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타평가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사영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하여 메타평가를 통한 평가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의 개념을 가진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실행하였다. 왜냐하면, 문화관광축제 평가가 진행된 10여년 동안 대내외 적으로 끊임없이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되어 왔고, 그 근본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서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한 일부분이 아닌 평가체계 전반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메타평가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를 평가환경, 평가투입, 평가수행, 평가활용측면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문화관광축제에 적합한 메타평가 평가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자, 피평가자,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시에 문헌연구 및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메타평가 결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영역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평가환경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알리며, 이를 위해 문화관광축제의 등급별로 각각의 발전방향을 명시하고, 그에 따른 축제 평가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평가투입 영역에서는 축제의 자료와 평가인력에 대한 개선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중앙단위 평가관리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과 방문객 의견을 반영을 통해 개선의 여지가 주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평가수행 영역에서는 평가지표별 비율을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평가결과를 정리한 종합평가보고서에 대해서도 평가내용과 평가과정 등 내용적인 부분에서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평가활용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의 컨설팅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을 제시한 바, 담당 컨설팅팀 조직과 평가 결과에 대한 관계자 포상 관련 제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은 평가체계 전체적인 체계에 대한 거시적인 제언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충실히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후속연구에서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외상 경험자의 정서적 배경과 표정에 따른 주의편향

        사영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배경과 표정 과제에서 외상경험집단의 주의편향 방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진단 척도와 사건 충격 척도를 실시한 후 절단점에 따라 외상경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실험참가자로 선정하였다. 선발된 참가자들에게 정서적 배경과 표정 과제를 실시해 이에 대한 주의편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외상경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표정과 배경을 함께 제시했을 때 표정에서 배경을 보는 비율의 총 응시기간이 더 길었으며, 외상경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두려움 표정에서 부정적 배경이 제시될 때 중립 및 긍정적 배경보다 더 긴 총 응시시간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ention bias between emotional conexts and faces on traumatic experience using eye-tracker. The experiment carried out for 30 who had experienced the trauma and 30 controls. 2 groups are compared the attentional biases to emotional context behind each of emotional faces. As results, The proportion of total contexts to total faces indicated that traumatic experience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traumatic experience group was found greater bias towards negative context than positive and neutral conext on fearful face, but not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add to the growing weight of evidence suggesting that pattern for attention to emotional stimuli on the traumatic experience. This study can provide a foundation that can be extended to studies of the attentional bias on people that had the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