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학과 대학생의 공직동기 연구

        오정현 광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우리사회에서 공무원의 범죄와 이로 인해 공무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자질논란과 윤리적 선발을 위하여 공직동기 이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공직동기 이론은 조직구성원의 부패,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공직동기의 배양과 공직동기를 고려한 인재개발이 요구된다. 행정학과는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정책, 공익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학과 대학생들은 잠재적인 행정인으로서 공공부문에 적합한 능력과 자질 나아가 공직동기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학과 대학생의 저조한 공직진출이라는 문제의식하에서 공직동기와 외재적 동기간의 관계, 공직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합적인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소재 행정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성별, 학년, 봉사경험여부, 희망진로 등의 다양한 특성을 기준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사회화요인, 조직사회화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공직동기와 어떠한 영향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주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응답자들의 공직동기 수준보다 외재적 동기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직을 희망하는 행정인은 동정심, 자기희생과 같은 이타심과 함께 급여, 복리후생제도와 같은 외재적 동기도 중요시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는 ‘공직동기가 높은 개인은 외재적 동기가 낮게 나타난다’는 공직동기 연구의 가설적 전제와는 다른 연구결과이다. 둘째, 행정학 전공과 공직동기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동기와 행정학 지식이 갖는 유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학년의 상승에 따른 공직동기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봉사경험과 부모의 역할은 응답자의 공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경험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하여 공직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봉사정도, 동정심, 자기희생은 자녀의 동정심과 자기희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사회에서 성별에 따라 요구하는 기대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기대가 공직동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공직동기가 남성의 공직동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정심과 같은 하위개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In the our society, negative perceptions of public servants are increasing because of crime and corruption of them. Therefore,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ory has attracted attention for solution of public servants sel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concerned with corruption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Government need a r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provieds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ublic interest, publicness, public policy. Hence, public administration undergraduates as potential public servants are required suitable ability in the public sect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s research analyzes empirically public service motivationex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s an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his study, focus was given to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x, grade, volunteer experiences, etc. Also this research focused relationship of public motivation to general socializ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demographic factors. This study has some interesting finding.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level is lower than extrinsic motivation. For students who wanted to work for the government were important both public service motivations such as compassion, self-sacrifice and extrinsic motivations such as pay, job securit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existing literature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lower extrinsic motivation". Seco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relevant to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Despite the fact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are very simi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did not increase with grades. Third, volunteer experiences and parental influence has meaningful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Group volunteer experience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And volunteer experiences,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of parents have influenced children's motivations. Forth, in gender, women'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higher than men's motivation.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role expectations in society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 초등학교 아동들의 스케일별 공간에 대한 정보원(information source) 연구 : 대전 지역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오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리 영역에서 공간 학습은 중요하다. 공간에 관해 ‘무엇’을 학습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학습하는가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사회에서 공간 학습을 할 때 공간에 대한 ‘정보’도 중요하지만, 이를 어떻게 얻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도 충실해야 할 것이다. 사회과는 사회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미래사회를 주도할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교과이다. 