성도들의 내외부적 갈등과 고민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별 구성원들의 유입 및 이탈 요인, 필요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별히 한인 이민 2, 3, 4세대의 문화적, 사회적, 종교적 필요를 충족하는 다각도의 연구와 접근이 필요하다.

      • 初等學校 컴퓨터 敎育課程 運營에 대한 分析 : 濟州道를 中心으로

        오충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이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정보화 교육이 국가적인 사업으로 강조되는 시점에서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 컴퓨터 교사 연수, 컴퓨터교육 시설, 컴퓨터교육의 지원 실태 등을 파악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규명하고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독립 변인으로 성별, 연령, 담당학년, 학급 수, 학교 소재지 5가지를 사용하고 종속 변인으로 5개 영역 29개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셋째, 설문은 제주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264부를 발송하여 회수한 242부에서 224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조사 결과의 처리 방법은 SAS를 활용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t검증과 F검증,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은 각 학년별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을 정하고 국가 수준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한다. 2. 교원의 역량에 따라 컴퓨터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결정되므로 교원 정보화 관련 연수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컴퓨터교육 시설면에서 컴퓨터는 학교 규모에 따라 최신 기종의 컴퓨터로 적정 수량이 공급되어야 하고,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확대되고 활용이 손쉽게 되도록 해야한다. 4. 컴퓨터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인 교사의 업무 과중과 시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전담 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Cheju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llowing : the reality of computer education, how well teachers understand computer education, the training of these teachers, the govern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 facilities for computer education. The alternatives are as follows : First, I analyzed the problems with field research using questionnaire and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using references such as papers and books on computer education. Secondly, I made 29 questions with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sex, age, class size, the location of the school, school year, and five dependent variables. Thirdly, I distributed 264 questionnaires to teachers in the Cheju area and received 242 back. Fourthly, the tests of t, F, x² were done using SAS. Frequency and percentiles were also done using SAS. I have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amount of information able to be utilized should be decided for every school grade. Step by step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2.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education depends on the teachers' ability, teachers should be train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3. Regarding the computer education facilities, schools should provide adequate number of good quality computers according to school size. Als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software development should be done, and the software access should not be limited. 4. Because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for computer education is that teachers are overworked and lack time. Therefore, programs for training of teachers solely in the area of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ese teachers' only responsibility would be compu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