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습음주운전자들의 습관적 음주운전 행태분석

        양시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에서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문제는 예전부터 꾸준히 야기되어 왔고 과거부터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음주운전 적발건수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음주운전의 억제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일반운전자와 음주운전자의 차이를 검증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었으나 음주운전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음주운전은 일반운전자와 음주운전자와도 차이를 보이지만 음주운전자 중에서도 습관적 음주운전자와 비습관적 음주운전자는 차이가 있다. 운전자 전체 중에서 일반운전자와 음주운전자의 차이를 검증하여 음주운전 억제대책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음주운전자 집단 안에서 음주운전경향이 심한 사람의 행동특성을 검증하여 음주운전 재범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음주운전 억제대책을 주로 적용하는 음주운전 처벌대상자가 연구대상이 되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실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회 이상 단속에 적발된 음주운전자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습관적 음주운전 행태를 분석하였다. 습관적 음주운전자는 재범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음주운전 적발자 중 습관적 음주운전자들을 줄이기 위한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재범률을 낮출 수 있고, 그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음주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습관적 음주운전행태를 결정하는데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는 속성들을 조사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변수를 축약하고, 절단 포아송 모형과 절단 음이항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료는 과산포가 있는 음이항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적 학습, 자기통제력 부족, 자기반성, 단속 및 사고의 두려움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DUI problems have been raised steadily and the appropriate measures have been studied continuously, the number of cases on DUI is still increasing. For the control over DUI, most research even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divers whether drunk or not. Since there are also many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habitual and temporal DUI drivers, the research on habitual drivers should be carried out for prevention the recurrence of their viola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habitual DUI drivers through the survey of drivers getting DUI cases caught at least once. Taking an investigation on the attributes influencing habitual DUI behavior and an extraction variables through factor analysis, Truncated Poisson Model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had been constr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habitual DUI of them was governed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with over-dispersion and the behavior was influenced by factors like experience, self-command deficiency and self-reflection.

      • 工業系高等學校에서 바람직한 數學科 敎育課程 摸索

        양시훈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our society experiences a dramatic shift towards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society, the need for a strong center of highly educated individuals is increasing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se societal changes, technical high schools must change from simple training places for skilled students to more complex curricular models incorporating both the desire to acquire basic technical skills with the ability to pursue higher education and continual learning To cope with these changes actively, technical education should be equipped with the theoretical basis for a profess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o technical skills In spite of the fact that mathematics is the center of many professional subjects, people concerned with the curriculum of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6th and 7th curriculums overlook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education Further mo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is increasing due to extended opportunities for continual education and the corresponding expectation of better jobs Consequently, many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have a hard time studying in college owing to the lack of mathematic competence in high school day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proper mathematic curriculum in technical high school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ll problems relating technical subjects with mathematics in technical high school 2) problems in mathematic education derived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go on to college 3) problems with the optional subjects in 7th curriculum The methodologies of this research are, 1) questionaries - analysis of problems concerned with mathematics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 2) analysis of technical subjects - extraction of syllabus in subjec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analysis of the duration of those courses. 3) analysis of curriculums - analysis of data in practical mathematics in 6th curriculum and optional subjects in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1) Recognition that technical high school curriculur conversion is necessary. Mathematics serves as a foundation for many technical and professional subjects To achieve this conversion, practical time allotment should be assured, syllabus-textbooks which optimize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for technical high schools are necessary, and teachers' training for relevant instruction is essential 2) Considering the trend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techmcal high school students are going on to college and that they study technical subjects in 7th curriculum, choosing mathematics as the optional subject is difficult Since the major proposition of 7th curriculum is student-centered, new optional subjects should be design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high school

      • AA5182-O 알루미늄합금 판재와 TRIP강판 간의 이종 마찰교반점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시훈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과 에너지 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서는 연비 향상과 환경규제 만족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경량화 대책으로는 차체의 소형화, 고장력강을 이용한 박육화 및 중공화, 기존 강판을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플라스틱, 복합재료 등 경량소재로 대체하는 방법 등이 있다. 기존 강판에서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아지면 연성이 낮아지지만 TRIP강판의 경우 소성변형 중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함으로써 강도와 연성이 향상되는 변태유기소성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TRIP강판 또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경량금속 중에서는 알루미늄합금이 다른 소재에 비해 가격경쟁력 및 우수한 가공성 등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검토되는 소재이다. 하지만 알루미늄 합금을 철강재료와 접합함에 있어서 용융용접을 하게 되면 접합계면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어 용접부의 강도가 저하되며, 열에 의한 변형 등으로 접합부의 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고상접합방식인 마찰교반점접합(Friction spot joining; FSJ)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께 1.2mm의 AA5183-O 알루미늄합금 판재와 두께 0.9mm의 TRIP 강판 이종소재간 겹치기 접합을 수행하였고, 접합공정변수가 접합부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라 hook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hook이 형성되는 경우의 두 가지 형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hook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구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접합된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합강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ook이 형성이 될 때에는 공구의 삽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최대 삽입 깊이에서의 유지시간이 증가할수록 hook의 형상이 더욱 커졌으며 접합강도 또한 같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유지시간이 5초보다 길어지면 hook의 형상은 커지지 않고 유지되며 접합강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이유로는 유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접합계면에서 금속간화합물층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ARM9E core를 이용한 enhanced AAC+ 복호화기의 실시간 구현