특히 정보사회에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사회과 내용을 조직하는 데 있어 스케일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사회과의 학년별 주요 학습 기능으로서 ‘정보의 수집 및 활용 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면서도 스케일별로 초등학교 아동들이 어떤 지리 정보원을 주로 이용하는지, 어떤 지리 정보원을 선호하며, 또한 신뢰하는 정보원은 무엇인지 등 기본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정보원 이용 실태와 선호도 및 신뢰도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지리 학습의 근간이 되는 스케일의 의미와 선호도 및 신뢰도에 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리 정보원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유형화한 지리 정보원을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의 스케일별 공간에 대한 지리 정보원 이용 실태와 이용 이유, 지리 정보원에 대한 선호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 초등학교 3-6학년 370명이며, 아동들이 고장에서 세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얻음에 있어 학년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남․여 간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차례의 질문지를 통해 통계 분석을 하되, 통계 분석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은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을 통해 보충하였다. 초등학교 아동들의 스케일별 공간에 대한 정보원(information source)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아동들은 모든 스케일에서 ‘인터넷’을 통해 지리 정보를 얻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회과에서도 ‘인터넷’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지리 정보의 수집․활용 기능을 발달시키도록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아동들이 ‘인터넷’을 선호하는 것만큼 그 정보원을 신뢰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정확하고 믿을만한 정보를 조사하고, 정보의 정확성과 진실성을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셋째, 스케일마다 아동들이 선호하거나 신뢰하는 정보원을 근거로 교수․학습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즉, 초등학교 아동들은 스케일별로 다양한 지리 정보원을 선호하는 만큼 ‘인적자원’, ‘인쇄물’, ‘일상생활’ 등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아동들이 ‘인쇄물’을 이용하는 빈도는 낮음에 비하여 선호도와 신뢰도는 높게 나왔다. 그렇지만 ‘인쇄물’을 이용하고 싶어도 이용하는 방법을 몰라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교과서나 지역화 교과서 등의 교재 뒤에 지역, 국가, 세계의 지리 정보를 담고 있는 참고 도서들의 목록을 제시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스케일별 지리 정보의 이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남자의 경우 ‘온라인 게임’을 통해 지리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률이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남자 아동의 흥미를 반영하고, 여자 아동의 성향도 고려하여 지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온라인 게임’ 컨텐츠를 개발한다면, 남녀 아동 모두 좀 더 재미있으면서도 체계적인 지리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스케일별 지리 정보원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후속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교수․학습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의 위험이전과 그 적용에 관한 비교연구

        오정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is the voluntary regulation which prioritize autonomy of party in any sense, it is necessary to reasonably solve the problem, which arises from the situation in case transferring danger, according to special contract. It is necessary to look closely on internationally established domestic law or commercial practice in order to prevent conflict arising from the problem that happened in case transferring risk, when both parties trade international goods. It centered on applicable problem in international trading and all risks arise from application and analysis of laws that is applied in trading contract since comparing INCOTERMS and Korean civil law based on Vienna Convention for problems, that occur when passing risk, between parties to a contract about loss or damage on goods that could occur during international goods trading, and the Vienna Convention came into effect and accepted in international sales. It is expected that coming into effect of CISG would promote international sales by gettingrid of legal instability which related to conforming law about international sales, and it is forecasted that it would be the opportunity for Korea to globalize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such as civil law, commercial law. The clear understanding of CISG should be precedent to the application of CISG in practical affairs when we take account of these issues I mentioned previously. The purpose is on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of regulation of both parties, and prevention of conflicts, that occurs because of transferring risk which could occur in goods trading in practical affair, between parties to a contract by investigating loop holes in the substantial law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n domestic sales law and every effects could happen on international trading custom. This research is aimed to dedicate to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 through prevention of conflicts that could occurs between trading parties prior to risk in international sale of goods, and theoretical organization thesis that could reasonably regulate problem arises from burdening danger in international sale of good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 on CISG and legislative body of main countries according to standard of responsibility based on meaning of risk, burdening risk, and transferring risk in international trading. 