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래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속 균주로 제조한 홍삼청국장의 품질특성과 항당뇨 효과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Red Ginseng-Chungkukjang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ungkukjang

        신경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1. 재래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균주로 제조한 홍삼청국장의 품질특성 재래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6종의 Bacillus속 균주를 starter로 하여 제조한 홍삼청국장(RC1∼6)과 균주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시킨 홍삼청국장(RC) 및 균주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시킨 재래청국장(TC)과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홍삼청국장(RC 및 RC1∼6)이 6.21∼7.18 범위로 TC에 비해 낮았으며, 산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총균수는 홍삼청국장이 TC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으며, RC1을 제외한 RC2∼6은 8.13∼8.56 log CFU/g으로 RC의 8.02 log CFU/g보다 다소 높았다. 홍삼청국장(RC 및 RC1∼6)은 TC보다 L*값과 b*값은 낮은 반면 a*값은 높았다. 점질물함량은 TC 및 RC에서 각각 37.18% 및 38.49%였으나 RC1∼6에서는 41.37∼44.75%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RC4와 RC5에서 높았다. RC1∼6의 총 ginsenoside함량은 18.66∼61.93 mg/100 g으로 RC보다 10∼267%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RC4에서 가장 높았다. TLC상에서 분리된 saponin의 수는 대두에서는 11종, 청국장에서는 23종이었으며, ginsenoside의 수는 홍삼에서는 21종이었다. Saponin과 ginsenoside의 총수는 홍삼청국장에서는 27∼41종이 분리되었으며, RC2에서 가장 많았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홍삼청국장이 TC에 비해 155∼245%가 많았으며, RC4에서 가장 많았다. RC1∼6의 전자공여능은 TC보다 37∼557%, RC보다 3∼26%가 높았으며, RC4에서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홍삼청국장은 전반적으로 TC에 비하여 쓴맛이 있으며, 구수한맛은 다소 낮으나 청국장 냄새가 적어 종합적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균주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홍삼청국장 제조용 starter 균주는 B. licheniformis가 가장 양호하였다. 2. Bacillus licheniformis를 이용하여 제조한 홍삼청국장의 항당뇨 효과 Bacillus licheniformis를 이용하여 제조한 홍삼청국장이 streptozotocin (STZ)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홍삼청국장 분말을 식이에 2% 혼합하여 STZ로 유발한 당뇨쥐에 3주간 급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에 의해 저하된 증체량과 식이효율을 청국장이나 홍삼 단독 투여군에서는 개선시키지 못하였으나 홍삼청국장은 이를 현저히 개선하였고, 청국장이나 홍삼 단독 투여군에서 회복시키지 못하던 고혈당을 홍삼청국장이 회복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홍삼청국장은 혈중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유의하게 억제시켰으며,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또한 당뇨에 의해 감소되었던 간조직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시켰다. 한편 간조직 glutathione 및 과산화지질의 함량은 당뇨에 의해 큰 변동은 없었으나, 당뇨에 의해 증가된 XOD의 type O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억제되었다. 그리고 당뇨에 의해 억제되었던 GST의 활성은 홍삼청국장에 의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Chungkukjang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ungkukjang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red ginseng-chungkukjang fermented by the use of 6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ungkukjang as a starter(RC1; B. arabitane, RC2; Brevibacillus brevis, RC3; B. circulans, RC4; B. licheniformis, RC5; B. sterothermophillus, and RC6; B. subtilis), red ginsengchungkukjang fermented without Bacillus(RC), and traditional chungkukjang(TC) was compared. pH of red ginseng-chungkukjangs(RC and RC1∼6) was within the range 6.21∼7.18, which was lower than TC, and acidity was tended to be high. Total viable cell in red ginseng-chungkukjangs were lower than TC, and the cells of RC2∼6 excluding RC1 was 8.13∼8.56 log CFU/g,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8.02 log CFU/g of RC. The L* and the b* value of the red ginseng-chungkukjangs were lower than TC whereas the a* value was higher. Content of slime material in TC and RC was 37.18% and 38.49%, respectively, and RC1∼6 was 41.37∼44.7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among them, RC4 and RC5 were highest.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RC1∼6 was 18.66∼61.93 mg/100 g, which was 10∼267% higher than TC, and among them, it was most abundant in RC4. The number of type of saponin and ginsenoside separated by TLC was 11 types from soybean, 23 types from chungkukjang, 21 types from red ginseng, 27∼41 types from RC and RC1∼6, and it was isolated most abundantly in RC2. Total isoflavone content in red ginseng-chungkukjang was 155∼245% higher than TC, and RC4 was highest.