        양시훈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Enhanced AAC+ decoder is implemented, in real-time, using 32bit RISC processor ARM9E-Jcore. The assembly code for ARM9E-J Core is developed through the serial process of C code optimization, cross compile, assembly code optimization and adjusting the optimized code to Embedded Visual C++ platform. C code is trimmed on Visual C++ platform. Cross compile and assembly code optimization are performed on CodeWarrior with ARM compiler. The implemented codec is evaluated using 23 test vectors given by 3GPP. Through this evaluation the bit-exactness of the S/W is verified. The average complexity of Enhanced AAC+ decoder is 59.19MHz, 57.50MHz at 32kbps, 48kbps respectively. In case of static link library (SLL), required memories are 187.57 Kbytes of ROM and 8.38 Kbytes of RAM. 본 논문에서는 ARM9E-J 코어를 이용하여 Enhanced AAC(Advancd Audio Coding)+ 복호화기를 실시간 구현하였다. Enhanced AAC+는 MPEG-4 AAC에 MPEG-4 SBR(Spectrum Band Replication)과 MPEG-4 PS(Parametric Stereo)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MPEG-4 SBR은 대역폭 확장기술이며 MPEG-4 AAC와 비교할 때 동일한 비트전송률에서 압축 효율이 약 두배정도로 향상된다. MPEG-4 PS은 스테레오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구현은 Enhanced AAC+ 복호화기 알고리즘 분석, C프로그램 최적화, 어셈블리어 코딩 및 최적화 작업, 그리고 ARM9E버전 스위칭 과정 및 bit-exactness 검증의 총4단계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구현된 복호화기의 평균 복잡도는 32kbps 모드에서 59.19MHz, 48kbps 모드에서 57.50MHz로 측정되었다. 사용된 메모리양은 ROM 187.57kbytes, RAM 8.38kbytes이다. 구현된 Enhanced AAC+ 복호화기 소스 코드는 3GPP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벡터들을 CodeWarrior에서 모두 비트 단위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 도입논의에 관한 연구

        양시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의 도입여부에 대하여 한창 논의가 이루어지다가 최근 정부에서 위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용의 형법 일부개정법률안과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출하여 그 법안이 국회에 계류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논문은, 위 제도를 우리 형사사법절차에 도입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문헌들은 대개의 경우, 외국의 입법례를 소개하는 것에 그 지면의 상당부분을 할애하면서도 위 제도가 가지는 장단점과 우리 형사절차에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 두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외국의 입법례에 대한 소개는 필요최소한 정도로 하는 대신, 이 제도를 도입할 경우에 예상되는 일반적인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또한 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하여 현재 국회 계류중인 형법 개정안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를 소개하는 문헌들이 위 제도를 '사법협조자 형벌감면제도'라거나 '공범증인면책제도' 등으로 명명하고 있고, 위 형법 개정안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에서는 이를 '내부증언자 형벌감면제도'라고 부르는 등 아직 그 용어에 대하여도 명확하게 정리가 되어 있지 아니하기에, 우선 위 제도의 성격을 잘 드러내는 명칭이 무엇인지부터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사법협조자 형사제제감면제도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유형들을 소개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구별하여야 할 제도인 플리바게닝제도를 간략히 소개하고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와의 차이점을 정리함으로써 개념상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법협조자 형사제제감면제도가 원래 영미법계 국가에서 유래하여 현재에는 여러 대륙법계 국가들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각국의 입법적 연혁과 시행현황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의 성질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와 법제가 유사한 일본에서는 아직 위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있지만 일본에서도 그 도입여부에 관한 검토가 우리 못지않게 활발히 이루어져왔던 것으로 보이기에, 이에 관한 일본의 논의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가 도입될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법 원칙과 관련된 영역'과 '실제 운용과정에서 문제될 영역'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전자에 관련하여서는, 이 제도가 자기부죄거부특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고, 평등원칙을 위반할 것으로 보이며, 비례성 원칙 또는 책임원칙 위반의 문제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 그리고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에 관한 논의와 연관된 문제가 있고, 자백의 임의성과 관련하여 약속에 의한 자백의 문제도 있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하여 그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고자 노력하였고,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사법협조자의 진술이 허위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는 점, 현행 수사구조상 위 제도가 남용될 우려가 크다는 점, 우리 국민의 법감정상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 사법협조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 등을 상세히 밝혔다. 다음으로, 위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형법 개정안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에 대하여, 그 논의 과정과 최종 개정안의 내용을 소개하였고,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사법협조자의 표적이 된 공범자의 재판결과에 따라 사법협조자의 처리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 즉 공범자가 무죄판결을 선고받은 경우, 공범자가 자백을 하는 경우, 공범자가 또다른 사법협조자가 되는 경우에 예상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둘째, 특정범죄유형에 대하여 사법협조자의 형사소추 자체를 면제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하여, 법원의 개입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는 것으로 인한 문제점을 언급하고, 사법협조자의 행위에 대한 가치평가에 관한 사견을 밝혔으며, 실제 시행과 관련하여 남용의 우려가 있게 되는 이유를 논증하였다. 셋째, 이 제도가 공판중심주의를 형해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적시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국민참여재판제도와 관련된 논의도 언급하였다. 넷째로는, 형사소추면제 대상범죄로 규율된 범죄유형들, 즉 부패범죄(특히 뇌물범죄)와 마약범죄 및 조직범죄에 대하여 각 범죄유형별로 특별히 예상되는 부작용들을 검토하였다. 이에 더하여, 위 형사소송법 개정안에 포함된 내용의 하나인 중요참고인 출석의무제도와의 연계에 따른 문제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관련제도와의 중복문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양형기준안에서 사법협조와 관련된 사항을 양형기준에 포함하고 있는 것과의 관계 설정에 관한 문제, 제도 도입에 관한 찬반논의가 정리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형법 개정안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에 포괄적인 조항만을 두고 그 세부적인 사항을 시행령에서 정하도록 한 것에 따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지적하였다. 결론으로, 효율적 수사를 위하여 그 도입요청이 아무리 커져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사법협조자 형사제재감면제도를 우리 형사사법절차에 도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는 필자의 견해를 밝혔다.