국제물품매매계약은 어디까지나 당사자의 자치가 우선시되는 임의규정이므로 위험이전에 관하여는 특약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위험이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국제물품매매거래시 위험이전의 문제로 인한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확립되어 있는 국내법 내지 상관습상의 규정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제물품매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품의 멸실 또는 손상에 관한 거래당사자들간의 위험이전에 대한 문제에 관하여 비엔나협약을 중심으로 인코텀즈와 한국민법을 비교하고, 국제무역거래에 있어서 비엔나협약이 발효되고 수용됨에 따라 무역계약에 적용되는 법규들의 적용과 해석에 따르는 법적 제반위험과 국제매매의 적용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CISG의 발효는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준거법의 적용과 관련된 법적 불안정을 해소하여 국제물품매매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되고 우리나라의 민ㆍ상법등의 사법이 국제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실무상 CISG를 적용하기 이전에 CISG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국제거래관행에 미칠 제반영향과 그리고 국내 매매법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실체법의 미비점을 검토하여, 실무적으로 무역거래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전에 따른 거래당사자들간의 분쟁을 방지하고, 양규정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제무역에 있어서 위험의 의의, 위험부담과 위험이전으로 인한 책임의 기준으로서 주요국의 입법계와 CISG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국제물품매매에 있어 위험부담문제를 합리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정립과 국제물품매매에 있어서 위험이전에 따른 매매당사자간의 분쟁예방을 통하여 국제상거래의 원활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유월절 규례와 십계명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오정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이야기 윤리(Narrative Ethics)의 전망을 가지고 유월절 규례와 십계명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제까지 성서윤리는 성서의 규범을 독립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은 규범을 성서 이야기에서 묘사되는 신앙사건과 연결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출애굽기에서 이야기되는 “출애굽 이야기”를 입체구조적 방법(Delta Method)으로 분석할 때, 그것은 출애굽기 13장 17∼18a절을 전환절로 하여 두개의 단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애굽 탈출 이야기”(1:1∼13:16)와 “광야 여행 이야기”(13:18b∼40:38). 전자는 애굽을 탈출하는 이야기로써 신체적이고 지리적인 출애굽을 보여준다. 한편, 후자는 광야를 여행하는 이야기로서 정신적이고 영적인 출애굽을 보여준다. 먼저, “애굽 탈출 이야기”를 구조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였을 때, 규범이 이야기의 정상부에 놓여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애굽 탈출 이야기는 [부르짖다→알다→구원하다]라는 공식으로 구성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야기의 절정으로 순차적으로 점충하는 10 가지 재앙들의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 유월절 규례는 재앙의 정도와 범위가 열 번째 재앙에서 최고조에 달하게 되었을 때 삶의 방법으로 제시된다. 이처럼 유월절 규례는 이스라엘에게 ‘삶의 규범’과 ‘해방의 규범’으로 제공되었다. 애굽 탈출 이야기의 정점에 자리잡고 있는 유월절 규례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사건-규범}-예배-{사건-규범}]. 이것은 윤리 규범으로서 유월절 규례가 구조적으로 신앙 사건과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윤리 규범이 신앙 사건에서 생성되고 신앙 사건은 윤리 규범을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앙 사건은 윤리 규범의 의존적인 관계는 윤리 규범이 신앙 사건을 유지시키고 신앙 사건은 윤리 규범에게 의미를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월절 규례는 선택적, 실천적, 교육적 차원에서 윤리적 의미를 보여준다. 그 다음, 광야 여행 이야기를 구조적인 관점으로 연구하였을 때, 규범이 이야기의 중심부에 놓여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이 이야기는 [불평→중재→지시] 라는 공식을 되어 있다. 여기에 구름과 불이라는 상징을 사용하는 괄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광야 생활에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평을 하게 된다. 이 이유로 인하여 해결책과 윤리 규범이 주어진다. 여기서 윤리 규범들은 ‘문제에 대한 해결과 예방의 규범’으로 나타난다. 한편, 이 이야기는 윤리 규범이 형성되고 발달되는 과점을 보여준다. 15장의 이야기는 규범의 시간적 확대를 보여주고, 16 장은 규범의 내용적 세분을 보여주고, 18 장과 20 장의 이야기는 규범의 구조적 안정을 보여준다. 이처럼 유월절 규례에서 십계명에 이르는 이야기 과정은 세 가지 면에서 규범의 발달을 보며준다: 규범의 시간적 확대, 규범의 내용적 세분, 그리고 규범의 구조적 안정. “광야 여행 이야기”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십계명 이야기는 [{사건-규범}-{사건-규범-(사건-규범)-사건-규범-사건}]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십계명이라는 윤리 규범이 구조적으로 신앙 사건과 의존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내용적으로 윤리 규범이 신앙 사건에서 전제하고 신앙 사건은 윤리 규범에 의미를 주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십계명은 광야 여행에서의 사건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등장한다. 그러므로 출애굽 사건은 십계명에 있어서 근원적인 사건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1∼4 계명은 종교적 해방과 정치적 해방과 일로부터의 해방의 규범을 위한 목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5∼10 계명은 ‘해방받은 자의 사회적 관계를 위한 규범’을 보여준다. 간략하게, 유월절 규례와 십계명의 윤리적 특성은 다음의 네 가지로 분석될 수 있다. ‘신앙사건의 윤리’, ‘공동체의 윤리’, ‘이야기의 윤리’, ‘예배의 윤리’. 첫째로, 윤리적 규범은 하나님의 구원 역사라는 신앙사건을 체험한 신앙공동체에게 주어진 윤리 규범이다. 둘째로, 윤리적 규범은 공동체를 조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보다는 공동체에게 주어지는 규범이다. 