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RC1∼6 was 37∼557% higher than TC, 3∼26% higher than RC, and RC4 was highest. I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red ginseng-chungkukjang had bitter taste in comparison with TC, and savory taste was slightly lower, nonetheless, chungkukjang odor was less, and thus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evaluated to be high, nevertheless, a distinct difference according to Bacillus sp. was not showed. 2. Effect of Red Ginseng-Chungkukjang on the Blood Sugar and Serum Lipid Profile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o examine the effect of red ginseng-chungkukjang fermented with red ginseng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on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duced by streptozotocin, red ginseng-chungkukjang was mixed with the diet at the final concentration 2%, and fed for 3 weeks. In the group fed with red ginseng or chungkukjang alon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decreased due to diabetes could not be improved, however, red ginseng-chungkukjang improved them markedly. The hyperglycemia that could not be recovered by feeding with either chungkukjang or red ginseng alone, but the red ginseng-chungkukjang was improved it. Red ginseng-chungkukja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 while it was increased the HDL-cholesterol content. In addition, it induced the recovery of triglyceride in liver tissues that was decreased due to diabetes to almost normal levels. On the other hand, the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e content in liver tissues did not altered greatly by STZ-induced diabetes, nonetheless, the activity of the type O XOD that was increased by STZ-induced diabetes was inhibited in all experiment groups.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GST that was inhibited by STZ-induced diabetes was recovered to a normal level by red ginseng-chungkukjang diet.

      •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양상분석

        신경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신생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신생아 중환자실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그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업무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간호를 지향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이에 따른 대처 방안을 모색하여 업무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01년 10월 서울 및 인천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9개 대학병원 중 2차 병원이상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3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10월 10일부터 20일까지 11일 동안이었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50부였으며 그 중에서 139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3%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과의 면담과 설문지조사에 의해 스트레스 문항을 확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서 개발하였다./스트레스 측정도구는 환자직접간호에 관련된 17개 문항, 직무환경에 관련된 8개 문항, 대인관계와 관련된 12개 문항, 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5개 문항, 병원행정 및 병동관리와 관련된 7개 문항으로, 총 5개 영역의 4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PC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문항별 점수는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별 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치의 차이 검정은 변수의 특성에 따라 t-test와 ANOVA(F-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 Today increasingly keen interest in neonates leads the domain of the neonate intensive care unit to a multiplied significa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ut its principal objective on grasping job stress patterns that nurses perceive,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nurses working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groping for strategies for reducing or properly coping for their stress, and then aiming at realizing nursing of better quality./ For that purpose,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eded for ameliorating the work adaptability of nurses by grasping job stress patterns of nurses at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and groping for proper stress management./ Randomly sampled out from nine university hospitals distributed in Seoul and Inchon were 139 nurses who worked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in October 2001.