      • 플랜트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활용사례 분석

        양시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사 및 설계사에서 설계 구매 시공까지 영역을 확대하면서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프로젝트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플랜트 프로젝트는 설계 및 구매, 조달이 복잡하고, 다양한 공종 간 간섭이 발생하는 등 난이도가 높아 어려움이 많다. 이로 인해 EPC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많은 건설사들이 손실을 경험 후 현재는 해외 EPC 플랜트를 진행하지 않고 사업을 축소하거나 철수하는 등 보수적인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를 진행한 회사를 포함하여 몇몇 건설사만이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EPC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주 및 수행하고 있다. 기술과 경험이 부족한 건설사들은 이러한 해외건설수주 상황을 개선하고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EPC 플랜트 프로젝트 경력직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력 유출이 발생하는 건설사의 입장에선 근무자들의 이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이직을 줄이기 위한 직접적인 인사대책도 중요하지만, 근무자들의 기술과 경험 등 무형자산의 손실에 대한 대책도 중요하다. 이는 노사의 노력과 투자로 이룬 공동자산이다. 기업은 근무자들의 이직 혹은 은퇴 등으로 인한 기술과 경험 등 무형자산의 손실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PC 건설사의 무형자산 손실에 대한 대책으로 Lessons Learned를 제안하여 무형자산 손실의 개선을 통해 플랜트 프로젝트 손실의 최소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essons Learned Program을 운영하는 건설사의 EPC 플랜트 프로젝트 관련 부서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활용도 및 개선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Lessons Learned Program에 대한 활용도 분석하고, Lessons Learned Program을 EPC 플랜트 프로젝트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데이터, 시스템 등 부족한 부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While expanding the area from construction companies and engineering companies to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roject execution due to lack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plant projects are complicated in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work. As a result, many construction companies that were engaged in EPC plant projects experienced losses, and now they are shifting to a conservative strategy such as reducing or withdrawing their businesses without proceeding with overseas EPC plants. Only a few construction companies, including the one that conducted the survey for this study, have received orders and carried out EPC plant project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technical capabilities. Construction companies lacking technology and experience are actively hiring EPC plant project carriers to improve these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and develop their businesses. As a result, from the standpoint of a construction company where the outflow of human resources occur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gainst the turnover of worker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direct personnel measures to reduce turnover are important, but measures against loss of intangible assets such as worker skills and experience are also important. This is a joint asset achieved through labor and management efforts and investment. Companies also need to take measures against the loss of intangible assets such as skills and experience due to employee turnover or retirement.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Lessons Learn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intangible asset loss of EPC construction companies, and proceeded with research to minimize plant project loss through improvement of intangible asset los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improvement items for workers in the EPC plant project-related departments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at operates the Lessons Learned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 will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lessons learning program and aim to improve the shortages such as data and systems in order to efficiently apply the lesson learning program to the EPC plant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