셋째로, 윤리적 규범은 이야기라는 형식을 사용하여 규범의 의미를 다음 세대로 전수 해주고 있으며, 됨과 함, 즉 신앙의 의식화와 생활화가 함께 구현되어 있는 이야기 윤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규범은 예배를 변화의 패러다임으로 상황의 변화와 사랑의 변화를 이루고자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유월절 규례와 십계명에 기록되어 있는 윤리 규범들을 신앙공동체가 고백한 신앙사건에 밀접하게 연관시켜볼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Passover Ordinance and the Decalogue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ethics. Until now Biblical Ethics has been studied only in terms of norms. The study, however, tried to understand the norms in connection with the 'faith-event' described in the biblical narrative. When "the story of Exodus" narrated in Exodus is analyzed by the Delta Method, it can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being connected by the transitional passages (Ex. 13:17∼18a): "the Egypt escape narrative" (Ex. 1:1∼13:16), "the wilderness journey narrative" (Ex. 13:18b∼40:38). The former shows the physical and geographical exodus by the story of escape from Egypt. On the other side, the latter exhibits the mental and spiritual exodus by the story of wander the wilderness. First of all, when "the Egypt escape narrative" is analyzed in terms of structural viewpoint, it can found that the norm is appeared at the very climax of the story. That is, the Egypt escape narrative is described within a pattern, which can be formulated: [cry→know→deliver]. Meanwhile, it includes the story of ten disasters, which develop gradually into the climax of the story. The Passover Ordinance is presented as the way of Life the very moment the degree and extent of the disasters reach the peak at the tenth disaster. In this way, the Passover Ordinance had provided the Israelite with 'the norm of life' and 'the norm of Liberty' as well. The account of the Passover Ordinance located in the very climax of the Egypt escape narrative has a structure, which can be described: [{event -norm}-worship-{event' -norm'}]. This shows the fact that as an ethical norm the Passover Ordinance is structurally related with 'the faith-event'.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ethical norm is originated in the faith-event and that the faith-event is preserved by the ethical norm. Also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event and ethical norm shows that the ethical norm works for keeping the faith-event, which provide the ethical norm with meaning. And the Passover Ordinance exhibits the ethical meaning in the optional, practical and educational dimension. Secondly, when the wilderness journey narrative is analyzed in terms of a structural aspect, it can found that the norm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tory. This narrative is characterized as a formula of [murmur→mediation→indication]. In addition to this, it takes the structure of inclusio by using the symbol of cloud and fire. The Israelite makes a complaint because they cannot satisfy the wildness life. For this reason, the solution and the ethical norm are provided. In this view, the ethical norms are presented as 'the norm of the solution and the prevention for the problem'. On the other hand, this narrative shows us the process that is developing and forming the ethical norm: the narrative in chapter 15 shows an extension of time of the norm. Ch. 16 shows the substantial subdivision of the norm. The narrative in chapter 18 and 20 manifest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rm. In this way, the narrative process from the Passover Ordinance to the Decalogue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norm from the three perspectives: the extension of time, the substantial subdivision of the norm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rm. The story of the Decalogu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ildness journey narrative' is composed of the structure of [{event-norm} -{event -norm - (event -norm) -norm -event}]. This shows the fact that as an ethical norm the Decalogue is structurally related with 'the faith-event'. And it shows that fact that the ethical norm premises the faith-event and the faith-event attaches significance to the ethical norm. Likewise, the story of the Decalogue is appeared in connection with the wildness journey narrative. Therefore, the Exodus event can be regarded as the primitive event of the Decalogue. And the commandments from first to fourth can be categorized as a list of for 'the religious liberation', 'the political liberation' and 'the liberation from work'. On the other hand, the commandments from fifth to tenth indicate the norms for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liberated people. In short, the ethical features of the Passover Ordinance and the Decalogue can be analyzed in four points: 'the ethics of the faith-event', 'the ethics of the community', 'the ethics of the story', and 'the ethics of worship'. Firstly, the ethical norms were the norms of a faithful community that has experienced the salvation of God, namely, the faith-event. Secondly, the ethical norms have performed a function to organize the community, and they were bestowed not upon individuals but upon a community. Thirdly, the ethical norms have utilized a story in order to instruct the significance of norms, and they have represented the embodied ethics of both 'being' (the consciousness of faith) and 'doing' (the actualization of faith). Finally, the ethical norms have utilized worship as the paradigm of change. As we have seen, this study enables us to recognize that the ethical norms encoded in the Passover Ordinance and the Decalogue are closely related with faith-event confessed by a faithful community.