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ranged for eleven days from Oct. 10 through 20, 2001. The number of questionnaire forms came to 150 in total, of which 139 were returned, and the return ratio 93%. Study methods depended upon reviews based on the literature, interviews with those nurses who worked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and a questionnaire poll, in which questions were posed by the advise of specialists./ The stress-measuring tool consisted of 17 questions as to direct nursing of patients, 8 ones as to working conditions, 12 ones as to interpersonal relations, 5 ones as to knowledge and technology, 7 ones as to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 totaling to 49 ones out of five domains. Data analysis processed with statistic treatment with the SPSS/PC program. Rating was based on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difference tests of mean values on stress levels by duty had recourse to t-test or ANOVA (F-te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Resultant findings were revealed, as follows:/ 1. The stress value of the respondents was from as low as 1.63 times to as high as 5.00 times

      • 청소년의 자존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신경옥 서울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Every person in the world is unique, and when God saw all that he had made, He said it was very good. Not all people, however, think they are unique. Some people rather think If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they feel like something wrong with them. They ceaselessly compare with others and criticize themselves and also themselves demanding to be like themselves or to be like others. They even don't realize themselves losing by hurting themselves and others. This study is focused that this continuing hurt eventually affects low self-esteem. Especially, this study observes adolescents in low self-estee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o recover low self-esteem for adolescents. First part of this study shows a motive and a goal, second part explains a definition and a distinctive quality of adolescen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nd suggests parent's role. In a third part, It is showed that definition of self-esteem in the general and in the biblical way. And this study would make clear what factors effect low self-esteem in the adolescence. In a fourth part, it is composed of a ten-times section-introduction, self understanding, forgiving, specific challenges for life, consider others from a different standpoint and conclusion. In a last part, It comes to a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adolescents who have a low self-esteem to recover their true self-esteem, so that they could respect themselves with no more comparison and could have a happy life.

      • 關係의 형상화를 위한 인물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경옥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들과 현대인의 관계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에 입각하여 관계를 주제로 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작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초로 삼고자하였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관계(關係) 속에서 살아가며, 관계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결합하려는 본질적인 욕구를 가진 존재이다. 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대중으로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타인뿐 아니라 자신도 시장에 내놓은 상품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그들 간의 관계는 피상적이고 수단적일 수 밖에 없다. 바로 그러한 사실 때문에 그들은 관계 속에서도 그리고 군중 속에서도 고독을 느끼며 더욱 관계를 욕구하게 된다. 자신의 시장가치는 타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관계에서 분리된 사람은 필요하지 않은 상품이라는 의미이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스스로도 자신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로부터 소외된 사람은 자신으로부터도 소외된다. 모든 관계에서 고립되어 개체화된 사람이 느끼는 고독과 무력감은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그는 그 상태를 벗어나기 위하여 어떠한 형태로든지 다시 관계에 묶이려고 한다. 그러나 예전과 같은 안식처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다. 그가 진정한 자유를 얻고 자신을 세계와 연결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다른 사람들과의 원초적이거나 기본적인 유대관계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사랑과 창조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1) 인간관계에 대한 집착을 버리게 될 때 비로소 관계 안에서도, 관계 밖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그러나 관계는 아름다운 것임에 틀림없다. 사랑의 관계들은 여전히 존재하며 그것이야말로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힘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현대사회의 인간들의 관계가 피상적이고 수단적일지라도 그것은 우리를 고독의 심연에서 건지며, 존재의 의미를 부여하며,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게 하는 수단이며, 관계로 나아갈 수 없는 이들에게는 가장 그리운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고립된 개인으로 안주하지 않고 더욱 가치 있는 것을 추구하려는 본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은 자기의 개성을 사회에 흡수시켜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신적 활동인 창작행위를 하게 된다. 예술은 인간 상호 간의 그리고 인간과 사회집단 간의 관계로부터 철저히 고립된 가운데 체험한 어떤 인간적, 사회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간 존재의 진실성에 관해 표현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힘이다.2) 또한 예술작품은 작가의 심연으로부터 떠오르는 미지의 감각 또는 직관이 사고의 과정을 거쳐서 외적인 형식과 형태를 갖추어 드러나는 것이며3) 본질적으로 결핍된 것을 평형상태로 메워주는 대용물이다.4) 본인은 그동안 사회적 현실에 의하여 관계들로부터 완전히 단절됨으로써 고독하고 무력한 한계상황을 경험하였다. 그것은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그 과정에서 관계에 대한 의식적․무의식적 사고를 표출하는 일련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들은 관계 속에서 살며, 관계를 욕구하며, 관계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인간의 실존, 그리고 관계에 대한 본인의 그리움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은 주로 두 사람의 얼굴을 통해서 인간관계의 성격을 표현하였으며, 디지털기법과 석판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 1) 에리히 프롬(Erich Fromm), 「자유로부터의 도피 건전한 사회 (Escape from Freedom The Sane Society)」, 이규호 역, 삼성판 세계사상전집 26. (주)삼성출판사, 1982, p.68 2) 장 뒤비뇨, 「예술 사회학」, 김재현 역, 문학과 지성사, 1983, p.188, 3) 이나가키 유키코. 「체험과 공상세계의 표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5, pp.1~2 4) 에른스트∙피셔,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성기 역, 돌베개. 1984. p.21

      • 방문요양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신경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중 재가에서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30일까지 15일간 경기도 Y시 소재의 방문 요양기관 8곳을 이용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바델 척도(Barthel Index; 1965=ADL)와 Lawton과 Bordy(1969)가 개발한 IADL을 기초로 송미순(1991)이 개발한 IADL을 사용하였다. 우울은 한국판 SGDS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Neugarten, Havighurst, Tobin(1961)이 개발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index-A)를 임창희(2005)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 문항 11개, 일상생활 수행능력 15문항, 우울 15문항, 삶의 만족도 18문항으로 총 59문항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소요 시간은 15~30분이었다. 총 220부를 배부하여 3부를 제외한 217부(회수율 98.63%)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 응답 1부와 치매 5등급 5부를 제외하고 211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성별은 남자 31.7%, 여자 67.8%로 여자가 많았고, 연령은 85세 이상 49.8%로, 고령자 비율이 높았다. 학력은 최종 학력은 무학 30.3%, 초등학교 30.8%로 저 학력자가 많았다. 종교는 기독교가 31.3%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 유무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60.2%였다. 동거형태는 배우자가 42.2%로 배우자가 수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자녀, 독거, 기타 순이었다. 한 달 용돈은 10만 원 미만 사용자가 40.8%로 가장 많았고, 요양 등급은 4등급 47.9%, 3등급 37.9% 순으로 많았으며, 장기요양 이용 기간은 1년 미만보다 1년 이상 이용자가 많았다. 만성 질환의 보유 개수는 2개 이상이 78.2%였고, 질환별 분석결과 고혈압이 60.2%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은 평균 2.6개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2.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총점이 6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34.69점이고, ADL은 32점 만점에 21.05점, IADL은 28점 중에 13.64점으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었다.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항목별 난이도 중 ADL의 항목별 난이도는 8개 과제 중 층계 오르기가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왔으며, 그다음으로 목욕하기, 걷기가 혼자 수행이 어려운 항목으로 나왔고, 가장 많이 수행 가능한 기능은 식사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누웠다가 일어나고 의자에 앉기, 옷 입고 벗기 순서이다. IADL의 수행 난이도 순위는 7개 항목 중 혼자 차타고 나들이 가기가 가장 어려움을 겪는 수행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집안일 하기, 식사 준비하기, 식료품이나 필수품 구입, 돈 관리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일반적 특징 중 성별, 요양등급, 장기 요양보험 이용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남자보다 여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높았으며, 4등급이 3등급, 2등급, 1등급보다 높았고, 3등급이 1등급보다 높았다. 또한 장기요양 이용 기간에 따라 1년 미만 집단이 2년 이상 집단의 ADL 평균 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IADL에서는 배우자 유무, 동거형태, 한 달 용돈, 요양등급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점수는 15점 만점에 평균 8.06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은 일반적 특성 모두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본 연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54점 만점에 평균 32.49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 모두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5.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증가할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우울,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보다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가 아주 밀접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문요양 이용 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관련된 반복 연구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관리 중재 프로그램 및 정책적 실행 방법의 개발과 연구를 제언한다.