      • 1960-1970년대 로스앤젤레스 미술 연구 :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을 중심으로

        오정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60-197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발전한 미술인 ‘피니쉬 페티쉬(Finish Fetish)’와 ‘빛과 공간(Light and Space) 미술’을 재조명하는 시도이다.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이 출현했던 당시 미국의 주류 미술은 미니멀리즘이었고 이는 동부의 뉴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서부의 로스앤젤레스 미술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게 되어 비주류 미술로 간주되었다. 심지어 로잘린드 크라우스와 같은 미국 주류 미술계의 평론가들은 당시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미술을 뉴욕의 미니멀리즘과 비교하여 폄하하기도 했다. 이런 관점은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을 단순히 미니멀리즘의 아류로 치부하게 되는 오류를 낳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만의 독자적인 특성이 간과될 수 있다.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의 발전은 당시 로스앤젤레스 지역 특유의 문화, 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모더니스트 회화의 형식적인 측면을 극단으로 추구함으로써 나타난 미니멀리즘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그에 따른 자동차 튜닝 문화의 유행, 그리고 플라스틱 산업의 발전은 ‘피니쉬 페티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자동차 도색용 라커, 플라스틱, 유리 같은 산업 재료로 만들어진 ‘피니쉬 페티쉬’ 작품은 화려하고 선명한 색, 매끈하고 반사적인 표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오브제를 특징으로 하는 로스앤젤레스만의 독특한 미술을 탄생시켰다. 이런 특성을 가진 일부 ‘피니쉬 페티쉬’ 작품은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촉발하기도 했다. 반사적인 표면에서 관람자는 작품뿐만 아니라 작품을 둘러싼 공간과 환경을 함께 지각한다. 투명한 작품을 보면서 관람자는 작품뿐만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공간도 함께 지각한다. 이런 방식으로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유도하는 일부 ‘피니쉬 페티쉬’ 작품은 ‘빛과 공간 미술’의 범주 안에서 논의되었다. ‘빛과 공간 미술’은 작품에서 관람자의 지각 작용에 중점을 둔 미술이기 때문이다. ‘빛과 공간 미술’은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하나는 공들여 만들어진 오브제가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유발하는 일부 ‘피니쉬 페티쉬’ 작품이다. 다른 하나는 오브제보다 공간과 환경에 초점을 맞춰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유도하는 로버트 어윈과 제임스 터렐의 작업이다. 어윈과 터렐의 작업은 당시 로스앤젤레스의 항공우주 산업에 도움을 받았다. 1967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이 주관한 ‘예술과 기술 프로그램’에서 어윈과 터렐은 항공우주 산업체와 협업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인간의 지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험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유발하는 그들의 작업 방식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로스앤젤레스의 미술이 관람자의 지각 작용을 유도한다는 점을 부각시켜, 이러한 특성이 동시대 미술에 끼친 영향을 분석했다. 작품에서 관람자의 경험을 중요시하는 동시대 미술의 근원을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로 본 것이다. 이처럼 1960-1970년대에 나타난 ‘피니쉬 페티쉬’와 ‘빛과 공간 미술’의 영향은 동시대 미술까지 이어져, 보다 더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능동적인 관람자의 역할을 이끌어낸다. This study tries to review on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that is art developed from 1960s to 1970s in Los Angeles. American mainstream art of the time when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appeared was Minimalism, and this has been developed and based in the Eastern US states of New York. Art in Los Angeles received less attention, and thus, was defined as the nonmainstream art. Even main critics such as Rosalid Krauss often diminished the art in Los Angeles by comparing with the Minimalism in New York. The view point of this might cause a mistake of dismissing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as Minimalism lite. Because of this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could be ignored. The development of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is associated with local culture and industry at the time in Los Angeles. Thi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to Minimalism appeared by seeking a formal aspect of Modernist painting. The development of motor industry, following car customizing culture, the development of plastic industry had a big influence on the ‘Finish Fetish.' The ‘Finish Fetish' made up with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lacquer for painting a car, plastics, and glasses created Los Angeles' unique art featuring vivid colours, glossy and reflective surface, and transparent objects. Moreover, some pieces of the ‘Finish Fetish' with these characteristics often stimulated audiences' perception. The audiences are aware of not only a piece of work but also surrounded space on reflective surface.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work which is transparent, the audiences perceive not only the piece of work but also the space beyond the work. Some pieces of the ‘Finish Fetish' inducing the audiences' perception were discussed within the category of the ‘Light and Space.' It is because the ‘Light and Space' is an art that focuses on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Light and Space' was discussed in two terms. One term is some of the ‘Finish Fetish' that an elaborative work induces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other term is works of Robert Irwin and James Turrell inducing the audiences' perception by more focusing on space and surroundings rather than objects. The works of Irwin and Turrell were supported by the aerospace industry in Los Angeles. In 1967, Irwin and Turrell experimented how human's perception changes in a specific situation in collaboration with aerospace industries at ‘Art and Technology Program' hosted by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Through this, their way of doing work inducing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s could be developed.  Recent studies about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examined the effect of the aspect on contemporary art by highlighting art in Los Angeles induces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s. The work shows the root of the contemporary art highly regarding audiences' experience is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Therefore, the effect of the ‘Finish Fetish' and the ‘Light and Space' appeared in 1960s to 1970s led to the contemporary art so that it derives an active role of audiences with new and various ways.

      • 부동산 정책이 아파트 분양권 거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정현 영산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분양권시장을 이해하고 분양가격 결정과 아파트 거래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하였으며, 노무현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까지의 정부별 부동산 정책의 주요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아파트 분양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정책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규제지역 지정현황과 최근 5년간 아파트 분양가격 변화, 주택공급현황을 파악하였고, 현재 부동산 규제로 인한 지역별 규제현황 및 규제지역 지정효과를 설명하고 역대 정부별 아파트 분양권 전매거래량과 아파트 매매 거래량, 아파트 매매 거래량에서 관내 거래량과 관외 거래량을 분석하고 관외 거래량을 통해 외지인 투자자본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별 임기 내 최고로 거래량이 많은 연도를 보면 아파트 매매건수는 노무현 정부 2006년 721,283건으로 이때 관외 거래량은 20.1%이고, 이명박 정부 2011년 705,303건으로 이때 관외 거래량은 20.9%이고, 박근혜 정부 2015년 808,486건으로 관외 거래량은 19.2%이고 문재인 정부 2020년 934,078건으로 이때 관외 거래량은 20.4%로 정부별 최고 거래건수와 관외거래량을 통해 투기자본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다. 아파트 매매 가격 지수 노무현 정부 2003년 55.1로 시작해서 문재인 정부 2021년 102.6을 기록, 2배 정도 상승하는 현황을 확인 할 수 있다.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는 각 정부별 부동산 규제 정책과 완화 정책 속에서 변화하지만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시도하는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은 시장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국내외의 여러 가지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동산 시장을 규제 정책만으로 부동산 안정화를 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대내외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즉흥적으로 대처하되,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중장기적인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오정현 대구가톨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s recognition on career decision level by empirically researching career barriers, career self-efficien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addition, researcher wants to seek the plan that can promote the career decision of preliminary social worker by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self-e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79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four-year-course universit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in accordance with 3 stage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The result of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barrier and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iency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but show no difference in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career decision levels by studen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actice experience, when experienced in social welfare site practice, Career decision levels are found to be high. But it shows no difference depending on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career barrier by students has th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particular, ‘concerns about opposition and discrimination’ among sub factors of career barriers has th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the career self-efficiency of students is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s. ‘Job information’, ‘goal selection’ among sub factors of career eelf-efficienc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s. Fifth, the significantly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self-efficiency was confirmed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 of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s. The improving plan that can enhance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preliminary social worker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confirms that there exist the job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other major area in the social welfare area and there is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process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self-Efficien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students. Especially,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curriculum expansion to ensure the harmony between job value and major education of social workers along with the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site practice. Next, the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e career barrier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s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crete support plan preparation on the career barriers of students. Specifically, it can include comparing career areas, activating programs,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With this, based on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mediated role of career self-efficiency in the causal path where the recognition on career barriers influence the career decision to social welfare area, career self-efficiency is found to be a factor that enhances career decisions and promotes career preparation in the social sector. Tha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programs such as education and counseling to promote the career self-efficiency of the preliminary social worker. This study has a restriction that the research target is restricted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the use of self-report questionnaire may result in the distorted recognition in measurement. Nonetheless, it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cademic direction on the career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in developing career guidance program for preliminary social workers in schools and related authorities in the future.