      • 巡廻敎師制度에 대한 敎員의 認識 分析

        신경옥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행 순회교사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순회교사제도를 실시하게 된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다. 2. 순회교사제도 운영의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다. 3. 순회교사제도의 장점·단점 및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4. 순회교사제도 실시에 따른 효과 정도 및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5. 바람직한 순회교사제도 운영에 대한 의견조사를 해 본다. 6. 순회교사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조사를 해 본다. 이러한 내용을 다루기 위하여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제작한 후, 경기도 31개 공립·사립 중학교 교원 45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배부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 중 자료처리가 가능한 부수는 395로 유효회수율은 88%였다. 표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처리하였고, 조사대상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검증을 거쳐 분석한 결과를 간추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순회교사제도를 실시하게 된 가장 큰 목적에 대하여는 31.1%가 "전공 교사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이라고 응답하였다. 2. 순회교사는 순회 근무 경력이 1년에 1개교를 순회 근무하며 지원교에서 근무 시 컴퓨터 사용이 가장 불편하다는 교원이 많았으며, 앞으로 순회교사를 희망하지 않을 교원이 40.O%로 높게 나타났다. 3. 순회교사제도의 실시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46.1%가 "상치 교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 부정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68.6%가 순회교사가 "소속교나 지원교에 대한 소속감이 없기 때문에" 라고 응답하였다. 4. 순회교사제도 운영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40.5%가 "비순회교사의 업무량이 증대된다" 와 34.2%가 "순회교사의 우대방안이 미비하다" 라고 응답하였다. 5. 현행 순회교사제도의 효과정도에 대해서는 34.41%가 "비교적 효과가 있다" 혹은 "매우 효과가 있다" 에 응답하였다. 6. 순회교사의 겸임은 1년 마다 교체하고, 주당 수업 시간은 16~18시간, 순회 근무 일수는 2일, 지원교에서 1일 평균 시간은 3시간, 2개교 순회근무에 현행 여비 7,000원은 비교적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순회교사제도의 개선·정착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순회교사가 소속감을 갖도록 지원교·소속교에서의 정서적인면, 업무 면에서 배려가 필요하며, 순회교사 우대방안에 대한 개선이 요구 된다. 둘째, 순회교사제도로 인한 비순회교사의 업무량 증대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순회교사는 교육청 단위로 중·고등학교 구분없이 통합·운영하여 거의 모든 교사가 수업을 골고루 하여 불만이 없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ognition and of teachers about circuit teaching system in operation, and investigating the reasonable improvement device. For archiving this purpose, the concret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aim and necessity for administrating the circuit teaching system. 2.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circuit teaching system in administration. 3. To investigate the advantages, shortages and problems of circuit teaching system. 4.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the perspective according to adminstration of circuit teaching system. 5. To examine the opinion in order to administrate affirmative circuit teaching system. 6. To examine the opinion for improvement device of circuit teaching system. In order to treat these contents, relative documents and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An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is basis, it was distributed to the 450 teachers who were collected at discretion in 31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in Kyung-gi province. Among withdrawing questionnaires, the number of valid questionnaires that were possible to manage were 395 copies and valid withdraw rate was 88%.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by SPSS/PC+ program. According to variation, x_2(Chi-Square) demonstration was done. The results through the above demonstr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31% of respondent answers "to offer opportunity to study with major teacher" to a question about the greatest purpose of circuit teaching system. 2. Circuiting teacher circularly work at one school per a year. There are many teachers who respond that the most uncomfortable problem is the use of computer. And The 40% of respondent answers that we will not apply to circuit teaching system from now on. 3. For question about affirmative effect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circuit teaching system, The 46.1% of respondent answers "because collision curriculum is reduced", and about the reason of negative effect, the 68.6% of respondent answers that circuit teacher don't have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4. The answer about the most problems in administration of circuit teaching system appear 1."The task of non-circuit teacher is increased"(40.5%), 2. "the generous treatment of circuit teacher is insufficient"(34.2%). 5. For question about the effect of circuit teaching system in operation, the 34.41% of respondents answer "it is comparatively effective" or "very well effective". 6. It appears to be comparatively inappropriate that the two or more positions of circuit teacher changes every one year, the hour of class per a week are 16-18 hours, the number of working day comes to two days, average class per a day are 3 hours at school, and traffic expense used for circuit work amounts to ₩7,000 From the above results, a few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and settlement of circuit teaching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first, in order to inspire a sense of belonging into circuit teacher, the school authorities must give consideration to circuit teacher in the aspect of affection and task. Also the improvement of generous treatment for circuit teacher is needed. The second, the supplement must urgently be prepared so as to solve the problem which is raised as the amount of work increased because of circuit teaching system. The third, the adminstration of circuit teaching system must be synthesized and managed by each the Office of education without divisi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o that all the teacher can diversely take a class and don't have discontent.