      • 정상파 음원분석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연구 주제 변화 분석

        오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students to comprehend the sound features with familiar software and to analyze the elements of standing wave and sound. Because the result of the learning in meaning construction depends on bo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students' knowledge, this research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construct meaning and to analyze sounds According to the historian Edward Gibbon, an enthusiastic education has no effect on the students who are not ready for learning. But, it can satisfy active students with intellectual curiosity and improve the competence of students and maximiz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Currently, the topics related with wave in physics accounts for over 30% in National science contest. Among the individual outcomes from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the proportion of the topics related with the wave in physics is higher than other topics. Especially, the higher grade students are, the more interest in this topic they have. They have a curiosity about the analysis of the sound elements. This tells that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scientific investigation are eager to accomplish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A programmed instruction for sounds analysis was executed and the students's satisfaction and comprehension were measur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wo secon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twenty seco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The programmed instruction consisted of the programs which students are familiar with. GoldWave was used as the sounds analysis program, Excel as the data analysis and process, and Fourier Series as the mathematical tool for data analysis. Students could comprehend the sound features through the function of the sounds analysis program. For the mathematical comprehension, necessary parts to analyze the elements of sound were explained by stages. The comprehension of the numerical formulas and the analysis through Excel were more emphasized than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e to solve complicated numerical formulas. The students' preconcep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search of misconceptions related with wave in physical misconception instruction. The students' competence dealing with the program and the extent of students' powers of numeracy were measured by surve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enthusiastic students who have interest in wave can get higher satisfaction and comprehend well. However, the students with poor competence in the program and less powers of numeracy can fulfill the class activities if the instruction by stage is planned and executed well. Finally, if the appropriate instruction was provided when students were ready for the learning with intellectual curiosity, students are willing to analyze the sound features. Also, appropriately instructed concept teaching can improv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intellectual curiosity. 이 연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리의 특성을 이해하고, 정상파 음원의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다. 의미를 구성하는 학습의 결과는 학습 환경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지식에도 의존하므로 학생들이 의미를 구성하도록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을 촉진시켜, 학생들이 능동적인 자세로 소리 분석 활동을 유도하는데 있다. 역사가인 기번(Edward Gibbon)은 “수용할 자세가 되어 있지 않은 학생에게 열성적인 교육은 별 효과가 없다”라고 말했지만 반대로 적극적이고 수용할 자세가 되어 있는 학생에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열성적인 교육이 있다면 학생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성취감은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전국과학전람회 물리영역에서 파동과 관련된 주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30%를 넘었다. 또한 영재교육대상자의 개인 프로젝트 산출물 주제에서도 물리영역에서 파동과 관련된 주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온다. 특히 초등학생 보다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관심도가 높다. 또한 연구자들의 더 알고 싶은 점이나 제언 속에서는 소리의 현상적인 개념에서 한 단계 도약하여 물리적 현상을 수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마음과 음원의 본질을 분석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과학 탐구에 적극적인 학생이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학습욕구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능동적으로 교수-학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파동 영역에서 지적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도록 소리를 분석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중학교 2학년 영재교육 대상 학생 2명과 고등학교 2학년 영재교육대상 학생 20명에게 적용한 후 학생들의 연구주제의 변화 과정을 조사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연구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로 사용된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인 소리분석프로그램과 만흥 자료를 분석 가공할 수 있는 엑셀을 사용하였고,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도구는 퓨리에 급수를 활용하였다. 특히 소리를 소리분석프로그램의 기능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소리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학적 이해는 음원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만 단계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복잡한 수식을 전개해 풀어나가는 능력을 키우는 것보다는 수식이 의미하는 개념을 이해하고 엑셀을 이용하여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물리 오개념 지도에 있는 파동과 관련된 오개념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선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설문을 통해 프로그램 사용능력과 수리적 능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파동에 관심이 많고 적극적인 학생들의 만족도와 이해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컴퓨터 활용 능력과 수리적 능력이 부족하여도 단계적으로 안내가 잘되어지면 충분히 수업활동에서 성취감을 얻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절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생들이 학습을 수용할 자세가 되어있을 때 적절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이 주어진다면, 학생들이 추상적인 주제 선정에서 구체적이고 도전 가능한 주제로 변화되었다. 연구 수행에 필요한 개념이 적절히 안내되어진다면 학생들에게 지적 호기심에 의한 성취감을 높일 수 있고, 연구하고자 하는 마음과 실천을 유도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