      •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신경옥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진로의식 즉 자아의식, 직업의식, 가치의식 그리고 진로선택에 관한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미래 지향적인 올바른 진로 교육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思料)되며, 특히 중학생의 진로교육은 개인 인생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준비 및 탐색을 시도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가 되므로 이에 대한 올바르고 합리적인 진로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경기도 수원시 및 화성시(도서벽지, 농어촌지역)에 소재 하는 6개 중학교의 3학년 7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가운데 분석이 가능한 660부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기초통계 및 Chi-Square(X^(2))검증으로 분석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진로 의식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부모 및 가족으로부터 진로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직업의 의미에 대한 견해는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는바, 남학생의 경우 생계유지의 수단으로서 가치를 부여하고 여학생은 자기 실현의 계기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진로 선택 단계에 대한 생각은 비교적 많은 학생들이 진로 선택에 관하여 아직 결정은 내리지 못하고 고민하고 있는 탐색단계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진학 희망 학교는 전체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고 있으며, 시 지역의 학생들이 읍/면 지역의 학생들에 비해 인문계 고등학교 진학을 더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교에서의 진로 지도는 고등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진학지도에 치중하므로 학생들의 흥미·적성·능력에 따른 진로 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에서의 진로 지도는 진로상담교사가 개별상담을 통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교과 수업과 관련된 진로 안내나 진로 상담실의 참고자료 비치도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있어서는 단순한 각종 검사 자료의 활용보다 현장견학 및 실습을 통한 체험학습 활동의 기회 부여가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진로 지도 시기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조기에 진로 지도를 실시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진로 교육에서 소질과 적성파악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진로 선택에 대한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내어 진로 지도에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consciousness of self, occupation, value judgment, and the choice of their future course, and to render accordingly future-oriented education. One's middle school day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one usually decides on one's fundamental course of life and prepares oneself for the future in this period. Therefor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adequate guidances and education so that they may make a right choice.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ere given to 700 students attending six middle schools located in Suweon and Hwaseong(agricultural and fishing regions), Gyeonggido. Among the 700 questionnaires, 6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basic statistical method and Chi-square examination are as follows: 1) Students have much interest in their future. They usually get information and pieces of advice on their future from their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2) Students' consciousness of occupation differs in accordance with their sex. In general, male students view occupation as a means of living, while female students as an opportunity of self-fulfillment. 3) Many students have not yet decided on their future course. They are still in the stage of groping in the dark to choose the adequate future course. 4) Many students prefer to enter high schools of humanities. Student living in city area prefer to enter high schools of humanities more than those living in rural area. 5)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focused on high school preparatory courses. They are not educat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 aptitude, and ability. 6) The most efficient way of guiding students in the choice of their future course is to offer appropriate counsel to individual student. It is also of much help to them that teachers guide students with respect to class works and prepare them various guidance materials in the counseling room. 7) On-the-spot training is much more effective for guiding students in the choice of their future than classroom study of guidance materials. 8) Most students consider it necessary to get early education in the choice of their future course. They think that ability and aptitud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deciding on their future course. 9) Students think that teachers' guidance in the choice of their future course is far from being satisfactory. So school managers should make more effort to offer adequate guidances to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